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요가문헌에서 나디 정화수행법 연구: Yogayājñavalkya를 중심으로

        임혜정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자연치유연구소 2022 자연치유연구 Vol.7 No.1

        Nāḍī serves as the channel of life energy, and is a key term related to the completion of Yoga. It is difficult for nāḍī to grasp its existence, but the internal circulation of life energy takes place in the body and affects the beginning, continuation, and end of life activities. However, Nāḍī’s status was undervalued compared to its importance. Nāḍī has emerged as an important position in achieving samādhi since the 8-9th centuries when Haṭha Yoga was established. It was not until this time that nāḍī appeared to be theoretically organized. The Yogayājñavalkya established in the 9-10th century explains in detail the system of nāḍī and the conditions, methods, and periods of nāḍī purification(nāḍīśodhana). It is nāḍīśodhana that nāḍī occupies a central and decisive position in yoga practice. If nāḍī is not purified and full of impurities, prāṇa cannot rise through suṣumṇā. Only by nāḍīśodhana can the ultimate goal of performance be realized. In Yogayājñavalkya, it is introduced in detail, including the preconditions, places, and methods of nāḍīśodhana. This study aims to discuss nāḍīśodhana described in Yogayājñavalkya.

      • KCI등재

        국립부산국악원 연구사업의 발전 방안 - 지역 전통예술의 조사・발굴을 중심으로 -

        임혜정 국립국악원 2023 국악원논문집 Vol.47 No.-

        The Busan National Gugak Center should utilize its strengths as an institution to establish and implement long-term plans for research projects. This paper discusses the Busan National Gugak Center's development plans for research projects of related to the research and discovery of local traditional arts, emphasizing three aspects of "examination in connection with existing research projects", "expansion of the target area and period", and "application of the perspectives of dissemination and assimilation". First, it is necessary to link with existing research projects. As a research conducted by an institution, it will not only help maintain a certain direction, but will create comprehensive and large-scale research results by organically linking individual works of researching and discovering local traditional arts. As an example, this paper proposes a study that can be linked to the contents of the "Yeongnam Dance Terminology Manual," the data included in the results of the project based on the oral records of individual artists. Second, the expansion of the target area and period implies to break down the existing regional boundaries which relied on artist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and recording materials based in Busan and Yeongnam. If the target area to examine is expanded to the whole country and overseas for new data that has not been collected before, it can overcome the limitation that research projects have mainly focused on the late 20th century. Third, this study proposes to investigate the cultural identity of Busan and Yeongnam regions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perspectives of disseminationand assimilation. When viewed from a vertical and horizontal perspective in the context of the development of art history, Korea's local traditional arts have a relationship with other art items in the same region or with similar art items in other regions in the process of forming and developing overlapping activities of each artist. In other words, "traditional art of Busan" or "traditional art of Yeongnam" can be said to have local characteristics in the process of dissemination and assimilation, and in order to discover this,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perspective of dissemination and assimilation. 국립부산국악원은 기관으로서의 장점을 충분히 살려 연구사업에 대한 장기적인 계획의 수립 및 실천을 진행해야 한다. 본고에서는 다음과 같이 국립부산국악원의 지역 전통예술 조사・발굴과 관련된 연구사업의 발전 방안을 ‘기존 연구사업과의연계’, ‘조사・발굴 대상 지역 및 시기의 확대’ ‘전파와 접변의 관점 적용’이라는 측면으로 나누어 논의해 보았다. 첫째, 기존 연구사업과의 연계가 필요하다. 이는 기관이 수행하는 연구로서 일정한 방향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 주는것은 물론이고, 지역 전통예술을 조사・발굴하는 개별적인 작업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종합적인 연구 결과를 창출하게 할것이다. 본고에서는 예시로 개인 예술가를 대상으로 수행한 구술채록 사업의 결과물에 포함된 자료들, 『영남춤사위용어편람』 의 내용과 연계해 볼 수 있는 연구를 제안했다. 둘째, 조사・발굴 대상 지역 및 시기의 확대는 부산・영남 지역에 연고를 둔 예술가, 부산・영남 지역의 무형문화재, 부산・영남 지역의 기록물들에 의존했던 기존의 지역적 경계를 허물 것을 제안했다. 조사・발굴 대상 지역을 부산・영남 지역뿐만이아닌 전국, 해외로까지 확대해서 그간에 수집하지 못했던 새로운 자료의 수집을 진행한다면 현재까지의 연구사업이 주로 20 세기 후반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셋째, 전파와 접변의 관점의 적용을 통한 부산・영남 지역의 문화적 정체성을 규명하는 것을 제안했다. 한국의 지역 전통예술은 예술사 전개라는 맥락 속에서 종적, 횡적 관점으로 본다면 각 예술가들의 활동이 겹치는 부분, 성립과 발전 과정에서동일 지역의 다른 예술 종목과의 관련성, 또는 다른 지역의 유사한 예술 종목과의 관련성을 갖는다. 즉, ‘부산의 전통예술’ 또는 ‘영남의 전통예술’은 전파와 접변의 과정 속에서 지역적 특징을 갖게 된 것이라 할 수 있으며 이를 발굴하기 위해서는전파와 접변의 관점을 적용해 볼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다나베 히사오(田邊尙雄)의 조선음악조사활동에 관한 재고

