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콩 생식생장단계별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Riptortus clavatus)흡즙에 의한 콩 종실 피해

        정진교,윤종탁,임대준,박종호,김욱한,Jung, Jin-Kyo,Youn, Jong-Tag,Im, Dae-Joon,Park, Jong-Ho,Kim, Uk-Han 한국응용곤충학회 2005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4 No.4

        콩 생식생장 단계별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를 접종하거나, 침으로 꼬투리를 치르는 인위적 가해를 통해 콩 종자 피해를 조사하였다. 착협기에 톱다리개미허리노리재 성충을 섭식시켰을 때, 빈 꼬투리와 종자로 전혀 발육하지 못한 판형종자의 생성비율이 종실비대성기에서의 가해보다 높은 것이 관찰되었다. 종실비대성기에 섭식시켰을 때는 종자모양은 거의 정상적이나 종피에 피해흔적이 뚜렷한 종자 수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종자모양이 많이 변형되거나 불완전하게 성숙한 기형종자의 비율은 처리 사이에 차이가 없었고 다른 종자형태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착협시 피해에서 생성된 판 종자의 83%, 종실비대성기에 생성된 피해흔적이 있는 종자의 91%에서 종자 표면 위에 실험곤충의 빨대피막이 관찰되었다. 개화기 섭식은 피해종자 생성에 거의 영향을 주지않았다. 종실비대성기와 성숙기에 침을 이용하여 콩 꼬투리를 찔러 물리적인 가해를 하였을 때, 수확기에 건전한 종자들을 발견할 수 없었고, 피해gms적이 있는 종자의 비율이 기형종자 보다 많았다. 종실비대성기에 침으로 찌른 회수가 많은 경우 판형종자와 기형종자의 비율이 증가하였고, 피해흔적 종자 비율은 상대적으로 감소하였는데 무게감소 비율은 적게 찌른 경우 보다 상대적으로 켰다. 그러나 성숙기 인위적 가해에서는 수확종자의 무게감소가 나타나지 않았다. Soybean seed injury was analyzed in the experiments that soybean pods were allowed to be sucked by adults of the bean bug, R. clavatus, and were picked with a specimen pin. While attack by the bean bug at podding stage of soybean caused the increase of empty pods and completely-undeveloped seeds, attack at full seed stage caused the increase of seeds wi distinct injury mark on seed-coat. The ratio of deformed seed was lower than those of injury-marked seed and undeveloped seed when attacked during all stages. In at full bloom stage hardly produced injury-marked seeds and deformed seeds. When the injured seeds were dyed with acid-fuchsine solution, stylet sheaths of R. clavatus formed on seed-coat were observed in 83% of undeveloped seeds formed under attack during podding stage and in 91% of injury-marked seeds formed during full seed stage. In pods injured with a specimen pin at full seed and full maturity stages, no healthy seeds could be obtained from the pods. And the more picked at full seed stage, the more deformed seeds were produced and the higher weight reduction of injury-marked seed occurred. However, pin-injury at full maturity stage didn't give rise to weight reduction of seeds.

      • KCI등재

        열대거세미나방 유충 사육을 위한 반합성 인공사료

        정진교,김은영,김이현,안정준,이관석,서보윤,Jung, Jin Kyo,Kim, Eun Young,Kim, I Hyeon,Ahn, Jeong Joon,Lee, Gwan-Seok,Seo, Bo Yoon 한국응용곤충학회 2020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9 No.3

