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초,심화과정 등 고교 교육력 제고 정책실행 상에 나타난 교육과정 쟁점 분석

        김주아 ( Ju Ah Kim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1 교육과정연구 Vol.29 No.2

        본 연구에서는 학점제, 무학년제 도입의 전초전적 성격을 가진 기초·심화과정 등 고교 교육력 제고 정책시범운영과정 상에 나타난 교육과정 쟁점을 분석하고 향후 발전과제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준별교육과정, 학생선택중심 교육과정 등 기존의 학생중심 교육과정과 고교 교육력 제고 정책의 유사성과 차별성을 분석하였고, 시범운영상의 나타난 교육과정 쟁점으로 기초·심화과정에 대한 오해, 기초·심화수준의 애매모호성, 교육과정편성 관행과의 충돌, 집중이수제와의 갈등, 학업상담기능의 도입, 절대평가와 상대평가의 불완전한공존, 대입에서 유불리 문제 등을 제시하였다. 또한 향후 학점제, 무학년제 등 보다 융통성 있는 학생맞춤형 교육과정이 도입, 정착되기 위한 과제로 일반계고 개설 교과들 간의 관계 및 위계 설정, 심화과정의 발전적분화, 고교수준의 최소학력 기준 설정, 능력별 집단 편성에 따른 부작용 최소화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nd identify issues which were raised in the pilot study of high school education enhancing policy. It was also pursued to extract implications and policy agendas for the future of student-tailored curriculum building in Korea. For the purpose, the researcher analyzed pilot schools` proposal and consulting reports of individual pilot schools. The issues are identified such as misunderstanding of basic and honor courses, conflicts with routine of curriculum planning, ambiguity of meaning of level of basic and honor courses, conflicts with focused course taking, needs of introduction of learning counseling, mismatch between curriculum design with student evaluation system, opaque prospects of advantages in college admission. Based up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researcher addressed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of student-tailored curriculum building at an individual school level: reorganization of subjects which high schools can open, developmental division of honor program and advance placement program, setting the standards of proficient level for the high school graduate, strategies of minimizing the side effects of ability-grouping.

      • KCI등재후보

        그림책을 활용한 몸짓언어프로그램이 영아의 몸짓과 애착에 미치는 효과

        김주아 ( Ju Ah Kim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08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만2세 영아를 대상으로 그림책을 활용한 몸짓언어프로그램을 통해 영아의 몸짓과 애착을 증진 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그림책을 활용한 몸짓언어프로그램이 영아의 몸짓과 애착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대상은 인천의 2개소의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 2세 8개반, 영아 42명이었으며 실험집단 21명에게는 24회기의 프로그램 활동을 실시하고 통제집단의 21명은 일반 교육프로그램에 따라 교육을 실시하였다. 연구측정도구는 애착검사를 위해 Q-SET, 영아의 몸짓검사를 위해 CSBS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SPSSWIN 12.0 통계프로그램으로 t-test와 공변량 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그림책을 활용한 몸짓언어프로그램은 영아의 몸짓과 애착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esture language program using picture books on the two-year-olds gesture and attachment. To verify the effect of developed program, implemented pre-post test and designed for the test and controlled group. ranged 42 toddlers of two years old, in two day care centers located in Incheon, for the test and controlled group. This experimental group was 21 toddlers in the test group, implemented 24 sessions of program and for 21 in the controlled group, implemented the education according to general program. As the measuring instrument, used Q-set for attachment test and CSBS scale for gesture test. When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hey are as followings. First, it was shown that the average score of test group, which took the treatment with gesture language program using picture books,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led group both in gesture and attachment an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There was shown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sub-factors of gesture including deictic, conventional, and representational gesture, and among them, representational gesture showed greatest difference in average score. Second, as the result of pre-test and post-test, the treatment received test group showed higher average score both in gesture and attachment than that of the controlled group in the post-test, an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in the group. There was shown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sub-factors of gesture including deictic, conventional, and representational gesture, and among them, representational gesture showed greatest difference in average score.

