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栗谷 『醇言』의 한국철학사적 位相에 관한 연구

        조민환(Jo Min-Hwan) 한국동양철학회 2009 동양철학 Vol.0 No.32

        조선조에서 開明성과 聰明성을 통하여 전체를 통관해야만 보이는 物極必返의 진리가 우주론 뿐만 아니라 인간에게도 적용된다는 것을 체득하라고 한 것은 사실 율곡이었다. 이러한 물극필반의 원리를 이기론에 적용하여 이해한다면 物極으로서의 퇴계의 主理論이 必返의 원리를 담고 있는 율곡의 理氣之妙적 사유로 나타났다고 본다. 즉 조선조 이기론의 변천을 중심으로 볼 때 이같은 물극필반의 원리를 알게 되면 조선조초기부터 이어져왔던 주리적 경향 혹은 주리파가 가치를 낮게 평가한 이 세계를 이루는 또 하나의 요소인 氣의 중요성이 대두됨을 알 수 있다. 이런 경향을 가장 잘 담아내고 있는 가운데 대표적인 인물이 율곡이다. 율곡은 그런 기운을 놓치지 않고 변화된 상황에 맞는 適宜한 權道 실천으로서 『노자』 주해서인 『醇言』을 주해했다고 본다. 율곡은 화담과 같이 唯氣論을 주장하지도 않고, 이기묘합적인 사유를 통하여 두 사상을 종합적으로 묘합시키되, 退溪에 비해 상대적으로 기를 중시함으로써 物極必返의 원리를 그 시대에 맞게 보다 자연스럽게 적용하고 있다. 유가의 體用一源의 원리를 그 시대에 맞게 보다 자연스럽게 적용하고 있다. 유가의 體用一源과 ‘下學而上遠’ 및 修己治人의 입장에서 이해된 『순언』은 理氣論에서 尊理적 사유 혹은 主理적 사유가 윤리적인 인간을 형성하게 하는 많은 장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야기시킬 수 있는 사유의 절대성, 경직성, 편협성을 극복할 수 있는 점을 보여주었다. 이런 점에서 볼 때 『순언』에는 이단을 무조건 배척하는 입장이 아닌 상호 의사소통을 통한 통합과 공존의 논리, 포용의 입장이 담겨 있다. 진리에 대한 공명정대한 입장에서 출발한 율곡의 『순언』 주해는 이후 진리에 대한, 현실 인식에 대한 새로운 장을 열어주어 한국사상이 보다 다양한 측면에서 논의될 수 있게 하였다. 이처럼 理 불변적 사유에 입각한 주리적인 입장에 비해 상대적으로 변화를 중시하는 氣 중시적 사유에서 나올 수 있는 물극필반의 논리는 이전과 변화된 상황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이전과 다른 새로운 차원에로의 전환점을 제공하였고, 이에 『순언』이 한국철학사에서 차지하는 위상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is focus on the Yul-Gok's Lao Tsu commentary 『SunEon』 and Korean Philosophical phase. There are many commentary on Lao-Tsu in china Jo-Sun Dynasty. Why is it do difficult to search for common understandings in the history of commentaries on Lao-Tsu. All of them may reveal the commentator's thoughts of intellectual of his period rather than the original meanings of Lao-Tsu commentary 『SunEon』 is one of them. the Lao-Tsu commentaries have diverged and coexisted in the history of Korea culture and philosophical thought, especially Jo-Sun Dynasty. Yul-Gok's the Lao-Tsu in Jo-Sun Dynasty. Especially this commentary focus on the re-establishment of taoist tao's originality and Lao-Tzu's original thought through confucious viewpoint. An ordinary confucianist regard Lao-Tzu as heretic. But Yul-Gok did not think alike. Yul-Gok regard Lao-Tzu have an eternal truth upon comparison with confucious viewpoint, such as thought is reflected philosophical change in Jo-Sun Dynasty. In correct term, all kinds of things reach limit it always return counterforce. For this reason, Yul-Gok regard Lao-Tzu have an eternal truth through confucious viewpoint and as such his thought make a turning-point in Korean philosophical thought.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韓國思想)(철학(哲學)) : 조희룡(趙熙龍) 화론(畵論)에 나타난 도가철학적(道家哲學的) 요소(要素)