        열대거세미나방(Spodoptera frugiperda)(밤나방과) 유충을 사육하기 위해 강낭콩과 맥아, 콩, 전지분유, 설탕을 주 영양분으로 구성한 두 종류(N4와 N6)의 반합성 인공사료를 개발하였다. 25℃와 광주기 15:9 h(명:암) 조건으로 페트리접시(지름 50 × 10 mm, 19.6 ㎤) 안에서 1령 유충을 각 사료로 개체별로 사육하였을 때, 6령 유충까지 관찰되었다. 용화율은 N4에서 평균 97.8%로 N6의 85.6%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번데기의 우화율은 각각 92.0과 93.5%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암컷 유충의 발육기간은 N4에서 17.9일, N6에서 17.7일이었고 수컷은 N4에서 18.7일, N6에서 18.5일이었는데, 사료 및 암수 사이에 차이는 없었다. 번데기 기간은 암컷이 11.1일, 수컷은 12.8일로 각 사료에서 동일하였는데, 암수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번데기 무게는 N4에서 257 mg로 암수가 동일하였고 N6 사료에서는 암컷이 256 mg, 수컷이 263 mg이었는데, 사료 및 암수 사이에 차이는 없었다. 각 사료로 자란 암컷 성충의 수명은 N4에서 8.6일에 비해 N6가 13.8일로 길었다. 산란전 기간은 N4에서 5.0일, N6에서 4.2일로 차이는 없었다. 산란기간은 N6사료에서 6.5일로 N4의 3.9일 보다 유의하게 길었다. 암컷당 유효 산란수는 N6에서 1,392개(최대 1,776개)로 N4사료에서의 942개(최대 1,694개)보다 많았으나, 사료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N4와 N6 각각에서 알의 부화율은 79.2%와 79.8%이었고, 알 기간은 3.0일과 2.9일이었는데, 사료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Two meridic diets, N4 and N6, containing pinto bean, wheat germ, soybean, whole milk and sucrose as main nutrients were developed for rearing Spodoptera frugiperda (Noctuidae) larvae. Six larval instars were observed when neonate larvae were individually raised on these diets in small petri-dishes (ø 50 × 10 mm, 19.6 ㎤) at 25℃ and 15:9 h (light:dark) photoperiod. The average pupation rate of 97.8% on the N4 die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rate of 85.6% on N6 diet. The emergence rates were 92.0% on N4 diet and 93.5% on N6 diet, with a non-significant difference. The larval periods were 17.9 and 17.7 days for females, and 18.7 and 18.5 days for males, for N4 and N6 diets, respectively, with non-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diets and sexes. The pupal periods on both diets were identical (11.1 days for females and 12.8 days for males), despite differences between sexes. The pupal weights of both sexes on N4 diet were identical with a value of 257 mg, whereas those on N6 diet were 256 and 263 mg for females and males, respectively, with a non-significant difference. The longevity of female adults that emerged on N6 diet was 13.8 days and longer than 8.6 days on N4 diet. The pre-oviposition periods were 5.0 and 4.2 days on the N4 and N6 diets, respectively, with a non-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the oviposition period of 6.5 days on N6 diet was longer than the period of 3.9 days on N4 diet. The effective fecundity on N6 diet was 1,392 eggs (maximum 1,776) and was higher than that of 942 eggs (maximum 1,694) on N4 diet, with a non-significant difference. The egg hatching rates on N4 and N6 diets were 79.2 and 79.8%, and egg periods were 3.0 and 2.9 days, respectively, with non-significant differences.

      • KCI등재

        팥나방(Matsumuraeses phaseoli)과 어리팥나방(M. falcana)의 종간 교잡과 접합후 생식격리

        정진교,박창규,문중경,김은영,조점래,서보윤,Jung, Jin Kyo,Park, Chang-Gyu,Moon, Jung-Kyung,Kim, Eun Young,Cho, Jum Rae,Seo, Bo Yoon 한국응용곤충학회 2019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8 No.4

