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FTMS 자료를 활용한 고속도로 Corridor 동적 분석 모형

        이무영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Operation of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technologies in transportation networks and more detailed analysis give rise to necessity of dynamic traffic analysis model. Existing static models describe network state in average. on the contrary, dynamic traffic analysis model can describe the time-dependent network state. In this study, a dynamic traffic model for the expressway system using FTMS data is developed. Time-dependent origin-destination trip tables for nationwide expressway network are constructed using TCS data. Computation complexity is critical issue in modeling nationwide network for dynamic simulation. A subarea analysis model is developed which converts the nationwide O-D trip tables into subarea O-D trip tables. The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model is tested under various scenario. This study can be viewed as a starting point of developing deployable dynamic traffic analysis model. The proposed model needs to be expanded to include arterial as well without critical computation burden. 첨단교통체계의 기술발전과 교통 분석의 수준이 상세해짐에 따라 동적 교통 분석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기존의 정적인 분석이 하루 평균 개념의 통행특성과 네트워크 상태를 묘사한 반면, 동적 분석에서는 시간흐름에 따른 네트워크의 상태를 분석한다. 본 논문에서는 교통시스템 동적 분석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고속도로망을 대상으로 FTMS 자료를 활용한 분석 방법론을 개발하였다. 개별 차량의 실제 통행기록 자료인 TCS 자료를 이용하여 전국 고속도로망을 대상으로 한 동적 기종점 통행량을 구축하였다. 한편, 시뮬레이션 연산시간 문제 해결을 위해 분석범위를 설정한 Subarea 분석이 필요하였으며, 이를 위해 전국 고속도로망을 대상으로 구축된 시간대별 기종점 통행량을 Subarea 기종점 통행량으로 전환하기 위한 방법론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활용하여 시간대별 네트워크 상태분석 실험을 하였다. 구축된 모형의 적용을 위해 시나리오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각각의 시나리오에 대하여 기존의 단편적인 효과분석과 달리 하루 중 시간대별 교통여건에 따른 네트워크 상태변화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동적 교통 분석의 초기 시도라는 점과 실제 기종점 자료인 FTMS 자료를 활용한 분석이라는 점에서 의미를 가지며, 현재 교통 분석의 큰 흐름인 동적 교통 분석의 필요성을 부각시키고자 한다. 향후 고속도로뿐만이 아닌 기타 도로를 포함한 모형 구축이 필요하며, Hybrid 모형 및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궁극적인 목표인 실시간 동적 분석 모형 개발을 위한 연산시간 문제 해이 필요할 것이다.

      • 中國 古代 風水觀念의 淵源과 體系 : 『宅經』과 『葬書』를 중심으로

        이무영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the origins of the ancient idea of Fengshui were connected to residence, the nature, astrology and others, were chronologically categorized into Pre-Qin(先秦) and Qin(秦) and The Han(漢) times and examined, and the Fengshui ideology and its system of organization of 『Zhaijing(宅經)』 as a housing Fengshui book and 『Zhangshu(葬書)』 as a grave Fengshui book were investigated. Today's generalized definition of Fengshui first came from 『Zhangshu』, and before 『Zhangshu』, there were a variety of names, such as Buzhai(卜宅), Xiangzhai(相宅), Xiangdi(相地), Geography(地理), land xiangzhai(土地相宅), Gamyeo(堪輿), Xingfa(形法), Watch geography(相地理), Zangshu(葬術), Qingnang(靑囊), Qingwu(靑烏) and etc. As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ture and the idea of Fengshui in the ancient times, mountains, water, soil, rain, wind, and sunlight were considered to be the natural phenomena affecting Fengshui ideology, and the thought of Fengshui was based on environmental determinism that the natural phenomena were closely related to human life including a person's personality. With regard to the features of astrology and Fengshui thought in the ancient times, it was recognized that astrology, geography and human affairs, that is, Samjae, were closely connected to one another, and the thought of Fengshui begun that took the placement of astrology as a model, and tried to copy it.