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21년 일본 고등학교 검정교과서의한국 근대사(1890~1910) 서술과 특징

        조건 한일관계사학회 2022 한일관계사연구 Vol.76 No.-

        Among the modern history parts of the Integrated History(歷史總合) textbook that passed the 2021 test, the description of the period from the Sino-Japanese War and the Russo-Japanese War to the forced annexation of Korea. Characteristics of each textbook were also briefly mentioned based on whether historical events of the period were written, the use of terms, and the amount. In some cases, the description of Integrated History textbooks was based on the guideline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Culture, Sports,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guidelines for learning guidance, but there were many cases where textbooks differed depending on the publisher's perspective. Some textbook descriptions had some parts to evaluate positively, but it cannot be denied that there were more parts that were not beautiful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history. Nevertheless, it is also true that the recent trend of adopting Integrated History textbooks in Japan has quenched some concerns about "distortion" descriptions. This is because, in addition to distorted descriptions or deliberately omitted facts, a number of descriptions can be seen in similar or positive aspects to our textbooks. It is necessary to take a closer look at the boundaries between negativity and positive statements in Japanese history textbooks, and their meanings.

      • SCOPUSKCI등재

        Grain Growth in Barium Ferrite I. Kinetics of the Formation of Barium Ferrite

        조건,김기순,Cho, kurn,Kim, Kee-Soon The Korean Ceramic Society 1975 한국세라믹학회지 Vol.12 No.3

        본 연구는 열분해반응에 의한 바리움 페라이트 합성반응 후기에 있어서의 반응기구를 규명코자 수행되었다. 실험은 등온하에 90$0^{\circ}C$부터 110$0^{\circ}C$까지 50도의 간격으로 행해졌으며, 반응량의 결정은 X-선의 회절분석법을 이용하여 기초실험에서 얻은 표준보정자료와 비교함으로서 이루어졌다. 연구실험결과 합성반응의 후기는 주로 확산기구에 의해 지배되며 실험적으로 구한 활성화에너지는 14$\pm$10Kcal/mole이었다. 그리고 반응초기는 표면반응이나 혹은 반응후기와는 다른 이온에 의한 확산에 의해 지배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3․1운동 이후 일제의 불교협회(佛敎協會) 설립과 조선 불교의 대응

        조건 역사실학회 2023 역사와실학 Vol.80 No.-

        After the March 1st Movement, the Japanese established the Buddhist Association as part of their governance and colonial religious policy to divide the public opinion. The Buddhist Association is an organization created by Japanese Buddhism to invade colonial Joseon Buddhism. This article examined the establishment process and role of the Buddhist Shipbuilding Association established in 1919 and the Buddhist Shipbuilding Association established in 1921, and the response of the Joseon Buddhist community. The Buddhist community of Joseon maintained its reputation by sometimes resisting Japanese religious policies and sometimes responding flexibly. Lee Hoi-kwang's plan to encroach on Joseon Buddhism in collusion with Japanese Buddhism was thwarted through resistance, and he expanded his religion and continued the tradition of traditional Buddhism in the name of Buddhist association activities. Japanese colonial era Joseon Buddhism has the stigma of being pro-Japanese in conformity with Japanese oppression. However, on the other hand, it also implies the aspect of protecting self-esteem as a national religion through constant anti-Japanese struggles and protecting historical traditions with flexible responses. 일본 제국주의는 3․1운동 이후 민족분열통치와 식민지 종교정책의 일환으로 불교협회를 설립했다. 불교협회는 일본 불교의 식민지 조선불교 침탈을 목적으로 한 단체였다. 이글에서는 1919년에 만들어진 불교조선협회와 1921년에 만들어진 불교협회를 대상으로 이들의 설립 과정과 역할, 그리고 조선 불교계의 대응을 살펴보았다. 조선 불교계는 일제의 종교정책에 맞서 때로는 저항하고 때로는 유연하게 대응하면서 명맥을 유지하였다. 이회광이 일본 불교와 결탁하여 조선 불교를 잠식하려는 계획을 저항을 통해 좌절시키기도 했고, 불교협회 활동을 명목으로 일제 관헌의 감시를 피해 교세를 확장하고 전통 불교의 명맥을 이어가는 방편으로 삼기도 했다. 일제강점기 조선 불교는 제국주의 일본의 탄압에 순응하여 친일적으로 변질된 오명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 끊임없는 항일 투쟁을 통해 민족 종교로서의 자존을 지키고 유연한 대응으로 역사적 전통을 수호했던 측면도 내포하고 있다.

