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부동산신탁 과세제도의 현재와 미래: 신탁세제의 분석과 개선방안에 관하여

        임재혁 한국지방세학회 2019 지방세논집 Vol.6 No.2

        The revised Trust Act introduced new systems such as collateral trusts, self-trusts and beneficiary certificates issuance trusts, through which measures to utilize real estate trusts for collateral purposes were diversified. Such a trust structure is a system developed around the Anglo-American law, citing the convenience of bankruptcy remoteness, dual recourse, and controlling interests of mortgage holders. Meanwhile, in connection with the trust tax system, the Supreme Court recently made decisions in various tax categories, including acquisition tax, property tax and value-added tax(2012du22485, 2014du38149, 2015du49694, 2014du13393, 2016da224961). A real estate trust is a kind of property trust that manages and preserves land or buildings by trusting them, and pays them according to the status quo at maturity. Many development trust companies went bankrupt in the wake of the financial crisis in 1997. The real estate investment is classified into development trust, property management trust, disposition trust and collateral trust. Meanwhile, each country's trust tax system can be divided into two: the trust entity theory and the trust conduit theory. The former believes that the trust property can be an independent taxpayer or a taxable unit(United States and Great Britain’s taxation systems), whereas the latter assumes the trust is merely a conduit for distributing income to the beneficiary(Germany’s taxation system). It is assessed that national taxes(income tax, corporate tax, value added tax,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and acquisition tax among local taxes of Korea's trust taxation system were taken as trust conduit theory, while property tax, gross real estate Tax, and local public facilities taxes were taken as trust entity theory. However, recent Supreme Court decisions seem to have made a number of cases based on the belief of trust entiy theory. This attitude of precedent is thought to be a desirable tendency to enhance the essential function of trust. Nevertheless, the recent legislation has been based on trust conduit theory, as opposed to the attitude of the Supreme Court’s decisions. In order to realize the legislative purpose of amending the Trust Act in 2011, effective trust taxation system is very important. Trust entity theory has a theoretical advantage in that it increases the predictability of taxpayers and clarifies legal relations compared to trust conduit theory. Consistent trust conduit theor (as clearly seen in the taxation issues of collective investment schemes) will not only burden taxpayers with unnecessary tax compliance costs, but will also result in excessive administrative costs.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pursue a unified trust taxation system under trust entity theory that can be harmonized with the revised Trust Act. 2011. 7. 25. 개정 신탁법을 통하여 유한책임신탁, 수익증권발행신탁, 신탁사채, 유언대용신탁, 수익자연속신탁 등 다양한 신탁제도가 도입되었다. 이와 같은 신탁구조는 도산절연, 이중청구 및 담보권자들의 이해관계 조절의 편의성을 이유로 영미법계를 중심으로 발전한제도이다. 한편, 최근 신탁세제와 관련하여 대법원은 취득세, 재산세, 부가가치세 등 다양한세목에서의 판결을 선고한 바 있다(대법원 2017. 5. 18. 선고 2012두22485 판결, 대법원2017. 6. 8. 선고 2014두38149 판결, 대법원 2017. 6. 8. 선고 2015두49694 판결, 대법원2017. 6. 15. 선고 2014두13393 판결, 대법원 2017. 8. 29. 선고 2016다224961 판결). 부동산신탁은 위탁자가 수탁자에게 토지, 건물 등 부동산을 수탁하여 개발, 관리, 처분하게 하거나 담보로 제공하는 재산신탁의 일종이다. 우리나라 신탁 실무는 종전에는 개발신탁(토지신탁)이 많이 이루어졌으나 1997년 금융위기를 겪으면서 다수의 개발신탁회사가 도산하였고 현재에는 담보신탁이 대부분이다. 부동산신탁은 그 기능에 따라 개발신탁, 관리신탁, 처분신탁, 담보신탁으로 구분된다. 한편, 각국의 신탁세제는 신탁재산을 독립된 납세의무자또는 과세단위가 될 수 있다고 보는 신탁실체이론과, 신탁은 수익자에게 소득을 분배하여 주는 도관에 불과하다는 신탁도관이론으로 구분하여 볼 수 있다. 미국과 영국은 전자(前者)의예이며 독일은 후자(後者)를 채택하는 대표적인 국가이다. 물론, 각 국가마다 원칙에 대한 예외규정을 다수 두고 있음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 신탁세제 중 국세(소득세, 법인세, 부가가치세, 상속세 및 증여세), 지방세 중 취득세는 신탁도관이론을, 지방세 중 재산세, 종합부동산세, 지역자원시설세 등은 신탁실체이론을 취한 것으로 각각 평가된다. 다만, 최근 대법원 판례는 부가가치세 및 지방세 분야에서신탁실체설에 입각한 판시를 다수 내리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판례의 태도는 신탁의본질적인 기능인 도산절연 또는 재산분리를 제고하는 바람직한 경향으로 생각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재산세 분야를 제외한 최근 입법(예컨대, 부가가치세법)은 판례의 태도와는 반대로 신탁도관설에 입각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2011년 신탁법 개정의 입법 취지를 실현하기 위하여서는 그 세제상 뒷받침이 필수적이다. 신탁실체이론은 신탁도관이론에 비하여 납세자의 예측 가능성을 증대시키고 법률관계를 간명하게 한다는 점에서 이론적 우위를 갖는다. 특히 집합투자기구 등의 과세 문제에서 보는 것처럼 신탁도관이론을 일관하는 것은 납세자에게 불필요한 조세순응비용을 부담시킬 뿐만아니라, 행정비용도 과다하게 발생할 것이다. 따라서, 개정 신탁법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신탁실체설에 따른 통일적, 일원적인 신탁세제를 지향하되, 현행 지방세법 제9조 제3항의 규정과 같이 구체적 타당성 측면을 고려하여 일부 신탁도관설를 가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KCI등재

