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빨간 독수리(Águila Roja) >: 검은 전설의 탈신화화와 극복의지

        임주인 ( Lim Juin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9 比較文化硏究 Vol.54 No.-

        <빨간 독수리>는 스페인 역사의 어두운 면에 집중하여 폭로하고 드러냄으로써 숨기고 싶었던 검은 전설의 실체를 재해석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종교재판소와 재판관의 불의, 중남미 원주민에 대한 박해와 학살, 영국 해적과의 갈등, 모리스꼬에 대한 박해와 추방 등의 사건을 다루고 있다. 주인공 곤살로의 입을 통해 자민족 중심적인 시각에서 벗어나 상대주의적 시각에서, 휴머니즘의 차원에서 역사를 재해석하고자 하는 시도를 보인다. 여기서 주체가 되어지는 인물은 평민들이다. 귀족들의 도덕적 타락이 난무한 사회에서 가난하지만 명예를 지키고자하는 평민들은 귀족과 서로 대립된 구도를 형성하고, 세련되지 못하고 배고픔과 가난에 허덕이지만 가족과 나라에 대한 순수한 사랑과 열정은 <빨간 독수리>로 형상화된다. 드라마 방영 기간 내내 트위터와 페이스북, 게임 등으로 시청자를 비롯한 대중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이끌었던 덕택에 현대적 시각에서의 재해석이 광범위하게 이루어졌다. 스페인 뿐 아니라, 이란 등 아랍에서도 방영된 이 드라마는 종교적인 갈등으로 인한 모리스꼬의 추방 문제에 대해서도 탄력적인 접근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검은 전설의 주요 논점이었던 종교재판으로 인한 고문과 원주민 학살 등은 유럽의 비판적 시각을 수용하여 순혈주의의 경직성과 비인간적 측면을 고발하면서도 이들 이교도와 원주민에 대한 평민들의 포용력과 인류애적 화해의 이미지는 일부 정치가들에 의해서 왜곡되고 날조되어 오도된 역사 바로잡기에 좋은 기준을 제시해주었다. Águila Roja concentrates on Spain’s dark history and societal influences and through this, it reinterprets the reality of Black Legend which were instances and events in their history that they had wanted to hide. In this process, this drama features many incidents: such as the Inquisition and the judge’s injustice, persecution and massacre of Native Americans in Central and South America, conflicts with English pirates, persecution and the deportation of Morisco. Through the main character Gonzalo’s perspective, this drama tries to reinterpret history not in an Ethnocentrism view, but in a relativism view that reviews and interprets the dimension of humanism. The leading characters in this drama are the common people of the time. In a society where the nobility was known as being notably corrupt, the commoners sought to preserve their honor despite their poverty, and formed a stance that was opposed to the nobility. Even though they weren’t of fancy dress or of means and suffered from poverty, their pure love and passion was embodied as Águila Roja. As the drama drew active participation from the public through Twitter, Facebook, and a computer game of Águila Roja, the history was reinterpreted in a broad and modern perspective. The drama, which was broadcast not only in Spain, but also in the Arab world, has a flexible approach to the expulsion of Morisco due to its prominent religious conflicts. Torture because of the Inquisition and the Native South American massacre, which was the main point of Black Legend, was accepted in society, and European’s critical view found that it stood to change and denounced the Catholic’s rigidity and inhumanity. But at the same time, the tolerance of the commoners and the image of humanitarian experiencing a reconciliation at the pagan and the natives review of the theories, establishes a new benchmark for correcting the history which was fabricated by politicians at that time.

      • KCI등재

        중세 스페인문학에 나타난 안달루시아의 다원적 정체성

        임주인(Lim Juin)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2 외국문학연구 Vol.- No.45

