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cute pontine infarction in a patient with persistent left superior vena cava

        정다은,이준,Woosub Hwang 대한임상신경생리학회 2018 Annals of Clinical Neurophysiology Vol.20 No.2

        Persistent left superior vena cava (PLSVC) is a common venous anomaly of the thorax and usually drains into the right atrium. Less often it drains into the left atrium and has previously been related to ischemic stroke. We report a case of PLSCV that founded during ischemic stroke evaluation in a 77-year-old woman which was detected on transesophageal echocardiography (TEE) and transcranial Doppler ultrasonography (TCD) with saline agitated test and computed tomography.

      • KCI등재

        조력자살에 관한 독일의 사법적·입법적 논의

        정다은 (재) 국가생명윤리정책원 2023 생명, 윤리와 정책 Vol.7 No.2

        2022년 6월 우리 국회에, 말기 환자의 자살을 도운 의사에게 형법상 자살방조죄의 적용을 배제하는 내용의 법률안이 발의되면서, 의사조력자살에 관한 사회적 논의가 활발히 시작되고, 해외사례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독일 사례 또한 그중 하나로, 업무상의 자살방조를 처벌하는 내용의 형법전 제217조에 대해 연방헌법재판소가 위헌을 선언한 후, 최근 독일에서는 조력자살의 허용을 규율하기 위한 입법 논의가 진행 중이다. 이 연구에서는 독일 형법전 제217조의 도입배경 및 입법과정에서의 논의와 위헌성을 둘러싼 논란, 연방헌법재판소의 동 규정에 대한 위헌결정 내용과 이에 대한 법학계의 평가, 조력자살의 새로운 규율을 위한 연방의회에서의 입법 논의와 이에 대한 법학계의 논의를 연혁적으로 검토하여, 조력자살과 관련해 독일 사례에서 문제가된 다양한 법적 쟁점들을 분석한다. 나아가 이러한 독일의 선행 논의가 향후 우리나라의 조력자살 관련 사법적·입법적 논의에 제공하는 시사점을 제시한다. The issue of physician-assisted suicide has gained significant attention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a bill to the Korean National Assembly in June 2022, which seeks to pre- vent doctors who assist terminally ill patients in ending their lives from being prosecuted for assisted suicide. This bill has sparked intense social debate on assisted suicide. Simul- taneously,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international cases, such as the recent judgement by the German Federal Constitutional Court to declare Article 217 of the German Criminal Code, which penalized repeated assisted suicide, as unconstitutional. This judgement has prompted new legislative discussions in Germany regarding the regulation of assisted sui- cide. In this context,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various legal issues raised in the German case of assisted suicide. It covers the background and legislative process leading to Article 217 of the German Criminal Code, the debates and controversies surrounding its con- stitutionality, the content of the Federal Constitutional Court’s judgement declaring it unconstitutional, legal scholars’ assessments, and the Federal Council’s legislative discus- sions regarding new regulations of assisted suicide. Finally, this article provides insights into how these discussions in Germany may influence future legal and legislative debates on assisted suicide in South Korea.

      • KCI등재

        로컬푸드 사업의 사회적 가치에 대한 지수 개발 및 평가

        정다은,양승룡 한국식품유통학회 2023 食品流通硏究 Vol.40 No.3

        In terms of the quality growth of the local food business, it is an important issue to consider the social value togethe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grasp the level of social values currently being realized for the spread of social values and present systematic policy directions based on th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of an index for the social value of the local food program and realize the level of social value by region. We reviewed previous studies and ordinances and developed index according to the principles. The major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Social Value Index of the Local Food Program” is defined as an index that combines the societal, environmental, and economical utilities gained by producing, distributing, and consuming local food. Second, it is possible to establish a policy that meets the own characteristics of regions and periods based on the evaluation results. Especially,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future operations and re-examination of direction by sharing the social value of local food program with the people.

