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글쓰기에서 말하기의 영향-의사소통 측면을 중심으로-

        황성근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11 사고와표현 Vol.4 No.1

        말하기와 글쓰기는 인간의 중요한 언어행위이지만 서로 연결을 짓기보다는 분리된 영역으로 수용하는 일이 많았다. 그러나 말하기는 글쓰기에 적지 않은 영향을 주고 있다. 의사소통 측면에서 볼 때 말하기는 글쓰기보다 더 보편적인 언어행위에 속한다. 그리고 말하기는 메시지의 구성이나 배열, 전달에 있어 설득적인부분을 많이 갖는다. 글쓰기에서 나타나고 있는 말하기의 요소는 우선 구성적 부분에서 볼 때 설득적인 글 구조를 취하는데서 드러난다. 말하기의 두괄식 방법이 글쓰기의 전체 구조에서는 물론 내용의 서술에서도 드러나고 있다. 내용적 부분에서는 주제 중심의 서술이 논리성의 강조가 말하기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된다. 그리고 표현에서는 문장의 간결성이나 구어적 표현의 사용이 선호되고 있는 것도 그 일환이다. 글쓰기에서 말하기의 요소가 많이 나타나고 있는 것은 말하기가 설득적인 요소를 많이 지니고 있는 것뿐만 아니라 글쓰기의 소통구조가 변화된 것도 한 요인이 되고 있다. 현재 말하기의 요소가 많이 나타나고 있는 글은 인터넷상의 글이다. 특히 댓글이나 블로그의 글은 말하기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고 있다. 결국 말하기와 글쓰기는 의사소통 측면에서 볼 때 서로 보완적이며 두 영역에 대한 연계적 접근이필요하고 교육 또한 말하기와 글쓰기의 연계성에서 수행할 필요가 있다. Writing and speaking have similar language work. But we thinkthat writing is not linked with speaking together. Writing is closelyconnected with speaking and speaking effects writing deeply. There are many elements of persuasion in speaking. For example,these exist in the composition of content and in the its expression. The elements of persuasion in speaking give a great impression onthe audience. The persuasive elements of speaking are appearing inwriting much. In writing in the past was developed content intricatelyand lengthy. And redundant sentences and diffuse styles are used inwriting. But the structure of writing and the development of itscontents in the present are composed persuasively. Writing in thepresent has a subject-centered description and develops contentconcisely. And in its expression of writing are used concise sentencesand colloquial styles. It is analyzed that writing is seriously affectedby speaking and these elements make actual writing possible. This is caused by the change of written communication and it isconnected closely in the development of Internet. Accordingly it isnecessary that speaking and writing is connected deeply and we needto teach students writing in the connection with speaking. As a result,I think, it is able to generate more synergy and new creations.

      • 이공계 글의 특징과 글쓰기 교육 방향 모색

        황성근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10 사고와표현 Vol.3 No.2

        Nowadays many universities are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writingeducation. Hier is reflected the fact that writing is very important asa fundamental ability of student. Writing education for students majoringin engineering science in korean universities was started introducing thecertification system of engineering education in 2005. Writing educationfor students majoring in engineering science is divided into basic writingand writing for major. There are protocol, research proposal, report about experiment andresearch paper in writing of engineering science. The characteristicsof these writings are a simplication in the structure, objectification inthe content and compation in the expression. I think it is neededabove all to cultivate a ability of integrated thinking in the writingeducation for students majoring in engineering science and needed theapproachment for a step-by-step process. For example, basic writingacademicwriting-practical writing. This step-by-step subject process128 <사고와 표현> 제3집 2호 (2010.11.30)makes students majoring in engineering science possible to approachwriting independently and leads to student a creative writing. And itis needed a interdisciplinary approach and a public communication inthe writing education for students majoring in engineering science. Therefore writing of students majoring in engineering science shouldnot stay in means for subsiding their major and must be consideredas a means for communication. 이공계 학생들의 글쓰기 교육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은 지난 2005년 공학교육인증제가 도입되면서 부터이다. 현재 국내 대학에서 이공계 학생들의 글쓰기 교과는 기초 글쓰기와 전공 글쓰기로 구분돼 운영된다. 그러나 이공계 학생들의 글쓰기 교육은 전공 분야의 특화된 글쓰기에 초점을 두는 경향이 있다. 이공계의 전공 글쓰기로는 연구 계획서와 연구 제안서, 실험 보고서, 연구 논문, 제품 설명서 등이 있지만 이들 글은 구조가 단순하고 내용이 객관적이며 표현이 간결하다는 특징이 있다. 그로 인해 이공계의 글쓰기는 보편성을 띠기보다는 전공 영역에 머무르는 글쓰기가 될 소지가 있다. 이공계 글쓰기 교육을 효과적으로 운영하려면 우선 이공계 학생들로 하여금 통합적 사고 능력을 배양해야 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교과도 단계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학제적 접근을 통해 창의적 글쓰기를 유도하고 궁극적으로는 사회와 소통을지향하는 글쓰기 교육이 이뤄져야 한다.