      • KCI등재

        융합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숙의: 과학예술영재학교 교육과정 개발 과정을 중심으로

        김주아 ( Ju Ah Kim ),김영민 ( Young Min Kim ),이미경 ( Mee Kyung Lee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4 교육과정연구 Vol.32 No.4

        본 논문에서는 과학예술영재학교 교육과정 과정을 Walker의 자연주의 교육과정 개발 모형에 기초하여 플랫폼, 숙의, 설계 단계로 나누어 조망함으로써 고등학교 수준의 융합교육의 가능성과 바람직성을 탐색하고 향후 발전과제들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플랫폼 단계에서는 융합이 교육개혁의 화두가 된 사회환경과 과학과 예술의 융합이 기획된 이론적, 실천적 근거를 분석하였고, 숙의 단계에서는 융합교육을 통해 기르고자 하는 인재상과 핵심역량, 융합교육의 정의 및 접근 방식에 대한 쟁점과 대안들을 확인하였다. 설계 및 타당화 단계에서는 융합교육개발 과정 상 나타난 쟁점별 대안들에 대한 적합성 평가를 통해 최적의 대안에 대한 선택 과정과 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전문가와 현장교원의 숙의과정을 통해 고등학교 수준의 융합교육과정의 가능성과 바람직성을 탐색해 본 결과, 고등학교 수준의 융합교육 융합된 내용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융합적 사고방식을 기르는 방식으로 접근해야 하며, 고등학교 단계에서 다양한 학문 분야를 경험하고 해당 학문의 핵심 개념을 익히고, 이들을 연결지어 전체를 보는 통합적, 종합적 안목을 기르는 일은 가능할 뿐 아니라 바람직하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또한 융합교육의 발전 과제로 융합교육 개념의 명료화, 전생애적 관점에서의 융합교육 설계, 교육적 적합성 제고를 위한 융합교육의 조건, 과학과 예술 간 융합교육의 확대, 일반고로의 확대가능성 타진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and desirability of interdisciplinary curriculum at the high school level based on curriculum development processes and products of Science and Arts Academy for the gifted. The processes and products of curriculum development were reviewed through the lens of the Walker`` naturalistic model for curriculum development. In the platform stage, the change of social environments and the theoretical grounds of attempts integrating the domain of science and arts were analysed. During the deliberation stage, the issues and alternatives were identified concerning key competencies, the definition and diverse approaches of interdisciplinary curriculum, and the curriculum structure design. In the design and validation stage, the processes and products of a set of design decisions were presented. Through the deliberation process on the possibilities and desirability of the interdisciplinary curriculum at the high school level, we conclude that the interdisciplinary curriculum needs to focus on fostering the interdisciplinary skills rather than attempting to teach a subsumption of disciplines. In the high school level the excessive specialization should be sublated and students are to be led to the global optimization through the wide exposure to various disciplines and experiences . As the keys to the successes of the interdisciplinary curriculum, clarification of the meaning and purposes of interdisciplinary curriculum, the needs of entire life cycle design for interdisciplinary learning, and the validity criteria of interdisciplinary curriculum were presented.

      • KCI등재

        영아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부모의 인식 및 태도 연구

        김주아(Ju Ah Kim)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3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가정에서 영아의 스마트폰 사용과 관련한 부모의 인식과 태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도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영아 162명의 부모를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사회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영아의 스마트폰 사용 여부는 자녀의 개월 수에 따라 달랐다. 둘째, 부모의 영아 스마트폰 사용여부에 따라 부모의 스마트폰에 대한 인식은 차이가 있었 다. 셋째, 영아들에게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부모들을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부모들은 영아들에게 주로 20개월 무렵 스마트폰을 보여주었고 혼자 본인이 원하는 앱을 실행하게 하였다. 부모들은 시 간을 때우기 위해서 스마트폰을 영아에게 사용하였으며 주로 부모가 먼저 스마트폰을 보여주었다. 부모들은 스마트폰 사용이 영아들의 인지발달에 긍정적 영향이 있을 것이라고 보았으며 정서적 발 달에 가장 부정적이라고 보았다. This study examined parent`s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their toddlers` smartphone use at home. One hundred and sixty two parents of toddlers attending day care centers were selected as the research subjects.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the Seoul Metropolitan City and Gyeonggio-do areas. First, the participa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toddlers` smartphone use by the age of toddlers in number of months. Second, the participa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perceptions of their toddlers` smartphone. Third, the participants who allowed their toddlers to use smartphones had their toddlers watch content on smartphones when they were 20 months of age, and had their toddlers run apps on their smartphones alone. They toddlers to use smartphones to pass the time, and participants mostly showed smartphone ahead. They perceived that smartphone use effects cognitive development in toddlers in positive way, and effects emotional development in toddlers in a negative way.

