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간호사와 간호조무사의 업무 및 자격관리에 대한 정책결정과정 연구: 킹던의 정책흐름모형을 중심으로

        이유리,최성경,김인숙,강선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8 保健社會硏究 Vol.38 No.1

        Amendment of Medical Services Act regarding Nursing Professions was done on December 2015. This study aims to analyze and assess policy making process on nursing service and qualification management between nurse and nurse assistant using Policy Stream Model by Kingdon in 1984. As problem stream, heterogeneity of management system between two nursing staffs, increase of nurse assistant's activity due to disparity between supply and demand, and needs for quality control for nurse assistants were raised. Political steam was continuos policy presentation by health authority, and legislative procedure within National Assembly. With respect to policy stream, discussions on qualification of nurse assistant, conformity of direction by health authority and acceptance of opinion from several national associations on health were produced. Policy entrepreneur was improvement of nursing politician and nursing leadership supported by Korea Nurses Association, and nurse politician's active role on revision of law. As policy window, policy for integrated nursing and caring service as well as MERS-CoV explosion, and judging bill process were reviewed. Nursing politician was playing a significant role for opening policy window which finally leads to policy decision. 2015년 12월, 의료법 개정을 통해 간호사 업무규정이 구체적으로 명시되었고 간호조무사 자격관리가 강화되었으며, 간호사에게 간호조무사에 대한 관리감독권한을 부여함으로써 간호인력 간의 업무가 명확히 구분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정책결정과정을 Kingdon(1984)이 제시한 정책흐름모형의 주요 요소별로 분석하였다. 문제의 흐름으로는 간호사와 간호조무사의 상이한 관리체계 및 불명확한 업무경계, 간호사 수급 불균형에 의한 간호조무사 활동 급증, 간호조무사의 자격관리 미비 및 질 관리 필요 대두 등을 도출하였다. 정치의 흐름으로는 기존 정권의 관련 정책 추진의 맥락과 국회 입법절차 과정 등에 대해 분석하였다. 정책대안의 흐름으로는 간호조무사 자격사항에 대한 협의, 보건의료직능발전위원회 논의를 포함한 정부의 보건의료정책 추진 방향과의 부합, 간호인력개편 1・2차 협의체 운영을 통한 직능단체의 의견수렴 등을 제시하였다. 정책선도자에는 간호계의 정치적 영향력 향상, 대한간호협회의 지원, 간호사 출신 국회의원의 리더십 발휘를 꼽았다. 정책의 창으로 간호간병통합서비스제도 및 메르스 사태와 법안심사소위의 논의 의결과정을 기술하였으며 최종적인 정책 산출로서 간호인력 관련 의료법 개정에 대해 도출하였다. 문제‧정치‧정책대안이 만나는 지점에서 메르스 사태와 간호간병통합서비스제도로 인해 정책의제화가 가능하였고, 법안심사소위 논의 의결과정에서 간호사 출신 국회의원이 정책선도자로서 협의를 이끌어내어 정책이 창이 열렸으며 궁극적으로 의료법 개정이라는 정책결정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 KCI등재

        가족친화 인증후 컨설팅사업의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

        이유리,정영금,최나리,강복정,박경은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18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Vol.22 No.1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n improvement plan for the post-certification family friendly consulting service based on consulting reports from 2015-2016 and focus group interviews analysis.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consultants with the Family Friendly Support Center and managers with family friendly certification compan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bjective outcome indicators for the measurement of consulting performance should be created. Second, a checklist managers can use to choose the consulting type based on self-assessments should be developed. Third, a follow-up consulting system should be in place to complement the ABC module. Fourth, a consulting case database should be built to facilitate customized consulting by industry and size.

      • KCI등재

        기혼남녀근로자의 일-생활 만족유형화 연구: 직장내 휴가관련 가족친화제도를 중심으로

        이유리,이성훈,박은정,Lee, Yu Ri,Lee, Sung Hoon,Park, Eun Jung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20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Vol.24 No.2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first, to classify work-life satisfaction among married wage workers aged 20-59 years into several distinct types based on two dimensions of work and life, using data from the 20th(2017) wave of the Korean Labor & Income Panel Study. Second, the study aimed to assess the differences i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x, age, educational level, average monthly income), and workplace-related variables (weekly working hours, full-time employment, job stability, business type, family-friendly leave policies) by work-life satisfaction type. Accordingly, four types of work-life satisfaction were identified: work-life satisfaction, work-life dissatisfaction, work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ype of work-life satisfaction among married waged workers based on sex, age, educational level, and average monthly income. Additional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ype of work-life satisfaction for all workplace-related variables, namely, weekly working hours, full-time employment, job stability, business type, and family-friendly leave policies. In particular, proportionally higher values of work-life satisfaction were evident among the workers in companies with family-friendly leave policies such as paid leave, menstrual leave, maternity leave, childcare leave, and family events leave, whereas there was a high rate of work-life dissatisfaction among the workers in companies without family-friendly leave policies.