      • KCI등재

        第2次 世界大戰 末期 日本의 朝鮮人 捕虜監視員 强制動員

        조건 한일민족문제학회 2011 한일민족문제연구 Vol.21 No.-

        Japan had installed POW camps mobilized Koreans as POW guards by force in order to manage the allied force POW’s created during the World War II. The Korean POW guards had started being recruited from May, 1942, received military training at a temporary civilian training camp installed in Busan starting June 15th and placed to POW camps installed at Southeast Asia or Korea. The Koreans who ‘applied’ as POW guards went through the screening process of a total of four stages including application and submission, screening test, send-off party(壯行會) and final screening of military. Application and submission, screening test and send-off party were led by local administrative agency under the jurisdiction of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while the military was directly in charge of the final screening. Koreans who were selected as POW guards entered a temporary civilian training camp in Busan to receive training for two months. While the temporary civilian training camp was mainly organized by reserved officers of Japanese forces including Noguchi Yuzuru(野口 讓), the Koreans received regular military training which is not the POW management guidelines and had to endure the brutality of Japanese military instructors and assistants. The ‘recruiting’, training and camp placement of Koreans were enforced under strict management and control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and the Japanese forces stationed in Korea. Although it showed a form of ‘recruit’ and ‘application’ in the name only, the people were in fact actually mobilized to the invasion war by force. This article has closely examined the mobilization process and organization structure of temporary civilian training camp that had been overlooked so far in the studies on forced mobilization of Korean POW guards to identify the situation on actual placement of Koreans. And through this, it has clarified the fact that the cause for Korean POW guards getting punished as war criminals after the end of war is due to the forced mobilization of Japan. 日本は第2次世界大戦中に発生した連合軍の捕虜たちを管理するために捕虜収容所を設置して、この捕虜監視員として朝鮮人を強制動員した。朝鮮人の捕虜監視員は1942年5月から「募集」され、6月15日からは釜山に設置された臨時軍属教育隊で軍事訓練を受けた。その後8月の中旬からは東南アジアと朝鮮に設置された捕虜収容所に配置された。捕虜監視員に「支援」した朝鮮人は、申請および受付·選抜試験·壮行会·軍最終審査など全四段階の過程を経て選抜された。申請、受付と選抜試験、壮行会は朝鮮総督府の管轄の下、地域行政機関が主導し、最終段階の最終審査は軍が直接担当した。そして捕虜監視員に選抜された朝鮮人は釜山にある臨時軍属教育隊に入所して2月間の訓練を受けた。臨時軍属教育隊は野口譲をはじめとする朝鮮軍の予備役将校らが主軸として編成されており、朝鮮人は捕虜管理の要領ではなく一般軍事の訓練を受けさせられた上、訓練期間中は日本軍教官と助教たちによる苛酷な行為に耐えなければならなかった。朝鮮人の「募集」と訓練、そして収容所配置は全て当時の朝鮮総督府と朝鮮駐留日本軍による厳正な管理と統制の下に施行されていた。名目上「募集」と「支援」の形態を帯びていたが実際には侵略戦争に強制的に動員されていたものであった。この論文は日帝の朝鮮人捕虜監視員の強制動員研究に於いて今まで見過ごされてきた動員過程と、臨時軍属教育隊の組織構成を綿密にし、朝鮮人らの実際の配置状況を把握したものである。そしてこれらを通じて朝鮮人捕虜監視員が終戦後、戦犯者として処罰を受けなければならなかった原因が日本の強制動員によったものであったことを明確にした。

