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음속 그리드핀 유동해석의 단순화 기법에 관한 연구

        이형진 한국항공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최근 발사체 재회수 과정에서 주목받고 있는 신개념 공력발생장 치인 그리드핀의 유동해석 단순화 과정을 검증하고 공력특성을 평가하기 위 하여 수치해석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단순화 기법은 크게 2차원화, 단위 그리 드핀의 두 가지 기법으로 분류되며 외부유동의 마하수와 받음각 조건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유동구조를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단위 그리드핀의 보정 개선 을 중점으로 수치해석을 진행하였으며, 단위 그리드핀과 3차원 그리드핀에서 각각의 과거 수치해석/실험 결과들과의 비교를 통하여 수치해석적 정확도를 검증하였다. 수치해석 결과를 통하여 단순화 기법들을 이용한 그리드핀의 수 직력계수, 축력계수 등의 공력특성을 평가하였고, 2차원 실린더 해석을 통하 여 단위 그리드핀 기법의 정확성을 개선한 방법이 제시되었다. 마지막으로 개 선된 단위 그리드핀 결과의 비교검증을 위하여 3차원 그리드핀의 공력해석을 진행하여 단위 그리드핀 방법의 타당성을 평가하였다. The grid fin is a novel aerodynamic device that has a higher lift and drags with significantly reduced hinge moments. However, it needs too many computational resources to analyze its aerodynamic characteristics numerically, because of its structural complexity. In this study, a simplified method of grid fins is validated and improved for reduction of computational costs, it is 2D grid fins, unit grid fin method. To compare and analyze the results of simplification methods, a 3D grid fin with a blunt body is analyzed in limited cases due to its numerous computational costs. The simplification method of unit grid fin is well validated and improved on validation cases, but it couldn't provide good results for SpaceX Falcon 9 grid fins of present cases.

      • 다양한 물체를 파지할 수 있는 세 손가락 로봇핸드의 설계 및 제어

        이형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인간과 공존하는 빌딩내 환경에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물건을 원하는 곳으로 배달할 수 있는 로봇시스템의 일환으로 모듈화 되고 재구성이 가능한 범용핸드를 개발한다. 또 다양한 물체를 안정적으로 파지하기 위한 제어방법을 연구한다. 따라서 가볍고 파지력이 높으며 적절한 힘으로 물체를 파지할 수 있는 핸드를 개발한다. 또한 기구부의 구조적 신뢰성을 높이고 핸드 안에 모든 부가장치를 구비하여 모듈로써 재구성이 가능한 시스템으로 개발한다. 뿐만 아니라 물체를 안정적으로 파지하기 위한 제어방법을 연구한다. 파지물체의 환경에 관계없이 물체를 안정적으로 파지하는 실험을 하며 힘제어와 위치제어를 통하여 관절각의 여유를 크게 함으로써 물체를 안정적으로 파지함을 알아본다. 핸드의 횡운동을 이용하여 물체를 시험적으로 파지하여 물체의 형상을 인식한다. This dissertation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the modular, dextrous robotic hand towards the indoor service robotic application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sign and control the multi-fingered robot hand which can be used as a part of the service robot. The service robot, as a target system, is a self-contained, fully autonomous mobile manipulator platform in order to carry out delivery tasks. In this dissertation, fully-integrated compact robot hand is designed and implemented in order to grasp various target objects. Target objects include cylinder, block, paper, door knob and so forth. Objectives are to achieve simple, compact and light weight mechanism and fingertip contact force sensor implementation. Control issues include stable grasping and shape estimation of target objects. Experimental results shows the usefulness of design and applied control strategies.