        조민환 ( Min Hwan Jo ) 한국사상문화학회 2009 韓國思想과 文化 Vol.50 No.-

        조선조 많은 문인화가 그 어느 누구보다도 사상적인 제약을 받지 않고 다양하게 그리고 자신에 찬 자신의 예술창작에 임한 조희룡의 예술정신을 통해 변화된 조선조 후기 회화의 양상을 보여준다. 유가적 사유를 예술정신에 담아내면서도 특히 장자철학의 많은 영향을 받은 조희룡은 비록 中人이었지만 주자학 진리일변도에서 벗어난 이단관과 진리인식의 다양성을 보여주고 있어 중인들의 시대인식은 물론 학적 수준과 내용을 보여준다. 이에 본고는 장자철학이 조희룡의 회화론에 어떤 식으로 영향을 주었는지를 『장자』 이해 의 기본틀로서의 『장자』 郭象本 숭상 태도, 博物學적 사유와 異端에 대한 긍정적 인식, 예술창작에서의 天倪와 性靈 강조, 無法과 나를 강조하는 예술정신 전개, 奇 숭상의 예술정신을 드러냄 등을 통해 분석하고자 한다. 조희룡은 물론 추사 김정희의 문인화론에 대한 이론 즉 기존의 인품을 강조하는 畵如其人이나 혹은 比德의 사유와 관련된 전통 문인화론을 그대로 받아들인 점이 있기는 하다. 하지만 기이한 격을 담아낼 것을 주장하는 조희룡은 회화창작에서는 대담하게 거칠 것 없이 누구보다도 집단에 매몰되지 않는 개인으로서 주체적인 나, 창신적인 나, 자신만의 진실한 성령(性靈)을 담아낼 것을 강조한다. 이런 사유의 바탕에는 유가사상 아닌 집단에 매몰되지 않는 개인을 강조하는, 그리고 변화를 강조하는 노장사상이 담겨 있다. 특히 조희룡이 기이한 격을 담아낼 수 있는 조건이 되는 "나의 법일 따름이다"라든지 "이 법은 나로부터 시작된 것이다"라는 것을 강조하는 사유에는 그 사유의 바탕에는 노장의 무위자연적 예술창작과 道法自然의 예술정신이 깔려 있다. 이런 대담한 예술정신은 불가도 자연스럽게 용해되어 나타난다. 조희룡의 이상과 같은 사유에는 이것은 미의식이 기존의 雅를 숭상하는 것에서부터 俗을 아울러 존중하는 예술로, 절제된 溫柔敦厚한 中和美를 숭상하던 것에서부터 감성적인 아름다움을 숭상하는 것으로 변화되었음이 담겨 있다. 이것은 공자가 부정적으로 말한 怪力亂神을 조희룡은 과감하게 자신의 예술이론과 창작에 적용함을 의미한다. 이 논문을 통해 조선조에 노장철학이 철학 이외의 다른 방면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를 알 수 있고, 이런 점은 19세기를 살아갔던 지식인들이 변화된 시대에 어떤 사유와 그 사유에 바탕한 예술정신이 어떤 모습으로 대처하고 표현했는가를 알 수 있다. 나아가 手藝를 강조하고 전통적인 문인화론인 胸有成竹론을 과감하게 부정하는 식의 발언에서는 기존의 중국문인화론에 매몰되지 않고 나를 담아내고자 한 한국문인화의 독창적 사유틀의 한 측면도 확인할 수도 있다. Jo Hee-ryong (1789~1866) is representative Literary Painter who came from the Middle class at the end of Joseon Dynasty. At the time, epigraphy and biblographical study of Chinese classics under the influence of the Qing Dynasty culture, and cultual participation of those in the middle class and pratical science began activated. Also on the painting history Namjonghwa, Chinese painting of Southern school that had been gradually accepted was being settled. In particular, the times present difference from other times in view of that Muninhwa, the literary painting. The current study aims to find out artistic ideology and aesthetic view from works of Jo Hee-ryong who focused on popular common beauty at the end of the Jeoseon Dynasty. For the study purposes, the study was conducted into two categories. One is analyzing his works aesthetically. And other is to examine how his aesthetic view was realized the theory of literary painting in Jo Hee-ryong and taoistic element. He try to express taoistic element in his painting work and painting artistic thories especilly aeshhetic oddity and creativity. Jo Hee-ryong`s those attempts means that he broke from the frame of tradition that had lasted several hundred years, and became a motive to have our unique painting theory.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reevaluation of Jo Hee-ryong who enjoyed various artistic worlds with his unique creativity should be conducted.