      • KCI등재

        중일전쟁 이후 조선군의 ‘평양사단’ 증설과 그 의미

        조건 숭실사학회 2020 숭실사학 Vol.0 No.44

        Imperial Japan created the 30th Division in Pyeongyang in May 1943 when it looked destined for certain defeat during the second World War. The 30th Division, so-called Pyeongyang Division, was stationed in colonized Joseon along with the 20th Division in Gyeongsung and the 19th Division in Nanam. In other words, the 30th Division showed the status of division stationed permanently to conduct colonial rule and a war of aggression surrounding Pyeongan-do unlike other divisions built in haste to defend the Korean Peninsula at the end of the war. The 30th Division was created in the period of the 74th Regiment under the 19th Division, the 77th Regiment under the 20th Division and the 41th Regiment stationed in Fukuyama, Japan. Its border guard area was in the whole area of Pyeongando and its headquarters were in Pyeongyang. But when main force unit moved to the front of Philippines in May 1944, one year after its creation, the period of being completely stationed in border guard area as the division stationed permanently was not so long. Nonetheless, at some points it has been brought to our attention that 'Pyeongyang Division' was created and stationed. Firstly, the intention of military rule by dividing the Korea Peninsula into three could be seen. The purpose of creating the 30th Division can be limited to just rule the Korean Peninsula but it is significantly meaningful that there was change in 2 divisions system which have been kept for more than 20 years since 1921 when Japanese forces was permanently stationed in Joseon. Secondly, military status and changed role in colonial Joseon could be understood. It was judged that the 30th Division was stationed surrounding Pyeongyang to prepare for Sino-Japanese War. While the 20th Division focused on security in Joseon since its creation, the 19th Division could be said to be the division to prepare for a war against the Soviet Union. Along with this, there was a need of unit which conducted a war against China shortly after Sino-Japanese War. Thirdly, the study on the 30th Division is helpful in examining military mobilization of Koreans and its damage. The 30th Division was in the period of existing an infantry regiment stationed in Joseon. Accordingly, the young in Joseon originally mobilized to the infantry regiment were arranged to the 30th Division. In addition, not a few of student volunteer soldiers enlisted in January 1944 were assigned to Pyeongyang Division. In other words, it is required to understand the presence, formation and activity of the 30th Division in order to examine military mobilization of people in Joseon. Fourthly, many military remains built to make the 30th Division stationed in the whole area of current Pyeongyang in North Korea are verified. The truth is identified through drawings and aerial photographs remaining in Korea currently from that time and the joint study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can be conducted as a medium of Japan's invasion and colonial rule into the Korean Peninsula by conducting site inspection through exchanges with North Korea and emphasizing its historic meaning in the future. 제국주의 일본은 제2차 세계대전의 패색이 짙어가던 1943년 5월 평양에 제30사단을 신설하였다. 이른바 평양사단으로 불리던 제30사단은 경성의 제20사단, 나남의 제19사단과 더불어 식민지 조선에 상주(常駐)하게 되었다. 즉 제30사단은 전쟁 말기 한반도 방어를 위해 급조되었던 여타 사단과 달리 평안도를 중심으로 식민지 지배와 침략전쟁을 수행하는 상주사단의 위상을 지니고 있었던 것이다. 제30사단은 애초 제19사단 소속이었던 제74연대와 제20사단 예하의 제77연대, 그리고 일본 후쿠야마 주둔 제41연대를 기간으로 성립되었다. 위수지역은 평안도 일대였으며 사령부는 평양이었다. 다만, 창설된 지 1년만인 1944년 5월 필리핀 전선으로 주력부대가 이동하면서 상주사단으로서 위수지역 내에 온전히 주둔한 기간은 길기 않았다. 그럼에도 ‘평양사단’의 설치와 주둔은 몇 가지 점에서 주목된다. 첫째, 한반도를 삼분해서 군사 지배하려는 의도를 엿볼 수 있다. 제30사단의 창설 목적이 한반도 지배에만 있었다고 할 수는 없으나 조선 주둔 일본군의 상주화가 완료되는 1921년 이래 20년에 넘게 유지되던 상주 2개 사단 체제가 변모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는 자못 크다. 둘째, 식민지 조선의 군사적 위상과 역할 변화를 파악할 수 있다. 제30사단이 평양을 중심으로 주둔하게 된 것은 다분히 중일전쟁에 대비한 것으로 판단된다. 제20사단이 창설 이래 조선 내 치안을 중점에 두었다면, 제19사단은 소련과 전쟁에 대비한 군대라는 측면이 강했다. 이와 함께 중일전쟁 직후 중국에 대한 전쟁을 수행할 수 있는 부대가 필요했던 것이다. 셋째, 제30사단에 대한 연구는 조선인 군사 동원과 피해를 조명하는 데도 도움을 준다. 제30사단은 조선에 주둔했던 기존의 보병연대를 기간으로 하고 있었다. 따라서 이들 보병연대에 애초 동원되어 있었던 조선인 청년들이 그대로 제30사단에 배치되게 된다. 또한 1944년 1월 입영한 학도지원병 역시 적지 않은 수가 평양사단에 배치되었다. 즉, 조선인 군사동원을 규명하는데 제30사단의 주둔과 편제, 활동 등을 파악하는 일이 요구되는 것이다. 넷째, 현재 북한 평양시 일대에는 제30사단의 주둔을 위해 건설되었던 군사유적이 다수 남아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국내에 남아 있는 당시 도면과 항공사진 등을 통해 그 실체가 파악되고 있는데 향후 북한과의 교류를 통해 현장을 실사하고 그 역사적 의미를 부각하여 일제의 한반도 침략과 지배를 매개로 한 남북 공동 연구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일제의 아시아태평양전쟁기 조선인 ‘戰死者’ 정책과 식민 지배