        임혜정 국립국악원 2020 국악원논문집 Vol.41 No.-

        다나베 히사오는 순정율에 대한 관심, 즉 음악에 대한 과학적 연구라는 접근으로 음악학을 시작한 학자이다. 수리적(数理的)인 중국의 악률을 연구하던 다나베는 재단법인계명회(財団法人啓明會)의 지원으로 “동양음악의 이론적 연구”를 주제로 중국의 악률 서적은 물론이고 정창원 소장 악기의 조사 및 조선아악조사로 그 연구 폭을 넓히게 되었다. 정창원에서 연구하던 옛 악기들에 대한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해 조선의 궁중음악을 조사까지 고려하게 되는 것이다. 즉, 다나베가 동양음악 이론에 대한 과학적 연구 대상을 실존하는 음악으로 확대하는 과정에서 1921년의 조선음악조사가 있었다. 그러므로 정치적인 배경과는 별도로, 그의 학문적 목적 역시 매우 강하게 반영되어 조선음악조사를 실행했다고 볼 수 있겠다. 그러나 조선 아악에서 사용하는 악률의 진동수 측정에서 다나베는 이전에 참고로 했던 중국의 악서들과 일치하는 결과를 얻지 못했다. 이에 그는 조선음악조사의 의미를 동양음악 이론에 대한 과학적 분석에 두지 못하게 되었다. 다만 조선의 아악 및 사용 악기들의 역사성에 근거해서 옛 중국과의 연관성을 피력했을 뿐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이후 조선음악조사와 관련해서 이왕직아악부 음악의 전승을 도운 것을 다나베의 주된 성과로 강조하는 방향으로 나아가는데 영향을 준 것으로 짐작된다. 그리고 이후 동양의 다른 나라 음악을 조사하게 되면서, 그가 조선음악조사 이전에 주력했던 음률의 측정이라는 “과학”을 도입한 연구보다는, 비교음악학의 관점 또는 인류음악학의 관점을 담은 연구로 전환하는 계기가 된 것으로 보인다. 한편 다나베는 조선음악조사 기간 중에 아악에 대한 조사 외에도 기생의 가무를 관람하거나 그 외에 강연 활동, 레코드 및 악기 구입을 했고 조선음악의 활동사진 촬영에도 관여를 했다. 이렇게 그가 개인적으로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던 조선 음률의 진동수 측정 외에도 다른 활동을 했던 것은 『음악과축음기(音楽と蓄音機)』라는 잡지의 기고문을 쓰기 위해서였다. 당시 다나베가 『음악과축음기』라는 잡지, 나아가서는 일본의 축음기 산업과 연결되어 있었던 것은, 그의 조선음악조사 결과 발표에 일반 대중의 관심을 반영하도록 영향을 주었다. 즉, 『음악과축음기』라는 잡지의 성격상 독자의 반응을 “동양음악에 대한 과학적 연구”라는 화두보다는, 조선이라는 낯선 곳에 전해지는 이국적인 음악문화에 열광하는 쪽으로 이끌었다고 짐작해 보는 바이다. 이와 같은 상황으로 인하여 그의 연구는 쇠퇴해가는 아시아의 고대 음악에 대한 주목과 이를 보존하기 위한 일본의 역할이 필요하다는 명목으로 정치적으로 이용될 수 있었겠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그의 조선음악조사는 일본 음악과 다른 나라 음악과의 비교 정도로만 받아들여지는 결과도 낳게 되었다. 이는 이후 다나베의 동양음악과 관련된 연구 및 저술 방향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을 것이다. 즉, 음률 등을 심도 있게 연구하는 과학적 연구에서 벗어나 타국의 음악문화를 관찰해서 보고하는 연구 관점도 도입하는 계기를 마련한 것으로 보인다. 그간 다나베의 조선음악조사와 그 연구 결과물과 관련해서, 그의 정치적 입장에 관한 논의에 초점을 맞춰온 경향이 없지 않다. 그러나 본 연구를 통해서 조선음악조사는 이후 다나베의 학문적 방향성을 변모시키는 계기로도 ... Tanabe Hisao’s(田辺 尚雄) academic achievements opened a new horizon in Japanese musicology, and these achievements are closely related to the Korean music research he conducted in 1921. After his research trip, Tanabe published a number of articles, and his field of study started to expand from Japanese music to Asian music. In the existing academic opinion, Tanabe’s Korean music field research focused mainly on the perspective of political and social context. However, in this paper I discuss the impact of his work on the future direction as a musicologist in the field of Asian music research activities. Tanabe’s interest in music was likely to be a scientific study of music. His interests moved from studying Chinese pitch systems to ancient Asian music, including Japanese and Korean music. This academic growth was triggered by research support from an organization called Gyemyunghoe(啓明會). In other words, rather than a political purpose, it means that the academic curiosity he had while studying Chinese music became a major factor of leading him to conduct field research in Korea in 1921. However, the research on the measurement of the frequency of sound that he conducted in Korean concluded that the pitch of the theoretical and actual instruments did not match. As a result, his research direction was changed to emphasize the historical relevance of Chinese music and Korean music. After this event, his academic interest also began to emphasize the anthropological or comparative musicological perspective.