      • 표면처리 ACFs 전극의 U(Ⅵ) 전기흡착 특성

        이유리,정종헌,문제권,오원진,이중명,유승곤 한국화학공학회 2007 화학공학의이론과응용 Vol.10 No.2

        ACFs를 이용한 전기흡착공정은 기존의 흡착□이온교환 기구에 전기적인 구동력이 부가된 기술로서 오염물의 흡착제거에 의한 폐액의 정화와 탈착에 의한 오염물의 농축이 용이한 가역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전기흡착은 탄소체의 높은 전기전도도와 흡착용량을 이용하고 단순전위 역전에 의한 탈착 및 전극의 재생이 용이한 특징을 가지며 이온교환, 역삼투, 전기투석 및 증발법에 비해 에너지 효율적이며 소요비용이 적고 2차 오염없이 수용액으로부터 무기이온을 제거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이다. 본연구에서는 전기흡착 기술을 이용하여 폐액 중 U(Ⅵ)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조건을 확립한 바 있다. 그러나 보다 낮은 가용 전위 조건에서 전기흡착공정을 수행함으로써 탈착시탈착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보다 효율적인 전기흡착공정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0.3V 이하의 낮은 가용전위에서 전극을 표면처리하여 비표면적과 미세공도와 같은 구조적 변화와 표면 관능기 변화를 고찰하였고, 이러한 변화가 ACFs의 흡착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개질된 ACFs전극을 사용한 결과 -0.3V의 전위에서 흡착용량이 증가 하였고, 1ppm이하의 유출액 중 U(Ⅵ) 농도 기준을 만족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ACFs의 표면산도특성에 의존함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최고 국내외 무용치료 현황 및 제도적 발전에 관한 연구

        이유리 한국무용연구회 2007 한국무용연구 Vol.25 No.2

        오늘날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은 알 수 없는 난치병에 걸려 현대의학의 보조 치료수단 으로 혹은 바쁜 지친 생활에서의 활력소를 찾기 위하여 대체의학에 의존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현대인들의 심신장애의 치유, 질병치료의 한 방법으로 예술세라피는 정신과 신체의 통 합적인 치료적 가치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예술치료의 한 분야인 무용치료에 관한 연구는 무용전공자들에 의해 점진적으로 관심이 배가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대체 의학적 측면에서도 연구가 집중되고 있다. 무용치료는 표현과 의사소통의 무용 움직임 고유의 기능을 가지고 정신과 신체의 조화 를 이루고 현대물질 사회의 병폐 속에서 심신의 안정과 정화에 도움을 준다. 또한 자기 자신을 자유롭게 창조 할 수 있고 그룹 내에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상호작용을 통해 융합 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러한 가치들의 중요성을 인정하면서 무용치료 분야의 다양한 치료법들을 고찰하고 최근 무용치료 현황연구를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무용치료의 이론적 배경으로 무용치료의 원리적 이해와 서구 고 대 • 중세, 한국무속에서의 무용치료의 역사적 배경을 살펴보고, 최근 국내외 무용치료 현황과 제도적 발전 현황을 고찰하였다. 최근 국내외 무용치료 현황 연구를 위해 먼저 무용치료의 효용성 및 대상, 무용치료사 의 역할, 최근 한국과 외국의 무용치료 현황을 살펴봄으로서 최근 국내외 무용치료의 제도적 발전 현황을 연구하였다. 최근 무용치료의 제도적인 발전현황을 대학교 교육기관과 사회단체 연구기관으로 분리 하여 살펴보았다. 국내의 경우는 서울여자대학교 특수대학원, 세종대학교 사회교육원, 한국무용치료학회 에서 지도자양성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었다. 반면, 외국의 경우 무용치료는 미국을 중심으로 유럽 • 아시아로 발전 되어 왔다. 미국 은 대학교 • 대학원에서 무용치료 교육이 적극적이고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대학원에서 학위를 받은 후 연수과정을 통해 연구소. 사회복지 시설에서 치료사의 역할 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와 같이, 무용치료는 현대를 살아가는 일반 성인, 청소년은 물론 장애를 가진 이들에 게 대체의학의 한 분야로 자리 매김하여 가고 있다. 그러므로 무용치료는 이론과 시술의 변형된 토대위에서 체계적으로 학습되어져야 한다. 나아가 적극적 전문 치료사 양성과 교육기관의 제도적 양성이 시급히 이루어져야 한다. Today more and more people are depending on alternative medicine to treat diseases incurable with modern medicine or vitalize themselves who are busy and tired in daily life. As an alternative medicine, art therapy is a method of treating modern people’s mental and physical disorders and diseases. It is valuable as a therapy that seeks to treat both mind body. Recently dance students are paying more attention to dance therapy as an art therapy. Dance therapy is also being intensively studied from the view of alternative medicine. Based on characteristic functions of dance movement, expression and communication, dance therapy helps accomplish harmony between mind and body and keep mental and physical stabilization and purification in modern material society. Dance therapy allows client to create themselves freely and get along with others through interactions within therapy group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se effects of dance therapy and review various technique and current conditions of the therapy. For the purpose, this researcher attempted to theoretically examine principles of dance therapy and developments of the therapy in the antique and medieval times of the West and in relation to Korean shamanism. Then the researcher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e and direction of dance therapy in this nation. In detail, the study considered the effectiveness and clients of dance therapy, roles of dance therapists and local and foreign cases of dance therapy. Recent institutional developments of dance therapy were investigated centering around colleges, universities, graduate schools, social groups and research institutes. In this nation, currently, dance therapists are being trained and cultivated by Special Graduate School of Seoul Women’s University, Social Education Institute of Sejong University and Korea Movement Therapy Association. While in regard to foreign nations, dance therapy actively began in U.S. and then extended to European and Asian countries. In U.S., dance therapy education is positively provided at colleges, universities and graduate schools. After receiving relevant degrees at graduate schools and then training, U.S. dance students role as dance therapists of research institutes and social welfare facilities. Today dance therapy is established as an alternatives medicine for adults, adolescents and even disabled persons. Thus dance therapy should be educated in a systematic way with theories and applications based. Further, agencies that actively train qualified, skilled dance therapists should be institutionalized.