        동소동속종인 팥나방(Matsumuraeses phaseoli)과 어리팥나방(M. falcana)(나비목: 잎말이나방과) 사이에 교잡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실험실에서 인위적으로 두 종을 교잡시켰다. 두 종의 암수를 교차하여 교미시켰을 때, F1 잡종세대가 발생하였다. 두 잡종세대 집단을 집단 내 및 집단 간 암수를 교차하여 교미시킨 경우들에서, 팥나방 암컷과 어리팥나방 수컷이 교잡되어 생성된 F1 잡종세대 집단(H집단)의 암컷이 같은 집단의 수컷 혹은 다른 집단의 수컷과 교미되었을 때, F2 후대를 거의 생성하지 못했다. 다른 집단으로 만들어진 F2 세대는 집단 내 교미에서 F3 세대를 생성시켰다. F1 잡종세대 집단 암수와 팥나방 혹은 어리팥나방 암수를 각각 교차하여 교미시킨 역교잡 8개 집단 중에서도 H집단의 암컷과 짝지어진 어미세대 수컷 집단 2개는 전혀 산란하지 못했다. 후대가 생성된 다른 6개 집단은 모두 집단 내 암수 교미에서 역교잡 F2 세대를 생성하였다. 이 결과는 팥나방 암컷과 어리팥나방 수컷이 교미하였을 경우 F1 후대잡종을 생성할 수 있으나, 이 F1 후대잡종 암컷은 불임이 되는 것을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두 종 사이에 접합후 생식단계에서 부분적인 생식격리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을 나타냈다. Artificial interspecific matings between Matsumuraeses phaseoli and M. falcana (Lepidoptera: Tortricidae) were conducted to know the possibility of hybridization of the two sympatric species. Reciprocal crossings successfully produced F1 hybrids. Most of F2 crosses yielded progenies except all mating trials with females of F1 hybrid obtained from M. phaseoli female. Inbreedings of the F2 hybrids produced F3 progenies. In backcrossings between F1 hybrids and parent lines, all the two mating trials with females of F1 hybrid obtained from M. phaseoli females did not produce any progeny, while other 6 backcrosses produced the next generations. Inbreedings of the backcross lines also produced subsequent progenie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F1 females produced from hybridization between M. phaseoli females and M. falcana males were sterile. Conclusively, it suggested that a partial reproductive isolation at a postzygotic stage can occur between the two sympatric species.

      • KCI등재

        찰옥수수 포장에서 1세대 조명나방(Ostrinia furnacalis) 방제를 위한 살충제 처리 시기

        정진교,서보윤,정인홍,김은영,이시우 한국응용곤충학회 2021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60 No.4

        찰옥수수 재배기간 중에 조명나방의 발육태별 밀도 변화와 옥수수의 피해 양상, 유기합성살충제 처리 효과 조사를 통해 1세대 조명나방 유 충에 대한 적절한 방제시기를 결정하였다. 수원 지방에서 2016년 4월 20일에 일미찰 옥수수를 파종하고 7월 26일(옥수수 호숙기)에 수확하였다. 성페로몬트랩 조사에서 1화기(월동세대) 성충은 5월 29일 최대발생 피크를, 5월 31일에 50% 누적 발생을 보였다. 1세대 조명나방 유충의 대부 분은 찰옥수수 생식생장기 초기인 7월 초까지 발육하였다. 1세대 조명나방 유충은 먼저 말린 잎 안에서 가해하고 이후 수술과 줄기로 이동하여 가 해하고, 마지막으로 줄기와 이삭으로 이동하여 가해하였다. 시기별로 살충제를 처리한 후 피해 억제 효과를 검정한 결과, 찰옥수수 9~11엽기 (late whorl stage)(6월 10~17일)가 에토펜프록스 유제의 유효한 처리시기였고, 6~7엽기(mid-whorl stage)(6월 3일)가 카보퓨란 입제의 유효한 처리시기였다. 이 시기들은 두 살충제에 대해 성충 최대포획일 12~19일 후와 5일 후였고, 50% 누적발생일 기준으로는 2일씩 앞당겨졌다. We decided the efficient application timings of organo-synthetic insecticides for controlling the first generation larvae of O. furnacalis through investigations of insect stage-specific densities, damage aspects in maize, and effects of insecticides. A waxy maize cultivar, Ilmichal, was cultivated from April 20 (sowing) to July 26 (harvest, dough stage of maize) in Suwon, 2016. The maximum and 50% cumulative catch dates of the overwintering generation adults in the sex pheromone trapping were May 29 and May 31, respectively. Most of the first generation larvae finished their occurrence till the early reproductive stage of maize. The first generation larvae fed on leaves inside the whorl leaves before tassel and stem development of maize, sequentially moved to tassel and stem, and then moved finally to stem and ear parts. In the results of insecticide applications at different dates, the 9-11 leaf stage (June 10~17) and the 6-7 leaf stage (June 3) of maize were the most efficient application timings for direct spray of Etofenprox EC to maize, and for application of Carbofuran granules onto soil surface, respectively, which resulted in suppression of tunnelling damages. The timings for the two insecticides were 12-19 days and 5 days after the adult maximum catch date, respectively. Those timings after the 50% cumulative adult catch date were advanced 2 days.