        13-14 세기 국토회복전쟁을 치르면서, 알 안달루시아 지역의 아랍 문화를 기독교 문화권 속으로 통합시키고자 하는 노력이 있게 된다. 돈 후안 마누엘의『루까노르 백작』은 기독교적 이데올로기나 도덕관을 심어주기 위한 것이라기보다는 이슬람과 기독교 세계가 함께 공존했던 스페인 남부지방의 대중적이고 세속적인 인간사를 전하고 있다. 51편에 달하는 단편적인 이야기들 중에서 반항적이고 불순종적인 여인과 그 여인을 길들여가는 남편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하여 기독교적 가치관과 이슬람의 결혼관에 비추어 서사의 의도를 파악하고자 한다. 분석을 통해 돈 후안 마누엘의 서사의도가 기독교적 세계관에 나타난 가부장적 가치관과 지참금 제도와 관련된 이슬람적 결혼관이 함께 어우러져 안달루시아 문화적 전통과 기독교적 전통간의 경계를 넘나드는 혼종적 문화 정체성에 있음을 알 수 있다. 『루까노르 백작』의 서사 구조가 아랍의 대중 구술 문학적 특성을 띠고 있다는 지적에 따라 바흐찐의 다성성의 원리를 적용시켜 가부장제에 따른 남성의 여성지배 환상을 지적해보고자 한다. 바흐찐의 다성성 원리를 적용시켜 분석해보면 중세서사에서 여성에 대한 남성의 적극적인 자아 해체의 욕망에 따라 여성의 언어 행위를 부정적으로 판단하는 사회적 규범이나 터부가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게 된다. 이같은 분석을 통해 언어가 지배 계층의 의지에 따라 그 의미가 결정되고 왜곡되면서 남성들은 자신만이 담론의 주체인 것처럼 여성의 언어활동을 제약하고 왜곡시키고 있다. 한 개인의 사회적 정체성이 지배 담론이나 지배 세력에 의해 허구적으로 형성됨을 확인함과 동시에 안달루시아 무슬림 문화전통을 따라 통일성보다는 다원적이고 초국가적인 문화형태를 이루는 『루까노르 백작』에 나타난 다원적 목소리가 남성의 언어지배에의 환상을 어떻게 전복시키는지 확인하게 된다. Count Lucanor seems dictated rather than written by its author. All of which suggests the use of oral traditions and the personal experience rather than written, more or less written sources. Mr. Juan Manuel is leading representative of the Mudejar literature flourishes to the 14th century and which is the point of convergence or “symbiosis” of Eastern and Western cultures as typical and unique Spain. D. Juan Manuel was certainly know the Arab books that were circulating and were translated in the Court of the wise King. Count Lucanor has character anecdotes Arabic recounting could have already passed to the muslim-cristian folklore of the South of Spain. The orality of Count Lucanor, which was imitated by Islamic literature, made it have openness and dynamic power. In Conde Lucanor, after marriage of poor bridegroom, a rich and violent bride comes to realize that to survive she must redirect and dispel this male’s absurd aggression and she does so in behavior that he understands. But Mother in law subverts her husband’s power with a knowledge of gamesome spirit. She recognizes that the dominance/submission relationship of husband and wife seems to change into the mutuality of the husband and wife, but this mutuality is based on affections and respect and not power, which only the husband enjoy. Through patriarchy was a dominant and univocal discourse in the medieval age, Don Juan Manuel seems not to indulge himself in that ideology. The voice of Patronio is another example of hybrid construction in which the monolithic ideology of male dominance in the medieval age intersects with the polyphonic voices in the fourteenth century. 13-14 세기 국토회복전쟁을 치르면서, 알 안달루시아 지역의 아랍 문화를 기독교 문화권 속으로 통합시키고자 하는 노력이 있게 된다. 돈 후안 마누엘의『루까노르 백작』은 기독교적 이데올로기나 도덕관을 심어주기 위한 것이라기보다는 이슬람과 기독교 세계가 함께 공존했던 스페인 남부지방의 대중적이고 세속적인 인간사를 전하고 있다. 51편에 달하는 단편적인 이야기들 중에서 반항적이고 불순종적인 여인과 그 여인을 길들여가는 남편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하여 기독교적 가치관과 이슬람의 결혼관에 비추어 서사의 의도를 파악하고자 한다. 분석을 통해 돈 후안 마누엘의 서사의도가 기독교적 세계관에 나타난 가부장적 가치관과 지참금 제도와 관련된 이슬람적 결혼관이 함께 어우러져 안달루시아 문화적 전통과 기독교적 전통간의 경계를 넘나드는 혼종적 문화 정체성에 있음을 알 수 있다. 『루까노르 백작』의 서사 구조가 아랍의 대중 구술 문학적 특성을 띠고 있다는 지적에 따라 바흐찐의 다성성의 원리를 적용시켜 가부장제에 따른 남성의 여성지배 환상을 지적해보고자 한다. 바흐찐의 다성성 원리를 적용시켜 분석해보면 중세서사에서 여성에 대한 남성의 적극적인 자아 해체의 욕망에 따라 여성의 언어 행위를 부정적으로 판단하는 사회적 규범이나 터부가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게 된다. 이같은 분석을 통해 언어가 지배 계층의 의지에 따라 그 의미가 결정되고 왜곡되면서 남성들은 자신만이 담론의 주체인 것처럼 여성의 언어활동을 제약하고 왜곡시키고 있다. 한 개인의 사회적 정체성이 지배 담론이나 지배 세력에 의해 허구적으로 형성됨을 확인함과 동시에 안달루시아 무슬림 문화전통을 따라 통일성보다는 다원적이고 초국가적인 문화형태를 이루는 『루까노르 백작』에 나타난 다원적 목소리가 남성의 언어지배에의 환상을 어떻게 전복시키는지 확인하게 된다. Count Lucanor seems dictated rather than written by its author. All of which suggests the use of oral traditions and the personal experience rather than written, more or less written sources. Mr. Juan Manuel is leading representative of the Mudejar literature flourishes to the 14th century and which is the point of convergence or “symbiosis” of Eastern and Western cultures as typical and unique Spain. D. Juan Manuel was certainly know the Arab books that were circulating and were translated in the Court of the wise King. Count Lucanor has character anecdotes Arabic recounting could have already passed to the muslim-cristian folklore of the South of Spain. The orality of Count Lucanor, which was imitated by Islamic literature, made it have openness and dynamic power. In Conde Lucanor, after marriage of poor bridegroom, a rich and violent bride comes to realize that to survive she must redirect and dispel this male’s absurd aggression and she does so in behavior that he understands. But Mother in law subverts her husband’s power with a knowledge of gamesome spirit. She recognizes that the dominance/submission relationship of husband and wife seems to change into the mutuality of the husband and wife, but this mutuality is based on affections and respect and not power, which only the husband enjoy. Through patriarchy was a dominant and univocal discourse in the medieval age, Don Juan Manuel seems not to indulge himself in that ideology. The voice of Patronio is another example of hybrid construction in which the monolithic ideology of male dominance in the medieval age intersects with the polyphonic voices in the fourteenth century.

