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인성동화에 기초한 문학활동이 3-4세 혼합연령학급 유아의 인성, 이야기 내용이해도, 친사회적행동에 미치는 영향

        정설희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ise and activities that boost Literature Activities based on children’s Books and to examine the effects on young children’s character, story comprehension and pro-social behavior. Specific research questions for the study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effect of literature activities based on stories on young children’s character? 2. What is the effect of literature activities based on stories on the story comprehension of young children? 3. What is the impact of literature activities based on stories on the pro-social behavior of young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6 mixed age 3—4 years-old children from 2 classes in P day care center located in city Incheon-si, with 26 children from one class being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26 children from another class as the control group. ‘Children’s Character Scale for Teacher’s developed by Choi Eun-Ju (2016), ‘Story Content Comprehension Exam Tool’ by Bark Mi-hee (2015), and ‘The Test of pro-social behavior’ by Lee Mi-Na and Baek Hyun-Ok (2013) were used as research tools. The study was conducted in the order of preliminary research through a review of literature and prior research, teacher training, preliminary examination, experimental treatment, and post-examination. The boosting literature activities based on the stories were designed by researchers based on the Nuri-curriculu(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3)’s life subjects and subjects, the ‘Children’s Book about Character’ by Kim Seung–Ju(2019), Jeong Yeung-Hee(2012), Oh Hye-Jeong(2018) Lee Eun-Young(2011). After writing the draft, the researchers verified the content feasibility from two professo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onfirmed its applicability through a preliminary study which was held for a week. The Literature Activities based on Character-related children’s Books of three stages: appreciation–Literature Activities(play/poem composing)– sharing and evaluation, and one week is the basic unit. The first stage, appreciation, was held every Monday through showing various materials on stories related to Character, followed by free choice activities of performing a play, and writing picture letters to the main character. The second stage was held as a small group on Tuesday to recognize and understand the Character situation in the stories, and was held on Wednesday in the order of reminiscing, deciding roles, based on children’s book. the dramatic play and activities poem composing it simultaneously took place. The dramatic play took place in the order of recalling, determining roles, making props, and sharing, poem composing activities consist of recalling fairy tale content, concurrently rewriting, and simultaneous building activities, was held on Wednesday or Thursday. The three step, sharing and evaluation, was conducted in large groups, performing a play in a small unit, introducing the results of the letter written to the main character, and talking about the feelings and thoughts of the play and poem composing.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1.0 program, and the resilience of young children was calculated by calculating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pre-test scores and post-test scores of the experimental and comparative groups, and t test was performed on the increase after subtracting the pre-test scores from the post-test to se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As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e-testing between the two groups, analysis of covariance was conducted.