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궁내 발육지연을 동반한 중증자간전증의 태반내 말단융모 기질에서 α-smooth muscle actin과 collagen IV의 발현 및 태아모세혈관의 울혈

        정대영,이영,이종건,이종승,유영옥,필신혜,이형근 대한산부인과학회 200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4 No.1

        목적 : 자간전증은 자궁태반 혈류장애를 일으키는 질환 중에서 산과적으로 비교적 흔한 질환이며, 태반혈류장애와 같은 태반의 기능적 장애는 결국 말단융모 (terminal villi)의 병리 생물학적 변화를 초래한다. 따라서 자궁 내 태아발육지연을 동반한 중증자간전증과 정상임신의 태반내 말단융모 기질과 태아모세혈관을 비교함으로써 자간전증을 동반한 자궁 내 태아발육지연의 태반 병태생리를 규명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방법 : 17명의 자궁 내 태아발육지연을 동반한 중증자간전증환자를 실험군으로, 그리고 유사한 임신주수의 산모 17명을 대조군으로 나누어, 각 군의 태반에서 조직절편을 채취하여, mouse monoclonal α-smooth muscle actin antibody와 mouse monoclonal antihuman collagenIV를 1차 항체로 사용하며, 면역조직화학염색 후 α-smooth muscle actin과 collagenIV의 발현을 비교하였고, 태아모세혈관 울혈에 대한 관찰은 헤마톡실린과 에오진으로 염색(H-E stain) 후 비교하였다. 두 군간의 비교는 출생체중과 태반무게는 independent student t-test, 면역화학염색 및 태아모세혈관 비교는 Chi-square test를 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성은 p$lt;0.05에 두었다. 결과 : 각 군의 임상적 특징 중 출생시 태아의 체중, 태반무게에서 실험군의 평균값이 대조군의 평균값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실험군의 말단융모기질 내에서 α-smooth muscle actin과 collagenIV의 발현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말단융모기질 내에서 태아모세혈관 울혈정도도 실험군의 태반모세혈관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결론 : 자간전증을 동반한 태아발육지연군에서 태반융모 기질 내에 유의한 형태학적 변화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특히 태아발육지연군에서 α-smooth muscle actin과 collagenIV의 발현과 모세혈관울혈 빈도 등이 높은 것은 이들 환자에서 말단융모의 혈관외수축계의 존재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 Preeclampsia is the major cause of prenatal mortality and morbidity. The functional disorder of uteroplacental insufficiecy is caused by the impaired uteroplacental blood flow and diffusion barrier in the villi. Functional disorders like placental circulating disorders results in morphological changes of terminal. villi as functional unit of placenta. We studi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villous stoma of placental terminal villi and fetal capillary between growth restricted pregnancies with severe preeclampsia and normal preterm pregnancies. Method : Terminal villi was examined using light microscopy and by immunohistochemical localization of matrix molecule (α-smooth muscle actin and collagenIV) and the immunoreactivity of α-smooth muscle actin and collagenIV were evaluated in 17 cases of severe preeclampsia with intrauterine growth restriction as a study group and in 17 cases of gestational age matched normotensive preterm pregnancies as a control group. Fetal capillary congestion in terminal villi was also evaluated by Hematoxylin-Eosin staining. The patterns of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were all determinated in a visual qualitative manner (0-25% : -, 25-50% : +, 50-75% : ++, 75-100% : +++) by one pathologist. Congestion was considered to be present in a failed where the majority ($gt;90%) of the capillaries demonstrated densely packed erythrocyte. Result : Expression of α-smooth muscle actin in the terminal villous stroma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study group compared with control group (P=0.0001). Expression of collagen IV in the terminal villous stroma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study group compared with control group (P=0.0001). Fetal capillary congestion was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in study group compared with control group (P=0.049). Conclusion : The result suggests that there be the structural or biochemical difference in the villous stroma between normotensive preterm pregnancies and severe preeclampsia with intrauterine growth restriction and that the extravascular contractile system might be in the villous stroma in the severe preeclampsia intrauterine growth restriction.

      • KCI등재

        자궁경부로 단독 전이된 유방암 1 예

        남궁성은,김대훈,김기홍,유영옥,장은덕,정대영,김재훈,이형근,박동춘,필신혜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7

        골반외 악성종양이 자궁경부로 전이되는 경우는 드물게 알려져 있다. 특히 유방암의 자궁경부로의 전이는 매우 드물다. 한국에서 자궁경부암의 발생빈도가 높기 때문에, 자궁경부의 전이암은 쉽게 일차성 자궁경부암으로 잘못 진단될 수 있다. 유방암에서 자궁경부로 단독 원격 전이된 1 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The uterine cervix is an infrequent site of metastatic cancer whose origin is an extrapelvic lesion. Especially the metastasis of breast cancer to the uterine cervix is extremely rare. Owing to the high incidence of cervical cancer in Korea, metastatic cervical cancer can be easily mistaken for primary cervical cancer. We present a case with breast cancer metastatic solely to the uterine cervix.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