      • 직장 內 괴롭힘에 관한 연구

        이형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직장 內 괴롭힘을 알아보고자 진행된 것이다. 아직 국내에서 이 분야에 대한 연구가 없는 관계로 연구 1에서는 척도의 적합성 여부를 알아보고자, 괴롭힘의 경험(피해, 가해, 가해-피해, 無경험)이 척도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보았다. 연구 2에서는 괴롭힘의 피해경험과 자기효능감, 이직의도의 관계를 살펴보았고, 고립감이 괴롭힘의 피해경험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보이는지를 검증하였다. 연구 1의 결과 괴롭힘 경험(피해, 가해, 가해-피해, 無경험)에 따라 나눈 네 집단 간에 척도의 각 항목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외국의 괴롭힘 척도를 국내에서 사용하여도 무방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 2의 결과에서는 괴롭힘의 피해경험과 자기효능감 사이에는 유의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직의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명백한 공격행위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효과는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으며, 고립감의 매개효과에서도 이를 제외한 적대감 표현행위와 방해 행위, 그리고 괴롭힘 행위 전체에서는 유의한 완전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국내 하천 유역의 토지이용에 따른 부착조류 군집 구조 및 특성

        이형진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국내 하천 유역의 토지이용이 하천 수중에 서식하는 부착조류 군집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자, 2005년 5월부터 2013년 7월까지 한강, 금강, 낙동강, 영산강(섬진강 포함) 등 4개 대권역과 강원 동해안 남부지역의 동해권 수계 등 총 5개 권역, 543개 지점에서 부착조류 연구를 수행하였다. 특히, 하천 유역의 오염원 분포, 유입과 관련지어 조사지점을 유역의 토지이용에 따라 산간계류천(Mountainous stream), 산지하천(Stream in forest area), 농지하천(Stream in farmland), 도심하천(Stream in urban area), 농촌하천(Stream in farming area), 복합하천(Stream in various factors) 등 6개 하천으로 유형화(categorization)하고, 해당 유형별로 부착조류 군집 특성을 분석하여 국내 하천 유역의 토지이용에 따른 부착조류 군집구조 및 특성을 파악하였다. 조사기간 동안의 수온은 1.0∼30.0℃의 범위로 해당 유형별 평균 수온은 산간계류천(11.9℃)에서 가장 낮았고, 농지하천 (18.8℃)에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수소이온농도(pH)는 4.7∼9.9의 범위로 대부분 중성(pH 7∼8)의 범위를 나타내었으나, 일부 조사지점에서는 약산성과 약알칼리성을 나타내었다. 전기전도도(EC)는 3∼36,040.0㎲/㎝의 범위로 산간계류천과 산지하천에서 비교적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용존산소(DO)는 0.7∼17.6㎎/ℓ의 범위로 동절기에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하천 유형별로 넓은 분포역을 보였지만 평균값은 유사하였다. 생화학적 산소요구량(BOD)은 0.02∼16.9㎎/ℓ의 범위로 산간계류천과 산지하천에서 낮은 수치로 유사하였고, 나머지 하천 유형에서는 상대적으로 높게 분포하였으며, 평균값에서는 도심하천에서 다소 높게 조사되었다. 총질소(T-N)는 0.285∼25.789㎎/ℓ, 총인(T-P)은 0.0∼2.219㎎/ℓ의 범위로 산간계류천과 산지하천에서 가장 낮았고, 도심하천에서 다소 높게 조사되었다. 부착조류의 출현종수는 총 599분류군이 채집, 동정되었으며, 하천 유형별 출현종수는 산간계류천 131종(16∼34종, 평균 23종), 산지하천 309종(10∼56종, 평균 30종), 농지하천 291종(21∼71종, 평균 44종), 도심하천 318종(18∼64종, 평균 47종) 및 농촌하천 486종(11∼67종, 평균 42종), 복합하천 453종(17∼72종, 평균 49종)으로 조사되어 농촌하천에서 가장 많은 출현종수를 나타내었고, 산간계류천에서 가장 적은 출현양상을 나타내었다. 부착조류의 현존량은 102∼97,987,155cells/㎠의 범위로 평균 3,679,251cells/㎠를 보였다. 하천 유형별로는 산간계류천 14,493∼5,520,000cells/㎠의 범위(평균 915,802cells/㎠), 산지하천 102∼36,080,745cells/㎠의 범위(평균 3,206,507cells/㎠), 농지하천 10,666∼20,969,739cells/㎠의 범위(평균 2,111,546cells/㎠) 및 도심하천 632∼34,076,918cells/㎠의 범위(평균 3,577,037cells/㎠), 그리고 농촌하천 328∼97,987,155cells/㎠의 범위(평균 5,438,414cells/㎠), 복합하천 623∼26,074,419cells/㎠의 범위(평균 2,867,308cells/㎠)로 조사되었다. 