      • KCI등재

        일본 결혼이주여성의 추체험적 역사학습: 문화관광해설사로서의 생애사를 중심으로

        임혜정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23 다문화사회연구 Vol.1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일본 결혼이주여성 문화관광해설사들이 추체험적 역사학습을 통해 자신의 역사인식을 어떻게 변화시키며 역사문제로 인한 갈등을 극복해 가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각각 수도권과 지방에서 10년 이상 문화관광해설사로 활동한 60대 일본 결혼이주여성 두 명을 대상으로 구술생애사 면담을 실시했다. 연구 결과, 일본 결혼이주여성들에게 문화관광해설사로서 끊임없이 반복되는 ‘교육-준비-해설’의 과정은 추체험적 역사학습의 선순환이 되었다. 이들은 현장답사와 해설 듣기로 살아있는 역사를 익히고 상상적 재구성으로 한국인의 입장을 이해했으며, 연행적 해설과 추체험 표현으로 과거 역사와 오늘의 나를 연결시켰다. 일본 결혼이주여성 문화관광해설사들은 이러한 추체험적 역사학습으로 한국 가족의 ‘족보 신화’를 허물어 부부 관계의 균형을 재조정하고, 반일의 흑백논리를 비판함으로써 역사 문제로 인한 갈등을 극복하고자 했다. 이들의 삶에서 추체험적 역사학습은 한·일 역사 화해라는 거대한 이상과 현실 사이의 괴리를 좁히기 위한 것으로, 한국인과 공감을 넓히기 위한 구체적 실천이 되었다.