      • KCI등재

        과채 재배농가의 경영현황 및 경영효율성 분석 : 딸기․토마토를 중심으로

        정다은,양승룡 한국유기농업학회 2016 韓國有機農業學會誌 Vol.24 No.3

        This paper analyzes economic efficiency of strawberries and tomatoes farms using the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We examine how production characteristics and farm size affect overall efficiency (OE), allocative efficiency (AE), and technological efficiency (TE). We also survey sample farm households from the Farm Income Investigation database of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to investigate management and cultivation techniques and to analyze economic efficiency by technique. Implications for improving efficiency are suggested in the conclusion.

      • KCI등재

        독일 도로교통법상 자동주행차의 규율에 관한 검토

        정다은,임현 한국비교공법학회 2019 공법학연구 Vol.20 No.1

        In response to the continuous technical development of automated vehicles in the global market, many countries try to make legislation for the commercialization of automated vehicles. However, in comparison with other countries, Korea is acting slowly to take legislative measures, which can result in limiting the development of domestic industry, the response to the global market and the convenience of people’s lives. Based on the awareness of this problem, the paper aims to review the case of Germany which has made constant efforts to prepare policies and legislation for regulating automated vehicles. Also, by analyzing not only the discussions about amending German Road Traffic Act to introduce regulation of automated vehicles but also the amended regulations in the Act, it suggests their implications for Korean legislation on automated vehicles. The paper has four main parts from the second to the fifth chapter. First, in the second chapter it deals with the concept of automated and autonomous vehicles and in the third chapter the political and the legislative discussions before and after the amendment to German Road Traffic Act to introduce regulation of automated vehicles. In the fourth chapter, after interpreting the amended regulations in the Act, the paper introduces the concrete discussions and the criticisms on the regulations. Based on the review in these chapters, in the fifth chapter, the paper suggests some implications of the regulation contents in German Road Traffic Act and the discussions related to them for Korean legislation on automated vehicles. First, more political and legislative discussions about regulating the use of automated vehicles should be in earnest begun - in specific such as about the international technical standards and the international regulations, the proper operation of a public-private consultation organization and the measures for improving public acceptance. Second, some legislative improvement measures must be taken. It is needed to use the term ‘Automated Vehicle’ instead of the term ‘Autonomous Vehicle’ which is used in the current legislation but is not enough for including various automation levels. Safety standards and operating permission of automated vehicles must be regulated not in Enforcement Rules of the Motor Vehicle Management Act and Notification by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but in Motor Vehicle Management Act itself and Enforcement Decree of the Act. As in the German Road Traffic Act, driver must be also the one who activates the automated driving system and have a general driving license. Finally,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 application of the traditional principle of Law-reservation to regulating automated vehicles can be limited due to high technology and professionality in the area of automated vehicles. In the legislation process, it is necessary to discuss enough the issues of the concretization of legal norms through administrative rules and broad delegation to enforcement decrees. 세계시장에서 자동주행차 산업의 기술발전은 계속되고 있으며, 많은 국가들이 자동주행차의 상용화를 위한 법제를 마련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세계적 추세에 비해 우리나라의 입법적 대응은 더딘 편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는 자동주행차 관련 국내산업의 발전과 세계시장에의 대응 및 국민들의 삶의 편의를 저해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에 바탕하여, 꾸준히 자동주행차에 관한 정책적․입법적 대응을 해 온 독일의 사례, 특히 독일 도로교통법의 개정논의와 관련 규정들을 검토함으로써 우리 법제에의 시사점을 찾아보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논문은 크게 네 개의 장으로 구성된다. 먼저 Ⅱ장을 통해 자동․자율주행차의 개념에 대하여 알아본 후, Ⅲ장에서는 자동주행차의 규율을 위한 독일 도로교통법 개정과 관련하여 개정 전후의 정책적․입법적 논의들을 파악해본다. Ⅳ장에서는 개정된 도로교통법의 주요 내용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논의와 비판을 살펴본다. 이러한 검토내용을 바탕으로 V장에서는 자동주행차에 관한 독일 도로교통법의 규정내용과 관련 논의가 우리 법제에 시사하는 바를 정리하였다. 먼저 자동주행차의 이용에 관한 정책적․입법적 논의가 보다 본격화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국제적 기술수준과 국제규범에 대한 고려, 범부처 민․관 협의기구의 실질적 운영, 국민의 수용성 제고 등이 필요함을 언급하였다. 다음으로 자동주행차에 관한 입법의 정비방안을 제안하였다. 먼저 현행법상 자율주행자동차라는 용어를 자동주행차로 대체하고, 현재의 기술수준을 포섭할 수 있는 내용으로 개념 정의가 이루어져야 함을 언급하였다. 자동주행차의 안전기준 및 운행허가의 법적 근거를 마련함에 있어서는 독일 도로교통법상의 규정내용을 참고하여 현행 「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 및 국토교통부장관 고시의 규정내용을 법률과 법규명령에 규정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자동주행차의 운전자에 대한 입법에 있어 운전자는 자동주행 시스템을 활성화한 사람이 되며, 운전자는 일반 자동차의 운전면허를 소지해야 함을 언급하였다. 마지막으로는 자동주행차가 고도의 기술과 전문성을 전제로 한다는 점에서 전통적인 법률유보이론의 적용을 통한 규율에 한계가 있음을 인식하고, 입법과정에서 행정규칙을 통한 법령의 구체화 문제, 법규명령에의 포괄적 위임의 문제 등이 충분히 논의되어 그에 대한 대응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 KCI등재