      • KCI등재

        又峰 趙熙龍의 梅花 理解에 관한 연구

        조민환(Jo, Min-hwan) 한국서예학회 2010 서예학연구 Vol.16 No.-

        동양회화사를 볼 때 신사적 차원이나 형사적 차원 등 그리는 기법에 따라 다른모습을 드러내기는 하지만 많은 문인화가들이 매화를 하나의 화목으로 설정하고그것을 그린 수없이 뛰어난 화가들이 많다. 한국회화사에서 본다면 조희룡도 그 중에 하나를 차지한다. 하지만 조희룡은 이전의 매화를 그린 문인화가들과는 달랐다.조선조는 추사 김정희 이후 19세기에 들어서면 이전과 다른 회화 경향이 나타난다. 일종의 雅에서 俗으로 변천하는 것이 그것이다. 회화사의 입장에서 볼 때 그중심에 조희룡이 있다. 흔히 19세기 신감각파를 주도한 인물로 평가받는 조희룡은매화를 좋아한다는 의미에서 ‘梅花百詠’을 짓고자 이성적이기보다는 감성적으로 대했다. 조희룡은 漢瓦軒題畵雜存이란 화제집을 통해 자신의 매화사랑과 그 인식을보여주고 있다. 매화는 바로 조희룡의 삶의 표상이었고 또 분신이었다. 조희룡에게서 매화는 단순한 자연에 존재하는 식물이 아니고 交情의 대상이었다. 집안에 같이먹고 자면서 함께 생을 같이 하는 권속과 같은 존재였다. 조희룡은 한시도 매화를멀리하고자 하지 않았다. 그것은 癖으로서의 매화사랑으로 나타났고, 자신과 매화를 하나로 하는 物我一體적 사유를 보여주었다. 기존의 전통적인 문인화가들이 古雅하고 淡泊한 아름다움을 담아내는 白梅를 그렸다면 조희룡은 감각적이면서 산뜻한 맛을 담아내는, 때로는 기이하면서도 어지러운 亂의 맛을 담고 있는 紅梅를 그렸다. 神似적 차원도 무시하지 않지만 形似적 차원의 手藝를 강조하고 있다. 이런점에서 조희룡은 이전의 매화를 그린 화가와는 차별성을 갖는다. Jo Hee-ryong is a representative literati painter and calligrapher who came from middle class at the end of the Jeseon Dynasty. The current study aims to find out artistic ideology and aesthetic view from works of Jo Hee-ryong. For the study purposes, the study was to examine how his aesthetic view was realized in apricot tree, the outcome of his aesthetic ideology. He was famous for his paintings of apricot tree. Prior to creating any of his works, he understood the physiological aspect of apricot tree starting from the speculation regarding what he was about to paint in his mind. Once he realized the physiology of apricot tree, he reached the level where he was integrated with apricot tree. From the viewpoint that painting creation is made of two sides; grace and personality, he claimed that such two sides should be unified. He understood natural objects from he standpoint of ‘comparing objects of the nature with human morality’ and of personification. He understood apricot tree at ecological level and personified them which he called true gentlemen. The apricot tree painted by him showed his personality, his attitude towards life and critical thought of his days as there were. Therefore, the apricot tree painted by him were not just the objects existing in the nature. Particularly Jo Hee-ryong expressed his artistic philosophy through an artistic subject in his work. In other words, he created a high standard of literati painting art by upgrading the subject of art to formative beauty on screen. He was the person who carried out the true spirit of literati paintings with his respectable personality in his painting works.

      • KCI등재후보

        특별논문(特別論文) : 진양(陳暘) 『악서(樂書)』 예악론(禮樂論)의 역리적(易理的) 연구(硏究)

        조민환 ( Min Hwan Jo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1 韓國思想과 文化 Vol.57 No.-

