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장구균혈증의 임상양상 및 예후인자에 관한 고찰

        박형천,이천균,김응,김준명 대한감염학회 1995 감염 Vol.27 No.4

        목적:장구균은 일반적으로 발병력이 낮고 그로 인한 위중한 감염의 발생빈도는 비교적 낮은 것으로 고려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고령인구, 신생물 질환, 장기이식의 증가에 따라 장구균혈증의 빈도 및 그로 인한 사망률이 증가하는 추세임이 보고되고 있어 이의 임상양상 및 예후인자에 관해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1986년 1월부터 1992년 12월까지 세브란스 병원에서 장구균혈증으로 진단받은 82예중 기록검토가 가능했던 54예의 임상상 및 치료, 예후와 관련된 요소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장구균혈증은 체온이 38.3℃ 이상으로 상승하여 시행한 혈액 배양 검사상 2번이상 장구균이 자란 경우로 하였다. 결과: 1) 전체 연구 대상은 54예로 남녀비는 1.25:1이며 평균연령은 44.3세 (1-77세)였다. 그리고 평균 재원기간은 31.7일(1-164일)이었다. 전체대상중 59.3%인 32예가 병원내 감염이었으며 중환자실 치료를 받은 환자는 38.9%인 21예였다. 2) 혈액 배양에서 동정된 장구균의 종은 Enterococcus faecalis가 50.2%(28예), E.faecium이 27.6%(14예), E.avium은 5.6%(3예)였다. 그리고 다균혈증이 50%인 27예였는데 다균혈증에서 장구균과 병발된 균주는 E.coli가 11예로 가장 많았으며 Enterobacter(5예), Klebsiella(5예), S.epidermidis(5예), S.aureus(2예)등이었다. 3) 대부분의 환자에서 기저질환을 가지고 있었는데 신생물 질환(17예), 심장질환9예), 중추신경계 질환(6예), 그외 당뇨(2예), 만성 신부전과 신장이식(3예), 다발성외상(2예)등이 있었다. 4) 장구균의 원발병소로 28예가 확인되었는데 담도계가 25.9%(14예)가 가장 많았으며 복부 내농양이 14.8%(8예), 비뇨기계가 13.0%(6예), 피부창상이 7.5%(4예)였다. 5) 약제 감수성 검사상 배양된 모든 장구균에 ampicillin 79.1%, vancomycin 85%, teicoplanin 67.0%, ciprobloxacine 41.4%의 약제 감수성을 보였다. 6) 전체 사망률은 23예인 42.6%였으며 그중 장구균혈증 자체에 의한 사망으로 추정되는 경우는 9예인 16.7%였다. 예후인자로서의 성별, 이전 항생제 치료 여부, 다균혈증 여부, 병원내 감염여부는 사망률과 의의있는 상관관계를 관찰할 수 없었으며 기저질환이 위중한 경우에 있어서 약제치료의 적합성과 생존률사이에는 의의있는 관계가 있었다. 결론:이상으로 장구균혈증은 병원내 감염 및 다균혈증을 특징으로 하며 면역력의 약화와 관련된 숙주 방어에 변화가 초래된 환자에게서 많이 발병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기저질환의 정도가 심할수록 기저질환의 조절은 물론 감수성 검사에 근거한 적절한 항생제의 조기투여가 예후결정에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Background:Enterococci belong to Lancefield group D family of Streptococci. Generally, it has bee considered that serious enterococcal infection was not so frequent because its virulence was low. However, as old age, neoplasms and organ transplantations have increased recently, the morbidity and mortality of enterococcal bacteremia have increased. This study was performed to observe the clinical outcome and prognostic factors of enterococcal bactermia. Methods:Fifty-four cases of enterococcal bacteremia diagnosed from January 1986 to December 1992 in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were analysed with their clinical records retrospectively. Results: 1) Male to female ratio was 1.25:1 and mean age was 44.3 years old. Mean hospital days were 31.7 days and 32 cases(59.3%) were nosocomial infections. 2) 28 cases(50.2%) were Enterococcus faecalis. 14 cases(27.6%) were E. faecium and 3 cases(5.6%) were E. avium. 27 cases(50%) were polymicrobial infection and the associated organims were E. coli(11), Enterobacter(5), Klebsiella(5), S. epidermidis(5), and S. aureus(2). 3) Most patients had serious underlying diseases including neoplasm(17), heart disease(9), CNS disease(6), DM(2), CRF and renal allograft(3), and multiple trauma(2). 4) Probable portal of entry was identified in 28 patients : 22 cases(40.7%) were of GI origin and 6 cases(13.0%) were of GU origin. 5) In vitro susceptibility tests showed sensitivity rates of 79.1% to ampicillin, 85.0% to vancomycin, 67.0% to teicoplanin, and 41.1% to ciprofloxacine. 6) The overall mortality rate was 42.6% and the mortality rate due to enterococcal bacteremia itself was 16.7%. Gender, polymicrobial infection, nosocomial infection, and previous antibiotics therapy were not related to the mortality. But the appropriate antibiotic therapy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mortality in cases of the fatal underlying disease. Conclusion:Our study suggests that the nature of enterococcal bacteremia is nosocomial and polymicrobial. It is common in patients with altered host defenses secondary to serious underlying disease. Considering its morbidity and mortality, in cases of the fatal underlying disease, correction of the underlying condition and the use of appropriate antibiotic are neccessary to decrease the morbidity and mortality rates.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만성 B형 간염에서 B형 간염 바이러스 특이 CD8^+ 림프구의 Chemokine 수용체 발현