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iterature Activities based on character-related children’s books boosted young children’s character in general, such as respect, share, cooperation, law, honor, consideration. Second, The literature Activities based on character-related children’s books boosted young children’s story comprehension in general, including structural understanding and reasoning understanding of story content. Third, he literature Activities based on character-related children’s books boosted young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in general, including ability to control individual emotion, ability to form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to adapt to school. 본 연구는 인성동화에 기초한 문학활동을 고안, 실시하여, 유아의 인성, 이야기 내용 이해도, 친사회적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인성동화에 기초한 문학활동이 유아의 인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 인성동화에 기초한 문학활동이 유아의 이야기 내용 이해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 인성동화에 기초한 문학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인천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P어린이집 만 3~4세 혼합연령 2개 반 유아 총 52명으로 한 학급의 유아 26명을 실험집단, 다른 학급의 유아 26명을 통제집단으로 임의 배정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최은주(2016)의 「유아인성평정척도」와 박미희(2015)의 「이야기 내용 이해도 검사」, 이미나, 백현옥(2015)의 「친사회적 행동 검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문헌 및 선행연구 고찰을 통한 예비연구, 검사자 훈련 및 예비 검사, 교사훈련,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의 순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인성동화에 기초한 문학 활동’은 교육과학기술부(2012)가 누리과정에 제시한 인성교육프로그램과 김승주(2019), 정영희(2012), 오혜정(2018)의 ‘인성 동화’를 근거로 하여 동화책 선정 및‘인성동화에 기초한 문학활동’을 연구자가 고안한 것이다. 연구자가 시안 작성 후 유아교육전공 교수 2인에게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았으며, 1주간의 예비연구를 통해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인성동화에 기초한 문학 활동은 1주를 기본단위로 동화 감상-문학적활동(동극 및 동시짓기, 극놀이, 그림편지쓰기)-공유 및 평가하기의 3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1단계 동화 감상은 매주 월요일 인성동화를 다양한 자료를 통해 감상하였으며, 그 후 2단계 문학적 활동은 화요일에 소집단으로 동화 속 인성요소가 담긴 상황을 인식하고 문해적, 공감적으로 이해해보는 이야기나누기 활동을 진행하였으며, 동화에 따라 동극이나 동시 짓기 활동으로 진행되었다. 동극은 회상하기, 역할 정하기, 소품 만들기, 공유하기 순서로 동시 짓기는 동화 내용 회상하기, 동시 개작하기 혹은 동시 짓기 활동으로 수요일과 목요일에 진행하였으며, 자유선택활동으로 동화 자료를 이용한 극놀이 활동과 주인공에게 편지쓰기가 진행되었다. 3단계 공유 및 평가하기는 대집단으로 모여 소집단 별 동극 공연하기, 함께 지은 동시 소개하기, 동극 감상한 느낌 및 생각에 대한 이야기나누기로 진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유아의 인성과 이야기 내용 이해도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검사 점수와 사후검사 점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한 후, 두 집단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사후검사에서 사전검사의 점수를 뺀 후 증가분에 대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고, 유아 친사회적 행동은 두 집단 간 사전 검사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성동화에 기초한 문학활동은 유아의 존중, 나눔, 협력, 질서, 효, 배려 등 유아의 인성을 전반적으로 증진시켰다. 둘째, 인성동화에 기초한 문학활동은 이야기 내용에 대한 구조적 이해도, 이야기 내용에 대한 추론적 이해도 등 유아의 이야기 내용 이해도를 증진시켰다. 셋째, 인성동화에 기초한 문학활동은 개인정서 조절능력, 대인관계 형성능력, 교육기관 적응능력 등 유아의 친사회적행동을 전반적으로 증진시켰다.

      • 임신 후기 철 섭취량, 태반 및 신생아 건강지표 간 상관관계

        정설희 전남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임신 3분기 철 요구량 증가로 인해 적정량의 철을 섭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국 임부는 보충제를 통해 많은 양의 철을 섭취하지만 한국인 임부를 대상으로 철 섭취량, 헤모글로빈, 신생아 건강지표 및 태반 철 수송 기전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연구는 미비하다. 또한 국내 외 다태아 출생 수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태아 임부가 필요로 하는 철 섭취량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철 섭취량이 높은 한국의 단태아와 다태아 임부의 철 섭취량, 임부 헤모글로빈, 태반 철 함량, 농도, 태반 내 철 수송단백질 mRNA발현량 및 신생아 건강지표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임신 3분기의 철 섭취량은 식품섭취빈도조사와 식생활조사를 통해 조사하였다. 태반 샘플을 균질화하여 ICP-OES를 사용해 태반 내 철 농도를 측정하였으며 RT-qPCR을 통해 태반 내 철 수송단백질 mRNA발현량을 측정하였다. 임부의 철 섭취량, 임부 헤모글로빈, 태반 철 함량, 농도, 태반 내 철 수송단백질 mRNA발현량 및 신생아 건강지표와의 상관관계는 일반선형회귀모델로 분석하였다. 임부의 철 섭취량과 산모의 헤모글로빈, 태반 내 철 수송단백질 mRNA발현량, 태반 내 철 함량, 농도 및 신생아 건강지표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태반 내 헴철 수송단백질인 FLVCR1 mRNA발현은 태반 무게와 양의 관계, 태반 철 함량과 음의 관계가 있었다. 또한 태반 내 철 함량은 태반효율성, 출생길이와 음의 관계가 있었으며 이러한 관계는 다태아와 단태아 간 차이가 거의 없었다. 