        陳暘은 『樂書』에서 공자, 맹자, 순경 양웅을 비롯하여 많은 학자의 언급 『論語』, 『孟子』, 『中庸』, 『周易』 등과 같은 유가의 경전을 통한 이해 뿐만 아니라 『列子』, 『老子』, 『莊子』 등 도가경전에서 여러 문구를 적용해 이해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런 점은 진양이 『禮記』 「樂記」(이하 「樂記」로 함)의 내용을 단순히 유가적 차원에서만 해석하는 것이 아님을 보여주는 것인데, 이런 이해 중에서 우리가 주목할 것은 「악기」의 대부분의 문구를 음양론 혹은 역리적 차원에서 해석하고 있다는 점이다. 즉 진양은 「악기」를 이해함에 있어 ``以易言之``, ``以易求之`` 등의 표현과 함께 ``與易A同意``, ``在易...`` ``易言...同意`` 등과 같은 표현을 통해 이해한다. 악기에 대한 이해에서 주역의 諸卦를 적용하여 풀이하되, 특히 陰陽論을 적용하여 관련지어 풀이하는 경우가 많다. 때로는 하도와 낙서를 적용하여 이해하기도 한다. 본고는 일단 진양이 예악에 대한 음양론적 이해 및 河圖·洛書와 관련된 언급을 보되 『주역』의 諸卦를 응용하여 이해한 것 가운데 건괘와 곤괘를 적용하여 풀이한 것을 논한다. 진양이 예와 악을 건괘와 곤괘를 적용하여 이해하는 것은 「악기」에 이미 천지와 건곤 혹은 건곤의 易簡之理, 그리고 음양의 상관관계를 통해 이해할 수 있는 것이 태생적으로 간직되어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樂著太始, 禮居成物``, ``樂由天作, 禮以地制``, ``樂者, 天地之和, 禮者, 天地之序`` 등과 관련된 예악의 발생론적 측면 혹은 그것이 가지고 있는 공능성을 말하고 있는 것이 그것이다. 진양은 禮를 陰으로, 樂을 陽으로 보되, 그것들의 발생론적 측면으로는 ``樂由陽來``와 ``禮由陰作``이란 틀을 견지하면서 예악이 갖는 형이상학적 의미를 밝힌다. 특히 음양 對待의 交易적 측면과 음양 流行의 變易적 측면을 적용하여 풀이하고 있다. 아울러 하도낙수 혹은 선천후천적 측면 및 건괘와 곤괘를 적용하여 풀이하고 있다. 진양의 이런 이해를 통해 예와 악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이해를 가능하게 한다. A native of Minqing County in Fujian Province, Chen Yang was a jinshi (a palace graduate) in China`s North Song Dynasty, who later served in the Ministry of Rites. His Yue Shu, a scholarly work with a huge mass of valuable information on Song- and pre-Song-Dynasty music, is of great historical and cultural significance. Generally regarded as the earliest encyclopedic volumes of musicology in Chinese history, and perhaps even in world history, Yue Shu has been an important and indispensable work of reference in the study of Chinese music. The 200-volume masterpiece, noted for its early date of publication and wide coverageanging over a period between the Han-Tang Dynasties and the Ming-Qing Dynasties, is a rare collection in the treasure of Chinese musicology. This master of Chinese musicology and the academic value, historical status and cultural significance of his Yue Shu, thus merit ampler attention. A survey of existing scholarship shows that since the 20th century most of the studies of Chen Yang and his Yue Shu, have been conducted from historical in the context of cultural and historical development. Based on genealogical information and historical accounts obtained from field work and drawing on relevant scholarship such as A History of the Song Dynasty,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ing Confucian art view and aesthetic consciousness through understanding of Li-Yueh Thought, verifying the ontological basis of Li-Yueh, and then Li-Yueh made on the model Tien-ti and the effect of its realization. The Book of Change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nfucian classics. The Text of the Book of Changes is made up of 64 hexagrams and two explanatory texts under each hexagram. Yin and Yang is two important opposite concepts in Chinese philosophy and all things in the universe are products of the interactions of the two forces. The ancient Chinese music Dao,based on the basic domains of the ancient Chinese philosophy, namely Dao. Such as theme are effected Li-Yueh and Chen Yang`s Yue Shu.