      • KCI등재

        호흐후트의『대리인』에서의 극변형 문제

        황성근 한국독어독문학회 2002 獨逸文學 Vol.83 No.1

        Dieses Drama wurde 1963 geschrieben und ist das erste Stu¨ck von Rolf Hochhuth. Er betrachtet es als wesentliche Aufgabe des Dramatikers, darauf zu bestehen, daß der Mensch ein verantwortliches Wesen ist. Dadurch hat er dieses Drama auf Grund historischer Tatsache geschrieben, daß die Vatikanische Konkordatspolitik mit Hitlerdeutschland eine Duldung der faschistischen Verbrechen bedeutete. Das Thema dieses Dramas geht um die Frage einer Mitschuld des Papstes und der katholischen Hierarchie. Aber dieses Drama hat eine gemischte Konstruktion von historischer Dokumentation und fiktiver Fabel. In den Figuren und Sprachen erscheint das identisch. In den Figuren la¨ßt Hochhuth neben erfundenen Figuren historische Gestalten auftreten und sucht die Konfrontation der historisch-realistischen Zentralfiguren mit erfundenen idealistischen Figuren. Diese Konstruktion ahmt das klassische Drama nach. In den Sprachen folgt dieses Stu¨ck auch der Form des kalssischen Dramas. Hochhuth hat die freie Versform gewa¨hlt. Auch der Aufbau der Zeit und des Ortes nimmt die klassische Dramenform teilweise auf. Formal wird der geschichtlich-aktuelle Hintergrund ferner verdeutlicht durch Verzicht auf die Einheit der Zeit und des Ortes. Aber mehr als in Handlung und Dialogfu¨hrung sind historische Dokumente im Drama in die umfangreichen Zwischentexte, Szenenbeschreibungen und Regieanmerkungen ein gegangen. Auch in der Struktur hat Hochhuth die klassiche Dramenform mit seinen fu¨nf Akten gewa¨hlt. Aber jeder Akt hat nicht dierselbe Szenen. Der erste, dritte und fu¨nfte Akt hat jeweils drei Szenen und der zweite und vierte haben nur ene Szene. Dadurch hat dieses Stu¨ck eie einfache Struktur. Deshalb hat dieses Drama mehr ein Echo im dramatischen Thema als in dem dramatischen Effekte gegeben und sogar die teilweise Bearbeitung dieses Dramas beid der Auffu¨hrung gebracht. Es beruht vor allem darauf, daß Hochhuth dokumentarische Tatsache, auf Grund der klassischen Dramenform zwangsweise aufzunehmen versucht. Dieses Stu¨ck wurde, genau genommen, fu¨r ein Semi-Dokumentartheater gehalten.

      • KCI등재후보

        과학글쓰기의 학제적 접근을 위한 고찰 ―학술적 글쓰기를 중심으로

        황성근 한국교양교육학회 2013 교양교육연구 Vol.7 No.2

        현재 학제적 교육이 하나의 화두가 되고 있다. 학제적 교육은 주로 전공분야에서 실천되고 있으나 교양 분야에서도 중요하다. 교양 분야에서 학제적 교육은 전공 분야에서의 학제적 교육을 위한 기본 토양을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과학글쓰기 또한 기초교양교과로서 중요한 학제적 교육을 실천할 수 있다. 과학글쓰기는 학술적 글쓰기가 중심이 되며 대표적인 것이 실험논문이다. 과학글쓰기에서 학제적 교육을 위한 접근방법으로는 이론적 접근과 내용적 접근, 방법론적 접근이 있다. 이론적인 접근에서는 과학 분야의 학술적 글쓰기의 이론을 중심으로 다른 학문분야의 글쓰기와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학습하고 내용적 접근에서는 학문 분야의 글 내용에 대한 차이를 통해 학제적 접근을 유도한다. 그리고 방법론적 접근에서는 교수자를 비롯해 학습자의 팀별 구성을 통해 학습자 간의 학제적 접근을 유도한다. 과학글쓰기 교과는 기본적으로 과학 분야의 학술적 글쓰기를 중심으로 하되 다른 학문 분야로의 학술적 글쓰기와 병행해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수업은 학술적 글쓰기의 과정적 접근이 이뤄지도록 진행하며, 이론을 응용할 수 있는 사례분석과 실전을 병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교과의 운영에서는 학생들이 직접 참여하고 전공자간 학제적 논의와 이해를 유도하기 위해 팀별로 과제를 진행하도록 하고 팀은 다른 분야의 전공자와 구성하도록 유도한다. 이러한 교과 구성과 운영은 과학글쓰기를 통해 안에서 밖으로의 융합과 탈학문적 융합, 교양과 전공의 통합적 융합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 The universities in korea are seeking the plan for the realization of the interdisciplinary education in cultural studies and major field. The academic writing in science is a important cultural study for the realization of the interdisciplinary education. It can be said that the academic writing in science is a special writing that scientist writes with the scientific method. The distinctive characters of the academic writing in science exist in objectivity of content and conciseness of expression. This distinctive characters make multidisciplinary writing and interdisciplinary education possible. In the methods for interdisciplinary approach of the academic writing in science there are a theoretical access, a substantial access and a methodical access. The educational effects in science writing are the fusion from the inside out, the transdisciplinary fusion and the fusion between cultural studies and major field. Therefore I can say that the science writing is a good case that makes the realization of the interdisciplinary education as liberal subject.