따라서 철 섭취량이 많은 한국 임부의 경우 철 섭취량이 산모의 헤모글로빈, 태반 및 출산 결과와 관련이 없으며 태반 내 철 수송은 태반 무게, 태반 효율에 의해 조절된다고 추측할 수 있다. 다태아 임부의 철 요구량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단태아와 다태아 임부는 태반무게 및 철 함량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다태아 임부의 철 수송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한 실정이다. Adequate iron (Fe) intake during pregnancy is essential to meet the increased demands during pregnancy, especially during the third trimester. Korean pregnant women take high amounts of Fe through supplements but the associations among Fe intake, maternal health, neonatal indicators and placental Fe and its Fe transport mechanism have not been studied in Koreans. In addition, despite the increasing number of multiple births, little research has been performed on the Fe intake required for women carrying multiples. Therefore, we analyzed the association of maternal Fe intake, maternal hemoglobin, placental Fe concentration, and placental mRNA expression of Fe transport-related proteins in mothers carrying singletons and multiples in Korea. Fe intake during the third trimester of pregnancy was investigated through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and dietary supplement intake surveys. The placental samples were homogenized and the Fe content was measured using ICP-OES. The mRNA expression of iron transport-related genes in the placenta was measured by RT-qPCR. Associations among maternal Fe intake and maternal hemoglobin, placental Fe content and concentration, expression of placental Fe transport-related mRNA, and neonatal indicators were analyzed using a general linear regression model. No association of maternal Fe intake with maternal hemoglobin, placental Fe transport-related mRNA expression, placental Fe content and concentration, or neonatal indicators were observed. FLVCR1 mRNA expression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placenta weight, and negatively associated with placental Fe content. In addition, placental Fe content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placental efficiency and birth length. Few differences in these associations were detected between placentas of multiples and singletons. Therefore, in Korean pregnant women with high intakes of Fe, Fe intakes may not be associated with maternal hemoglobin, placental or neonatal indicators. Placental Fe transport is regulated by the placenta in these women which was associated with placental weight, placental efficiency, and neonatal indicators. Despite the higher need for Fe in multiples, few differences between singletons and multiples were observed. More research is required to understand Fe transport in women carrying multiples.

      • 어닝 서프라이즈와 이익의 질이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에 미치는 영향

        정설희 충북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유가증권상장 및 코스닥상장기업을 대상으로 어닝 서프라이즈와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 간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 살펴본다. 나아가 어닝 서프라이즈와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 간에 관계가 이익의 질에 따라 달라지는지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한 어닝 서프라이즈는 긍정적인 어닝 서프라이즈를 중심으로 하였으며,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은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 정확성, 이익예측 편의, 이익예측 분산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또한 이익의 질의 대용치로 재량적 발생액, 실제이익조정, 발생액의 질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기간은 종속변수는 2001년부터 2014년까지이며, 관심변수는 2000년부터 2013년까지로 14년간 자료를 분석하였고, 표본의 조건을 만족하는 2,452개의 기업/년 자료가 분석에 이용되었다. 실증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긍정적인 어닝 서프라이즈는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 정확성, 이익예측 편의, 이익예측 분산과 유의한 음(-)의 관계가 나타났다. 이는 당기 긍정적인 어닝 서프라이즈는 차기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 정확성을 높이며, 이익예측은 비관적으로 하며, 이익예측 분산은 낮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긍정적인 어닝 서프라이즈와 재량적 발생액은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 정확성, 이익예측 편의와 유의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이익예측 분산과 유의한 음(-)의 관계가 나타났다. 