특히, 산간계류천과 산지하천에서는 상대적으로 적은 현존량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Achnanthes convergens, A. minutissima, A. lanceolata, Cocconeis placentula var. euglypta 등의 우점하는 규조류와 세포크기가 작은 Homoeothrix varians, Phormidium tenue 등 사상체 남조류의 세포수가 적게 분포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나머지의 하천유형에서는 H. varians, P. tenue, Chroococcopsis sp. 등의 사상체 남조류가 계절에 관계없이 우점하며 상대적으로 많은 세포수를 나타내었다. 하천 유형별 부착조류 출현종 중에서 1회 이상 (아)우점한 산간계류천의 우점종은 총 17분류군으로 조사되었고, 산지하천 35분류군, 농지하천 35분류군, 도심하천 46분류군, 농촌하천 77분류군, 그리고 복합하천 80분류군으로 각각 조사되었다. 이 중에서 규조류의 Achnanthes minutissima, A. convergens, Cocconeis placentula var. euglypta, Navicula minima, Gomphonema quadripunctatum, 남조류의 Homoeothrix varians, H. janthina, Phormidium tenue, Chroococcopsis sp., Lyngbya martensiana 등은 대부분의 하천 유형에서 (아)우점하였고, 규조류의 Cymbella turgidula, Fragilaria capucina, Nitzschia inconspicua, N. palea, N. amphibia, 녹조류의 Scenedesmus acutus f. costulatus, 남조류의 Oscillatoria nigra, O. limosa 등은 산간계류천을 제외한 나머지의 하천 유형에서 (아)우점하였다. 또한, Merdion cirulare var. constrictum, G. pseudoshaerophorum 등은 산간계류천에서만 (아)우점하였고, Actinastrum hantzschii var. fluviatile, N. diversa, N. fonticola 등은 도심하천에서만 (아)우점하였다. 특히, 대부분의 (아)우점종은 하도특성과 유역 토지이용의 패턴이 다양한 농촌하천과 복합하천에서 주로 확인되었으며, 규조류의 Fragilaria속, Melosira속, Stephanodiscus속, Synedra속, 녹조류의 Scenedesmus속, 남조류의 Oscillatoria속의 우점, 분포가 빈번하게 나타났다. 하천 유형별 우점도 지수는 산간계류천에서 가장 높게 조사되었고, 시기별로는 산간계류천의 경우 2, 3분기에 비해 수체가 안정적인 1, 4분기에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나, 나머지의 하천유형에서는 수온이 높은 2, 3분기에 높은 수치로 분석되었다. 종다양성 지수는 도심하천과 복합하천에서 높게 조사되었고, 시기별로는 수온이 낮은 1, 4분기에 높은 수치로 분석되었다. 균등도 지수는 농지하천, 도심하천, 복합하천에서 높게 조사되었고, 시기별

      • 메타인지 전략을 적용한 수업이 과학 학업성취도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형진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초인지적 전략으로 알려진 메타인지 전략을 학습에 활용하는 것이 초등학생의 과학 학업성취도와 학습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연구하고 분석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선정해 보았다. 첫째, 메타인지 전략을 활용한 수업을 실시한 연구집단과 전통적인 수업을 실시한 비교집단의 학업성취도는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 둘째, 메타인지 전략을 활용한 수업을 실시한 연구집단과 전통적인 수업을 실시한 비교집단 사이에 학습태도는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본 연구자는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과학과에 적용할 수 있는 메타인지 학습지를 제작하였고, 6학년 1학기 3단원 ‘계절의 변화’에서 메타인지 전략이 적용될 수 있도록 지도안을 구안하여 적용해 보았다. 기존에 수학과에서 주로 적용되어 사용되던 모형을 분석하고 초등과학의 실정과 학습자의 지적 수준에 맞게 적절히 변형하여 구안하여 적용하였다. 수업의 경우, 학습자 스스로가 자기의 수준과 상태를 파악할 수 있을 정도의 기본적 처치를 하였을 뿐 최대한 형식 및 절차를 간단히 하여 학습의 복잡성과 비효율성을 개선하였다. 또한 학습자들은 스스로 자신의 인지 상태를 파악하는 초인지 과정을 경험하기도 하고, 스스로 인지상태 파악에 어려움을 겪는 아이들의 경우, 모둠학습의 형태로 서로의 인지상태를 파악해 줄 수 있도록 협동학습의 요소가 포함되도록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메타인지 전략을 적용한 수업은 학습자의 과학 학업성취도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즉, 메타인지 전략을 적용한 수업을 통해 학습자의 과학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메타인지 전략을 적용한 수업은 학습자의 학습태도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즉, 메타인지 전략을 적용한 수업을 통해 학습자의 학습태도를 개선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적용한 바와 같이 메타인지 전략을 적용한 수업은 학습자의 과학 학업성취도 향상과 학습태도 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초강천 하천정비에 따른 담수조류 군집변화에 관한 연구