      • KCI등재
      • KCI등재

        PBL을 활용한 창의적 글쓰기 교육 방안

        황성근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17 사고와표현 Vol.10 No.1

        In the 21st century our society is inextricably being linked to the Web. Real world and cyberspace are not separate anymore. Communication education in universities, including writing, presentations and discussions, also needs to be linked to online education. Mutual communication between instructors and learners can also have higher educational effects when they are aligned with the online system. Based on the web, this study attempted to observe whether web aid tools, such as the communication app, helped to facilitate the smooth interaction of the instructors and the learner’s feedback, and verify whether such apps could actually enhance educational effectiveness. To this end, we tried to look at 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classroom response systems such as clickers and pop-quizes. In addition, we sought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gration of online and offline education by using online feedback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communication classes in classrooms, such as writing or debating. 현재 글쓰기 교육이 다양하게 시행되고 있지만 최근 주목받고 있는 방법의 하나가 PBL(Problem⎼Based Learning)을 활용한 글쓰기이다. PBL은 1960년대 개발된 학습법이지만 학습 환경이 과거와는 달리 많이 바뀌면서 새롭게 주목받게되었고, 현재 대학의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학습법으로 선호될 뿐만 아니라 글쓰기와 말하기, 즉 의사소통 분야에서도 적지 않게 활용된다. PBL은 글쓰기와 접목된다면 글쓰기를 위한 수단으로 PBL이 동원되는 것이 아니라 PBL 자체가 글쓰기를 수행하는 모태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PBL에서의 글쓰기는 PBL의 문제해결과정과 글쓰기를 접목한 형태가 된다. PBL은 학습의 한 방법이고 기존의 학습법과는 달리 문제를 중심으로 학습된다. 그리고 그것에 대한 해결책이 어떻게 제시되는 것인가에 중점을 둔다. PBL은 문제해결을 위한 학습방법의 하나이지만 글쓰기와 접목해 진행한다면 PBL의 학습법을 익히는 것은 물론 글쓰기의 실질적인 교육도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글쓰기 교육에서 글쓰기의 이론과 실전을 어떻게 연결할 것인지와 실행할 것인가에따라 글쓰기이 교육적 효과가 다르게 나타난다. 그러나 PBL을 활용한 글쓰기에서는 글쓰기의 이론과 실전을 동시적으로 접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글쓰기에서 핵심적으로 작용하는 글의 내용 또한 깊이 있게 탐구할 수 있다. PBL을 활용한 글쓰기는 기존의 글쓰기와는 달리 글쓰기에 대한 단계적인 접근은물론 내용의 심화와 융합적인 글쓰기를 가능하게 한다. 특히 PBL은 기존의 학습법과 달리 학생들이 주체가 되고, 혼자가 아닌 여러 명이 팀을 이뤄 진행하는 방식은 글쓰기에서 중요한 내용의 확장은 물론 여러 사람의 의견을 조율하면서 확대되는 내용을 담아내는데 적지 않은 기여를 한다. PBL은 문제해결의 결과보다 과정을 중시하고 그 과정에서 단계적인 글쓰기와함께 이론을 제시하고, 또 단계에 따라 형식과 내용에 따른 확장적인 글쓰기가이뤄질 수 있다. 그것은 결국 글쓰기를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이 될 뿐만 아니라 창의적 글쓰기를 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다. 특히 PBL에서는 팀활동을 통해 문제해결이 이뤄지고 문제해결의 과정에서 팀 구성원들 간의 의견을교류하면서 내용을 확장하게 되고, 그것은 결국 사고의 융합을 통한 글쓰기를 가능하게 하고, 나아가서는 창의적 글쓰기를 할 수 있는 밑거름이 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