      • KCI등재

        서울 코퍼스의 모음 길이 연구

        이유리,윤규철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人文硏究 Vol.- No.77

        The purpose of this work is to examine the vowel duration of the Seoul Korean found in the Seoul corpus(Yun et al., 2015). In addition to the vowel durations, the factors that were supposed to influence them were analyzed including the sex and age of the speakers, the number of syllables of the phrasal word containing the target vowel, the location of the vowel in a phrasal word and in an utterance, the manner and place of the plosives preceding the vowel and the speech rate calculated from the three consecutive phrasal words. Much of the findings of this work agreed with those from earlier studies and new discoveries were also made. The average durations of the simple vowels ranged from 50 to 70 msec, with those of the female speakers and teen speakers slightly longer than the others. In addition, high vowels had shorter vowel durations. The average speech rates were around 7 syllables per second, with those of the male speakers slightly faster. Teen speakers and speakers in their twenties were also faster than the others. The speech rates and vowel durations were in an inverse and non-linear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Phrasal word-initial vowels were longer in duration than the word-final vowels. As expected, utterance-final vowels were considerably longer due to the phrase-final lengthening effect, as well as those in the utterance-initial positions. As for the pre-vocalic plosive manner, aspirated plosives were followed by the shorted vowels, followed by the lax and tense plosives. For the plosive place, bilabial plosives had the longest vowels. We hope that this work will shed more light to revealing the property and the nature of the spontaneous speech of Seoul Korean. 본 논문은 서울 코퍼스 Yun, W., Yoon, K., Park, S., Lee, J., Cho, S., Kang, D., Byun, K., Hahn, H. & Kim, J., 「The Korean Corpus of Spontaneous Speech」, Daegu: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Keimyung University (Distributor), 2015. 를 대상으로 한국어 서울 방언의 모음 길이를 측정하여 연구하였다. 특히 모음 길이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화자의 성별, 연령, 어절의 음절 수, 어절 및 발화 내 모음의 위치, 선행 파열음의 조음 위치 및 방법, 세 어절 내 발화속도 등의 요인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발견된 사항은 선행 연구에서 밝혀진 내용과 일치하는 부분도 많지만, 새로운 사항도 밝혀낼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서울 방언의 자연발화 음성언어의 본질에 좀더 다가갈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 KCI등재