        서울시 지역생활서비스시설 불균등 분석

        정다은,정광진,유석연 한국도시설계학회 2021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2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esent supply condition of seven local living service facilities that target the local living area and to measure inequality that target the autonomous districts in Seoul. An analysis of the supply condition of local living service facilities showed that there were facilities whose supply levels were below in comparison with the average of Seoul, and that some facilities were absent within the local living area. In addition, there were facilities in some local living areas where the incidence of out-of-service areas exceeded 75%. Finally, there was a demand for the supply by residents in all facilities.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inequality, there were autonomous districts with unequal supply and below the Seoul‘s average at the five facilities. And there were autonomous districts with equal supply and below the Seoul‘s average at the six facilities. Next, there were autonomous districts with unequal accessibility and above the Seoul's average ratio of out-of-service areas at the five facilities. In addition, there were autonomous districts with equal accessibility and above the Seoul's average ratio of out-of-service areas at all seven facilities.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equal supply of local living service facilities were derived.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 7개 지역생활서비스시설을 대상으로 지역생활권별 공급 및 접근성현황을 분석하고 자치구별 불균등 수준을 측정하여, 자치구별 지역생활서비스시설의 불균등 해소를 위한 계획 수립에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있다. 지역생활서비스시설의 지역생활권별공급 현황을 분석한 결과, 공급 수준이 서울시 평균에 미달되는 시설들이 존재했고, 일부 지역생활권 내 부재한 시설도 나타났다. 또한 일부 지역생활권에서 소외지역 발생률이 75%를 초과하는 시설이 존재했다. 마지막으로 모든 시설에서 주민의 시설 확충 요구가 나타났다. 자치구별불균등을 측정한 결과, 5개 시설에서 공급이 불균등하고 양적 공급이 서울시 평균에 미달되는자치구가 존재했고, 6개 시설에서 공급이 균등하지만 양적 공급이 서울시 평균에 미달되는 자치구가 존재했다. 또 5개 시설에서 접근성이 불균등하고 소외지역 발생률이 서울시 평균을 초과하는 자치구가 존재했고, 7개 시설 모두 접근성이 균등하지만 소외지역 발생률이 서울시 평균을초과하는 자치구가 존재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지역생활서비스시설의 불균등 해소를 위한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방광요관 역류증 환아에서의 다양한 요단백의 배설

        정다은,구자욱,Jung, Da Eun,Koo, Ja Wook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3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6 No.10

