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논문 : 서울의 고령일인가구 분포와 대중교통 접근성

        조대헌 ( Dae Heon Cho ) 한국도시지리학회 2014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17 No.2

        사회적 약자의 공간적 분포는 현대 도시지리학의 주요 연구 주제이지만 고령일인가구에 대한 연구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서울을 대상으로 고령일인가구의 분포 및 대중교통에 대한 접근성의 공간적 패턴과 상호 관련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의 고령일인가구(특히 저소득 가구)는 일부 지역에서 높은 집중도를 보이고 있으며 국지적으로 군집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둘째, 서비스 제공 지점(정류장)에 초점을 두어 대중교통에 대한 접근성을 분석한 결과 주요 중심지와 간선 교통망을 따라 접근성이 높게 나타난 반면, 도시 외곽과 일부 도시 내부에서는 접근성이 낮았는데, 접근성 상위 지역과 하위 지역 간에는 차이가 비교적 크게 나타났다. 셋째, 고령일인가구의 집중도와 대중교통 접근성 간에 전역적 상관성은 드러나지 않았으나, 집중도는 상당히 높지만 접근성은 낮은 지역들이 국지적으로 산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고령일인가구의 공간적 분포는 물론 대중교통에 대한 접근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학술적 연구는 물론 관련 도시 정책의 실행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spatial distribution of social disadvantage has been one of the well-known research topics in urban geography, but relatively little attention has been given to the single-households elderly.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spatial patterns of the single-households elderly and accessibility to public transpor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in Seoul. Main findings are threefold. First, there is a high concentration of the single-households elderly (low-income households in particular) in some areas, and the distribution of them shows a tendency to cluster locally. Second, analysis of accessibility to public transport stops reports that major centers and some areas along main transit routes show higher accessibility whereas the outskirts of the city and some inner areas show lower accessibility. In addition, the analysis reveals the considerable difference in the accessibility values between high and low accessibility areas. Third, while there is no evidence of systematic global correlation between the distributions of single-households elderly and accessibility to public transport, locally scattered areas with higher concentration and lower accessibility are observed.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further research and effective implementation of urban policies.

      • KCI등재후보

        디지털 격차와 공간: 공간적 접근성에 대한 시론적 접근

        조대헌 ( Dae Heon Cho ) 한국지리학회 2015 한국지리학회지 Vol.4 No.1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함께 최근 디지털 격차가 사회적으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그간의 연구를 검토함으로써 디지털 격차가 미치는 영향을 공간적인 관점에서 논의하기 위한 기틀을 마련하고, 이를 경험적으로 구체화할 수 있는 방안의 하나로서 사례 연구를 수행하는 것이다. 선행연구에 대한 검토 결과 디지털 격차를 공간적인 측면에서 파악할 때 컨텐츠로서의 정보 자체와 격차가 미치는 결과적 측면에 대한 관심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통신기술은 물론 공간 정보에 대한 접근 및 활용이 지역이나 개인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어 공간적 접근성은 디지털 격차의 영향을 공간적 관점에서 파악하기 위한 주요 주제 중의 하나가 될 수 있음을 논의하고, 구체적인 경험 연구의 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한 일환으로 서울을 대상으로 한 사례 연구를 수행하였다. 예비 분석 결과 디지털 격차는 접근성 혹은 이동성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것이 사회적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향후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re has recently been growing interest in the digital divide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s). The main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evelop a framework for discussing the impacts of the digital divide in a spatial context by the literature review, and to conduct a case study of applying it to concrete empirical research.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review, relatively little attention has been given to information itself which is the content of the ICTs, as well as outcomes or consequences of the digital divide in spatial perspective. I pointed out that more empirical studies focusing on the effects of ICTs and geospatial information on individuals and regions should be conducted. Then I suggested that spatial accessibility could be one of the main themes of such research, and carried out a case study of Seoul to identify the feasibility of empirical research. The preliminary analysis of case study showed that the digital divide could have a great impact on spatial accessibility or mobility.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find out the full future implications of that outcome.

