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상담 프로그램 비교연구 : 한국, 미국, 유럽, 일본을 중심으로

        한소은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와 선진 국가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 학교폭력예방 및 치유프로그램들을 비교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현실에 적절한 학교폭력 프로그램의 제안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선정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 상담프로그램이 학교폭력예방에 도움이 되는가? 둘째, 선진각국의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상담 프로그램의 특징은 무엇인가? 셋째, 우리나라와 외국과의 학교폭력예방 프로그램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넷째,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효과적인 상담프로그램은 무엇인가? 다섯째, 향후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상담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시사점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미국의 주요 도시와 유럽 그리고 일본에서 학교폭력에 대처하기 위한 노력들을 살펴보았다. 미국의 학교폭력예방 및 치유프로그램은 여러 가지 독특한 특징들을 보여주고 있지만 공통적으로 미국 프로그램은 안전한 학교 만들기라는 중심 주제를 가지고 움직인다고 볼 수 있다. 다양한 물리적 장치와 인적 구성을 통해 학교 폭력을 미리 발견하고자 하는 노력을 체계적으로 발달시켜 왔다. 반면에 유럽에서는 학교 폭력을 학교 정책 수준에서 의사소통하고 의식화하는 것과 부모의 책임수준의 강조 등에 주안점을 둔다고 볼 수 있다. 학교의 다양한 수준에서 이루어지는 토론 혹은 규칙 마련 및 준수 또 이러한 활동에 정부와 학교, 학부모의 모임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등의 특징을 보여준다. 일본의 경우, 이지메라는 독특한 문화현상으로 학교폭력을 해석하고 있으며 시대 변화에 초점을 두어 학교 폭력 변화 양상 및 대처 방식을 다양화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또한 학교폭력의 문제를 다각도로 해석하여 추상적이긴 하나 학생청소년의 마음의 문제에 까지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오사카에서는 학교와 학부모, 경찰 등이 연계해서 움직이는 대책협의회가 활발하게 그 중심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프로젝트를 통해 청소년들이 풍부한 마음을 기르는데 도움을 주는 하편 보호사라는 자원봉사단체 활동이 활발하다. 각국의 사례들을 종합하여 학교 폭력을 예방하거나 감소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폭력에 대한 내용을 구체적으로 수집할 수 있도록 설문을 실시하고 이를 이용하여 학생들, 교사, 학부모와 지역사회 청소년지도자, 상담사 등이 학교 폭력에 대해 토론을 통한 대책을 마련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학교 폭력이 가장 빈번하게 일어나는 장소와 성인의 감독이 어려운 방과 후 시간이나 점심시간, 운동장 등에서의 대비가 필요하다. 청소년들이 건전한 놀이공간이나 활동을 보장하는 안전한 장소가 마련되어야 하며 체계적인 성인 감독이 역시 보장되어야 한다. 셋째, 학교 폭력 발생할 경우, 가해자, 피해자에게 적용 가능한 프로그램을 폭넓게 개발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선진국가들의 선행 프로그램 및 시스템 연구 등의 기초연구가 폭넓게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학교에서의 프로그램의 진행을 위한 전문상담가의 배치가 시급하다. 이를 위한 교육부나 정부당국의 적극적인 지원과 관심이 뒷받침해주지 않는 한 학교폭력이나 감소는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다. The study aims to analyze the School-Violence Prevention and Healing Programs which are widely applied our country and the advanced nation, and based on it, to propose the suitable counseling programs for our country. To do for the sake, selects a same study problem and try to observes concretely. First, could the counseling program help in the School-Violence Prevention? Second, what is the feature of the counseling program for the School-Violence Prevention of the every advanced nations ? Third, what kind of differences are between the School-Violence Prevention program of our country and the foreign nation? Fourth, what is the effective counseling program for the School-Violence Prevention ? Fifth, hereafter, what is the current point to develop the counseling program for the School-Violence Prevention ? From the study, have examined the effort to meet the School-Violence in the main cities of the USA, Europe and Japan. The School-Violence Prevention and Healing Programs of the United States is not only showing the various feature, but also showing the making of the safety school environment. With the various physical system and human composition, it led and advanced the effort systematically to find out the school violence. In the other side from Europe, school violence is communicated from school politic level and is understood by taking the responsibility of the parents. The discussion which becomes accomplished from the various level or preparation of the rules and observance also show the feature of the government, school and the parents's meeting actively. In case of Japan, they interpret the IJIME as the unique cultural actual conditions and point on periodic change, they are endeavoring after taking of the various methods about the school violence. Also it attempts an approach to the problem of school violence under many-sidedness. For an example, In Osaka, the school, the parents and the police are connected and moves actively and they take charge of the central role and the resources service organization's work is active which it help raise the young people's mind. Synthesizing the instances of the various nations, here some plans which proposes to diminish or prevent the school violence. First, it will be able to collect the contents against a school violence concretely in order, using with these, will have to prepare the countermeasure for the student, the teacher, the parents, the community young people leader and the counselor. Second, the provision is needed in the place where are lack of the supervision such as after school, lunch break or on the playground.The safe place should be guaranteed that the young people's playing space or the activity, and adult supervision is needed as well. Third, in case which the school violence will occur, it ought to develop the programs that could be applied to both of the a harmer and a victim. To do for the sake, the preceding program and the system study of the advanced nation should be inquired widely. Fourth, It is urgent to arrange the professional counselor who procedure the programs,and also need the vigorous supporting and interest of the governmental authorities.