      • KCI등재후보

        성재 김익수선생 고희기념 특집호 : 한국사상(철학) ; 백하 윤순의 서예미학에 관한 연구 - 시체(時體)를 중심으로 -

        조민환 ( Min Hwan Jo ) 한국사상문화학회 2007 韓國思想과 文化 Vol.36 No.-

        흔히 동국진체(東國眞體)의 계보를 말할 때 후대에 가장 많은 영향을 준 인물을 꼽으라면 백하(白下) 윤순(尹淳)을 들 수 있다. 윤순은 서론(書論)에서 이서(李서)와 마찬가지로 황희지(王羲之)를 근본으로 하는 강력한 이단관을 전개한다. 하지만 윤순의 서예미학은 단순히 이런 맥락에서 접근할 수 없는 부분이 있다. 왜냐하면 윤순의 글씨를 당시 ``시체(時體)``라고 부르면서 다양한 계층이 그의 글씨를 추존하고 모방하고자 했기 때문이다. 윤순이 살았던 18세기는 아(雅)에서 속(俗)으로, 고(古)에서 금(今)으로, 법(法)에서 아(我)로 변화하는 과정을 거치는데, 이런 변화 과정들은 각각이 별개의 것이 아닌 하나의 사유에서 출발한다. 윤순의 글씨가 ``시체``라고 불리우는 것에는 다양한 의미가 담겨 있다. 일닺 ``시(時)``라는 단어에는 이 ``실``자는 윤순이 살고 있는 ``삶의 현장 바로 거기``라는 점이 담겨 있다. 즉 윤순이 살았던 그 삶의 현장에 맞는 실효(實效)·실심(實心)·실정(實情)·실득(實得)에 바탕한 살아 생생한 서체가 바로 윤순의 ``시체``이다. 그리고 이 ``時``자에는 윤순이 살았던 당시의 아속론(雅俗論), 진가론(眞假論), 고금론(古今論) 등 다양한 관점이 담겨 있다. 즉 시체에서의 ``時``는 기본적으로 일정 정도 문인사대부들의 전형적인 미의식인 고아하고 단아함을 충족하고 있으면서, 그것은 다양한 서체의 복합적인 측면과 조형적 측면의 아름다움(=字態), 창작층과 향수층의 다양한 미의식 충족이라는 아속이 공존하는 입장 그리고 ``그 역사적 현장``이란 의미를 한데 충족하고 있어야 가능하다. 고(古)와 금(今)의 문제에서는 고와 금이 동시에 존재하고 있어야 한다. 고만을 담고 있으면 대중적이지 못하고, 금만을 담아 제멋대로 예술창작행위는 전통을 고수하는 문인사대부들의 일정 정도의 비판을 받는다. 즉 고를 수용하면서 그 고를 체화하여 창작 주체 자신의 감수성과 그 시대인의 감수성을 한데 융화하여 창안한 예술창작의 모든 결정체가 바로 ``시체``인 것이다. Baekha`s calligraphic style was a trendsetter in the late Joseon Dynasty. Not only high public officials and men of distinguished lineage but also the middle class of town and country found it fashionable. Even in state-run examinations, test-takers tried employing his calligraphic style. It is evident that Baekha`s calligraphic style prevailed in that time. Also, when people sought to manifest their individuality and to find Joseon``s identity, Baekha played a role in bringing about the perfection of Joseon-style calligraphy, namely, the Donggukjinchae. He embraced Wang Xi Zhi`s calligraphy as his model; he thus thoroughly emphasized classical, harmonized beauty and simultaneously pursuing innovation-oriented creativity to embrace various Chinese masters` calligraphic styles. And then, he departed from Okdong`s efforts to restore Wang Xi Zhi-centered classical calligraphy and exercised flexibility of thoughts in studying various calligraphic styles. He cultivated unique, broad calligraphic styles, and played a role in developing the Donggukjinchae. Baekha`s calligraphic aesthetics began with classical restoration philosophy which embraced Wang Xi Zhi`s calligraphy as a tradition and as a model and thoroughly emphasized harmonized beauty. And then, it changed to pursuing beauty of being firm and classical and breaking away vulgarity through "mind strokes" originated in "realistic mind." In the end, it resulted in unique, creative, innovation-oriented, harmonized calligraphy. Beauty of being firm and classical and breaking away vulgarity stemmed from his attitude to learning. Mind strokes was developed by Baekha who valued efficiency, practical profit and realistic mind. His broad philosophy means unifying everything, and thus realizing harmony. Baekha embraced various calligraphic styles from different Chinese masters, and applied creative and innovative aesthetic thought.

      • KCI등재

        ‘마음의 도자기[心磁]’ : 동양 문인자기(文人磁器)에 대한 철학적 고찰 - 주자학의 성즉리(性卽理)와 양명학의 심즉리(心卽理)를 중심으로-

        조민환 ( Jo Min-hwan ) 한국유교학회 2021 유교사상문화연구 Vol.- No.84

        본 연구는 도자기를 단순 실용적 차원의 기물이 아니고 동양 문인들의 철학과 미학이 표현된 기물이라 점에서 '마음이 표현된 도자기[心磁]'라고 규정한다. 이같은 ‘심자[心磁]’로서 도자기는 그것이 제작된 시기의 정치적 상황뿐만 아니라 제작을 요구한 지배층의 철학적 사유와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런 점에서 본고는 시대 상황에 따른 도자기의 변모를 미시적 관점에서 접근하여 동양의 문화와 철학의 변천과 흐름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본고는 특히 청대 구왈수(裘曰修)가 “도자기라는 기물로써 그 시대에 정치가 어떻게 행해졌는지를 안다[因器以知政]”라고 말한 것에 주목하였다. 도자기는 후원세력과 재정적인 지원 여부가 자기의 품질과 양식에 많은 영향을 끼친다는 점에서 어떤 미술작품보다 그 시대의 정치, 경제, 문화적 상황을 종합적으로 반영하기 때문이다. 본고는 도자기의 색이나 문양 등은 철학의 변천 및 한 시대에 영향을 끼친 철학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당대 당삼채(唐三彩)는 성당(盛唐)시대의 화려함과 풍요로움을 상징하고, 송대 백자는 ‘성즉리(性卽理)’를 중심으로 한 주자학의 득세와 관련이 있고, 명대의 다양한 문양과 색채가 운용된 풍성한 도자기[五彩磁器, 赤繪磁器]들은 ‘심즉리(心卽理)’를 강조하는 양명학과 관련이 있다는 점을 고찰하였다. 이처럼 미시적 관점에서 살펴본 중국과 한국에서 유행한 도자기는 생필품이란 차원을 넘어 한 시대의 정치적 상황이나 철학 사유의 변천 등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는 ‘인문자기(人文磁器)’, ‘인문기물(人文器物)’ 및 ‘심자(心磁)’ 차원의 도자기’였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조선조의 경우 백자에 대한 극심한 사랑은 이런 점이 더욱 강하게 드러나고 있는데, 조선조의 이같은 백자중심주의를 다른 시각에서 접근하면 삐에르 부르디외(Pierre Bourdieu)가 말하는 일종의 ‘구별짓기’가 담겨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considers Oriental literary porcelain not merely a practical object. Oriental literary porcelain is defined as ‘a porcelain with an expression of heart’. In that it is an artifact that expresses the philosophy and aesthetics of oriental literary porcelain. This ‘heart-expressed porcelain’ is very closely related to the political situation of the time it was produced, as well as the philosophical reasons of the ruling class that demanded it to be produced. In this regard, this school sought to examine the changes and trends of Eastern culture and philosophy by approaching the transformation of porcelain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of the times from a micro-perspective. In particular, the paper noted that Qiúyuēxiū say “I know how politics was practiced in those days as an object of porcelain.” Oriental literary porcelain has a lot of influence on its quality and style, whether it is supported by sponsors or financially. In this regard, it can be said to reflect the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situations of the era more comprehensively than any other artwork. For example, the white porcelain of the Song Dynasty is related to the rise of Neo-Confucianism centered on ‘nature as truth’, and the rich porcelain of various patterns and colors of the Ming Dynasty is related to YangMingPhilosophy, which emphasizes ‘heart as truth.’ From a microscopic point of view, we could see that the porcelain popular in China and Korea were ‘humanistic porcelain,’ ‘humanistic objects,’ and ‘heart-expressed’ porcelain, which were very closely related to the political situation and changes in philosophical reasons of an era. In particular, Joseon Dynasty's extreme love for white porcelain is more strongly revealed, and if Joseon Dynasty approaches this white porcelain-centeredness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it can be said that Pierre Bourdieu refers to as a kind of ‘distinction.’