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residence, the nature and the Fengshui ideology in the ancient times, the types of residence developed from a rock cave(岩洞) to a tree house(巢居), a soil cave(穴居) and then to a half-cave(半穴居), and the Fengshui ideology of those times was probably a kind of Fengshui for survival to avoid animals, cold and flood and to get water and foods. The features of the ideology of housing Fengshui in the Pre-Qin era are as follows. In the literature, the first record of Xiangzhai(相宅) is in Chapter 『Zhaogao(召誥)』 of 『Shangshu(尚書)』, and it can be found that in the process of Zhou(周)’s pushing ahead with taking Luoyi(洛邑) as the second capital city in order to prepare for the invasion by the western barbarians after having established Haojing(鎬京) as the first capital city in B.C. 1046, Xiangzhai was conducted respectively in the order of Taibao(太保), Zhaogong(召公), and Zhougong(周公). 『Wenwang(文王)』 in 『Shijing(詩經)』 has the record that when Haojing(鎬京) was selected as a capital city, King Wen chose it by practicing divination himself, and 『Gongliu(公劉)』 shows that bearings, mountains, and the flow of water were regarded as important for Xiangzhai. In conclusion, the feature of the housing Fengshui in the Pre-Qin times was the viewpoint of environmental determinism. The idea of grave Fengshui in the Pre-Qin era ha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Zhouli(周禮)』 tells us that the government administered the positions related to funeral rites, such as Suishi(遂師), Zhangshen(掌蜃), Zhongren(冢人), Mu daifu(墓大夫) and others. In addition, 『Liji(禮記)』 says that each country had different materials for a king’s coffin, and different period of a funeral, size of a tomb, height of burial mound, thickness and size of inner and outer coffins and Unsap and Bulsap depending on one’s status. On the other hand, regarding a funeral, Confucian scholars including Confucius and Mencius mostly had the stance of Hujanggusang(厚葬久喪, a generous funeral and long mourning), but Motzu insisted on a frugal funeral while giving the examples of the funerals held by the three kings, King Yao(堯), King Shun(舜) and King Yu(禹), in the ancient times, and emphasizing that a frugal funeral had been the law by King Cheng(成), the second king of Zhou(周) dynasty. From this, we can see that in the ancient times and at the early stage of Zhou Dynasty, there was no Hujanggusang and a funeral was held in a simple way, but Hujanggusang had become into fashion since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and had become a serious social problem. The housing Fengshui in the Qin(秦) and Han(漢) era ha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Until the early stage of Pre-Qin, some professional writings on Fengshui, such as 『Kan yujin gui(堪輿金匱)』 and 『Gongzhai dixing(宮宅地形)』, were written, but they were not published as independent books, but included in the books about the Five Elements or Xingfa. According to 『Shui hu di qing mu zhu jian(睡虎地秦墓竹簡)』, people in Qin(秦) dynasty thought that fortunes could become different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a house, the flow of water, and the location of a storeroom, a guestroom, a main room, a stable, a main building and a separate building. 