      • Sand Drain재로서의 바순모래 특성

        정진교,정성교 동아대학교 공과대학 부설 한국자원개발연구소 1994 硏究報告 Vol.18 No.1

        It is needed much backfill to construct the roadway, the railway, the airport, the factory site and the dam. But Since there is not plentiful of resource. To provide against the give-out of resource, We want to develop the substitute resource for the use of the construction material. In this study, We want to use the crashed-sand from by-product in the process of the coarse gravel as the sand-drain materials.

      • KCI등재

        Ostrinia속(나비목: 포충나방과) 팥 해충의 종 동정과 발육 특성

        정진교,서보윤,박두상,오현우,이관석,박해철,조점래,Jung, Jin Kyo,Seo, Bo Yoon,Park, Doo-Sang,Oh, Hyun-Woo,Lee, Gwan-Seok,Park, Hae-Chul,Cho, Jum Rae 한국응용곤충학회 2012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1 No.4

        본 연구에서는 팥의 꼬투리와 줄기를 가해하는 Ostrinia속 해충에 대해 종 동정 과정을 기술하였고, 사육하면서 관찰된 발육특성들을 보고하였다. 수컷의 생식기는 3-lobed uncus 형태였으며, 가운뎃다리 종아리마디에는 털을 많이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토콘드리아 cytochrome oxidase I (COI)과 II (COII) 유전자의 부분 염기서열은 콩줄기명나방(O. scapulalis), 큰섬들명나방(O. zaguliaevi), 큰조명나방(O. zealis bipatrialis)들에 대해 일본과 중국에서 보고된 서열들과 100% 일치를 보이는 종은 없었다. 기주식물 범위는 국내외 보고들 간에 일치하지 않았다. 암컷 성페로몬샘 추출물의 가스크로마토그래피 분석에서 큰섬들명나방과 큰조명나방의 성페로몬 성분인 (Z)-9-tetradecenyl acetate는 검출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하여 고려하였을 때, 본 연구의 팥 해충을 가해하는 곤충 종은 콩줄기명나방(O. scapulalis)일 것으로 추정되었다. 가을 야외에서 채집된 유충들을 야외조건에서 보관하였을 때, 이듬해 6월과 7월 사이에 성충들이 우화하였는데, 이 결과로부터 본 곤충 종은 말령 유충 단계에서 겨울휴면을 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외에 반합성 인공사료를 이용하여 실내 사육이 가능하였다. Ostrinia larvae feed the pods and stem of red bean and seriously damage the bean production from farmer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biological and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including field collection, host feeding preference, artificial rearing diet, morphological and molecular taxonomical identification, and pheromone analysis for an Ostrinia sp. in Korea. The male adults have massive tibia in the middle legs and 3-lobed uncus in the genitalia. The partial nucleotide sequences of mitochondrial cytochrome oxidase I (COI) and II (COII) were not corresponded to those DNA sequences from other Ostrinia species reported previously in Japan and China. Host plants for this species are also different from the previous species reported. In the gas chromatography (GC) analyses, (Z)-9-tetradecenyl acetate was not detected from the pheromone gland of our species while the component as a sex pheromone was found in O. zaguliaevi and O. zealis, With taken results, we conclude this Ostrinia species in Korea is Ostrinia scapulalis or closely related species. When larvae collected in a fall were incubated in the outdoor condition, they emerged to adult between June and July in the next year.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 winter diapause could be started in late larval stage. In addition, we developed a semi-synthetic artificial diet adopted for mass rearing of the O. scapulalis in laboratory.