        이천균,서정훈,조용석,한광협,정재복,전재윤,문영명 대한간학회 2002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8 No.4

        목적: B형 간염의 조절에 있어서 HBV 특이 CD8+ 림프구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 세포가 제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감염된 간으로 효율적으로 이동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 세포가 간으로 적절히 이동하기 위하여 세포에 발현하는 che- mokine 수용체의 발현양상이 중요하며 이에 HBV 특이 CD8+ 림프구의 Chemokine 수용체 발현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HLA-A2 선 별검사를 통해 양성으로 판정된 만성 간염 환자 6명 을 대상으로 혈중 및 간내 림프구를 분리한 후 서로 다른 형광물질이 결합된 Tc 18-27, CD8, CCR3, CCR5로 처리후 유속세포 분석기로 분석하였다. 한편, 이들 세포에서의 바이러스 증식에 따른 chemo- kine수용체 발현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in vitro에서 core 18-27 펩타이드로 자극후 동일한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Tc 18-27 염색을 통해 4명의 환자에서 충분한 수의 Tc 18-27 특이 CD8+ 림프구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4명은 모두 혈중 HBV-DNA가 0.5pg/mL이하, ALT가 40U/L이하로 바이러스 증식이 멈추고 간염이 호전되는 잠복기 (latent phase) 환자였다. 환자의 혈중 Tc18-27 특이 CD8+ 림프구 의 14-35%에서 CCR5가 발현하였으며 CCR3의 발현은 관찰되지 않았다. 상기 4명의 환자중 3명에서 간조직을 구할 수 있었는데 간내 Tc18-27 특이 CD8+ 림프구의 경우 CCR5는 많게 80%까지 발현한 반면, CCR3의 발현은 약 10%에서만이 관찰되었다. In vitro에서 core 18-27 펩타이드로 자극한 후 분석에서는 CCR5의 경우 72-90%의 세포에서 발현하여 발현의 정도가 간내세포에 준할 정도로 증가하였으나 CCR3의 발현 증가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이상으로 만성 B형 간염환자라 하더라도 비증식군에서는 바이러스 증식조절에 필요한 chemokine 수용체를 발현하고 있으며 바이러스의 양적 증가시 혈액에서 간으로의 이동이 보다 원활하게 될 수 있도록 적절한 수용체를 증가시킬 수 있는 능력을 유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Background/Aims: The protective role of HBV-specific CD8+ cells is dependent on their ability to efficiently migrate to the infected liver, where they may exert an effector function. The migratory behavior of CD8+ cells is influenced by their expression of different chemokine receptors. This study was intended to analyse the pattern of chemokine receptor expression of HBV specific CD 8+ cells in chronic B viral infection. Methods: We analysed the CCR5 and CCR3 profile of HBV-specific CD8+ cells isolated from the blood and liver of patients with different patterns of HBV infection. Purified T cells were stained directly ex vivo, or after antigen-specific stimulation, using HBV peptide-specific HLA tetramers and monoclonal antibodies to CD8, CCR5 and CCR3, with analysis by flow cytometry. Results: In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characterised by low levels of virus (serum HBV DNA <0.5pg/mL) and minimal liver inflammation, analysis of circulating and intrahepatic CD8+ cells demonstrated that liver infiltrating Tc18-27-specific cells were preferentially CCR5+ (up to 80% of HBV-specific CD8+ cells), in contrast to cells of the same specificity within the circulating compartment (up to 35% of HBV-specific CD8+ cells). Furthermore, CCR3 was expressed by about 10% of Tc18-27+ cells infiltrating the liver, but was absent from circulating cells. Following HBV-specific stimulation in vitro the CCR5 expression of circulating Tc18-27-specific cells was up-regulated, to levels found in liver infiltrating cells, whereas CCR3 expression was unchanged. Conclusions: The chemokine receptor profile of HBV-specific CD8+ cells is influenced by the anatomical site of these cells, and the clinical pattern of disease. The ability of circulating HBV-specific CD8+ cells of patients with low replicating virus to upregulate CCR5 suggests that these cells may respond to increases in virus replication by efficiently migrating into the infected liver.(Korean J Hepatol 2002;8:363-370)

      • 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급성 악화를 보인 만성 B형 간염의 치료에 있어서 Lamivudine 즉시 투여의 적절성