『Huainanzi(淮南子)』 in the early stage of Pre-Han shows that people of those times had the viewpoint of environmental determinism that the natural environment of soil decided a person’s disease, personality and even voice. Wang Chong in 『Lunheng(論衡)』 in Later Han criticized Tuzhaishu(圖宅術) for considering the Sangsaeng and Sanggeuk relation of the Five Elements between a house and its owner’s family name and the taboo on the extension in the western direction, one of Four Huis(四諱). The features of the grave Fengshui ideology of Qin(秦) and Han(漢) era were as follows. 『Lu shi chun chu(呂氏春秋)』 shows that a funeral was developed from a dutiful son’s respect for his parents and an affectionate parent’s not forgetting his/her child. 『Mengtian liechuan(蒙恬列傳)』 in 『Shiji(史記)』 is the first record related to veins of the earth. According to 『Rizhe liechuan(日者列傳)』 in 『Shiji』, it seems likte that, at that time, a fortune teller was one of occupations and got attention from common people, but didn’t gain the attention of the ruling class or help them judge something, and Fengshui activities were active, but their theories were still not enough. The characteristics of the Fengshui idea and the organizational system of 『Zhaijing(宅經)』 were as the follows. In 『Zhaijing』, which has been recognized as the first book of housing Fengshui, 24 bearings are categorized into housing Fengshui and grave Fengshui, and then divided once again into a Hyeonghwa bearing and a Fudeo bearing depending on Tao(道) of Yin and Yang, and a separate date for repair is designated appropriately for each bearing, so it offers a Xiangzhai(相宅) system suggesting the ways to bring about good luck and avoid ill luck with regard to a house as the living foundation. First, the Fengshui concepts and Xiangzhai system of 『Zhaijing』 are based on the theory of the balance of Yin and Yang of the ancient times, and Xiangzhai is emphasized as the part in which the Yin-Yang theory is demanded most among the five areas of Shushu(術數). Many ideas were adopted from Myeonglihak(命理學) to the Fengshui concepts and Xiangzhai system of 『Zhaijing』, such as Sanggeuk and Sangchung of Cheongan and Jiji, Wangsanghyususa(旺相休囚死) of the Five Elements(五行), the harmony between Cheongan and Jiji, the theory of the harmony among the Five Elements and many others of Myeonglihak. 『Zhaijing』 has succeeded the Heaven command ideology(天命思想) and ruling-with-times ideology(時令思想) of the ancient times and Dong Zhongshu’s heaven and humans sympathy theory(天人感應論). Moreover, in the background of Oheoosil thought(五虛五實論) of 『Zhaijing』, which puts emphasis on balance and harmony in the relation between a house and its residents and between the size of a house and the number of domestic animals, lie the frugality thougth(節儉思想) of Mohism and the ancient times and Huanglao(黃老) thought which was popular in the early days of Han Dynasty. Yet, 『Zhaijing』 divides it in too uniform and dichotomous a way in the series of procedure from the separation of housing from grave of the 24 bearings to the division between Huohuo(禍禍) bearing and Fudeo(福德) bearing to the designation of a date for repair and to the judgement of good or ill luck. Furthermore, a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ture and humans, 『Zhaijing』 takes the view of a deterministic causal relation that the nature as a house determines the fortunes of a person in it. The feasibility of this uniform dichotomy and the deterministic view of 『Zhaijing』 is being questioned, and the effectiveness of Xiangzhai system is causing controversy. The Fengshui idea and the composition system of 『Zhangshu(葬書)』 have the following features. The keys to the Fengshui ideology and Xiangmu system of 『Zhangshu』, which has been acknowledged as the first book of grave Fengshui, can be said to be sympathized relation(同氣感應論) and the idea of a dragon(龍), an