      • KCI등재

        『홍계월전』과 「박해받는 승리자」에 나타난 남장의 의미 비교분석

        임주인(Lim, Juin)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2010 동서 비교문학저널 Vol.0 No.23

        Honguewoljeon is a work which demonstrates women’s repressed desire for equality, success and fame, while A persecuted triumphant discloses women’s desire for overcoming women’s poor surroundings in the patriarch as a result of Counter-Reformation. The difference of theses works consists in the fact that the author of Honguewoljeon resists the phallocentric order and María de Zayas, author of A Persecuted Triumphant, without parodying or depreciating men, inspires women’s sense of identity indirectly in order to avoid censorship of Counter-Reformation. María de Zayas is a popular woman writer corresponding to Cervantes and Lope de Vega in the seventeenth century. Even inspectors such as Francisco Ginovés, who supported a patriarchic values in the level of religion praised her for having influence on women’s moral education. María de Zayas didn’t deny in fullface a existing social order (Rich Greer, 40). Nevertheless, the readers in that period got a vicarious satisfaction through female transvestites, who yelled at her male subordinates including her husband and corrected the patriarchal proud and prejudice. In this sense, female transvestism symbolizes the harmony of both sexes and a view-point of the integrated human identity. Seen from this point of view the two author’s intention lies not in the struggle for hegemony between the female and the male but in the creation of harmonious mankind meeting the need of the times.

      • KCI등재후보

        『술탄의 아내』에 나타난 기독교 포로의 트라우마와 그 극복기제

        임주인(Lim, Juin)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2 코기토 Vol.- No.71