      • 영산강 수계에서 측정된 PFOS 및 PFOA 분포 현황

        임혜정,나숙현,최봉인,임채승,정선용,권범근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13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학술대회 Vol.2013 No.2

        영산강 수계의 perfluorooctane sulfonate (PFOS), perfluorooctanoic acid (PFOA) 및 관련 과불화화합물(perfluorinated compounds; PFCs)의 오염도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2013년 5월말부터 6월초에 걸쳐 영산강 수계 18개소 지점을 대상으로 조사 하였다. KIEST(Korea Institute of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에서 확립한 분석법을 토대로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tandem LC/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육상으로부터 하천수계로 유입되는 PFCs가 영산강 수계에 어떠한 농도 분포를 하고 있는지 18지점을 중심으로 오염실태를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18지점에서의 PFOS 농도는 10.1 ~ 46.0 (평균 21.6) ng/L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PFOA는 LOQ(limit of quantitation) ~ 14.2 (평균 7.3) ng/L의 범위로 분석되었다. 이 중 화순에서 흘러오는 광주천은 PFOS와 PFOA 농도가 각각 15.3 ng/L와 5.3 ng/L로 보였고 하수처리장에서 1km 떨어진 광주천에서는 높은 농도의 PFOS 35.5 ng/L와 11.7 ng/L로 검출되었다. 이와 반대로 광주천과 황룡강이 합류하는 영산강 본류 구간에서는 PFOS 15.9 ng/L으로 검출되었으나 그 외에 다른 PFCs는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나주 지역을 따라 흐르는 영산강 본류에서는 PFOS 와 PFOA 농도 각각 27.4 ng/L와 8.5 ng/L로 비교적 높게 검출되었지만 전반적으로 주변 지역은 보다 낮게 검출되었다. 영산강이 함평과 무안을 거쳐 서해로 빠져나가는 목포 지역에서는 20.1 ng/L와 7.5 ng/L로 검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전라남도 영산강 수계 내에 PFCs인 독성화학물질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인공화학물질의 자연수내의 존재 및 거동 등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되어야할 것이다.