        이천균,서정훈,조용석,원선영,박인서 대한간학회 2004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10 No.1

        목적: 만성 B형 간염의 급성 악화시 즉시 라미부딘 치료를 하는 것이 합리적인지에 대해 이해가 부족한 바, 이들의 자연경과를 알아보고 라미부딘 투여군의 비교를 통해서 라미부딘 치료의 적절한 시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0년 3월부터 2003년 5월까지 본원에 내원한 만성 B형 간염 환자 중 혈중 HBV DNA 또는 HBeAg 양성, ALT>400 IU/L인 35명을 대상으로 혈청 HBV DNA, HBeAg, anti-HBe, ALT를 포함한 간기능 검사를 1-3개월 간격으로 측정하였으며 ALT가 재상승한 경우, 100 IU/L 이상시 라미부딘 100 ㎎을 매일 경구 투여하고, 무작위로 선출된 환자에게 내원 당시 즉시 라미부딘을 투여하고 상기의 방법으로 검사를 시행하여 라미부딘의 효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내원 당시 혈청 ALT가 400 IU/L 이상의 소견을 보인 2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항바이러스제를 투여하지 않고 경과 관찰을 시행하였으며 이중 5명의 환자에게서 평균 19개월 추적관찰중 정상 ALT, HBeAg의 음성, HBV DNA의 음성상태가 유지되었고(제1a군) 3명의 환자에서 ALT가 약간 상승하거나 정상이었지만 HBeAg의 자연 음전은 유도되지 않았다(제1b군). 반면, 19명의 환자에서는 평균 5개월 만에 ALT의 재상승 소견을 보여 라미부딘 치료를 시작하였다(제2군). 제1a군과 제2군 사이에서 혈청 HBV DNA의 중앙값은 각각 6.5 pg/mL과 518.1 pg/mL로 제1a군에서 현저히 낮았으며 HBV DNA가 20 pg/mL 이하였던 환자 7명 중 5명(71.4%)에서 자연음전이 유도되었다. 경과 관찰 중 재상승한 환자 19명 중 16명의 환자와 급성 악화로 내원 즉시 라미부딘을 투여한 환자 8명(제3군)을 비교한 결과, 제2군에서는 3군에 비해 치료시 혈청 ALT는 낮고 HBV DNA는 높았으며 첫 내원시보다 오히려 혈중 HBV DNA가 높은 상태에서 라미부딘 치료가 시작되었다. 양군 간의 라미부딘 치료 효과는 2군에서 56.3% (9/16)로 3군의 62.5% (5/8)와 차이가 없었다. 결론: 급성 악화를 동반한 만성 B형 간염 환자의 경우 내원 당시 혈중 HBV DNA가 현저히 낮은 경우는 HBeAg의 자연음전을 기대할 수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 라미부딘의 즉시 치료를 통한 HBeAg의 음전을 시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Background/Aims: It has been unclear whether immediate antiviral therapy or observation under the expectation of spontaneous inactivation of hepatitis B virus (HBV), is more appropriate for the treatment of chronic hepatitis B (CHB) with acute exacerbation. We intended to analyze the short-term natural course of CHB with acute exacerbation and evaluate the efficacy of lamivudine. Methods: We analyzed 35 CHB patients with acute exacerbation (positive HBV DNA or HBeAg and ALT>400 IU/L) between March 2000 and May 2003. We regularly checked serum HBV DNA, HBeAg and liver unction tests including ALT every 1 to 3 months. If ALT was above 100 IU/L during the follow-up period, patients were treated with 100 ㎎ lamivudine orally once a day. We compared the efficacy of lamivudine use between this group and the group provided with immediate lamivudine trial at their first visit. Results: 27 CHB patients with acute exacerbation were observed without immediate lamivudine trial. In 5 of these patients normal ALT, negative HBeAg and HBV DNA were maintained during 19 months (group la). Slightly elevated or normal ALT was maintained without HBeAg seroconversion in 3 patients (group 1b). However, serum ALT flared up above 100 IU/L in 19 patients within 5 months. So, lamivudine was tried on these patients (group 2). The serum HBV DNA was extremely low, being 6.5 pg/mL in group la compared to 518.1 pg/mL in group 2. Spontaneous inactivation of HBV was observed in 71.4% (5/7) of patients with HBV DNA less than 20 pg/mL at the first visit. ALT was lower and HBV DNA was higher in group 2 than the 8 patients who received immediate lamivudine trial at the first visit (group 3). The response rate of lamivudine was similar between group 2, 56.3% (9/16) and group 3, 62.5% (5/8). Conclusions: Spontaneous inactivation of HBV was expected in CHB with acute exacerbation and extremely low level of HBV DNA (less than 20 pg/mL) in a short term follow-up period. Immediate lamivudine therapy might be more appropriate in most CHB patients with acute exacerbation.(Korean J Hepatol 2004;10:22-30)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