        조건 역사와 교육학회 (구 동국대학교 역사교과서연구소) 2021 역사와 교육 Vol.32 No.-

        제국주의 일본은 아시아태평양전쟁기 식민지 조선의 청년들을 전쟁에 동원하였 다. 이들 중 약 2만 1천명이 사망하였다. 일제는 이들을 ‘전사’로 규정하고 야스쿠니 신사에 합사시켰다. 이글은 일제의 조선인 전사자 정책을 살펴보고 이것이 식민지 지배와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 고찰하였다. 우선 일본군 보훈 제도를 개략적으로 기술하였다. 이어서 1937년 이후 일본군의 ‘전사’ 정의에 관해 살펴보았다. 일본군은 1938년과 1942년의 규정에서 전사를 전장 에서 사망하거나 부상 후 야전병원 등에 도착하기 전 사망한 것으로 정의했다. 전사 의 엄격한 규정은 전사자에 대한 ‘현창’으로 이어졌다. 특히 일제는 전사자 현창을 식 민지 조선에 대한 식민지배와 결부시켰다. 조선인 전사자들은 조선사회에서 더 높 은 숭배의 대상이 되었다. 일제는 조선인 전사자를 포상하고 이를 조선사회에 널리 선전하였다. 특히 첫 번 째 전사자가 갖는 상징적인 의미를 극대화하기 위해 이들에게 과한 훈장을 수여했 다. 그리고 죽음을 미화하여 조선 사회에 널리 유포시켰다. 유족들에 대한 지원도 아 끼지 않았다. 나아가 남겨진 자녀들에게까지 추도를 금기시 하고 현창을 위한 교육 을 시행하였다. 이러한 모든 과정은 결국 침략전쟁을 지속하기 위해 일제가 계획한 식민과 죽음의 굴레였다. Imperial Japan mobilized the youth of colonial Joseon during the Asian-Pacific War. Of these, about 21,000 died. The Japanese colonized them as killed in action and enlisted them at Yasukuni Shrine. This article examined the Japanese colonial policy of the deceased Koreans and how it was related to colonial rule. First of all, the Japanese military veterans system was described. Next, we looked at the definition of “killed in action” prescribed by the Japanese military after 1937. In the regulations of 1938 and 1942, the Japanese military defined a dead person as a person who died on the battlefield or after an injury and before arriving at a field hospital. The strict regulations of the killed in action led to the commendation(顯彰) for the killed in action. In particular, the Japanese imperial ties the commendation of the deceased with colonial rule over colonial Joseon. The dead Koreans became the object of higher worship in Joseon society. The Japanese imperialism rewarded the Korean dead and widely advertised it to the Korean society. In particular, in order to maximize the symbolic meaning of the first killed in action, excessive medals were awarded to them. In addition, death was glorified and widely circulated in Joseon society. He also spared no support for his bereaved family. Furthermore, the memorial service was taboo to the children who were left behind, and education for commendation was implemented. All of these processes were ultimately a bond between colonization and death, plann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to continue the war of aggression.