      • 영화 속 폴리아모리(Polyamory)의 양상 연구 : 앤서니 기든스의 '친밀성(Intimacy)'을 중심으로

        한소은 성균관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고에서는 남성과 여성의 이분법적 사고가 와해되고 성과 사랑에 있어 남녀가 평등한 위치에 자리하는 폴리아모리에 주목한다. 폴리아모리는 다자간(多者間)사랑을 뜻하는 말로써, 사회의 전통적인 결혼과 성 관념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두 사람 이상과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현대 사회에 나타나는 폴리아모리 현상과 남성과 여성의 권력이 형성되는 전통적 사랑의 모순점을 폴리아모리를 통해 분석한다. 이를 위해 지그문트 프로이트(Freud Sigmund)와 자크 라캉(Jacques Lacan)이 주장하는 남근 중심적 섹슈얼리티를 비판적인 입장으로 바라보는 영국의 대표적인 사회학자 앤서니 기든스(Anthony Giddens)의 ‘친밀성(Intimacy)’이론을 빌려와 성과 사랑에 대한 변화 양상을 고찰한다. 본 논고에서 ‘친밀성’은 남성과 여성의 친밀한 감정을 뜻하고, 이를 기든스가 이론화 시킨 것으로 폴리아모리의 양상을 고찰하는 데에 핵심적인 요소이다. 폴리아모리의 현실화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성적으로 타자화 되어왔던 여성을 욕망의 주체로 그려내고 있는 사례 영화 <파괴자들>, <몽상가들>, <쓰리>, <내 남자의 아내도 좋아>를 선정해 분석했다. 또한 영화 <아내가 결혼했다>와 영화 <판도라의 상자>를 앞의 사례영화와 비교, 대조한다. 이러한 시도를 통해 두 편의 비교대상이 되는 영화가 기든스의 ‘친밀성’이론을 일궈내지 못했다는 한계점을 짚어 내고, 그의 이론이 폴리아모리에서 필수적인 요소임을 입증한다. 본 연구는 폴리아모리로 인해 현재의 일부일처제 제도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고 기든스가 주장한 ‘친밀성’이론이 성과 사랑의 대안적 접근법을 제시하고 있음을 밝히고자 했으며, 현대사회의 진정한 성과 사랑의 가치 있는 정보를 고찰해보았다. A study focuses on a polyamory that describes about an equal sex position of both male and female toward sex and love while it collapses dichotomous thinking among them. Polyamory is a term explaining about a multilateral love that builds close relationship between two people who are liberate from traditional stereotype minds of marriage and sex given through a society. This study tries to analyze any polyamory shown at a current time by studying briefly about a contradiction of traditional love where man and woman create certain authority in it. In studying the changing aspects of sex and love, we used a Theory of Intimacy asserted by Anthony Giddens, who is a representative English sociologist opposing the theory of male centered sexuality claimed by Freud Sigmund and Jacques Lacan. A word ‘intimacy’ written in the paper describes a close emotion between man and woman. It is the main factor to define polyamory that is likely done by Giddens. To discuss the possibility of a polyamory actualization, we’ve selectively chosen and analyzed films that targets women as sexual objects and desires such as <Savages>, <The Dreamers>, <Three>, and <Vicky Cristina Barcelona>. Furthermore, <My Wife Got Married> and <Threesome> are also mentioned to be compare and contrast from the list of films stated above. By doing so, our study proves that two chosen films are not sufficient enough to reflect Theory of Intimacy by Giddens. This concludes that Giddens’ theory is a primary factor to complete polyamory. This study tries to find real and effective information of sex love by replacing concept of monogamy through polyamory to Theory of Intimacy asserted by Giddens.