      • KCI등재

        GIS 기반 스토리텔링 기법을 이용한 인구지리 수업 모형 개발

        조대헌 ( Dae Heon Cho ) 한국사진지리학회 2014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4 No.2

        최근 스토리텔링이 의사소통 수단으로서 큰 주목을 받으면서 학교 수업에서 이를 도입하려는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지리교육에서도 스토리텔링 관련 연구가 늘어나고 있지만 아직은 도입단계에 해당하며, 실제 학교 현장에 적용가능한 구체적인 방안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이런 배경하에서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인구지리를 대상으로 GIS를 기반으로 하는 스토리텔링 수업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스토리텔링 기법과 GIS는 각기 지리 수업에 다양한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GIS 기반의 스토리텔링 수업 역시 유효할 것으로 기대된다. GIS 기반의 스토리텔링 수업 방법을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제시하였는데, 학습자는 GIS가 제공하는 위치 기반의 시각적 맥락 속에서 이야기를 이해하고 학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간적 사고를 향상시킬 수 있다. GIS 중 지리공간 웹에 주목하여 교실 수업에서 가장 흔히 사용될 수 있는 교사 주도형 방식을 사용해 중학교 인구지리의 인구이동을 대상으로 구체적인 수업 모형을 개발하였다. 모형의 개발 과정에서 중학교 교사들과의 논의를 통해 현장에의 적용가능성을 제고하였으며, 실제 수업에의 활용 및 관련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recent years, there have been a growing number of studies on integrating storytelling in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with an increased interest in storytelling as means of communication. Research related to storytelling is growing gradually in geography education as well, but it is still in its early stage and more studies have to be devoted to developing practical methods applicable to the classroom.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teaching model for population geography using storytelling methods based on GIS. According to the literature on this topic, storytelling methods and GIS both have the potential to bring many positive effects on geography education, so GIS based storytelling is also expected to be an effective approach. We suggested 3 major types of teaching method using GIS based storytelling by which students can understand stories and learn in the location based visual context as well as improve spatial thinking. We developed a teaching model using a teacher-led method that can be used most commonly in the classroom for the migration topic of middle school geography focusing on the geospatial web approach of GIS. We attempted to have it more applicable to the classroom through the discussions with middle school teachers, so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actual classes and further research.

      • GIS를 이용한 공업 입지론의 교수-학습 모형 설계

        조대헌 ( Dae Heon Cho )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2009 地理敎育論集 Vol.53 No.-

        본 연구의 목적은 공업 입지론의 교육을 위한 GIS 기반의 교수-학습을 모형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에서 이루어진 GIS 관련 지리교육 연구의 동향을 검토하였다. 국내에서 이루어진 연구들 중 GIS를 이용한 지리 수업에 초점을 둔 연구는 많지 않았으며, 또한 대부분 유사한 교수-학습 방법을 사용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교수-학습 대상으로서의 공업 입지론의 특성에 대해 살펴본 후 GIS에 기반한 문제해결학습 기반의 교수-학습 모형을 제안하였다. 문제해결학습은 학습자의 능동적인 참여를 유도하여 탐구력 및 문제해결력을 증진시킬수 있다. 특히 GIS가 가진 시각적 공간 분석은 학습자들로 하여금 입지론에 포함된 추상적인 개념이나 원리를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실제 수업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계획안과 GIS 프로그램을 예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sign a GIS based teaching and learning model for industrial location theory. First, I reviewed the direction of research on geography education based on GIS in Korea. Only a few studies focused on teaching and leaning geography using GIS, and besides they used similar methods of teaching and learning. Next, I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Weber`s industrial location theory as educational contents, and suggested a problem solving learning model based on GIS. Problem solving learning requires students to take on active learning strategies, so enhances students` understanding and problem solving skills. In particular, GIS based visual analysis can support students` intuitive understanding of abstract concepts and principles of the theory. Finally, I suggested teaching and learning plan and demonstrated a GIS application could be used in the real classroom situation.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