        세르반테스가 알제리에서 무슬림 해적에게 잡혀서 5년 간에 걸친 포로 생활을 하게 되는데 이를 근거로 서 너편의 희곡이 출간된다. 이 번 논문에서는 그중에서 『술탄의 아내』를 중심으로 기독교 포로가 갖게 된 트라우마와 그 극복기제에 대해서 살펴본다. 중세 이베리아 반도는 이슬람과 기독교의 종교적 분쟁으로 인하여 오랜 전투를 벌여왔지만 동시에 서로 다른 문화와 전통을 함께 하면서 공존의 역사를 이루어왔다. 지브롤터 해협을 사이에 두고 이슬람과 기독교 문명권으로 나누어지게 되고 반종교개혁과 이단심문을 통해 종교적으로 경직된 이데올로기를 지향해나가면서 모리스꼬의 추방 등 다문화적 사회로서의 존립이 위태로와진다. 『술탄의 아내』는 무슬림 해적들에 의해서 오스만투르크 제국에 잡혀간 기독교 포로와 노예들의 삶을 유머러스하게 그린 세르반테스의 희곡으로 기독교의 경직된 종교적 이데올로기와 대조되는 개방적이고 관용적인 다문화 성향을 띤 이스탄불 사회를 그리고 있다. 서두에서는 포로의 송환을 둘러싼 펠리페 2세의 비공식적인 외교정책은 무엇이었는지 살펴본다. 그리고 본론에 들어가서 당시 이스탄불을 중심으로 이 사회를 형성하던 대표적인 인물들, 술탄과 환관, 그리고 기독교 노예와 포로, 그리고 기독교에서 개종한 무슬림과 그 밖의 이방인들의 혼종적인 정체성을 통해서 스페인의 바로크적 감성이 무엇이었는지를 살핀다. 이와 아울러 다수를 차지하는 무슬림 사회에서 소수의 기독교도가 겪은 트라우마와 이의 극복기제로 제시한 관용의 의미를 통해 종교적 한계를 벗어난 세르반테스의 상대주의적 시각에서 고찰해본다. In the Middle Age of Iberian Peninsular, it is indisputable that the periods of Spanish coexistence depict moments in history in which people lived under restrictive governing bodies. In the case of coexistence, subjects were limited to their own religious communities as a basis for identity, which enabled them, through their secure roots in these groups, to exchange ideas with other cultures. Regardless of the intentions of the rulers, whether they pursued a multicultural society or the complete opposite, subjects of these periods none-theless demonstrated an ability to create and adapt. In this article, I tty to analyze spanish baroque mentality, through the decentralization of monolithic identity such as sexuality or religion. On the basis of personal experience of the captive life of Cervantes in Algiers, pris-oner of the Turkish Corsairs after their participation in the battle of Lepanto, we take account of a tremendous endeavor of author in order to cure his trauma from captivity. Cervantes seeks to And an answer in a relative point of view from which he intents to re-valuate a medieval multicultural ideology (coexistence) beyond religious identity. Through sultan’s love and tolerance towards Christian woman slave and other captives, Cervantes in-sinuates that the baroque mentality, caused by cultural impact between ignorant illusion and revelation of starkest truth, may be overcome by decentralizing the attempts to pre-serve the solitary identity, and by interacting with each other.

      • KCI등재

        『소라단 가는 길』과 『낙원길에서의 결투』에 나타난 치유의 메시지

        임주인(Lim, Juin)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2009 동서 비교문학저널 Vol.0 No.20

          In this article, I have analyzed two novels concerning the Spanish Civil War and Korean War on the basis of the theory of Deleuze and Guattari. They present the tragedy of fratricidal war caused by ideological conflicts between members of the same race through the distorted mind of a child. We find how destructive and unproductive war and fascism which is defined as a “cancerous organism” can be. In addition, we recognize that the dichotomy between male/female, standard language/ dialect, and majority/ minority oppress the free and creative imagination. In spite of a long gap of time in the publication of the works, they have a great deal in common with the loss of human nature, family dissolution and distorted heroism. But they also suggest an inclination toward the future with which the authors hope for healing of the scars and renewal. Through the two characters Jordi/Anapban who are located on the boundary between male/female, and through Estanissla/ maternal grandmother, who are located on the deterritorialization between human/animal, with the belief that their dead sons come back as animal life, the authors present the deterritorialized and nomadic freedom from spreading violence and madness caused by war.   If we fi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authors, it is that Yoon intends to calm down the tragedy of fratricidal war with racial emotion such as shamanism and nostalgic dialect, while Goytisolo depends on rather the demythologization and disruption from past than the traditional belief. Despite the difference, they who both experienced the death of loving family during the war, are in accord with how the ideological conflicts and official culture, which lay stress on the difference, deform the human nature. On recalling the memory including the author’s experiences related with war, they are cured of deeply carved scars.