      • 과도한 인터넷사용 청소년을 위한 대인관계 프로그램의 효과 : 인터넷 사용조절 중심의 프로그램과의 비교

        한소은 덕성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two treatment programs focused on the improv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on the internet usage control for internet overusing adolescents were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on internet usag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elf-esteem.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grams consist of four elements focused on self-disclosure, understanding others, communication skills and formation of relationship. Besid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ctivities, it also includes activities for self-awareness of internet usage, self management skills to control internet usage. In contrast, the internet usage control programs consist of four categories of activities focused on self-awareness of internet usage, alternative activity exploration, self management skills and solving of relationship problem. Twenty adolescents who reported internet overusing with high score of K-test were selected for this research.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matching on K-test scores. Two experimental groups were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group(7) and the internet usage control group(6) and the control group(7) was on a waiting list. All subjects' internet usag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elf-esteem were measured using K-test, Relationship Change Scale and SEI(Self-Esteem Inventory) before and after the programs .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SPSS 18.0 ANOVA was used for verification of the homogeneity in three groups. ANCOVA with pretest scores as covariates was performed for verification of the research problem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ternet overusing of two experimental groups was lower than the control group at the post-evaluation. Also,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s showed that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gram is more effective than the internet usage control program. Second,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group showed more positive effects than the control group on understanding of self and others, communication skills, and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However, the internet usage control group did not show positive effects than the control group on understanding of self and others, communication skills, and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at the post-evaluation. Also, the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s shows that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grams are more effective than the internet usage control programs. Third, self-esteem of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group was improved in comparison with that of the control group at the post-evaluation. But, self-esteem of the internet usage control group was not improved in comparison with that of the control group at the post-evaluation. However, there was not the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s. In this study,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gram enhanced positive effects of the internet usage control programs in several existing studies and demonstrated the effects of improv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elf-esteem. Furthermore, there was meaningful effect that two different treatment programs which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grams and the internet usage control programs decreased effectively internet overusing. 본 연구에서는 과도하게 인터넷을 사용하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대인관계를 향상시켜주는 활동을 중심으로 한 프로그램과 인터넷 사용조절을 위한 활동을 중심으로 한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인터넷 사용, 대인관계,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인관계 프로그램은 대인관계를 향상시키기 위해 자기개방, 타인이해, 의사소통, 관계형성의 활동이 주를 이루고, 인터넷 사용조절 프로그램의 인터넷 사용모습 인식, 자기관리기술 습득 활동을 포함하여 구성하였다. 그러나 인터넷 사용조절 프로그램은 인터넷 사용에 대한 인식 및 인지적인 왜곡 수정, 적절한 대안 활동 탐색, 자기관리기술 습득, 게임과 관련된 대인갈등 해소하는 활동으로 구성되어 있다는데 차이가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의정부시에 위치한 A중학교 1학년 학생 400명 중 인터넷 사용수준 진단검사(K-척도)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청소년 20명을 선정하여 대인관계 프로그램 집단(7명), 인터넷 사용조절 프로그램 집단(6명), 통제집단(7명)에 대응표집 방식으로 배정하였다. 대인관계 향상 활동 중심의 프로그램과 인터넷 사용조절 활동 중심의 프로그램의 실시 전 후에 인터넷 사용, 대인관계, 자아존중감 평가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세 집단의 동질성을 검증하기 위해 일원분산분석(ANOVA)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둔 일원 공변량 분석(ANCOVA)을 사용하였다. 대인관계 프로그램과 인터넷 사용조절 프로그램이 과도한 인터넷 사용 청소년의 인터넷 사용, 대인관계,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인관계 프로그램과 인터넷 사용조절 프로그램을 실시한 두 실험집단은 사후평가 시, 통제집단에 비해 인터넷 사용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두 실험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대인관계 프로그램이 인터넷 사용조절 프로그램보다 더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대인관계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은 사후평가 시, 통제집단에 비해 대인관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인터넷 사용조절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은 사후평가 시, 통제집단에 비해 대인관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두 실험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대인관계 프로그램이 인터넷 사용조절 프로그램보다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대인관계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은 사후평가 시, 통제집단에 비해 자아존중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인터넷 사용조절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은 사후평가 시, 통제집단에 비해 자아존중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두 실험 집단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대인관계 프로그램은 여러 연구들에서 사용된 인터넷 사용조절 프로그램의 과도한 인터넷 사용을 감소시켜주는 치료적 효과를 더욱 향상시켜주면서 대인관계 향상, 자아존중감의 향상의 효과를 추가적으로 입증하였다. 또한 두 개의 다른 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해 과도한 인터넷 사용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켰다는데 의의가 있다.