      • KCI등재

        『카타 우파니샤드』의 Puruṣa 개념에 대한 고찰

        임혜정,정승석 인도철학회 2017 印度哲學 Vol.0 No.49

        The terms Puruṣa and Ātman are used synonymously in the Kaṭha Upaniṣad, but the concept of Puruṣa is emphasized to reveal discrimination toward the notion of Self. Moreover, with regrad to the inclination of Self in the monistic realms, there seems to be an intent to interpret the term ‘Puruṣa’ as equivalent to ‘Brahman.’ In the process of expressing this point of view, Puruṣa has been described in various ways to be quite congested, but at its apex is Puruṣa, which has no property at all. Consequently, this coincides with Puruṣa, which is assumed to be the principle of pure spirit in the classical Sāṃkhya. The Self-concept in the Kaṭha Upaniṣad combines the process of intensification of meditation with the object or subject in the cognitive process. It is revealed in the following three suggestions: ① indriya → artha → manas → buddhi → mahān Ātman → avyakta → Puruṣa ② indriya → → manas → sattva → mahān Ātman → avyakta → Puruṣa ③ → vāṅ-manas → jñānātman → mahān Ātman → śāntātman On the other hand, the Bhagavad-gītā suggests this process as a stage of indriya → manas → buddhi → Ātman. According to classical Sāṃkhya, the subject of recognition evolves from indriya → mind → ahaṃkāra → buddhi → Puruṣa.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Kaṭha Upaniṣad contains the Self-concept that can be covered by Puruṣa from the Bhagavad-gītā to classical Sāṃkhya. The notable concept here is the ‘thumb-sized Puruṣa’, likened to a dwarf. In the Kaṭha Upaniṣad, the thumb-size Puruṣa is indicated as an ‘inner self’ just as, at the same time, it indicates ‘Ātman as life.’ Thisconcept, which can be identified as the individual self or spirit, is ultimately identical to Ātman or Puruṣa as the supreme self―the alias of Brahman―in the monism of the Kaṭha Upaniṣad. It is likewise true of the ‘thumb-sized Puruṣa’ corresponds to the ‘supreme Ātman,’ the inner self. The term ‘thumb-sized Puruṣa,’ however, also corresponds to ‘sūkṣma-śarīra’ in the dualism of Sāṃkhya. In the Kaṭha Upaniṣad, the terms of Buddhi, sattva, and ‘Ātman of awareness’, which are referred to in an equilibrium phase, have been incorporated into the ‘buddhi’ in classical Sāṃkhya. Finally, ‘Ātman of titration’, which corresponds to Ātman, or one’s true self (Ātman), which is identical to the transcendent-self ‘Brahman’ (Brahman of ‘Brahman-Ātman-aikya’)―corresponds to the term ‘Puruṣa’ in the classical Sāṃkhya. To sum up the matters, the concept of Puruṣa in the Kaṭha Upaniṣad, encompasses various awareness of the concept ‘self’ that the concept of Puruṣa in the classical Sāṃkhya suggests the foundational ideas originally implied. Even though the Kaṭha Upaniṣad is a relatively concise literature, this text can provide for later commentators and later generations a glimpse into the contextual background of the term ‘Puruṣa’ in classical Sāṃkhya, revealing that it is used with as a synonym for ‘Ātman’. 『카타 우파니샤드』에서는 Puruṣa와 Ātman을 동의어로 혼용하면서도 Puruṣa에 비중을 두어 자아에 대한 차별 관념을 드러내고 있다. 그리고 일원론적인 자아관의 지향점은 Puruṣa가 Brahman임을 인식하는 것이다. 이러한 지향점을 표방하는 과정에서 Puruṣa는 상당히 혼잡스러울 정도로 다양하게 설명되어 있지만, 그 정점에는 ‘속성이 전혀 없는 Puruṣa’가 있다. 그리고 이것은 고전 상키야에서 순수한 정신의 원리로 상정한 Puruṣa와 합치한다. 『카타 우파니샤드』에서 ‘엄지 크기의 Puruṣa’는 ‘내적 자아’인 동시에 ‘생명으로서의 Ātman’이다. 개아 또는 영혼으로 불릴 수 있는 이것이 『카타 우파니샤드』의 일원론에서는 Brahman의 별칭인 최고아로서의 Ātman 또는 Puruṣa와 동일한 것으로 귀결된다. ‘엄지 크기의 Puruṣa’ 또는 내적 자아에 상당하는 대아(위대한 Ātman)도 이와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상키야의 이원론에서 ‘엄지 크기의 Puruṣa’는 미세신(sūkṣma-śarīra)에 상당한다. 『카타 우파니샤드』에서 대등한 위상으로 언급하는 통각, 순질, 지아(인식의 Ātman)가 고전 상키야에서는 통각으로 병합되었으며, 끝으로 범아일여의 범(Brahman)에 해당하는 적정아(적정의 Ātman)는 고전 상키야의 Puruṣa와 상응한다. 이상과 같이 『카타 우파니샤드』의 Puruṣa 개념은 자아에 대한 다양한 인식을 포괄함으로써 고전 상키야의 Puruṣa 개념이 애초에 함축하고 있었던 원천적 관념을 시사해 준다. 『카타 우파니샤드』는 비교적 간결한 문헌이지만, 이를 통해 상키야의 Puruṣa가 일부 주석자들 사이에서 또는 후대에 Ātman과 동의어로 당연시되었던 배경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 KCI등재