        조세쟁송절차에서의 조정 및 화해제도 도입방안

        임재혁 대한변호사협회 2023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517

        매년 제기되고 있는 조세불복사건은 증가하고 있는 반면, 전심기관 및 사법부의 연간 처리율은 그에 미치지 못하는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납세자의 권리의식 신장 및 조세사건의 복잡성 증대로 인하여 개별 사건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이 모두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납세자 및 과세관청의 협의절차를 통하여 사건을 종국적으로 신속하게 해결할 수 있는 대체적 분쟁해결제도로서의 조정 및 화해제도의 도입의 필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다. 물론, 전통적인 공·사법이분론의 시각에서는 조정 또는 화해와 같은 대화와 타협에 기초한 분쟁해결방식은 사법(私法)의 영역에서만 이루어질 수 있다고 보았으나, 최근의 흐름은 공법, 심지어 형사법 영역에 있어서도 다양한 대체적 분쟁해결제도가 도입되어 가고 있다(이러한 흐름은 상당 부분 영미법학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이미 우리나라는 민사조정법상의 조정, 민사소송법상의 화해제도는 물론이고, 공법상 분쟁을 다루는 행정심판법에서도 조정제도를 명문으로 법제화하였으며, 심지어 형사절차에서도 형사조정이 시행되고 있다. 조세 분야에서는 국제조세 분야가 선도적인 위치에 있는데, 현행 국제조세조정에 관한 법률에는 상호합의제도 및 정상가격 사전승인제도가 규정되어 조세조약의 해석 및 적용에 관한 과세상의 쟁점에 관하여 우리나라의 과세당국과 조세조약의 체약상대방 국가의 과세당국 간 협의절차가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OECD 모델조세조약 제25조에서는 상호합의가 결렬된 경우에 각국의 사법부가 아닌 제3의 중재재판소로 하여금 사건을 해결하도록 하는 강제중재제도를 두고 있다. 해외 주요국의 입법례 역시 조세쟁송에 있어서 대화와 타협에 기초한 대체적 분쟁해결제도를 폭넓게 두고 있다. 공·사법이분론이 뚜렷하지 아니한 영미법계에서는 협의과세 제도가 정착되어 있는데, 미국에서는 과세 단계에서부터 조세법원의 쟁송단계에 이르기까지 과세관청과 납세자 간의 합의(화해)로 사건이 종결될 수 있다. 영국 역시 합의에 의한 종결제도를 두고 있으며, 외부의 조정위원을 통한 조정도 폭넓게 운용된다. 대륙법계 국가인 독일에서도 법원은 조정인에게 사건의 처리를 위탁할 수 있고, 프랑스에서도 조세사건을 포함한 행정쟁송절차에서 조정을 통한 사건의 해결이 가능하다. 요컨대, 국세기본법 및 행정소송법의 개정을 통하여 전심절차에서의 조정 및 소송절차에서의 화해권고제도를 도입하는 것은 분쟁의 신속한 해결을 통한 한정된 사법자원의 효율적 배분은 물론, 실질적 법치국가원리를 구현하고 글로벌 스탠다드에 부합하는 조세쟁송법제를 도입하는 방안이다. 이미 사실심 재판부에 의하여 실무적으로 폭넓게 운용되고 있는 조정권고제도(사실상의 조정)를 법제화하여 절차적 적법성을 제고하는 한편, 납세자와 과세관청 간의 조정 및 화해에 관한 실무계의 높은 수요를 충족하는 부수적인 효과도 거둘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본건 연구의 내용이 향후 조세쟁송절차에서의 대체적 분쟁해결제도의 도입을 위한 본격적인 논의의 기초가 되기를 기대한다. The rising number of filed tax cases annually contrasts with the tax tribunal and court’s limited processing speed. This delay is exacerbated by growing taxpayers' rights and case intricacies, leading to prolonged timelines and higher costs per case. Consequently, there's a growing imperative for a tax case mediation system as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ADR”) system. This system aims to expedite resolution by fostering discussions between taxpayers and tax authorities, addressing the need for swift and definitive case outcom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raditional division between public and private law, dispute resolution methods such as mediation and reconciliation were considered to only take place within the realm of civil law. However, recent trends have seen the introduction of various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 mechanisms even in the field of public law, and in some cases, even in criminal law (this trend appears to