      • 부동산개발금융의 시행규제에 관한 공법적 연구

        한소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A Study of Administrative Regulations on Real Estate Project Finance Real Estate Project Finance is the process by which real estate developers funding for developments. Regulations on Real Estate Project Finance is a field where both construction law and financial law overlap. Real estate developers promote development projects based on regulations of construction law. Until a building is completed, various public regulations are applied, starting with the Building Act, the National Land Planning And Utilization Act, etc. The purpose of the real estate development project is to earn profits by purchasing bare land and constructing huge commercial facilities or residential building. A huge amount of capital, cost, and effort is invested here. For such large-scale financing a financial engineering, Project Finance, was developed. Financial institutions and other investors participate in real estate projects through various investment vehicles in accordance with the Financial Act. Real estate development finance started with PF loans, which provide loans for real estate projects, and has shifted to indirect finance using collective investment schemes and real estate investment companies, etc., based on each individual law. Currently, there are three types of funding vehicles under the Korean Financial Act: Real Estate Collective Investment Schemes under the Financial Investment Services And Capital Markets Act(‘Capital Markets Act’), Real Estate Investment Companies under the Real Estate Investment Company Act, and Project Financial Vehicles under the Corporate Tax Act. It is characteristic that the three types of bodies carrying out the same functions are each supervised by different administrative agencies under separate laws. Due to this, there may be gaps in regulations or overlapping regulations related to real estate finance for the same purpose. For example, there are cases where the Financial Services Commission and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have respective supervisory powers, and jointly exercise supervisory authority over areas where a real estate investment company and a collective investment scheme overlap. Regulatory overlap and gaps run counter to traditional regulatory principles aimed at predictability and clarity, consistency and uniformity. Irrational regulation reinforces criticism that deregulation is in line with social rationality. It should be avoided even for regulatory reform that pursues quality regulation. During the recent revision of the Capital Market Act, the definition of a private equity fund was changed and the regulations of the Real Estate Investment Company Act that apply mutatis mutandis to the provisions of the Capital Market Act were not amended. This is due to the lack of cooperation between administrative agencies. This study categorizes the types of real estate finance and analyzes investment typ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participation of financial companies. Financial companies invest in real estate development projects in the form of direct finance using PF loans or indirect finance through funding mechanisms such as collective investment schemes. However, if a financial company is not merely a financial investor but directly acts as an actual developing entity, appropriate discipline is required. From the perspective of investor protection, the Financial Act aims to alleviate information asymmetry and enhance the financial soundness of financial companies. An important issue is how to regulate the form of direct implementation of real estate development projects by financial companies. In particular, if the real estate development project is stranded, the implementer is the subject of primary responsibility. Therefore, if the enforcement authority is granted to the financial company that controls the funding mechanism, this may become a risk factor for the financial company. Financial Regulations prohibits the acquisition of real real estate by banks and insurance companies, and limits high-return and high-risk investments by financial companies. From this point of view, it is necessary to keep an eye on the implementation of real estate development projects through investment vehicles of financial companies. Real estate finance shows that the Administrative Regulations should move to a structure in which multiple administrative agencies work together. The regulatory laws of both the Construction Act and the Financial Act should be applied to the participation of financial companies in real estate development projects, and close cooperation between different administrative agencies is required. In the complicated and specialized administrative legislative process, the scope of duties that multiple administrative agencies are in charge of, such as the Real Estate Investment Company Act, may arise between administrative agencies, and on the other hand, the scope of duties remaining blank may arise. With this in mind,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implementation by financial companies beyond the fundraising function through real estate finance, and to investigate the complex and diverse legal relationships that may arise as a result. 국문초록 부동산금융법은 건설법과 금융법이 중첩되는 분야이다. 부동산개발업자들은 건설법 분야의 공법적 규제를 바탕으로 개발사업을 추진한다. 하나의 건물이 완공될 때까지 건축법부터 시작하여 도시계획법, 기타 사회간접자본에 관한 다양한 공법적 규제가 적용된다. 부동산개발사업은 나대지를 매입하여 거대한 상업용 시설이나 주거용 건물을 생산하여 개발이익을 향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여기에 막대한 자본과 비용, 노력이 투입된다. 이러한 대규모 자금조달을 위하여 부동산개발금융, 즉 프로젝트 파이낸싱이라는 금융기법이 발전하였다. 금융기관 기타 투자자들은 금융법에 따라 다양한 투자기구를 통하여 개발사업에 참여한다. 부동산개발금융은 부동산개발사업에의 자금을 대출하는 PF대출에서 시작하여 집합투자기구, 부동산투자회사 등 각 개별법에 근거를 둔 자금조달기구를 이용한 간접금융 중심으로 변모하였다. 현재 한국 금융법상 자금조달기구에는 자본시장법상 부동산집합투자기구, 부동산투자회사법상 부동산투자회사 그리고 법인세법상 프로젝트금융투자회사가 있다. 동일한 기능을 담당하는 세 가지 형태의 기구가 각각 별개의 법률에 근거하여 다른 행정청의 감독을 받는다는 점이 특징이다. 이러한 점으로 인하여 동일한 목적의 부동산개발금융에 관한 규제의 공백 또는 규제의 중첩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본시장법의 금융위원회와 부동산투자회사법의 소관 행정청인 국토교통부가 각 감독권한을 지니며, 부동산투자회사와 집합투자기구가 중첩되는 부분에 관하여 공동 감독권을 행사하는 경우도 있다. 규제의 중첩 및 공백의 여지는 예측가능성과 명확성, 일관성과 통일성을 목적으로 하는 전통적 규제원칙에 반한다. 비합리적 규제는 규제완화가 사회적 합리성에 부합한다는 비판에 힘을 싣는다. 양질의 규제를 추구하는 규제개혁을 위해서라도 지양되어야 한다. 최근 자본시장법 개정 과정에서 사모집합투자기구의 개념 정의를 변경하면서 자본시장법상 조항을 준용하는 부동산투자회사법의 규정을 개정하지 않아, 부동산투자회사에 사모집합투자기구의 규제가 적용될 가능성이 생겨난 것도 행정청 간 협조 미비에 기인한다. 본 연구는 건설법적 관점에서 부동산개발금융의 유형을 분류하여 금융회사의 참여도에 따라 투자형태를 분석하고자 한다. 금융회사는 PF대출을 이용한 직접금융 또는 집합투자기구 등 자금조달기구를 통한 간접금융의 형태로 부동산개발사업에 투자한다. 그런데 금융회사가 단순 재무적 투자자의 지위에 그치지 않고 직접 실질적 시행주체로서 행위하게 된다면 이에 관하여 적절한 규율이 필요하다. 금융법은 투자자보호의 관점에서 정보비대칭 완화, 금융회사의 건전성 제고 등을 목적으로 한다. 금융법적 규제 목적 하에서 금융회사의 부동산개발사업 직접 시행이라는 형태를 어떻게 규율해야 할 지는 중요한 문제가 된다. 특히 부동산개발사업이 좌초될 경우 시행자는 일차적 책임의 귀속주체가 되므로, 자금조달기구를 지배하는 금융회사에게 시행권한이 인정될 경우 이는 금융회사에 대한 위험요소가 될 수 있다. 금융규제법은 은행·보험회사의 실물 부동산 취득을 금지하고, 금융회사의 고수익·고위험투자를 제한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금융회사의 간접투자기구를 통한 부동산개발사업의 시행을 주시할 필요가 있다. 투자도관체의 절연효과로서 금융회사의 최대 손실액은 원칙적으로는 지분투자 범위 내로 한정될 것이다. 그렇지만, 금융회사가 단순 재무적 투자자에 그치지 않고 직접 시행자로 평가될 수 있는 경우라면 부동산개발사업의 좌초 등으로 발생한 위험부담은 다르게 평가될 수 있다. 부동산개발금융은 행정규제법이 전통적 분업구조에서 복수의 행정기관이 함께 행정작용하는 구조로 나아야 함을 보여준다. 금융회사의 부동산개발사업 시행 참여에 대하여 건설법 및 금융법 양쪽의 규제법이 적용되어야 하며, 그 전제로 각기 다른 행정기관 간 긴밀한 공조가 필요하다. 복잡화·전문화된 행정입법과정에서 행정기관 간에 부동산투자회사법과 같이 복수의 행정기관이 중복하여 담당하는 업무 범위가 생겨날 수 있고, 한편 그 불확실한 법적 성질로 인하여 공백으로 남아있는 업무 범위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염두에 두고 부동산개발금융을 통한 금융회사의 부동산개발사업 참여에서 자금조달기능을 넘어선 금융회사의 시행 간여에 관하여 인식하고 그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복잡·다양한 법률관계를 구명할 필요가 있다.