이러한 사실은 재량적 발생액을 통해 긍정적인 어닝 서프라이즈가 발생한 경우는 그렇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 정확성, 이익예측 편의와 차이가 발견되지 않지만 이익예측 분산은 낮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긍정적인 어닝 서프라이즈와 실제이익조정은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 정확성, 이익예측 편의, 이익예측 분산과 유의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기업 외부 이용자가 탐지하기 어려운 실제이익조정을 통한 긍정적인 어닝 서프라이즈는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 정확성, 이익예측 편의, 이익예측 분산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긍정적인 어닝 서프라이즈와 DD모형으로 측정한 발생액의 질은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 정확성, 이익예측 분산과 유의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이익예측 편의와 유의한 음(-)의 관계가 나타났다. 이는 긍정적인 어닝 서프라이즈가 발생액의 질이 낮은 상황에서 발생하는 경우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 정확성과 이익예측 분산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지만,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은 비관적으로 하게 한다는 발견이다. 마지막으로 긍정적인 어닝 서프라이즈와 Francis모형으로 측정한 발생액의 질은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 정확성, 이익예측 편의와 음(-)의 관계가 나타났지만, 이익예측 분산과는 유의한 관계가 발견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발생액의 질이 낮은 상황에서 발생한 긍정적인 어닝 서프라이즈는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 정확성을 향상시키고 이익예측은 비관적이지만 이익예측 분산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사실은 긍정적인 어닝 서프라이즈와 발생액의 질이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 정확성, 이익예측 편의, 이익예측 분산에 미치는 영향은 발생액의 질의 측정방법에 다소 차이가 있음을 의미한다. 이상의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당기에 긍정적인 어닝 서프라이즈가 발생하면 재무분석가가 차기 해당 기업의 이익을 예측함에 있어 이익예측 정확성은 향상되고 비관적으로 예측하며 이익예측 분산은 낮아지는 효과가 있지만 이익의 질에 따른 긍정적인 어닝 서프라이즈가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에 미치는 영향은 이익의 질의 대용치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다는 발견이다. 한편 본 연구는 어닝 서프라이즈와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 간에 관계에 대해 국내에서 연구한 바가 없다는 점에서 이전 연구와 차별점이 있으며, 재무분석가는 이익발생에 대해서는 반응이 일어나지만 보고이익의 질을 확인하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사실이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되었다. 따라서 시장참여자가 투자의사결정을 함에 있어 재무분석가가 발표하는 이익예측과 더불어 기업의 이익의 질도 동시에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 유아 놀이 관련 학위논문 경향분석(1964~2004년)

        정설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놀이와 관련된 논문의 연도별, 연구내용별, 연구방법별 경향을 분석하여 유아 놀이 관련 연구 분야의 다양하고 균형 있는 연구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놀이 관련 학위논문의 일반적인 경향은 어떠한가? 2.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놀이 관련 학위논문의 연구내용 경향은 어떠한가? 3.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놀이 관련 학위논문의 연구방법 경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분석대상 논문은 유아 놀이 관련 연구논문이 처음 나온 1964년부터 2004년까지 발표된 유아놀이 관련 학위논문 총667개였다. 논문의 일반적 경향에서는연구대상별, 5개년 단위별 분류를 사용하였고, 연구내용별 분석기준은 유아 놀이관련 문헌들을 참고로 작성하고 예비조사를 통해 적용·수정한 후 유아교육 전문가와 상의하여 수정·보완하였다. 연구방법 및 연구자료 수집방법 유형별 분석기준은 MacMillian 과 Schumacher(1989)의 기준을 수정·번안하여 사용하였다. 분석기준에 의해 수집된 자료는 모두 빈도와 백분율로 처리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아 놀이 관련 학위논문은 총 667개로서, 석사학위논문이 636개(95.4%), 박사학위논문은 31개(4.6%)로 나타났다. 대학원별 분석은 교육대학원에서 발행된 논문이 376개(56.4%), 일반대학원에서 발행된 논문은 242개(36.3%), 기타대학원에서 발행된 논문은 49개(7.3%)로 나타났다. 유아 놀이 관련 학위논문들을 연도별로 살펴 볼 때, 1980년대 이전에는 15개(2.2%)의 연구가 이루어졌다. 1981~1985년에는 43개(6.4%), 1986~1990년에는 49개(7.3%), 1991~1995년에는 84개(12.6%), 1996~2000년에는 203개(30.4%), 2001~2004년은 273개(40.9%)로 유아놀이관련논문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유아 놀이관련 학위논문의 연구대상별 유형을 보면, 0세~만2세인 영아 대상논문은 14편으로 1996년~2000년 7개, 2001~2004년 7개였다. 또한, 3~5세 유아들을 대상으로 한 논문은 555개로 1980년 이전 논문은 10개였지만, 1981~1985년은 35개, 1986~1990년은 40개였다. 또한 1991~1995년은 75개, 1996~2000년은 182개, 2001~2004년에는 213개로 유아를 대상으로 하고 있는 논문수가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유아와 초등학생을 함께 대상으로 하고 있는 논문의 경우 31개 중 1990년 이전에 22개로 나타났다. 