        한국 민속음악에 대한 만당의 시선과 논의

        임혜정 한국국악학회 2020 한국음악연구 Vol.68 No.-

        만당 이혜구 선생님의 한국음악에 대한 본격적인 관심은 민속음악의 장단을 파악하는 것으로 시작되었 다. 선생님에게 장단은 한국음악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었으며 이에 관한 이해를 통해 그 음악의 구조를 살피고자 했다. 특히 민속음악 장단의 학습을 통해 한국음악의 구조를 파악한 경험과 긴장과 이완의 표출로 정의되는 한국음악의 미를 발견한 경험은 이후 한국음악과 관련된 선생님의 논의에 도 적지 않은 영향을 주었다. 1950년대에 발표된 선생님의 민속음악 연구는 주로 우리의 토속음악을 규명해내는 작업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작업과 관련해서는 당시 음악인들이 현장에서 사용하는 용어에 대한 궁금증도 그 동기 가 되었겠지만, 양주동, 송석하 등 국문학자 또는 민속학자의 연구 결과에 영향을 받은 부분도 있어 보인다. 실제로 시나위, 도솔가 등의 용어를 연구해 나가는 과정은 양주동의 견해를 가져오거나, 또는 반박하며 진행된다. 즉, 1930년대 이후 선생님은 당시 국문학자, 또는 민속학자가 진행하고 있는 연구 중에서 우리음 악과 관련된 부분에 흥미를 가졌으며, 1950년대에 민속음악 관련 저술을 집필하는 과정에서는 이에 관한 보충 또는 반론 등을 진행하는 입장을 취했다. 그러나 이후에는 음악학자의 입장에서 음악 용어의 개념을 정립해서 이를 이론적으로 사용해 보고자 시도하게 된다. 그 대표적인 예가 “장단”과 관련된 용어의 개념을 정립하고자 하는 선생님의 논의라고 할 수 있겠다. 그런데 이러한 장단과 관련된 논의 전개에서 고려해 볼 점은 이미 선생님에게 서구적 사고의 틀에서 비롯된 “음악학”이 각인된 이후, 우리 음악 이론의 체계 정립이 시도되었다는 점이다. 그 과정에서 선생님 은 서양음악이론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개념을 표현하는 우리의 전통적인 음악 용어를 그대로 사용하거 나, 또는 새로 만들어 내는 것을 피하려 했다. 각 나라별로, 또는 민족별로 음악과 관련해서 다른 개념을 지닐 수 있으며, 이를 표현하는 음악 용어가 존재할 수 있다. 각 나라별로 문화와 역사가 다르고 음악은 이를 반영하기 때문일 것이다. 과연 이를 무시하고 그 나라의 음악에 대한 이론적인 체계를 세우는 것이 과연 타당한가 의문이다. 예를 들자면 우리 음악의 “장단”이라는 용어가 표현하고자 하는 개념이 과연 선생님이 이를 대신해서 사용하고자 했던 서양음악의 “구(rhythmic cycle, phrase)”라는 용어의 개념과 같은 것이라 할 수 있겠는가 하는 문제이다. 만약 우리의 전통적인 사고 체계 속에서 성립된 장단이라는 개념이 서양음악에 없는 것이라고 한다면, 이를 굳이 서양음악에 존재하는 개념으로서 다시 정의를 내려 사용할 필요는 없어 보인다. 이 부분은 이혜구 선생님께서 후학들에게 남겨두신 과제로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Lee Hye-ku Mandang’s interest in Korean music originated from his attempt to understand the rhythm of Korean traditional music. He tried to deeply understand the rhythm of Korean music, and through this, he wanted to know the structure of music. This musical experience had a great influence on his later research related to Korean music Early research, which began in the 1950s, focused on understanding folk music. This trend of research is related to folklore researchers such as Yang Judong and Song Seokha who interacted with him at the time. Since the 1930s, his research has many contents related to the research subjects of the Korean literature and folklore. His interest was particularly attracted by the musical content that folklore and Korean literature had not yet dealt with. His interest later led to research to establish concepts and terms related to the rhythmic system called Jangdan(장단). His discussions on Jangdan is based on the theoretical system of Western musicology. In this process, he may have tried to avoid using traditional musical terms that express concepts that do not exist in Western music theory, or to create new ones. However, considering the fact that different music systems have been formed and developed in each culture, the question of whether music from different cultures can be explained with the same logic arises. Nevertheless, his research achievements to establish the universal concept of Jangdan that can be applied across genres and times, an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music based on this, left a huge legacy in future studies of Korean musi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