      • KCI등재

        콩 종실비대성기에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가해에 의한 피해 해석

        정진교,서보윤,윤종탁,박종호,조점래,Jung, Jin-Kyo,Seo, Bo-Yoon,Youn, Jong-Tag,Park, Jong-Ho,Cho, Jum-Rae 한국응용곤충학회 2010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9 No.4

        콩 종실비대성기에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노린재목: 호리허리노린재과)에 의한 콩 피해 정도를 파악하고자 망사로 씌운 콩 포트에 실험곤충을 접종하여 수확기에 피해를 조사하였다. 콩 종실비대성기에 실험곤충 2령부터 성충까지 접종하였을 때, 수확된 종자 수와 기형종자(C형)의 비율은 대조구이에 비해 차이가 없었으나, 2령을 제외한 다른 모든 발육태들은 흡즙 흔적이 있는 종자(B형)를 많이 생성하였다. B형 종자 생성 수는 2령과 5령 약층에서 적었으나, B형종자의 무게감소율은 5령 약층에 의한 피해에서 가장 컸다. 성충 수를 증가시켜 접종하였을 때, 수확된 종자수는 대조구에 비해 차이가 없었으나, B형 종자의 생성비는 4, 8, 16마리 접종구에서 유의하게 컸으며, C형종자 비율은 16마리 접종구에서만 대조구에 비해 컸다. 곤충 접종기간을 달리하였을 때는 전체 꼬투리 수는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으나 수확된 종자 수는 실험곤충을 수확기까지 방치한(48일) 처리구에서 현저하게 적었다. 이중 B형종자 비율은 8일과 16일간 접종된 것들이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 C형종자 비율은 수확기까지는 장기간 실험곤충을 방치한 처리에서 그 값이 대조구에 비해 높았다. 결과적으로 종실비대성기의 피해는 흡즙흔이 있는 종자들 주로 생성하면서, 곤충 밀도와 가해 기간이 어느 한계 이상으로 증가할 때 기형종자가 생성되고 때로는 종자들이 탈락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피해입률은 곤충 수와 접종기간 각각에 대해 정의 상관관계로 증가하는 것을 보였다. Soybean seed injury was analyzed in the experiments in which the bean bug, Riptortus pedestris(Hemiptera: Alydidae), was released into screen-caged pots containing full seed stage(R6) of soybean. When the different stages of insects, from the 3rd instar nymphs to adults, were released into pots during 8 days in soybean R6 stage, soybean seeds with injury marks (B-type seeds) increased. The weight reduction ratio in B-type seeds was highest in the injury by the 5th instar nymphs, while the daily-produced number ratio of B-type seeds was small in the treatment. In the injury by the different number of adult released into pots, 4, 8, 16 adults caused a significant increase of B-type seeds, while 16 adults caused the significant increase of the deformed (C-type) seeds. In the injury by the different release period of adults, the total number of pod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reatments, while the total seed number harvested was significantly small in the release for 48 days. The release for 8 and 16 days caused a significant increase of B-type seeds, while the release for 48 days caused the increase of C-type seeds. The results indicated that injury of soybean R6 stage by the bean bug produced soybean seeds with distinct injury marks at relatively low density and during short term attack period, while it produced deformed seeds at high density and during long attack period.