      • KCI등재

        영화 ‘상록수’에 재현된 최용신의 변화상

        조건 역사와교육학회 2019 역사와 교육 Vol.29 No.-

        Choi Yong-shin who died in 1935 has been reproduced in various ways. She was drawn as a heroine in Sanglogsu(Evergreens) written by Shim hoon and reproduced in movies and dramas thereafter. On all such occasions, Choi Yong-shin is like original Choi Yong-shin and in the other cases she became Choi Yong-shin reflecting the recognition of the contemporary time. Choi Yong-shin has been changed to be drawn tailored to the necessity in the time and situation. Shim hoon tried to make a move of his novel. He wrote a film script right after writing his novel and contacted potential film company and actors and actress to make a film. But it was in 1961 when Sanglogsu was filmed by Shin Sang-ok. Director Shin Sang-ok reproduced a scenario of Sanglogsu by Shim hoon exactly. It was judged as having the intention of being faithful to the original story of Shim hoon. Secondly Sanglogsu was filmed by Director Lim Gwon-taek in 1978. He gave a lot of changes in the characters of Dong-hyuck and Yong-shin while keeping the original script. In particular the director emphasized masculinity shown in Dong-hyuck and displayed a tendency of highlighting Yeong-shin's Femininity. Yeong-shin in the movie of ‘Shinglogsoo’ in 1961 and 1978 which is seen in this writing is similar to Yeong-shin drawn by Shim hoon but meanwhile was drawn as an individual identity. While Yeong-shin in 1961 film is similar to Yeong-shin in Shim hoon's novel, Yong-shin in a movie in 1978 was reproduced as different identity. As a result, original Yong-shin, Yeong-shin in a novel by Shim hoon and Yeong-shin drawn in a 1978 move are different in various ways. This different appearance of Choi Yong-shin appears related to real one but she can be express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demand of reproduced contemporary time. The reproduction of Choi Yong-shin in 1960s and 1970s respectively happened in the way the contemporary society wanted. Accordingly when looking at Yeong-shin in each time, it is impressive in that we can identify our recognition and social aspect. 1935년 세상을 떠난 최용신은 이후 다양한 방식으로 재현되어 왔다. 우선 심훈이 소설 상록수 속 여주인공으로 그렸고, 이후 영화와 드라마 등에서 거듭 구현되었다. 그때마다 최용신은 원래의 최용신이기도 했고 당대의 인식을 반영한 채영신이기도 했다. 시대와 상황은 그 필요에 맞게 원래의 최용신을 변용해서 그렸던 것이다. 심훈은 애초부터 자신의 글을 영화화하려고 하였다. 소설 집필 직후 바로 시나리오를 작성했고, 영화화를 위해 영화사와 배우 등을 섭외하기도 했다. 그러나 상록수 가 영화화된 것은 1961년 신상옥 감독에 의해서였다. 신상옥 감독은 심훈의 시나리오 「상록수」를 거의 그대로 재현하였다. 다분히 심훈의 원작에 충실하려는 의도가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두 번째로 상록수 를 영화화한 것은 1978년 임권택 감독이었다. 그는 기존 원작의 틀은 유지하면서도 동혁과 영신의 캐릭터에는 많은 변화를 주었다. 특히 동혁의 남성성을 더욱 강조했고, 영신의 여성성 역시 강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이글에서 살펴본 1961년과 1978년 각각 상영된 영화 ‘상록수’의 영신은 자못 심훈의 영신을 닮았으면서도 또 한편 그와는 별개의 인격체로 그려지기도 했다. 1961년이 그나마 심훈의 영신과 유사하다면, 1978년의 그녀는 사뭇 다른 사람으로 재현되었다. 결과적으로 원래의 최용신과 심훈의 소설 속 영신, 그리고 1978년의 영신은 여러 면에서 차이를 보인다. 이렇듯 달라지는 최용신의 모습은 애초 그녀의 실제 모습과 관련지어 나타나기도 하지만, 재현되는 당대의 요구에 따라 달리 표현되기도 했다. 1960년대와 1970년대 최용신의 재현은 곧 당대 사회가 원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따라서 각 시대별 영신의 모습을 살펴보면, 당시 우리의 인식과 사회상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 e-Business와 공급사슬관리

        조건 전남대학교기업경영연구소 2001 經營情報 Vol.12 No.2

        공급사슬관리는 전세계적으로 현재 태동기 또는 성장기에 위치해 있다고 할 수 있으며, 국내 공급사슬관리는 학계 및 기업을 중심으로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직 태동기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국내 공급사슬관리는 자동차, 전자 등에 관련된 대형 제조업 중심으로 도입을 검토하고 있으며, 특히 기업자원계획(Enterprise Resouce planning : ERP) 시스템을 이미 도입한 기업들을 중심으로 국산 공급사슬관리 솔루션 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나 아직은 기초적인 단계에 머무르고 있다. 아울러, i2 Technologies, QAD, Manugistics, Logility 등과 같은 외국계 전문 공급사슬관리 업체들은 물론 SAP, Oracle, Baan, PeopleSoft 등의 ERP 업체들이 공급사슬관리 관련 제품들을 개발하여 국내에서 활발한 마케팅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아직은 본격적으로 이러한 제품들을 도입한 국내 기업들이 많지 않은 실정이지만, 2002년에는 국내 공급사슬관리 시장이 1800억원 이상 규모에 이르는 급속한 성장이 예상되므로 국내 공급사슬관리 솔루션 개발의 활성화 및 제품경쟁력 확보를 위한 대책 마련이 매우 시급한 실정이다. 이는 현재와 같은 상황이 계속된다면 국내에서 개발한 공급사슬관리 솔루션보다는 기술과 적용 know-how, 마케팅 능력이 앞선 외국산 제품이 국내 시장을 지배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