      • SCOPUSKCI등재
      • KCI등재

        기초, 심화과정 시범운영을 통해 본 교육과정 개별화의 가능성과 한계

        김주아 ( Ju Ah Kim ),김홍원 ( Hong Won Kim ),김성식 ( Sung Sik Kim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3 교육과정연구 Vol.31 No.1

        본 논문에서는 기초과정?심화과정 시범운영 결과를 통해 학생의 학업성취 수준에 따라 과목의 출발점과 도착점을 다르게 하는 교육과정 개별화의 가능성과 한계를 탐색해 보았다. 이를 위해 기초과정과 심화과정의 학생선발, 교수-학습, 이수트랙에 대한 시범적용 결과와 쟁점을 분석하였다. 기초과정의 경우 학생의 성취수준에 따라 출발점은 달리할 수 있지만 계절수업 등 추가이수를 통해서라도 도착점을 같이하는 추가이수모형이 대세를 이루었다. 이러한 교육과정 운영 방안은 학생들에게 균등한 교육기회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는 긍정적인 의미가 있지만, 학생들의 학습 부담과 합류 이후 학습 부진 재발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심화과정의 경우에도 보통교과를 모두 이수하고 심화교과를 추가로 이수하는 모형이 가장 많이 채택되고 있었다. 학업성취도 향상도 분석 결과에 따르면, 기초과정은 이수과목의 출발점과 도착점을 달리하는 개별이수모형이, 심화과정의 경우는 동시이수모형과 추가이수모형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동일한 과목 이수를 통한 형식적인 교육기회 제공이 아니라, 자신의 수준과 적성에 맞는 과목 이수를 통한 실질적인 교육기회제공을 통해 학생들이 더 잘 배울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향후 학생맞춤형 교육과정이 정착되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적성과 능력에 따라 이수과목의 출발점과 도착점을 달리할 수 있는 개별이수모형이 기초, 심화과정에서 모두 적용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ies and issues in conducting the pilot study of curriculum differentiation by tracking. The curriculum arrangements of student placement, classroom practices, course offerings are analysed and critical issues are identified. The patterns of differentiation are closely related to the cultural norms. In most of schools which participate in the pilot study, teachers tends to choose the additional course takings rather than optional course takings as curricular accomodations to ensure equal educational opportunities of low track students. However, the results of student achievement progress analysis show that optional course takings are more effective than additional course takings to low track students especially in mathematics. This suggests that the ideal of equal educational opportunity could be achieved more effectively by differentiating curriculum according to the aptitude and achievement level of students. The effects of differentiation of high track students could not be estimated accurately due to the incongruity between courses offerings and the required subjects of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This study suggests optional course takings have to be encouraged based on the students` choice to ensure substantial educational equality.

      • KCI등재
      • KCI등재

        인문사회 영재교육 프로그램 내용체계 개발 연구

        김주아 ( Kim Ju-ah ),이경숙 ( Lee Kyung-sook ),모경환 ( Mo Kyung-hwan ),옥현진 ( Ok Hyoun-jin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8 시민교육연구 Vol.50 No.2