        이형진 배재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하천정비와 관련하여 초강천 하천정비구간을 2001년 3월부터 11월까지(1차), 2005년 9월부터 2006년 5월까지(2차) 총 4개 조사정점을 선정하여 계절별로 이화학적 환경요인과 담수조류의 생태학적 특성을 조사해 하천정비 전·후의 군집변화를 살펴보았다. 조사기간 동안 초강천의 수온은 2.2∼28.6℃, 수소이온농도(pH)는 6.68∼8.11, 전기전도도(EC)는 66.1∼137.0μS/cm, 용존산소(DO)는 6.37∼12.72mg/ℓ의 범위로 조사되었고, 1차 조사에 비해 2차 조사에 pH와 전기전도도가 다소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상류하천은 중·하류 하천에 비해 유수량 변화가 심하고 주변 환경에 의한 변화폭이 큰 점을 감안하면 1,2차 조사시기의 이화학적 변화는 거의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초강천의 유수량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강수량은 조사기간 동안 월평균 강수량을 기준으로 11월부터 5월까지는 대부분 100㎜이하로 유사하였으나, 2001년 6∼7월에 약 150∼200㎜정도의 강수량에 반해 2005년 7∼8월에는 250㎜가 넘는 집중 호우가 발생하여 2차 조사시 다소 많은 강수량이 기록되었다. 기온은 조사해당일의 월평균 기온을 기준으로 최저기온 -3.7℃, 최고기온 25.4℃를 보여 조사기간 동안의 연평균 기온은 대체로 비슷하게 기록되었다. 본 조사기간 동안에 조사대상하천의 식물플랑크톤 출현종수는 총 149종으로, 1차 조사에서는 128종이 관찰되었지만 2차 조사에서는 84종만이 관찰되었을 뿐, 녹조류 20종, 남조류 11종, 규조류 10종 등의 분류군별 출현종 감소세가 두드러지게 나타났고, 대부분의 출현종은 부착성 조류에 기인하는 종으로 전형적인 부유성 조류는 많지 않았다. 현존량은 전체 평균으로 1차 조사(5.1×102cell/㎖)에 비해 2차 조사(27.2×102cell/㎖)에 약 5.3배의 높은 수치로 증가해 출현종 변화와 다른 경향을 나타냈다. 1차 조사시 3월, 11월에 Achnanthes minutissima, A. convergens 등과 같은 규조류가 78.5%∼91.1%로 우위를 나타냈으나, 6월, 9월에는 Scenedesmus brasiliensis 등의 녹조류(18.4%∼25.9%)와 Homoeothrix janthina 등의 남조류(15.2%∼20.6%)의 조성비율이 높아져 규조류의 조성비율이 다소 줄어드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2차 조사에서는 각 조사시기에 관계없이 규조류의 조성비율이 74.5%∼97.3%로 절대 우점하였다. 조사시기별로 우점하는 우점종수는 14종에서 11종으로 3종이 감소하였으나, 우점종의 현존량 상대빈도는 높아졌다. 우점도지수는 1차 조사시(평균 0.31)에 비해 2차 조사시(평균 0.53) 우점도지수가 다소 상승하였는데, 2차 조사시 남조류와 녹조류의 우점비율과 출현종이 감소되면서 규조류의 우점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아졌기 때문이며, 다양성지수, 균등도지수, 종풍부도지수 등도 대체로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부착조류의 출현종수는 총 123종으로 1차 조사에서는 99종이 확인되었지만, 2차 조사에서는 84종이 관찰되어 기타 조류가 소량 증가한 것을 제외하고 녹조류 13종, 남조류 3종, 규조류 5종 등 총 15종이 감소되어 녹조류가 큰 비율로 감소된 경향을 나타내었고, 돌부착 조류를 대상으로 한 현존량은 전체 평균으로 1차 조사(2.0×106cell/㎠)에 비해 2차 조사시(12.9×106cell/㎠)에 약 6.5배의 높은 수치로 증가하였다. 출현종간의 우점비율은 전 조사시기에 남조류와 규조류가 높게 나타났는데, 1차 조사시 3월에만 규조류가 우점하였을 뿐, 나머지 시기에는 남조류가 우점하였고, 2차 조사시 9월과 11월에는 규조류가, 2월과 5월에는 남조류의 우점비율이 매우 높았다. 또한, 우점종수의 감소와 우점종 현존량의 상대빈도가 높아진 것, 그리고 전체 우점도지수를 비롯한 기타 군집지수의 변화는 식물플랑크톤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한편, 초강천 수질의 유기오염도 판정을 위한 DAIpo(Watanabe et al, 1990)를 분석한 결과, 1차 조사시 55.28∼97.53의 변화폭에 의해 α-빈부수성에서 극빈부수성 수역으로 평균 68.96(α-빈부수성)을 나타내었고, 2차 조사에서는 54.68∼91.09의 변화폭에 의해 1차 조사시와 동일한 수역으로 평균 70.38(β-빈부수성)로, 전체 수환경은 1차 조사시와 대체로 유사하거나 다소 양호해진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결과로서, 환경조건이 비교적 유사한 가운데 출현종수가 감소된 것, 우점종류가 단순화 된 것 그리고, 몇몇 특정종들에 의한 전체 현존량이 증가된 것 등으로 담수조류 군집이 단순해짐을 확인할 수 있었고, 그 원인으로는 강수량 변화와 수질변화도 적지 않은 영향을 주었지만, 무엇보다 물리적 교란에 의한 미서식지(microhabitats) 단편화가 주원인으로 판단된다. 