      • 교원 양성기관으로서의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교육과정연구 : 중등 영어교사 임용시험의 관점을 중심으로

        한소은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curriculum of English education major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s pre-service teacher training institute is appropriately structured to train future English teachers in current English education field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desirable curriculum. As a basis for judging whether or not a proper curriculum is composed, this study analyzed the ratio of the distribution of the question types between pedagogical areas (교과교육학), content areas (교과내용학), and General English (English reading and English writing) of the National Teachers' Bar Exams of the past five years (2014-2018). Based 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is study compared the distribution ratio of those three areas to graduate school curriculum in order to find out the appropriate distribution ratio of each three areas.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wo analyses were performed. First, the curricular of the 43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three areas mentioned above. Then the National Teachers's Bar Exams from 2014 to 2018) were analyzed by classifying the second and third period exam items. Finally, the two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compared in order to present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curriculum structures and to suggest the appropriate proportion of the three areas : English pedagogical subject area, the English content area, the general English area. The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roportion of general English domain in the Bar Exams are as high as that of the domains of the pedagogical area and the content area. Second, all of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focus on the content and pedagogical areas and the general English domain (reading and writing) are not significantly taken care of. Third, the distribution proportion of content and pedagogical domains of the curriculum are coincided with the construction of the Bar Exam. However, the general English domain is rarely correlated with the curriculum construction. It is suggested th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ill be able to cultivate future English teachers with genuine English ability by increasing the proportion of General English subjects according to the tendency of practical field of English Education today. Additionally, unlike the previous studies, which compared the domains of the pedagogical area and the content area of the curriculum,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focuses on the ratio and distribution in the general English domain composed of English reading and English writing. 본 연구는 교원양성기관으로서의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의 교육과정이 오늘날의 영어교육현장에 적절한 영어교사를 양성하기에 적절히 구성되어 있는지를 살펴보고 바람직한 교육과정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적절한 교육과정구성의 여부를 판단할 근거로서는 교원임용고사의 교과교육학, 교과내용학, 일반영어(영어독해 및 영어작문)의 출제비율을 영역별 출제문항 수 및 배점을 기준으로 분석한 후 이를 바탕으로 각 교육대학원의 교육과정 분포비율과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08)의“표시과목 <영어>의 교사 자격 기준과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에 근거하여 2014학년도부터 2018학년도까지의 2교시 전공 A와 3교시 전공 B의 문항을 분류한 뒤 다음과 같이 두 가지 방법으로 분석한다. 첫째, 교과교육학과 교과내용학에 해당하는 과목을 전체로 묶어 하나의 단위로 구분하고 영어독해와 영어작문을 각각의 단위로 구분하여 교과교육/교과내용, 영어독해, 영어작문 총 3개의 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분석방법 1). 둘째, 교과교육학/교과내용학 문항 중, 독해와 작문 능력이 뒷받침되어야 풀 수 있는 문항은 독해 혹은 작문 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분석방법 2). 그리고 2015년도와 2016년도에 실시된 제 4주기 교원양성기관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양성 기능을 수행하는 교육대학원 총 44개를 선정, 각 대학을 등급별로 나누어 영어교육전공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앞의 두 결과를 바탕으로 임용고사에서의 독해와 작문의 비중과 교육과정에서 해당 과목들의 비중을 비교 분석하여 교육대학원 교육과정의 편성 현황과 적절한 편성 비율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14학년도부터 2018학년도까지 지난 5년간의 개편된 임용고사의 문항 중 일반영어를 중심으로 분석해 본 결과, 일반 영어(영어독해 및 영어 작문)의 비중이 전공 영역 문항의 비중 못지않게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양성기관 평가 등급에 상관없이 모든 교육대학원은 대부분의 교육을 교과교육학과 교과내용학에 중점을 두고 있었으며, 영어독해 및 영어작문과 같은 실질적인 기능 향상을 위한 일반영어의 수업 편성은 미미한 실정이었다. 셋째, 교육대학원 교육과정과 임용고사 문항의 연계성을 살펴본 결과, 교과교육학과 교과내용학 등 전공 관련 과목의 편성은 임용고사의 경향과 대체로 일치하는 것으로 나왔다. 그러나 임용고사에서 일반영어로 대표되는 영어독해와 영어작문 과목을 교육과정과 비교해 보았을 때, 임용고사에서의 높은 출제 비율과는 대조적으로 교육과정의 반영률은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대학원 교육과정의 편성을 임용고사 출제 비율이라는 기준에 맞추어 분석한 결과, 교육대학원의 교육과정은 교과교육학과 교과내용학 과목만 중점 편성, 지도하고 일반영어는 상대적으로 소홀히 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교육대학원은 현장 영어교육의 추세 및 방향에 맞추어 일반영어의 비중을 좀 더 늘려 균형 있는 교육이 이루어져야만 진정한 능력을 갖춘 영어교사를 양성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이 본 연구의 결론이다. 마지막으로 전공 영역과 일반영어 영역의 출제 문항을 골고루 비교했던 기존 연구들과는 달리 본 연구는 영어독해와 영어작문으로 구성된 일반영어 영역에서의 출제 비율 및 분포도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 Meta-analysis of comparing complication profiles between shaped versus round implants in breast reconstruction