      • KCI등재

        南田 元仲植의 ‘筆隱’에 담긴 隱逸적 삶

        조민환(Jo, Min-hwan) 한국양명학회 2016 陽明學 Vol.0 No.45

        과거 중국역사에서 出仕와 隱逸사이에서 갈등하다가 과감하게 은일을 택한 대표적인 인물 중 하나가 바로 東晋의 陶淵明이었다. 도연명은 歸去來한 心遠의 정황을『귀거래사』에 진솔하게 표현하는데, 南田 元仲植은 이런 도연명의 귀거래 한 삶을 본받고자 하였다. 남전이 즐겨 쓴 문구 중에는 虛靜한 심령을 반영하는‘閑’자, ‘虛’자, ‘靜’자를 비롯하여 ‘무엇 너머’라는 의미의‘外’자, ‘세속적 가치 있음이란 것이 없다’는 의미의‘無’자 등이 많이 보인다. 이런 단어들은 바로 心遠의 은일적 삶을 반영한다. 이같은 남전의 ‘도연명 따라 하기’는 서예의 입장에서 볼 때, 心遠에서 출발한 참된 서예를 통해 자신의 존재 이유를 밝히고자 한 還我의 서예미학이었다. 남전은 ‘환아정신’에서 출발하여 爲己之學으로서의 서예를 실천하고자 하였다. 남전의 筆隱 지향적 삶은 ‘山靜日長’에 담긴 無事의 虛靜한 은일적 삶으로 이어진다. 남전은 은일적 삶을 ‘閑’자를 통해 압축적으로 보여주는 많은 시를 통해 寓意하고자 한다. 아울러 다양한 禪詩를 통해 세속적인 공명에 얽매이지 않고 우주대자연에 자유롭게 逍遙自在하고자 하는 정신경지를 추구하고 있다. 남전은 최종적으로 “物外遊, 心無累”의 逍遙自在의 경지를 붓과 함께 하고자 했다. 기교의 工拙 與否를 따지는 것에서 벗어나 자신의 천연의 본성을 붓에 담아 자유롭게 펼치고자 하였다. 이같은 사유는 궁극적으로 ‘서예란 무엇인가’에 대한 남전의 답으로 이어졌다. 바로 인문예술로서의 서예인식과 逸格 지향의 서예정신이었다. In Chinese history, there are characters who have lived a life of seclusion. For example, TaoYuanMing is an example. After returning to his hometown, TaoYuanMing lives a secular and disconnected life in his mind. Nan Tian(南田), YuanZhongzhi(元仲植) is a calligrapher who lived in modern Korea. He wanted to live a life of this kind. He made his calligraphy work as a favorite work with phrases expressing a leisurely life, a quiet life, and a life in a secular world. These phrases reflect the world of life he intended. The calligraphy creation of the following expression along the line of TaoYuanMing was an effort to find the lost figure of oneself. He sought to spread his true calligraphy world through his search for the lost self. His seclusion-oriented life was a life in which he did not want to be secular, and expressed his life as his work. He tried to express his seclusion in terms of leisure. In addition, he tried to express his own seclusion through various poems of the Buddhist scent. And to express his freedom through his poetry that is not bound by secular honor and desire. The spiritual world without any bounds and no hanging on objects was the calligraphy spirit he intended. This spirit of art was an understanding of calligraphy in humanities and an artistic spirit that wanted to bring free souls. When he created an artwork, he did not care about the goodness and the badness of artistry, and hr wanted to freely open his own artistic sensibility.