생물의 서식공간과 먹이, 피난처를 제공하는 미서식지는 수생태계의 종다양성 증가를 통해 먹이사슬을 유지시키고, 자연정화능력 등의 자연적 하천기능을 회복시켜 줌으로써 하천 고유의 역할과 의미를 더해 인간과 자연이 함께 공존할 수 있는 친수공간이기도 하다. 하천생태계에 있어서 담수조류와 같은 1차생산자의 다양성과 생산성은 동물플랑크톤부터 저서동물, 어류, 양서·파충류 및 조류(鳥類), 포유류 등의 상위 포식자에 이르기까지 견고한 먹이사슬을 이루는 근간이 되며, 이를 위해 미서식지의 보전과 유지는 무엇보다 중요한 일이 아닐 수 없다. 따라서, 통수단면적의 확보와 수해방지대책 및 수리시설물 확충 등의 이·치수기능과 하천 공간정비(고수부지, 체육시설, 공원, 주차장 등) 개념에 치우친 근래의 하천관리에 있어서, 생물의 서식지 조성 및 자정능력을 통한 환경기능과 이·치수 기능을 상충하여 서로간의 조화를 최대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In order to examine phytoplankton community disturbance caused by river-improvement, physicochemical environmental factors and the ecological properties of the freshwater algae including phytoplanktons were analyzed twice at four sampling stations of Chogang Stream at Keum River from March 2001 to November 2001(1st Survey) and from September 2005 to May 2006(2nd Survey). During the 1st Survey period, water temperature was ranged from 2.2℃ to 28.6℃, pH from 6.68 to 8.11 and DO from 6.37mg/ℓ to 12.72mg/ℓ. No differences were detected between physicochemical environmental factors of 1st and 2nd survey. Monthly average rainfall affected Chogang stream's water flow was totally under 100mm during the dry season from September to May, and above 150mm during the rainy season from July to June 2001. But unusual heavy rain fall recorded above 250mm from June to August 2005. Monthly mean temperature ranged from -3.7℃ to 25.4℃ during the survey and differed slightly between 1st and 2nd Survey period. Phytoplankton species number observed are 149 and 128 during the 1st and 2nd survey 84 respectively. Several periphytons namly 20 species of green algae, 11 species of blue-greens and 10 species of diatoms disappeared (were not observed) after the river improvement. Average standing crop (of Phytoplankton) were detected higher level at the 2nd survey(27.2×10²cell/㎖) than those at the 1st survey(5.1×10²cell/㎖). Diatoms such as Achnanthes minutissima, A. convergens appeared dominantly in March and November. but greens(18.4%∼25.9%) of whole standing crop such as Scenedesmus brasiliensis and blue-greens(15.2%∼20.6%) such as Homoeothrix janthina increased their standing crop in June and September during the 1st survey. Diatoms(74.5%∼97.3%) were absolutely dominant throughout the 2nd survey period. But dominant indices increased a little bit from average 0.31 of the 1st Survey period to average 0.53 of the 2nd Survey period, and main composition of diatom community decreased in their species number from 14 species to 11 species but the standing crops increased. On the other hand dominant