acupuncture point(穴), soil(砂) and water(水), and liveliness(生氣) are the key words of the Fengshui idea of 『Zhangshu』. In 『Zangshu』, Shengwangmu(生旺墓) of the Five Elements(五行) in 『Huainanzi(淮南子)』 and the concept of Jangsaengji in Myeonglihak were adopted as the condition of Sasinsa. Guo Pu had profound knowledge of Myeonglihak, yet, unlike in the book on housing Fengshui, 『Zhaijing』, he adopted and applied only the concepts of Sangsaeng of the Five Elements and Jangsaengji among the place name system of Myeonglihak in 『Zhangshu』, the book about grave Fengshui. sympathized relation(同氣感應論) of 󰡔Zhangshu󰡕 had not been created newly, but it was the theory in which liveliness(生氣) of the Five Elements was added to sympathized relation(同類感應論) of the ancient times, for instance, that in 『Zhouyi(周易)』, 『Zhuangzi(莊子)』, 『Chunqiu Fanlu(春秋繁露)』 and etc. The eight-bearing system of 『Zangshu󰡕 inherited of Hucheon bearing picture of 『Zhouyi』. 『Zangshu』 says that both an undeserved funeral and too frugal a funeral can bring about illl luck, therefore, 『Zangshu』 can be said to have a neutral position betwteen a Confucian fancy funeral and a Mohistic frugal funeral. Meanwhile, in 『Zhangshu』, the relation among the nature, ancestors and descendants is regarded as a deterministic causal one, but possiblism that understands it as a mutual community sharing the same destiny is also necessary. 본 연구는 고대 풍수관념의 연원을 住居, 自然, 天文 등과 연계시켜 시대별로 先秦과 秦漢代로 분류하여 살펴보고, 양택풍수서로서의 『宅經』과 음택풍수서로서의 『葬書』의 풍수관념과 구성체계를 고찰한 것이다. 오늘날 일반화된 풍수에 대한 정의는 󰡔葬書』에서 처음 나왔으며, 『葬書』 이전에는 卜宅, 相宅, 相地, 地理, 土地相宅, 堪輿, 形法, 相地理, 葬術, 靑囊, 靑烏 등 다양한 별칭이 있었다. 상고시대 自然과 풍수관념의 특징을 보면, 풍수관념에 영향을 주는 자연현상으로 산, 물, 토양, 비, 바람, 햇빛 등을 들고, 자연현상이 사람의 성품 등 인간생활에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환경 결정론적 풍수관념을 가지고 있었다. 상고시대 천문과 풍수관념의 특징을 보면, 천문과 지리와 인사, 즉 삼재가 서로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인식하고, 천문의 배치를 모델로 삼아 이를 모방하려는 풍수관념이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상고시대 주거와 풍수관념의 특징을 보면, 주거형태는 岩洞 → 巢居 → 穴居 → 半穴居 단계로 발전하였으며, 이 당시의 풍수관념은 동물과 추위와 홍수를 피하고 물과 식량을 얻기 위한 일종의 생존풍수라 할 수 있다. 先秦시대의 양택풍수 관념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문헌적으로 相宅에 관한 최초의 기록은 『尚書』 『召誥』편에 보이는데, 기원전 1046년 鎬京을 도읍지로 건국한 周나라가 西戎의 침입에 대비하기 위하여 洛邑을 제2의 도읍지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太保, 召公, 周公 순으로 각각 相宅 했음을 알 수 있다. 『詩經』 『文王』편에는 鎬京을 도읍지로 선정할 때 문왕이 직접 점을 쳐서 정했다는 기록이 있고, 『公劉』편을 보면, 相宅에서 방위와 산과 물의 흐름을 중시했음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先秦시대 양택풍수관념의 특징은 환경 결정론적 시각이라고 볼 수 있다. 先秦시대의 음택풍수 관념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周禮』를 보면 국가차원에서 遂師, 掌蜃, 冢人, 墓大夫 등 상장례와 관련한 직책을 운영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禮記』를 보면, 각 나라마다 왕의 棺의 소재를 달리했고, 신분에 따라 장례의 기간, 묘의 크기와 봉분의 높이, 棺槨의 두께와 크기 및 重翣 등을 달리한 내용이 보인다. 한편 장례에 대해 孔子와 孟子 등 儒家는 대체로 厚葬久喪의 입장을 견지했으나, 墨子는 상고시대 堯․舜․禹 세 왕의 喪葬을 예로 들고, 節葬이 周나라 2대왕인 聖王의 법이라고 강조하면서 喪葬을 주장하였다. 이를 보면 상고시대와 周나라 초기에는 厚葬久喪이 없었고 간소하게 喪葬을 치렀는데, 厚葬久喪은 춘추시대 이후에 유행하여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었음을 알 수 있다. 秦漢시대의 양택풍수 관념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前漢初 까지는 『堪輿金匱』이나 『宮宅地形』 등 전문적인 풍수저술이 있었지만 독립적인 책으로 나오지 못하고 五行書나 刑法書 등에 포함되어 있었다. 『睡虎地秦墓竹簡』의 내용을 보면, 秦代에는 주택의 위치, 물의 흐름, 곳간의 위치, 사랑방과 내실의 위치, 축사의 위치, 본채와 별채의 위치 등에 따라 길흉화복이 달라진다고 인식했음을 알 수 있다. 前漢初 『淮南子』의 내용을 보면, 토지라는 자연환경이 사람의 질병과 성품 및 목소리까지 결정한다는 환경 결정론적 시각을 가지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後漢代 왕충은 『論衡』에서 주택과 집 주인 성씨의 오행 상생상극을 따지는 圖宅術과 四諱 중 하나인 서쪽 증축 금기사항을 비판했다. 秦漢시대의 음택풍수 관념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呂氏春秋』를 보면, 효성스런 아들이 그 어버이를 존경하고, 자애로운 어버이가 그 자식을 못 잊어 하는 마음에서 葬死가 생겨난 것임을 알 수 있다. 