        불안장애 아동을 위한 인지행동치료와 마음챙김인지치료의 효과 비교

        이유리,김정민 한국상담학회 2015 상담학연구 Vol.1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불안장애 아동을 위한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과 마음챙김인지치료 프로그램을 개발․실시한 후 그 효과를 비교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소재의 2개 초등학교 5, 6학년생 500명 중 아동청소년불안척도 26점과 특성불안척도 39점 이상의 중복 기준에 해당하는 아동을 1차 선별한 후 진단 면접을 실시하여 최종 선별된 불안장애 아동 27명을 CBT 집단, MBCT 집단, 통제집단에 무선 배정하였다. CBT 프로그램과 MBCT 프로그램은 각각 주 2회, 50분씩 총 10회기 동안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 사전-사후 CBT 집단과 MBCT 집단 모두 정서적 특성(불안, 사회불안)은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나, 인지적 특성(자동적 사고, 부적 미래예측 편향)과 행동적 특성(사회적 기술)은 CBT 집단에서 만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집단 간 사후검사 비교 시 CBT 집단과 MBCT 집단은 인지적 특성(자동적 사고)과 정서적 특성(불안, 사회불안)에서 통제집단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사전 프로그램 종료 2개월 추후 CBT 집단은 인지적 특성과 정서적 특성 모두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나, MBCT 집단의 경우 특성불안, 불안 및 마음챙김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넷째, 집단 간 프로그램 종료 2개월 후 추후검사 비교 시 CBT 집단과 MBCT 집단은 인지적 특성(자동적 사고, 부정적 미래예측 편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program and a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program to reduce the level of anxiety for children with anxiety disorder, and compare and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two programs. The first screening selected 500 children who were fifth and sixth graders from two Elementary Schools based in Gyeonggi Province. Afterwards, the study chose children in the clinical level of RCMAS, and then, selected final subjects who were diagnosed with an anxiety disorder through K-SADS-PL interviews. These children were randomly divided into 3 different groups: a group for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program, a group for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program, and a control group with no therapy. Children in the first two groups received therapy twice a week for a total of 10 session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scores of pre- and post-therapy assessment, children in the CBT and MBCT group were marked with a significant decrease in emotion(trait anxiety, anxiety and social anxiety), but only CBT group was marked with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cognition(automatic thought, negative future prediction) an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behavior(social skills). Secondly, the post-therapy assessment revealed that the CBT and MBCT group had a positive effect in the cognition(automatic thought) and the emotion(trait anxiety, anxiety and social anxiety). Thirdly, the follow-up assessment revealed that the CBT group was marked with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cognition and emotion, but MBCT group had a positive effect in trait anxiety, anxiety and mindfulness. Fourth, according to follow-up assessments, the effect of CBT and MBCT differed in cognition(automatic thoughts, negative future prediction) and emotion(trait anxiety, anxiety and social anxiety).

      • KCI등재

        문화예술교육으로의 무용교육 이행에 관한 패러다임 분석 연구

        이유리,이병준 한국문화교육학회 2017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2 No.3

        This study considered educational paradigm dance education is conducted from an angle of cultural artistic education historically and analytically. If dance focused on genres, experts·artists cultivating education in the past, current dance education from an angle of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is expanded to experience-oriented education. At this time when dance education is changed from elite education to public education, the change of dance education’s paradigm timely takes a view of the tasks current dance education faces historically. Therefore, it’s necessary to concentrate on the historic process and changes of the field dance education is conducted. The viewpoint can show that dance education is conducted from an angle of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for all of social members by getting out of understanding dance education as the education for only particular experts group in the past. In this context, the work reexamining previous dance historically and suggesting its future direction is very importance topic and is necessary from an angle of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considers previous dance education from an angle of Kuhn’s paradigm and analyzes a possibility of new paradigm of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through the approach of historical study. Furthermore, it intends to seek theory of dance education and new direction of the practice by daily·cultural approach 본 연구는 무용교육이 문화예술교육차원으로 이행되는 교육패러다임을 역사적 해석학적으로 고찰한 것이다. 과거 무용이 장르중심, 전문가·예술가양성교육에 중점을 두었다면 현재 문화예술교육차원에서의 무용교육은 경험중심교육으로 확장되고 있다. 이렇게 무용교육이 엘리트교육에서 대중교육으로 변화되는 시점에서 무용교육의 패러다임변화는 현재의 무용교육이 당면한 과제를 역사적으로 조망하기 시기적절하다. 이에 무용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현장이 역사적으로 어떠한 경로와 모습으로 변모되어왔는지에 대한 주목이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은 과거 무용교육이 특정 전문가집단만을 위한 교육으로 이해했던 차원에서 벗어나 모든 사회구성원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적 차원으로 무용교육이 이행되고 있음을 드러낼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지금까지의 무용교육을 역사적으로 재검토하여 미래방향을 제시하는 작업은 교육학적 관점에서 매우 중요한 화두이며 필요한 작업이다. 이에 본 연구는 지금까지의 무용교육을 Kuhn의 패러다임적 관점에서 고찰하고 문화예술교육적 새로운 패러다임의 가능성을 역사적 연구 접근을 통해 해석한다. 나아가 무용교육 이론과 실천의 새로운 방향성을 일상적·문화적 접근으로 모색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