그리고 장애유아와 관련된 논문은 1991~1995년 4개, 1996~2000년 12개, 2001~2004년 19개로 증가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2. 유아놀이 내용범주에 따른 유아놀이 관련 학위논문의 경향은 다음과 같았다. 놀이발달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관련된 논문이 317개로 전체 중 47.5%로 가장 많았고, 놀이와 유아발달의 범주에 해당되는 논문이 260개(39.0%)로 나타났다. 그리고 놀이의 의미탐색 범주에 해당되는 논문은 18개(2.7%)로 가장 적게 나타났다. 놀이와 유아발달 범주의 하위 영역 중 사회성발달과 관련된 논문이 118개로 가장 많았으며, 언어발달 관련논문은 42개, 창의성과 관련된 논문은 31개로 나타났다. 인지발달과 관련된 논문은 47개, 신체발달과 관련된 논문은 15개, 정서발달과 관련된 논문은 23개로 나타났다. 놀이 발달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관련된 논문은 317개로 가장 많았으며, 하위영역으로 교육환경에 관련된 논문은 223개, 개인적요인에 관련된 논문은 78개, 가정환경에 관련된 논문은 50개, 문화 환경에 관련된 논문은 5개로 나타났다. 세부요인으로는 개인적요인 중 놀이성에 관련된 기질측면의 연구가 37개, 성(性)에 관련된 연구가 18개, 지적능력에 관련된 연구가 14개, 연령에 관련된 연구가 9개로 나타났다. 가정환경의 세부요인으로는 부모에 관련된 논문이 43개, 사회·경제적 배경에 관련된 논문은 7개로 나타났다. 교육환경과 관련된 세부요인은 놀이의 공간 및 배치에 관련된 논문은 66개, 놀잇감에 관련된 논문은 61개, 교사관련논문은 45개, 또래에 관련된 논문은 26개, 교육프로그램에 관련된 논문은 25개로 나타났다. 기타 범주에 해당하는 논문은 72개로 그 중 놀이 치료와 관련된 논문이 19개, 유아놀이관련 인식 및 실태조사에 관련된 논문이 34개, 특정놀이에 관한연구에 관련된 논문이 19개로 나타났다. 3. 연구유형에 따른 유아 놀이 관련 논문의 경향은 다음과 같았다. 연구유형에 따른 유아 놀이 관련 논문의 경향은 양적 연구가 645개로 전체의 95.3%로 나타났으며, 질적 연구는 19개(2.8%), 양적연구와 질적 연구가 혼용된 논문이 3개(0.4%)로 나타났다. 양적 연구 유형 중 실험연구가 263개(38.8%), 상관연구가 212개(31.3%), 조사연구가 117개(17.3%), 기술적 연구가 34개(5.0%), 내용분석이 19개(2.8%)순으로 나타났다. 질적 연구의 경우 문화기술적 연구 유형이 18개(2.7%), 역사적 연구유형은 1개(0.1%)로 나타났다. 연구자료의 자료수집방법은 양적연구 유형에서는 구조적 관찰(structured observations)도구를 사용한 연구가 335개(42.7%), 질문지(questionnaires)를 사용한 연구가 145개(18.5%), 검사(test)도구를 사용한 연구가 136개(17.3%), 구조화된 면접(standardized interviews)도구를 사용한 연구가 98개(12.5%), 양적문서분석(documents)도구를 사용한 연구가 45개(5.7%)였다. 질적연구 유형에서는 참여관찰(participant observations)방법을 사용한 연구는 16개 (2.0%), 면접(interviews) 방법을 사용한 연구가 7개(0.9%), 질적문서분석(documents)을 사용한 연구가 2개(0.3%)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basis background information about the trend in master thesis on play for Early Childhood's and also to guide more availably for students who are going to prepare for the master and doctor thesis by analyzing the yearly trend, content of research and the research methods. The research items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general trend of research about play for Early Childhood. 2. What is the major trend of research about play for Early Childhood. 3. What is the research methodology trends in research about play for Early Childhood. This study analysis total six hundred and sixty seven research papers both published in research conferences in the period 1967 through 2004. For the general trends, this study sets up the standard of data analysis for research target and five yearly group. The analysis standards are revised through pre-research and advised by professional Early childhood Educator. The translated and modified version of MacMillian & Schumacher(1989) are used for analysis of the methodology trends. Data collected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standard is examined through the frequency and percentile. The multiple check is used for the analysis of research content ads. and sub-contents and for the research data collection methods.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1. Totally six hundred sixty seven thesis about Early Childhood play. Among six hundred sixty seven papers, master thesis are six hundred thirty six(95.4%) and doctor thesis are thirty one(4.6%).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ith two hundred forty two(36.3%) and the other graduate school with forty nine(7.3%). To count up Early Childhood play per year, there are fifteen(2.2%) studies before 1980. There are eighty four(12.6%) papers from 1981 to 1985, forty nine(7.3%) papers from 1986 to 1990, eighty four(12.6%) papers from 1991 to 1995, two hundred three(30.4%) from 1996 to 2000 and two hundred seventy three(40.9%) from 2001 to 2004. As time goes, quantity of thesis about Early Childhood play is increasing. Trend of Early Childhood play thesis by research target age are as follows. There are