        한소은 Sungkyunkwan University 2018 국내박사

        RANK : 247615

        As implant-based breast reconstruction rates increase following the large number of options available, surgeons must thoroughly evaluate the safety and efficacy of newly developed shaped implants compared with previous round implants. To date, studies investigating th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following mastectomy reconstruction using shaped versus round implants are limited. The present study aimed to comprehensively evaluate the complication profiles of shaped versus round breast implant reconstructions via a meta-analysis. The PubMed/MEDLINE, Ovid, Cochrane databases were searched to identify the relevant studies reporting the complication rates of two groups. Only two-arm studies that compared clinical reconstruction outcomes of groups with shaped and round implants were used to estimate the relative risks of complications. The relative risks included: infection, seroma, capsular contracture, rupture, rippling, reconstruction failure and implant exchange or removal. With including our data, overall seven studies representing 2,725 cases of implant-based breast reconstruction were meta-analyzed. The shaped implant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decreased risk for rippling. Regarding implant exchange or removal rate, the shaped group resulted in a significantly increased risk compared with the round group. In the subgroup analysis of the results of infection, the risk for infection was significantly enhanced in the shaped/textured group compared with the round/smooth group. Based on this meta-analysis, patients undergoing reconstruction with shaped implants are at a relatively higher risk for postoperative infection and implant exchange or removal compared with those undergoing round implants despite its benefits for prevention of rippling. Although well-designed randomized controlled studies are required to derive solid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the first meta-analysis evaluating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breast reconstruction in groups undergoing shaped and round implants. 최근 유방보형물을 이용한 유방 재건수술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기존의 둥근 유방보형물 뿐만 아니라 새로운 물방울 유방보형물이 2012년 이래로 미국 FDA 승인을 받음에 따라 보형물의 선택의 폭이 넓어져 각각의 보형물이 지니는 특성을 잘 파악하고 환자 개개인에게 적합한 보형물을 선택해야 하는 중요한 시점에 와 있다. 새로 개발된 물방울 유방보형물에 대한 안정성 및 효용성에 대한 철저한 검증 및 평가가 필요한 가운데, 논문 문헌 검색을 시행한 결과 유방 재건 수술에서의 둥근 유방보형물과 물방울 유방보형물을 사용한 군 간의 수술적 결과 및 합병증에 대한 비교 결과 분석 논문이 제한적이었다. 이에 유방 재건수술에 있어서 두 그룹간의 수술 후 발생 가능한 합병증에 대한 비교를 위해 기존의 문서에 대한 체계적 고찰 및 메타분석을 시행하게 되었다. 문헌검색을 통해 둥근 유방보형물과 물방울 유방보형물을 유방 재건수술에 사용 후 발생한 합병증을 다룬 두 군 설계 연구만 포함하여 찾은 총6개의 논문과 본원에서 시행한 환자들의 자료를 포함하여 메타분석을 시행하였다. 두 그룹 간의 합병증에 대해서는 감염, 장액종, 구형구축, 파열, 리플링 현상, 재건 실패율, 그리고 보형물 교체 혹은 제거율에 대한 상대위험도를 통해 비교해 보았다. 본 연구에 의하면, 두 종류의 보형물을 이용한 유방 재건수술 환자 총 2725 사례를 포함하여 수술 후 발생한 합병증에 대한 메타분석 결과, 물방울 유방보형물을 사용한 군에서 유의하게 리플링 현상이 감소하게 나타났다 (RR, 0.06; 95% CI, 0.02-0.17; P < 0.001). 반면, 보형물 교체 혹은 제거율 측면에 있어서는 물방울 유방보형물을 사용한 군에서 유의하게 높은 발생율을 보였다 (RR, 1.25; 95% CI, 1.04 to 1.51; P = .02). 물방울/거친 표면 유방보형물과 둥근/ 매끄러운 유방보형물 두 군으로 분류하여 하위집단 분석을 추가적으로 시행해 보았다. 그 결과 물방울/거친 표면 유방보형물을 사용한 군에서 유의하게 감염률이 높게 관찰되었다. 유방 절제술의 지속적인 발달과 수술 방법의 변화, 유방보형물의 꾸준한 개발 등으로 인해 보형물을 이용한 유방 재건수술이 늘어나고 있는 현 시점에서, 환자 개개인의 유방 절제술 후의 상태에 따른 가장 적합한 유방보형물 선택을 통한 자연스러운 유방 모양의 재건이 요구 되어 진다. 긴 추적관찰을 통한 무작위 연구를 통한 심도 있는 고찰이 필요하지만, 본 연구는 유방 재건수술에서의 둥근 유방보형물과 물방울 유방보형물을 이용한 두 군간의 수술 후 합병증을 메타분석 한 첫 논문으로서 의의를 지닌다.

      • Auricular reconstruction with rib cartilage grafts in adult microtia patients : refinement of surgical techniques and aesthetic outcomes

        한소은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15

        Cartilage calcification is an important factor in auricular reconstruction using autologous rib cartilage grafts in adults, a technique that involves difficult manipulation and unexpected absorption. In this article, we present our experience with auricular reconstruction using autologous rib cartilage grafts in adult microtia patients and provide refined surgical techniques that are keys to obtain reliable aesthetic results.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was performed for 84 microtia patients ranging in age from 21 to 56 (average: 29.9) years who underwent auricular reconstruction using autologous rib cartilage grafts from March 2001 to March 2013. The major concern regarding auricular reconstruction in adults is rib cartilage calcification. Prior to operation, we evaluated rib cartilage calcification characteristics with the aid of 3D CT images. In cases with severely calcified cartilage, we used burrs or saws for delicate carving instead of chisels and scalpels. To reconstruct the helix component, we used the eighth cartilage or remnant the sixth and seventh base framework for one-piece carving without breaking. If rib cartilage was broken during bending, the broken calcified cartilage was trimmed, and then Prolene suture was used to form and fix the natural configuration. To validate our acceptable reconstructive results, two independent observers performed postoperative photographic evaluation of two groups (adults and children) using non-inferiority tests in addition to patient questionnaires. The mean operation time for rib cartilage grafts was 3 hours 53 minutes, and the follow-up time for all patients ranged from 6 months to 8 years. Surgery-related complications occurred in only three cases. On objective photographic evaluation, the adult group was not inferior to the child group in auricular shape, location, or symmetry. The subjective patient satisfaction evaluation reported a high satisfaction rate. As this study shows, auricular reconstruction using rib cartilage grafts in adult microtia patients is possible even in cases with advanced cartilage calcification. Modification of the fabricating framework, well-preserved flap vascularity, and complete understanding of physiological aspects of rib cartilage are essential for aesthetic auricular reconstruction.