indices(DI) and species number of blue-greens and greens decreased, Species diversity indices(H'), evenness indices(E), richness indices(RI) were also low. From the benthic algal communities, 123 species were observed throughout the Survey. During the 1st survey 99 species were observed and 13 greens, 5 diatoms, and 3 blue-greens were lost at the end of the 2nd Survey (only 84 species appeared). But whole standing corp increased to 1.0×10^(6)∼3.7×10^(7)cell/㎠. Average standing crop (of benthic algae) were detected higher level at the 2nd survey(12.9×10^(6)cell/㎠) than those at the 1st survey(2.0×10^(6)cell/㎠). Blue-green algae and diatoms are dominated throughout the 2st survey; blue-greens mainly during February to May and diatoms (A. minutissima, A. convergens) in September and November. Main species composition altered to simple so as phtoplankton communities did, relative frequency of dominant species increased. DAIpo(Watanabe et al, 1990) was used to examine water pollution by organic matter. DAIpo(55.28∼97.5) of Chogang Stream during the 1st Surevy indicated the water quality α-oligosaprobic to Xenosaprobic and change of DAIPo(54.68∼91.09) during the 2nd Survey showed water environment after river-improvement was upgraded a little bit. Through this study, freshwater algal community change of Chogang Stream were recognized as simple (eg, decrease of both species number and main species composition, but standing corp of a few species increased) after river-improvement because artificial disturbance made microhabitats diversity simple, even though Monsoon rainfall or water condition changed also acted on the community. Diversity of microbitats in a river as ecological niche, spcae to live, for food and shelter increase river species diversity, maintain food chain and the self-purification ability recovering its own natural function and role. So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conservation and maintaining the diversity of microhabitats of a river is the most important for nature-human familiar water-space. The diversity and the productivity of the primary producer of a river is connected to healthy community of zooplankton, benthos, fishes, reptiles, amphibians, birds, finally mammals of the environment by food chain. So conservation and maintaining the diversity of microhabitats is very important and significant. So recent river management both in the aspect of water controlling through construction of plants and dams, to prevent waterflood by maximizing carrying capacity and enlarging cross area and in the aspect of space management around river (play area, park, car parking lot, high-water revetment etc) must be readjusted to make harmony between water-control function and environmental function eg encreasing self-purification ability through maximizing the microhabitats diversity.