seven from 1996 to 2000 and seven papers for infant age between 0 to 2 years old. There are five hundred fifty five papers about target age three to five. Among of them, there are ten papers before 1980, from 1981 to 1985 with thirty five, and from 1986 to 1990 with forty. But to see the quantity from 1991 to 1995 with seventy five, 1996 to 2000 with one hundred eighty two and 2001 to 2004 with two hundred thirteen papers which studied early childhood is increasing. Total thesis which studying Early Childhood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 is thirty one, yet twenty two papers had been written before 1990. And handicapped early childhood thesis is increasing; from 1991 to 1995 with four, from 1996 to 2000 with twelve and from 2001 to 2004 with nineteen. 2. What is the major trend of research about play for Early Childhood. The papers connected with factors in the play development outnumbered the others with three hundred seventeen(47.5%), followed by play and infant development with two hundred sixty(39.0%), and the true nature of play with eighteen(2.7%). Of subfield in play and infant development, the papers related with social development amounted to one hundred eighteen, literacy development with forty two, originality with thirty one, cognition development with forty seven, physical development with fifteen, and emotional development with twenty three. Among all the papers, thesis about the factors affecting play development is the most populated paper with three hundred seventeen. In the factors affecting play development, the papers of education environment came up with two hundred twenty three, individual factors with seventy eight, family environment with fifty, and culture circumstance with five. Moreover, in the detail items of individual factors, playfullness took up thirty seven, followed by sex with eighteen, intellectual capacity with fourteen, and age with nine. In the detail items of family environment, parents amounted to forty three, and social economical surrounding with seven. In the detail factor, the space or array of play amounted to sixty six, tools with sixty one, teachers with forty five, peers with twenty six, and education program with twenty five. Thesis are applicable to the others category seventy two. thesis included in play therapy category with nineteen, thesis included in the study of recognition or realities about the play of early childhood with thirty four, and the research paper of special play with nineteen. 3. Research methodology trends in research about the Play for Early Childhood. The classification by the research methodology in the article on the Play for Early Childhood shows that quantitative research papers come up with six hundred and forty-five in total, occupying majority of papers(95.3%), and qualitative research papers take nineteen(2.8%). Moreover, the papers mixe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take up three(0.4%). Among quantitative researches, experimental design comes first with two sixty three, followed by correlational research with two hundred twelve, survey with one hundred seventeen, descriptive research with thirty four, contents analysis with nineteen. In the qualitative research, culture-descriptive research produces eighteen, historical research with one. In the method of the data collection, the research by using the structured observations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335(42.7%). In quantitative method, the research using the structured observations outnumbered other methods with 335(42.7%), followed by questionnaires with 145(18.5%), the study by using the tests with 136(17.3%), standardized interviews with 98(12.5%), the analysis of quantitative documents with 45(5.7%). About the qualitative method, participant observations came up to the 16(2.0%), interviews with seven(0.9%), and the analysis of qualitative documents with 2(0.3%).