      • Elucidation of the regulatory mechanism underlying vascular cambial activity via the integration of multiple signals during plant secondary growth

        한소은 Poha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2019 국내박사

        RANK : 247615

        식물은 후기 발달 과정에서 일어나는 2차 생장(Secondary growth) 을 통해 관다발 조직인 물관 및 체관의 발달을 크게 촉진시키며 그 구조를 더욱 견고하게 함으로써 관다발을 통한 다양한 산물의 수송 능력을 증대시키고 식물체의 무게를 지탱한다. 이러한 2차 생장은 물관과 체관 사이에 존재하는 형성층(Vascular cambium) 조직에서 세포 분열이 빠르게 발생하고 분열된 세포가 이어서 관다발 세포로 분화함으로서 일어나며, 늘어난 관다발 조직으로 인해 식물의 두께 생장이 크게 증대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또한 형성층의 활성도, 즉 형성층 세포의 분열과 분화 능력은 식물 발달 시기 및 다양한 환경적 요인에 따라 매우 견고하게 조절되며 다양한 식물 호르몬 및 펩타이드 신호 전달계가 이러한 조절 과정에 긴밀히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들 신호 전달 물질의 중추적인 역할에도 불구하고 각기 신호 전달 과정이 서로간에 어떠한 방식으로 연결되고 상호 작용하여 형성층 활성도를 조절하는지는 구체적으로 밝혀져 있지 않다. 식물 호르몬 중 옥신은 거의 모든 식물 발달 과정에 관여하며 배아 단계 시 관다발의 초기 형성 뿐만 아니라 이후 2차 생장 과정 동안 형성층의 세포 분열 및 분화 과정의 촉매제로서 그 기능이 잘 알려져 있다. 하지만 흥미롭게도, 옥신 신호 전달계에서 하위 전사 인자로 기능하는 MONOPTEROS(MP) 는 옥신의 기능과는 반대로 2차 생장 동안 형성층의 활성도를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이 최근에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옥신 신호 전달계에 의한 형성층 활성도 조절이 매우 복잡한 방식으로 일어나며, 옥신 전사 인자 간 특이적 기능 연구에 대한 필요성을 제시한다. 그 중 상위 신호인 옥신과는 달리 형성층 활성도를 저해하는 MP의 특이적 기능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어떠한 조절 인자가 어떻게 관여하는지, 더 나아가 이러한 조절 작용이 다른 다양한 형성층 조절 신호와는 어떠한 방식으로 상호 작용하는 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GLYCOGEN SYNTHASE KINASE 3(GSK3) family 중 하나인 BIN2-LIKE 1(BIL1) 이 MP의 기능과 기존에 형성층 활성도 촉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고 밝혀진 다른 식물 호르몬 사이토카이닌, 그리고 펩타이드 수용체인 PHLOEM INTERCALATED WITH XYLEM(PXY) 사이에 연결 고리를 제공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BIL1은 MP단백질과 직접 결합하여 인산화를 유도하였으며, 이러한 인산화는 MP를 억제하는 단백질 IAA12과 MP와의 결합을 저해시킴으로써 MP의 전사 인자 능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BIL1에 의한 MP의 인산화 잔기를 돌연변이 하여 식물체 내에서 인산화된 MP를 모방하였을 때 사이토카이닌 신호 전달계에서 저해 인자로 기능하는 A-type RESPONSE REGULATOR 7(ARR7) 과 ARR15의 발현이 크게 증가하였고 이러한 ARR7/15의 발현 증가는 실제로 식물 형성층의 세포 분열 및 분화를 크게 억제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BIL1에 의한 MP 의 인산화가 MP의 형성층 저해인자로서의 기능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더불어 형성층 활성도를 촉진한다고 알려진 PXY는 반대로 BIL1 과의 직접 결합을 통해 MP의 인산화와 전사 기능을 감소시켰으며 그에 따른 ARR7/15의 발현을 억제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종합적으로, BIL1에 의한 MP 인산화는 사이토카이닌 신호 전달계를 저해함으로서 형성층의 활성도를 낮추고, 이러한 조절 경로는 PXY신호에 의해 다시 억제됨으로써 사이토카이닌 신호와 형성층이 재 활성화 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BIL1의 역할은 다양한 신호들 사이에서 일종의 가교로써, 이들 신호의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형성층의 세포분열을 조절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지금까지 이해되지 않았던 형성층 저해인자로서의 MP 특이적 기능이 옥신이 아닌 다른 신호에 의해 활성화 되어 하위 유전자를 조절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에서 발견한 형성층 신호 전달 네트워크는 흥미롭게도 다른 조직의 줄기세포 조절 기작과 관련 신호 인자가 공통적으로 기능한다는 점에서 매우 유사하지만 이들의 조절 방향 및 역할은 차이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식물에서 다양한 줄기세포 조절 기작이 보존성과 특이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고, 이는 곧 식물이 여러 조직과 발달 시기에서 줄기세포의 활성도를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방식으로 조절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연구 결과라고 생각한다. 