        목 적 : 방광요관 역류증이나 역류성 신병증을 가진 요로감염 환아에서 다양한 요단백(${\beta}_2$ MG, microalbumin) 또는 효소(NAG)의 배설을 측정하여 방광요관 역류의 정도나 역류성 신병증을 예측할 수 있는 지표 및 방광요관 역류증의 소실에 따른 이들 지표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요로감염증으로 진단 받았던 환아 중 방광요관 역류와 신반흔이 없었던 환아는 I군(n=30), 방광요관 역류증만 있었던 환아는 II군(n=12), 신반흔 및 방광요관 역류증을 같이 가지고 있었던 환아는 III군(n=34)으로 분류하여 24시간 또는 12시간 소변에서 ${\beta}_2$ MG, microalbumin, NAG를 측정하였다. 방광요관 역류의 정도가 낮은군(reflux grade I, II, III)과 높은군(reflux grade IV, V)으로 분류하여 두 군에서의 요중 ${\beta}_2$ MG, microalbumin, NAG 값을 비교하였다. 방광요관 역류를 가진 46명의 환아 중 16명에서 방광요관 역류가 완전히 소실되었고, 방광요관 역류증이 소실될 때까지 매년 24시간 또는 12시간 소변검사, VCUG, DMSA renal scan을 시행하였다. 결 과 : 1) 24시간 또는 12시간 소변에서의 microalbumin과 NAG는 III군에서 I군과 비교하여 의미있게 증가되어 있었고(microalbumin : $27.7{\pm}26.0mg/gCr$ vs $15.0{\pm}10.7mg/gCr$, P<0.05, NAG : $15.2{\pm}18.7U/gCr$ vs $3.4{\pm}2.2U/gCr$, P<0.05). ${\beta}_2$ MG는 각 군간의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 2) 방광요관 역류의 정도에 따라서는 높은군(grade IV, V)에서의 NAG값이 낮은군(grade I, II, III) 보다 의미있게 증가되어 있었다($26.8{\pm}27.1U/gCr$ vs $7.6{\pm}3.8U/gCr$, P<0.05). 3) 방광요관 역류증의 소실에 따른 요단백 및 효소의 수치 변화에 있어서는 microalbumin과 NAG가 방광요관 역류증이 완전히 소실되었을 때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감소하였다(P<0.05). 결 론 : 소아 요로감염 환아에서 역류성 신병증의 존재 여부 및 추적 관찰에서의 방광요관 역류의 소실여부를 예측하는데 microalbumin과 NAG의 측정이 유용하며, 특히 NAG는 방광요관 역류의 심한 정도를 예측하는데 유용한 지표가 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xcretion of various urinary proteins in children with a history of urinary tract infection(UTI), with or without vesicoureteral reflux(VUR) or reflux nephropathy, and to identify means of predicting the severity of VUR or the presence of reflux nephropathy as indicated by these markers, and to know how these markers are changed after resolution of VUR. Methods : We studied 30 children with previous UTI, without VUR and renal scarring(group I), 12 children with VUR, without evidence of renal scarring(group II), and 34 children with VUR and renal scarring(group III). 24-hour or 12-hour urine ${\beta}_2$ microglobulin(${\beta}_2$ MG), microalbumin and N-acetyl-${\beta}$-D-glucosaminidase(NAG) were measured in each child. Urinary protein excretion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VUR(mild VUR : a grade reflux I-III, severe VUR : a grade reflux IV-V). Cases of bilateral VUR were graded by the higher grade of reflux detected. A total of 46 children with primary VUR were followed. Among these patients, VUR was completely resolved in 16 children. Voiding cystourethrography(VCUG) and DMSA scan were performed every year. Values for urinary markers were estimated every year. Results : 24 or 12 hour urine microalbumin and NAG excretion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group III compared to group I(microalbumin : $27.7{\pm}26.0mg/gCr$ vs $15.0{\pm}10.7mg/gCr$, P<0.05, NAG : $15.2{\pm}18.7U/gCr$ vs $3.4{\pm}2.2U/gCr$, P<0.05). Urinary ${\beta}_2$ MG excretion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roups. Urinary NAG excretions were elevated in the group of children with severe VUR compared to mild VUR($26.8{\pm}27.1U/gCr$ vs $7.6{\pm}3.8U/gCr$, P<0.05). After resolution of VUR, urinary microalbumin and NAG excretions were decreased(P<0.05). Conclusion : Urinary microalbumin and NAG may be useful clinical indicators to predict the presence of reflux nephropathy and the resolution of VUR. Especially, urinary NAG excretions may be used as a possible method to predict the severity of VU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