b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Anglo-American law systems). In Korea, not only does the Judicial Conciliation of Civil Disputes Act include provisions for mediation, and the Civil Procedure Act incorporate a conciliation system, but also the Administrative Appeals Act expressly institutionalizes a mediation system. Moreover, even in the criminal procedure, criminal mediation is being carried out, based on the Crime Victim Protection Act. In the field of tax law, international taxation takes a leading role for ADR. The Adjustment of International Tax Act includes provisions for Mutual Agreement Procedures(“MAP”) and Advance Pricing Agreements(“APA”). These provisions are widely utilized for addressing taxation disputes related to the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tax treaties between the taxing authorities of Korea and the counterpart country of the tax treaty, through the consultation process. Article 25 of the OECD Model Tax Convention establishes a mandatory arbitration mechanism that empowers a third-party arbitration tribunal, rather than the judiciaries of the respective countries, to resolve cases when mutual agreement procedures fail. Foreign countries also widely embrace ADR systems based on dialogue and compromise in the context of tax disputes. This approach is prominent in legal systems like those in Anglo-american countries, where administrative and civil distinctions are less defined. In the United States, for example, tax cases can be resolved through agreements between tax authorities and taxpayers, spanning from assessment to court stages. The United Kingdom also employs a settlement-based approach, often involving external arbitrators. Even in civil law countries like Germany, courts can delegate tax cases to mediators, and France allows for mediation in administrative litigation processes, including tax disputes. In summary, the introduction of the mediation and conciliation recommendation system for tax disputes during the pre-litigation and litigation stages through amendments to the Framework Act of National Taxes and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 Act is a proposed method to efficiently allocate limited judicial resources through the swift resolution of disputes. This approach will introduce a tax litigation system that aligns with global standards. It is also a way to ensure legality by formalizing the de facto mediation practices currently carried out by the courts for tax cases. Additionally, it is anticipated to fulfill the auxiliary effect of meeting the high demand in practice for mediation and reconciliation between taxpayers and tax authorities. The conten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a foundational basis for substantial discussions on the future introduction of ADR mechanisms in tax litigation proced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