또한 형성층 활성화에 의해 촉진되는 식물의 2차 생장은 식물의 부피 생장을 증대시키는 주요 단계이므로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줄기 및 뿌리에서 바이오매스를 생산하는 작물 개발에 적용함으로써 사회에 이로운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식물은 후기 발달 과정에서 일어나는 2차 생장(Secondary growth) 을 통해 관다발 조직인 물관 및 체관의 발달을 크게 촉진시키며 그 구조를 더욱 견고하게 함으로써 관다발을 통한 다양한 산물의 수송 능력을 증대시키고 식물체의 무게를 지탱한다. 이러한 2차 생장은 물관과 체관 사이에 존재하는 형성층(Vascular cambium) 조직에서 세포 분열이 빠르게 발생하고 분열된 세포가 이어서 관다발 세포로 분화함으로서 일어나며, 늘어난 관다발 조직으로 인해 식물의 두께 생장이 크게 증대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또한 형성층의 활성도, 즉 형성층 세포의 분열과 분화 능력은 식물 발달 시기 및 다양한 환경적 요인에 따라 매우 견고하게 조절되며 다양한 식물 호르몬 및 펩타이드 신호 전달계가 이러한 조절 과정에 긴밀히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들 신호 전달 물질의 중추적인 역할에도 불구하고 각기 신호 전달 과정이 서로간에 어떠한 방식으로 연결되고 상호 작용하여 형성층 활성도를 조절하는지는 구체적으로 밝혀져 있지 않다. 식물 호르몬 중 옥신은 거의 모든 식물 발달 과정에 관여하며 배아 단계 시 관다발의 초기 형성 뿐만 아니라 이후 2차 생장 과정 동안 형성층의 세포 분열 및 분화 과정의 촉매제로서 그 기능이 잘 알려져 있다. 하지만 흥미롭게도, 옥신 신호 전달계에서 하위 전사 인자로 기능하는 MONOPTEROS(MP) 는 옥신의 기능과는 반대로 2차 생장 동안 형성층의 활성도를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이 최근에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옥신 신호 전달계에 의한 형성층 활성도 조절이 매우 복잡한 방식으로 일어나며, 옥신 전사 인자 간 특이적 기능 연구에 대한 필요성을 제시한다. 그 중 상위 신호인 옥신과는 달리 형성층 활성도를 저해하는 MP의 특이적 기능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어떠한 조절 인자가 어떻게 관여하는지, 더 나아가 이러한 조절 작용이 다른 다양한 형성층 조절 신호와는 어떠한 방식으로 상호 작용하는 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GLYCOGEN SYNTHASE KINASE 3(GSK3) family 중 하나인 BIN2-LIKE 1(BIL1) 이 MP의 기능과 기존에 형성층 활성도 촉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고 밝혀진 다른 식물 호르몬 사이토카이닌, 그리고 펩타이드 수용체인 PHLOEM INTERCALATED WITH XYLEM(PXY) 사이에 연결 고리를 제공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BIL1은 MP단백질과 직접 결합하여 인산화를 유도하였으며, 이러한 인산화는 MP를 억제하는 단백질 IAA12과 MP와의 결합을 저해시킴으로써 MP의 전사 인자 능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BIL1에 의한 MP의 인산화 잔기를 돌연변이 하여 식물체 내에서 인산화된 MP를 모방하였을 때 사이토카이닌 신호 전달계에서 저해 인자로 기능하는 A-type RESPONSE REGULATOR 7(ARR7) 과 ARR15의 발현이 크게 증가하였고 이러한 ARR7/15의 발현 증가는 실제로 식물 형성층의 세포 분열 및 분화를 크게 억제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BIL1에 의한 MP 의 인산화가 MP의 형성층 저해인자로서의 기능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더불어 형성층 활성도를 촉진한다고 알려진 PXY는 반대로 BIL1 과의 직접 결합을 통해 MP의 인산화와 전사 기능을 감소시켰으며 그에 따른 ARR7/15의 발현을 억제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종합적으로, BIL1에 의한 MP 인산화는 사이토카이닌 신호 전달계를 저해함으로서 형성층의 활성도를 낮추고, 이러한 조절 경로는 PXY신호에 의해 다시 억제됨으로써 사이토카이닌 신호와 형성층이 재 활성화 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BIL1의 역할은 다양한 신호들 사이에서 일종의 가교로써, 이들 신호의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형성층의 세포분열을 조절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지금까지 이해되지 않았던 형성층 저해인자로서의 MP 특이적 기능이 옥신이 아닌 다른 신호에 의해 활성화 되어 하위 유전자를 조절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에서 발견한 형성층 신호 전달 네트워크는 흥미롭게도 다른 조직의 줄기세포 조절 기작과 관련 신호 인자가 공통적으로 기능한다는 점에서 매우 유사하지만 이들의 조절 방향 및 역할은 차이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식물에서 다양한 줄기세포 조절 기작이 보존성과 특이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고, 이는 곧 식물이 여러 조직과 발달 시기에서 줄기세포의 활성도를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방식으로 조절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연구 결과라고 생각한다. 또한 형성층 활성화에 의해 촉진되는 식물의 2차 생장은 식물의 부피 생장을 증대시키는 주요 단계이므로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줄기 및 뿌리에서 바이오매스를 생산하는 작물 개발에 적용함으로써 사회에 이로운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