      • KCI등재

        수원지방에서 콩과 옥수수 가해 밤나방과의 잠재해충에 대한 종 동정과 연중 성충 발생 추정

        정진교,김은영,김이현,서보윤,Jung, Jin Kyo,Kim, Eun Young,Kim, I Hyeon,Seo, Bo Yoon 한국응용곤충학회 2020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9 No.2

        수원지방에서 콩과 옥수수에 대한 잠재적인 해충으로 밤나방과의 열대거세미나방(Spodoptera frugiperda)과 담배거세미나방(S. litura), 파밤나방(S. exigua), 콩은무늬밤나방(Ctenoplusia agnata), 뒷흰가는줄무늬밤나방(Mythimna loreyi ), 뒷흰날개담색밤나방(Athetis dissimilis), 꼬마담색밤나방(A. lepigone)을 수컷 성충의 날개 무늬와 생식기 형태 및 미토콘드리아 시토크롬 옥시다제 1 유전자 부분 염기서열을 비교하여 해당 종들을 동정하였다. 꼬마담색밤나방을 제외한 6종에 대해서는, 2019년 성페로몬트랩에서 관찰된 연중 밀도변동 자료와 온도에 따른 발육과 생식모델들을 이용하여 관찰 세대로부터 다음 세대 성충의 발생시기를 예측한 자료로, 해당 종이 1년 안에 성충 세대가 몇 회 연속하여 발생할 수 있는가 추정하였다. 열대거세미나방은 7월 27일부터 10월 31일까지 포획되었는데, 수원 지방의 자료만으로는 3회 성충이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그러나 다른 지방에서 관찰된 6월 중하순의 유충 발생 자료를 고려하여, 수원지방에도 연중 4회 성충이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담배거세미나방은 5월 29일부터 11월 6일까지 포획되었고, 파밤나방은 5월 14일부터 11월 6일까지, 콩은무늬밤나방은 5월 26일부터 10월 25일까지, 뒷흰가는줄무늬밤나방은 5월 31일부터 11월 23일까지 포획되었다. 이들 4종도 성충 세대가 연중 최소한 4회 발생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뒷흰날개담색밤나방은 5월 26일부터 9월 11일까지 포획되었고, 연 2회 발생이 추정되었다. 두 종의 Athetis속 나방을 제외한 다른 다섯 종들의 첫 발생 성충세대들은 다른 지역으로부터 비래했을 것으로 가정되었다. Adults of seven noctuid potential pests (Spodoptera frugiperda, S. litura, S. exigua, Ctenoplusia agnata, Mythimna loreyi, Athetis dissimilis, and A. lepigone) of soybean and maize in Suwon, Korea were identified by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in the wing pattern and male genitalia and partial mitochondrial DNA sequences of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1 gene. The generation number of adults that emerge annually in six species (except A. lepigone) was estimated from the data on density fluctuations of adults caught in sex pheromone traps in 2019 and the forecasted data using temperature-associated development and reproduction models for those species. S. frugiperda adults were caught from July 27th to October 31st in 2019, and hence were initially estimated to emerge three times per year. But, it was finally expected that S. frugiperda adults could possibly emerge a total of four times per year in Suwon, considering larval emergence observed during mid- and late June in other areas. Adult emergence of S. litura, S. exigua, C. agnata, and M. loreyi in 2019 was observed from May 29th to November 6th, from May 14th to November 6th, from May 26th to October 25th, and from May 31st to November 23rd, respectively. Annual adult emergence of these four species was estimated as at least four times. Adults of A. dissimilis were caught from May 26th to September 11th in 2019, and adult emergence was estimated at only twice per annum. It was postulated that the first adult populations of five species except the two Athetis species were probably migrated from other areas.