      • KCI등재후보

        감응(感應)·감발미학(感發美學)에 나타난 윤리성(倫理性) 연구 - `상(象)`자(字)에 나타난 미적인식(美的認識)을 중심으로 -

        조민환 ( Jo Minhwan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7 韓國思想과 文化 Vol.87 No.-

        동양철학에서의 감응론은 인간과 인간은 물론 자연, 인간과 자연의 유기적 관계성을 말해준다. 이런 감응론은 천인합일, 천지만물일체사상 에서 출발한다. 감응론과 관련된 氣化論的 우주론은 陰陽의 관계에 주로 나타난다. 즉 음과 양의 변화에 의한 천지자연의 변화는 음과 양의 교접과 감응에 의해 일어난다. 그것은 구체적으로 자연현상과 인간의 삶에서는 “부류로 서로를 좇고(以類相從)”, “같은 기로 서로를 구하고(同氣相求)”, “같은 소리로 서로 응한다(同聲相應)” 라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런 감응론은 인간의 마음이 사물과 접하는 상황에서는 감발론으로 나타난다. 이같은 감응론과 감발론에서 항상 문제삼는 것은 감응하기 이전, 감발하기 이전의 마음 상태를 문제 삼는다. 먼저 寂然不動이나 無思無慮, 未發之中의 靜을 요구하고, 아울러 已發했을 때의 긍정적 측면과 관련해 未發에서의 善의 상태도 요구한다. 이런 사유를 통해 제시된 감응론과 감발론은 윤리적 감발론에 해당한다. 천지자연에 대한 감응과 감발의 결과는 象字로 요약된다. 이른바 『주역』의 觀物取象과 立象盡意가 그것이다. 동양예술은 이같은 상자에 대한 미적 인식에서 출발하는데, 실제 예술창작과 관련될 때는 작가가 이 象을 체득하고 그 체득한 것을 아름답게 표현하는 것을 요구한다. 구체적으로는 천지대자연의 도 리, 이치가 담겨 있는 象에 대한 체득의 방법으로 味象, 神遇, 心悟할 것을 제시한다. 즉 象을 통한 인간과 자연의 합일인 心物交融, 情景融合을 요구하고 이런 점은 감응미학의 핵심이 되는데, 그것에는 예술창작자의 윤리적 마음가짐이 요구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Sentence theory tells the organic relation of nature, human and nature as well as human being and human being. This kind of sentence theory starts from the idea of all-unity, all-inclusive. Evolutionary cosmology in sentence theory is mainly related to Yin - Yang relationship. In other words, the change of natural and physical phenomena caused by the changes of yin and yang are caused by the contact and response of yin and yang. Specifically, in natural phenomena and human life, they "follow each other in a class," "save one another in the same way," and "respond to each other with the same voice." First, it demands the quietness of not moving, thinking, not thinking, being in the middle of not yet working. It also requires a state of good when it has not yet worked in relation to the positive aspects of being exposed and working. The view on this feeling is a theory about the feelings of an ethical dimension. The result of the response to nature and nature is summarized in form. That is, to look at the object of the so-called "protagonist" and to take the form, and to do the intention to say the figure. Starting from this reason, in the creation of actual art, the artist needs to acquire this figure and express it beautifully. In addition, it tries to taste the form of the way of learning about the image of the nature and the nature contained in the nature of the heaven and earth, and to realize it with the mind. In other words, it requires the unity of man and nature through the image, which is expressed specifically as a fusion of mind and object. The fusion of mind and object starts from the framework of the unity of man and all things.