        본 연구는 우리나라 인문사회 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관련 쟁점을 분석하고 이 에 기초하여 프로그램 구성 원리와 내용 체계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인문사회 영재교육의 성 격을 보다 분명하게 규명하기 위해 인문사회 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접근방식, 인문사회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하위 내용체계, 교육과정 내용 개발 기준 및 구성방식에 대한 쟁점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인문사회 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관련된 쟁점 분석에 기초하 여 프로그램 구성 원리로 1) 대주제 중심의 통합적 접근, 2) 범위와 계열성을 고려한 체계적 접근, 3) 정규 교육과정과의 연계성을 고려한 심화 교육과정 등 세 가지를 추출하였다. 그리 고 학문분류 체계와 초·중등교육과정 체계에 기초하여 인문사회 영역을 1) 언어과, 2) 사회 과로 구분하고 각각의 내용체계를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인문사회 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향후 발전 과제로 인문사회 분야 이외의 다른 학문과의 융합 및 진로 프로그램 개발과 이를 수행할 수 있는 교사 역량 개발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discussed four critical issues in developing a curriculum framework in language arts and social studies for the gifted and suggested its principles for organizing contents. Two Delphi studies were conducted on the critical issues such as domain-general vs. domain-specific approach, organization of subordinate curriculums, contents related with the regular curriculum vs. themes for higher thinking skills, and competency-based vs. discipline-based design. The results showed that it was more acceptable to develop a curriculum framework from the domain-specific perspective, and then categorize its sub-programs into the language and the social department. It also incorporated achievement standards of national curricula and higher level thinking abilities. The content of the developed curriculum framework had two subordinate categories: language arts and social studies. Further research can examine disciplinary core idea modules, career programs in language arts and social studies for the gifted, integrated programs with natural science, and teacher training programs.

      • KCI등재

        「영재교육종단연구」의 이론모형 및 측정모형 수립

        김주아(Ju Ah Kim),어수진(Uh Su Jin),한석실(Han Seok Sil),임현정(Hyunjung Im) 한국영재학회 2020 영재교육연구 Vol.30 No.4

        본 연구는 영재교육의 효과성과 사회적 공헌도의 체계적 분석을 목적으로 하는 「영재교육종단연구」의 이론적 모형과 측정변인을 설정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문헌연구와 2차에 걸친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해 이론모형 및 측정모형을 수립하고, 타당성을 검토하여 수정‧보완하였다. 최종모형에서는 전문적 성취를 넘어 획기적인 발전을 이끌어낼 수 있는 창의적 성취를 통해 사회와 인류에 기여하는 것을 영재교육의 궁극적 목적으로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영재성 발현 단계를 영재성-전문적 성취-사회공헌의 3단계로 구분하였다. 영재성 단계는 아직 성취 형태로 발현되지 않은 잠재력 보유 단계로 지능, 창의성과 같은 일반적 능력과 영역 특수적 능력을 포함하였다. 전문적 성취 단계에서는 영재학교와 고등교육 재학기간 동안의 교육적 성취(성적, 수상‧연구실적, 진학, 취업 등)와 취업 이후 교육‧연구 분야 또는 기술‧산업 분야에서의 직업적 성취로 구성하였다. 사회공헌 단계에서는 자신의 분야에서 탁월한 성취를 통해 사회에 기여함으로써 영재성이 최종적으로 발현된다고 설정하였다. 또한 영재성 발현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교육내‧외적 요인으로 구성되는 환경 요인과 개인의 정의적 특성인 개인내적 요인을 포함하여 모형을 설정하였다. 단계별 모형 설정 결과를 보고하고, 더불어 향후 「영재교육종단연구」의 성공적 시행을 위한 발전 과제를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the theoretical model and review measurement variables of the Longitudinal Study on Gifted Education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effectiveness and social contribution of gifted education, and to validate its rationale. Both the theoretical and measurement models were optimized by reviewing the literature and using the Delphi method after multiple revisions. One’s giftedness is normally identified in the early ages and then developed for a lifetime. We divided the development stage into three parts according to its quality and influence. The outcomes of gifted education are expected to first come at a smaller scale from one’s extraordinary academic performance within their creative and professional expertise, and then further extends to their contribution to society and humanity. In the first stage (“Identifying Giftedness”), potential talents are recognized among thosewith more general abilities such as intelligence and creativity, as well as domain-specific abilities, which can easily be revealed in the mathematics and science fields. This ‘giftedness’ is then expressed in the form of educational and career achievements later in the second stage (“Professional Achievement”). Examples of educational achievements can include school grades, awards, volume of research conducted, or admission to higher level institutions. When the gifted get their professional positions in academia, industry or in other fields of technology, occupational achievements could be measured by their career paths. In the third and final stage (“Social Contribution), the influence of the gifted would expand their talents by contributing to society through outstanding achievements in their field. In our model, environmental factors which are classified as educational and non-educational factors take an important role in the .sequence of giftedness development. The internal factors of the gifted are the effective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s. The present study shows the process of setting up an initial model until obtaining the final model. It also suggests future tasks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longitudinal project.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