      • 팝아트 작가 이하의 풍자기호 해석

        이형진 성공회대학교 문화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풍자예술이 사회적으로 상연되고 소비자에게 수용되는 과정을 이하(본명 이병하)의 풍자작품으로 연구하였다. 사실 이하 작품의 사회적 공연과 검찰의 기소는 여전히 진행 중에 있다. 끝나지 않은 사회적 현상이며 연구하는데 무리가 있을 수 있으나, 일련의 사건들이 수년간 경과한 터라 현재까지의 사회적 공연을 정리하는 것으로도 그 의미가 있다는 생각이다. 본 연구는 예술의 자율성이 새로운 사회적 현상을 추동하는 하나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사회적 진보의 단면으로써 저항문화의 수용과 관계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서 시작되었다. 또한, 풍자예술에 대한 억압이 우리 사회의 도덕적 기준을 강제하고, 개인은 그것을 수용하는가? 그리고 그 도덕적 기준이 개인의 윤리로 작동하는가? 하는 질문이 꼬리를 물었다. 이는 베버가 그의 책『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에서 자본주의를 낳게 된 원인을 종교윤리에서 찾은 것과 같은 맥락이다. 그렇다면 풍자예술이 사회변화의 한 원인으로 작동하고, 이를 통해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예상을 해보았다. 연구대상인 이하의 초기 작품은 주목받을 수 없었다. 그러나 대통령 풍자그림으로 기소됨으로써 대중의 이목을 끌게 되었다. 이로 인해 서사적 대립관계도 지속되고 있으며, 연구하기에 좋은 소재가 되었다. 본 논문의 조사시점(2015년 7월) 이후로도 검찰은 이하에 대해 건조물침입 죄 등의 5가지로 기소하고 있다. 분석의 대상은 사이버상의 감상자로 삼았다. 이것은 사이버공론장에서의 빠른 응답과 즉흥성으로 그 변화를 쉽게 관찰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공론장에서의 논쟁과 수용의 과정을 해석적으로 접근하였고, 의미 있는 결과를 발견할 수 있었다. 연구과정에서는 린다허천의 패러디 이론을 살펴보고, 이하 작품의 풍자방법과 상징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를 보도하는 언론과 사이버상의 감상자 반응을 뒤르케임 이론으로 분석하였다. 뒤르케임의 성(聖)과 속(俗)은 풍자작품이 사회적으로 상연될 때 예술(聖, 긍정)이냐, 모욕(俗, 부정)이냐를 두고 다투게 된다. 대중은 개인의 윤리에 비추어 미적 판단을 내리고 그것을 억압하는 반대세력에 저항하는 의식을 가지게 된다. 물론 사이버상의 의례행위는 개인을 완전히 드러내지 않는 것으로 인해 그 진정성을 의심할 수도 있으나, 그것을 뛰어넘어 오프라인의 행위를 촉발하는 현상도 관찰되었다. 이는 사이버공론장이 사회적 의례의 한 방법으로 작동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이버공론장에서의 도덕은 권력을 위해 작동되지 않았다. 사이버공론장의 개인은 풍자의 정치성을 긍정적으로 수용해 또 다른 온‧오프라인 행동을 이어갔다. 그들은 이하의 작품을 붙이러 다니기도 하고, 홍대에 작품을 배포하기도 하기도 했다. 또한 이하의 작품활동을 위한 금전적인 지원도 했다. 이러한 현상은 사이버공론장 의례의 결과이다. 결과적으로 풍자작품은 초기 진영의 논리를 벗어나 의례로 다루어지고, 이하와 같은 행위자의 증가와 그들의 의식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중요한 현상은 기존의 포스트모던과 같은 탈권력을 지향한다. 이는 어찌 보면 당연히 예상된 결과이기도 하다. 이하는 풍자를 통한 저항의식과 자율성을 대중에게 퍼포먼스로 제공했고, 아마추어 작가나 그것을 소비하는 대중은 이하의 작품을 긍정적인 것으로 받아들였다. 이러한 현상은 더 중요한 것을 내포한다. 현상의 결과는 의식의 변화가 원인이기 때문이다. 위와 같이 본 논문은 예술로 인해 변화의 계기가 어떻게 형성되는지, 그리고 풍자예술의 긍정적 또는 부정적 영향의 발생 지점을 이론적으로 검증해보고자 했다. 사심으로는 이를 통해 사회와 나를 이해하는 혜안을 가질 수 있기를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