      • KCI등재

        劉一明 『象言破疑』와 李東豪 內丹修鍊 체험기록 『百日象言』의 상관관계 연구

        조민환(Jo Min Hwan) 한국도교문화학회 2017 道敎文化硏究 Vol.47 No.-

        This paper is intended to reveal the “Correlation between Liu Ii Ming Solving Symbolic Language, and Inner alchemy training experience record One Hundred days Symbolic Language. Liu Yi Ming, who advocates cultivating gold elixir which never separate life from essence, writes Solving Symbolic Language and draws a variety of pictures in that he breaks the doubt and the wrong interest in the process of correcting the truth and the result. In particular, Liu Yi Ming accepts the idea of forming a shape and fulfilling the meaning of The Book of Changes, and intends to explain the essence of the road through concrete diagrams. He understands that the existing scriptures show "formlessness" and "no formlessness". In addition, the Taoism scriptures say that I will try to do the same through the form because it contains an intention to take shape and to explain the truth in an easy to understand way. In particular, the Symbolic Language itself is not true, but it is obsessed with the form and criticizes the failure to understand the true figure. And emphasize that one of the righteous understandings of the grandfathers to take shape and to compare the words is to learn to lose the word if you have got it. The principles of Taoism and diagrams which he clarified through his book have influenced many people related to Chinese Taoism in the following years, and can also find traces that have influenced Taoist practitioners in Korea. One of them, Lee DongHo, is a Lee DongHo Inner alchemy training experience Diary which records 16-year-old training courses in the form of diary. He collects diagrams in the course of 100 days of disciples" training and calls them One Hundred days Symbolic Language as one booklet. These data are comparable to Solving Symbolic Language and correspond to valuable training data related to the experience of Inner alchemy in the history of Korean Taoism. Lee Dong-hwa"s diary and Inner alchemy training experience record One Hundred days Symbolic Language records and expresses the result of training each person who falls below the middle every hour. Therefore, it is meaningful that they provide the data that can confirm whether the diagrams and the training process obtained from the process of policing themselves are correct.

      • KCI등재

        疲勞社會와 동양의 隱逸思想

        조민환(Jo, Min-Hwan) 한국도교문화학회 2016 道敎文化硏究 Vol.45 No.-

        한병철은 오늘날 끝이 없는 일 및 성과에 대한 압박감에 의해 몸과 마음이 옥죄임을 당하는 사회를 ‘성과사회’라 규정한다. 그리고 이 사회속에 살고 있는 인간을 성과주체라고 명명하면서 ‘疲勞社會’라는 말을 한다. 한병철은 ‘일 중독자’에게 이런 삶에서 벗어나 보기에는 ‘無用’일 것 같지만 향기가 나는 사색적 삶, 靜觀적 삶, 無爲의 삶을 살 것을 요구한다. 아울러 향기가 있고 좋은 시간에 들어갈 수 있는 것은 쓸데없는 것을 비워낸 정신이고, 바로 이러한 비움이 정신을 욕망에서 해방하고 아울러 시간에 깊이를 준다고 본다. 본고는 과거의 ‘士’를 오늘날의 피로사회와 성과사회의 핵심주체에 적용하여 살펴볼 수 있다는 가정 하에서 성과지상주의와 피로사회가 야기한 바쁜 삶, 활동적 삶을 잠시라도 止揚할 수 있는 것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陶淵明이 말한 ‘心遠’의 상태에서 ‘일의 시간’에 매몰된 피로한 나가 아닌 ‘참된 나’를 되찾는 ‘향기있는 시간’, 靜觀自得의 삶을 동양 은자들의 은일적 삶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莊子, 白居易, 葛洪 등은 부귀추구를 위한 삶이 야기하는 심신의 피로감과 養生을 해치는 억압적이고 沒主體的인 자기 착취 상황에부터 벗어날 것을 말한다. 이런 점에서 安分知足할 것과 부귀에 대한 인식 전환을 요구한다. 그들은 이런 인식전환에 의해 성과지상주의에 매몰된 바쁜 삶에 대한 추구, 부귀에 대한 인식 전환 속에 향기가 있는 시간이 전개된다고 본다. 아울러 羅大經은 唐庚이 말한 “山靜似太古, 日長如小年”을 요약한 ‘山靜日長’을 통해 은일적 삶을 상징하고 있다. ‘산정일장’에서 말하는 은사의 하루는 시간의 구속에서부터 벗어남과 동시에 생명의 존재가치를 아울러 파악하게 한다. 이런 과정에서 그동안 시간에 구속당하고 외물에 사역당한 나를 다시금 되찾게 하는 향기가 있는 還我적 삶이 가능해진다. 이처럼 한병철이 말한 피로사회를 극복하는 방안은 과거 동양의 은일자들이 추구한 無事의 虛靜하고 한가로운 삶에서 찾을 수 있었다. This essay critically addresses the problems posed by HAN Byung-Chul in his acclaimed thesis “Mudigkeitsgesellschaft”(Fatigue Society). Contrary to previous period, he says that there are prevalent symptoms to characterize the present, such as the violence of positivity, terror of immanence, exhaustion/ saturation (replacing deprivation/exclusion), etc. In this regard, he points out that the salient feature of our time is the hyperactivity without any limit which results in a variety of psychic diseases. He proposes the contemplative life as an alternative, and insists on restoring “scent time”. In this paper, I tried to find such a solution in Oriental thought of seclusion. The life HAN Byung-Chul presented can be applied to life in pursuit of being a bureaucrat in the East. To live the life of a bureaucrat, it is very busy and hard life harder for the body and mind. It is the life that you want to exert power, it makes it difficult to live. Hermits of the East does not covet worldly wealth, power, fame. In this respect, they are free to live so tranquil escape from the busy life. Such Leisurely life, suggests the possibility to live comfortably off the domination of time. In addition, these escape from the busy lives, and regain the forgotten individuals, restoring “scent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