      • KCI등재

        팥 포장에서 나비목 해충의 발생과 피해 양상

        정진교,서보윤,조점래,권윤희,김길하,Jung, Jin-Kyo,Seo, Bo-Yoon,Cho, Jum-Rae,Kwon, Yun-Hee,Kim, Gil-Ha 한국응용곤충학회 2009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8 No.1

        팥포장에서 꽃과 꼬투리, 줄기에 피해를 입히는 나비목 곤충들로 콩명나방(명나방과), 팥나방(잎말이나방과), Ostrinia spp. (명나방과) 3종이 주 해충으로 발견되었는데, 포장 안의 거의 모든 식물체가 세 종 중 적어도 한 종 이상에 의해 가해를 받은 흔적이 있었으며, 꽃과 꼬투리의 $15{\sim}60%$ 정도가 피해를 받았다. 또 개화되지 않은 화서가 생식생장기 동안 계속 출현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미개화 화서의 지속적 출현은 꽃 피해에 의한 보상작용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전체 관찰기간을 통해 콩명나방 유충의 평균밀도가 가장 높았는데, 시기적으로는 팥 생식생장기 중기까지 콩명나방이 우점하였으나 후기에는 Ostrinia spp.가 우점하였다. 콩명나방 유충은 1령부터 5령까지 모든 영기가 관찰되었고, 팥나방은 3령기 이후의 유충 영기들이 관찰되었다. 두 해충 모두 개화기에는 꽃과 줄기에서 주로 관찰되었고 개화기 이후에는 꼬투리에서 더 많이 관찰되었다. Ostrinia spp. 유충은 3령기 이후 영기들이 개화기가 지난 다음부터 관찰되었는데 꼬투리와 줄기에서 발견되었다. Three lepidopteran insect pests of the legume pod borer, Maruca vitrata (Lepidoptera: Pyralidae), the soybean pod worm, Matsumuraeses phaseoli (Lepidoptera: Tortricidae) and an Ostrinia spp. (Lepidoptera: Pyralidae) attacking adzuki bean, Vigna angularis, were confirmed as the major insect pests during the reproductive developmental stage of adzuki bean, and M. vitrata existed dominantly. Almost all plants in the adzuki bean field were injured by at least one of the three species, and $15{\sim}60%$ of reproductive organs were injured. Unbloomed inflorescence occurred continuously through the reproductive stage of adzuki bean. While the flower was many at the early stage and its number soon decreased, the pod was few at the early stage, but its number increased soon and maintained at a constant level.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adzuki bean injured by insect pests compensate the flower loss by developing new inflorescence, but the compensation do not cause the development of new pods. While M. vitrata and M. phaseoli were observed in flowers, pods and stem mainly during the first half of reproductive stage of adzuki bean, Ostrinia spp. was observed only in pods and stem during the second half. In addition, while all instars of larvae of M. vitrata were observed, larvae between the third and fifth instars for M. pahseoli and Ostrinia spp. were observed.

      • 풀무치의 온도의존 발육 특성

        정진교,이관석,고영호,최덕수,서보윤,이시우 한국응용곤충학회 2017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7 No.10

        몇 항온조건에서 풀무치(Locusta migratoria)(메뚜기목: 메뚜기과)를 사육하여 발육특성 자료를 얻었다. 알은 16~35℃사이에서 부화하였고, 40℃와 45℃에서는 부화하지 못했다. 20℃ 이하 온도에서 알 기간은 5달 이상, 35℃에서약 11일이었다. 약충은 20~40℃ 사이에서 성충까지 발육하였다. 20℃에서 약 74일, 40℃에서는 약 18일 걸려 우화하였다. 약충 최저발육온도는 18.3℃, 발육완성온일도는 378.3 온일도로 구해졌다. 성충은 30, 35, 40℃에서 산란하였고,25℃ 이하와 45℃에서 산란하지 못했다. 차광된 반야외조건에서 약충 발육 완성 시기는 선형과 비선형 온도의존발육 모델들과 발육완성분포 모델에 의해 추정된 시기와 유사하였다. 그러나 실제 야외에서 관찰된 풀무치 발생시기자료에 근거하여, 약충 발육에 기온보다 더 높은 온도가 필요하다고 추정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