      • 광결합기를 이용한 RL-다이오드형 카오스 발진기 특성

        정설희 東洋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We design a RL-photocoupler circuit using a photocoupler instead diode in a typical RL-diode type chaos oscillator. We investigate a chaos phenomenon by experiments and by simulations with changing parameter (the amplitude and the frequency of an external ac signal, dc voltages, resistor, inductor) in the several L-network, also investigate a conductive EMI and a damping oscillation according to driven ac signal and dc voltages. It is reported that a chaos phenomenon and a period-doubling phenomenon cannot occur in a RL-diode circuit which is a typical and simple chaos oscillator when a fast signal diode is used. However in this experiment, which uses a RL-photocoupler including a fast signal diode of GaAs LED, a period-doubling phenomenon and a chaos phenomenon occur by working the protection diode. We also observe a period-doubling phenomenon and a irregularity phenomenon in a low frequency range. A conductive EMI is induced by the distortion of a nonlinear resistance in a diode and an LED diode according to a voltage source bias, and it is large in a voltage signal of an LED without any effect on a photodetector. Also the peak of a conductive EMI is lower and fewer than the peak of a RL-diode circuit, which is satisfactory. Since a RL-photocoupler circuit has an advantage which is faster and higher confidence than a mechanically composed relay, it can be used in various applications by analyzing the existence of a chaos characteristics with a parameter variation.

      • Enhanced thermal properties of epoxy composites containing various ceramic fillers for superconducting magnet application

        정설희 Korea University 2017 국내석사

        RANK : 247615

        In the current superconducting magnet industry, commercialized epoxy materials such as Stycast 2850 FT and CTD 521 are used as impregnation materials for superconducting coils. However,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thermo-physical properties of epoxy materials by adding inorganic fillers for better performance of impregnated coils under over-current or repetitive cooling conditions. For this reason, proper epoxy/filler combinations that can resist the cryogenic condition in addition to possessing high thermal and mechanical properties should be investigated in order to effectively utilize epoxy/filler composites for superior cooling performance and thermal stability of “superconducting magnets”. In the first study, the effects of the addition of ceramic fillers such as boron nitride (BN) and aluminum nitride (AlN) to commercial epoxy resin on the thermal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impregnated superconducting coils under over-current or repetitive cooling conditions.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addition of BN fillers to epoxy composite enhances the cooling performance as well as thermal stability of the coil because of the higher thermal conductivity and lower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CTE) of the BN filler. As one of in-depth studies for the development of highly stable epoxy-impregnated superconducting coils with considerably enhanced thermal conductivity and low CTE, the second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shape of BN filler particles such as cubic and hexagonal on the cooling and over-current characteristics of superconducting coils.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use of the epoxy composite containing the cBN/hBN fillers with 1:1 weight ratio showed pot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highly stable superconducting coils with considerably enhanced thermal conductivity and low C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