      • KCI등재

        아랍을 바라보는 스페인의 두 얼굴: 모리스꼬 로만세를 중심으로

        임주인 ( Juin Lim ) 고려대학교 스페인·라틴아메리카연구소 2016 스페인라틴아메리카연구 Vol.9 No.1

        이 논문에서 연구대상으로 삼은 모리스꼬 로만세에는 스페인 내에서 무어인들 이 느끼는 정체성의 혼란과 자기 정체성 유지를 위해 갈등하고 투쟁한 흔적들이 나타나있다. 모리스꼬 로만세가 그 명맥을 유지할 수 있었던 이유는 잊혀져가는 정체성의 재발견이라는 민족적, 종교적 사명감이 근저에 깔려있고, 기독교적 요소 와 이교도적 요소가 공존하면서 ``꼰비벤시아(convivencia)`` 곧, 상생이라는 중세스페인 역사의 진정성을 보여주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이번 연구에서는 스페인의 전 통성과 대중성을 대표하는 문학 장르 중 하나인 로만세로의 모리스꼬 참여가 스페인 대중문화 속에 녹아있는 이슬람적 요소의 전파와 기독교적 문화와의 융합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무슬림이나 모리스꼬와 관련 있는 로만세를 시기적으로 레꽁끼스따(국토재정복)가 진행되던 당시, 기독교도와 이슬 람교도 간의 접전이 벌어진 국경지대에서 불려진 로만세, 일명 ``국경지대의 로만 세로(romancero fronterizo)``와 레꽁끼스따가 끝나고 알푸하라스(Alpujaras) 모리스꼬 반란이 일어난 시기에 지어졌거나, 이 사건을 소재로 한 모리스꼬 로만세로 나 누어 살펴보았다. 각 시기마다 내용에 있어서 차이를 보이는데 전자의 경우는 기독교도와 무슬림교도 간의 치열한 전투의 장면을 생생하게 묘사하면서 무슬림 전사의 용맹스러움을 강조하고, 후자의 경우는 모리스꼬 출신의 뻬레스 데 이따 (Perez de Hita)의 역사소설에 삽입된 ``모리스꼬 로만세로(Romancero morisco)에 서는 아랍적 전통과 관습에 대한 향수를 보여준다. 그리고 황금세기 작가 중에서 모리스꼬 로만세 창작에 참여했던 로뻬 데 베가의 작품에서는 모리스꼬에 대한 반영웅적 이미지를 강조하여 모리스꼬의 추방을 정당화하고자 하는 당시 일부 정 치가들의 프로파간다성을 보여준다. 동시에 작품에 나타나고 있는 모리스꼬의 입을 통해 모리스꼬 개인에 대한 이해와 당시 스페인의 현실을 무시한 채, 피의 순 수성 신화에 사로잡혀 모리스꼬 추방에 앞장 선 아랍혐오주의자들을 패러디한다. This article is related to el romance morisco and to collective unconscious of Spanish about muslim and its descendant “morisco”. The morofobia has decisive effect on immigration policy of Arab. Today, The morofobia is connected to the terror or threat of “Islamic State”. There has been dispute between morofobia and morofilia since the expulsion of Morisco in 1609. After the Reconquista of Reyes Catolicos, moriscos created el romance in order to keep their religious or linguistic identity. In this article, Romances moriscos a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chronically: First, Romance of moriscos in the midst of Reconquista, in other names, Border Romance (“Romancero fronterizo”) Second, Romance of moriscos between the Reconquista and Rebellion of Alpujarras(1568-71), Third, Romance of moriscos after Alpujarras, Forth, Romance of moriscos or Comedia of Lope de Vega. In the first poem, author describes the vivid battle in the frontier of Granada between muslims and christians. In the second, now that Reconquista was completed, character is described mystically such as that of medieval chivalry instead of bravery of muslim soldiers or conversion of muslim by Reconquista. In the third, after the rebellion of Alpujarras and its defeat, in Romance of Perez de Hita, love triangle and individual psychological description stand out. In addition, there appeared romance in full of nostalgia of arabic culture and tradition. Although Arab was no more opponent of Spain after the defeat of Alpujarras, making an issue of expulsion of moriscos in Felipe III, some islamaphobic writers incited people to justify the exile. On the contrary, the morisco writers such as Perez de Hita made an emphasis on bringing back the nobility of the millennial Islamic kingdom in the Iberian Peninsula. Lastly, in the Romance and Comedia of Lope de Vega, we discovered a double face toward expulsion of moriscos: maurophilia(morofilia) and maurophobia(morofobia). In this sense of the word, the characters of morisco in the popular literature such as Romance demonstrate a confusion and conflict of self-identity in the process of acculturation. At the same time writers intend to expose distorted and blinkered maurophobia of spanish who were tinctured with “Purity of Blo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