『史記』 『蒙恬列傳』은 지맥과 관련된 최초의 기록이다. 『史記』 『日者列傳』를 보면, 당시 日者는 일종의 직업인으로서 세인들의 관심을 받았지만 통치계급의 관심과 판단을 좌우하는데 이르지 못하였으며, 이때 풍수활동은 활발하였으나 그 이론은 여전히 부족한 상태였던 것으로 보인다. 『宅經』의 풍수관념과 구성체계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陽宅風水書의 시조로 인정받고 있는 『宅經』은 24방위를 陽宅과 陰宅을 구분하고, 다시 陰陽의 道에 따라 형화방과 복덕방으로 나눈 후 각 방위에 적합한 별도의 수리일을 지정하는 등 삶의 터전인 주택과 관련한 追吉避凶을 제시한 相宅體系이다. 먼저 『宅經』의 風水觀念과 相宅體系는 古來의 陰陽調和論에 기반하고 있으며, 5개의 術數 분야 중에서 陰陽論이 가장 필요한 분야는 相宅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宅經』의 풍수관념과 상택체계는 命理學에서 적용하는 천간․지지의 상극과 상충, 五行의 旺相休囚死, 천간․지지의 합, 五行調和論 등 상당수의 命理學 이론을 채택하였음을 알 수 있다. 『宅經』은 고래의 天命思想과 時令思想을 및 동중서의 天人感應論을 계승한 것이다. 또한 『宅經』에서 宅과 거주 주체인 사람과의 관계, 주택의 크기와 가축의 수 관계 등에서 균형과 조화를 강조하는 五虛五實論 기저에는 묵자 등 古來의 節儉思想과 漢初에 유행한 黃老思想이 자리 잡고 있다. 그러나 『宅經』은 24방위의 양택과 음택의 구분 → 禍禍방과 福德방의 구분 → 수리일 지정 → 길흉판단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에서 지나치게 획일적이고 이분법적으로 구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자연과 인간의 관계에서 『宅經』은 宅이라는 자연이 인간의 길흉을 정한다는 결정론적 인과관계로 보고 있다. 이러한 『宅經』의 획일적인 이분법과 결정론적 시각은 타당성 여부에 대한 의문과 相宅體系의 효과성 논란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葬書』의 풍수관념과 구성체계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陰宅風水書의 시조로 인정받고 있는 『葬書』 풍수관념과 相墓體系의 핵심은 同氣感應論과 龍․穴․砂․水論이라 할 수 있으며, 生氣는 『葬書』 풍수관념의 핵심단어이다. 『葬書』는 『淮南子』의 五行의 生旺墓와 명리학의 장생지 개념을 사신사의 조건으로 채택했다. 곽박은 명리학에 조예가 깊었지만 양택풍수서인 『宅經』과는 달리 음택풍수서인 『葬書』에서는 명리학의 지명체계 중 오행의 상생과 장생지 개념만을 채택하여 적용하였다. 『葬書』의 同氣感應論은 새롭게 창안한 것이 아니라 『周易』, 『莊子』, 『春秋繁露』 등 古來의 同類感應論을 바탕으로 生氣라는 오행의 氣를 결부시킨 이론으로 볼 수 있다. 『葬書󰡕의 8방위 체제는 『周易』의 후천방위도를 계승한 것이다. 『葬書』에서는 분수에 넘치게 장사지내는 것과 너무 간소하게 장사지내는 것이 모두 흉하다고 보고 있는데, 따라서 『葬書』는 儒家의 厚葬과 墨家의 節葬 중에서 중립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葬書』에서는 자연과 조상과 후손과의 관계를 결정론적 인과관계로 보고 있으나, 상호 운명공동체로 보는 가능론적 인식도 필요하다.

      • 이혼 결정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이무영 숙명여자대학교 2003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이혼이 특수한 개인의 문제라기보다는 사회문화구조와 깊은 연관을 갖는 사회현상으로 보고 개인적 특성, 가족적 특성, 사회적자원 특성이 이혼결정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이혼발생과 이혼의향의 2개 종속변인으로 하여 검증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한국사회와 한국가족의 문화적 특성을 고려하여 사회적자원의 영향력과 성별에 따른 차이에 주목하여 이를 바탕으로 이혼결정과정에 사회적자원의 영향력에 따른 차이를 검증하였으며 성별에 따라 이혼결정과정의 차이가 어떠한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연구에서 조사대상자의 이혼의향은 전체적으로 그리 높지 않게 나타났으며, 남성보다는 여성의 이혼의향이 약간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여성이 남성에 비해 이혼을 좀 더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혼의향에는 이혼사유, 부부사이의 긴장도, 주변반응이 이혼의향을 촉진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혼발생에는 이혼사유, 부부사이의 긴장도, 경제지원, 주변반응이 이혼발생을 촉진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자녀수와 인적지원 관련 자원은 이혼발생을 억제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혼발생에는 성별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여성보다는 남성이, 종교가 있는 사람보다는 종교가 없는 사람에게서 이혼발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혼의향에 미치는 영향 요인의 경우, 남성과 여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성별에 따라 이혼의향에 미치는 변인의 영향력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남성의 경우에는 이혼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부부사이의 긴장도, 인적지원 관련 자원이 이혼의향을 촉진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나 반면, 여성의 경우에는 이혼사유, 부부사이의 긴장도가 이혼의향을 촉진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이혼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남성과 여성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혼남성의 경우, 이혼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학력, 종교, 직업, 자녀수, 부부사이의 긴장도, 주변반응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혼남성은 저학력일수록, 종교가 없는 경우, 자녀수가 적을수록, 전문직일 경우, 부부사이의 긴장도가 높을수록, 이혼의향에 대해 주변인이 적극적으로 이혼을 권유할수록 이혼이 발생하였다. 반면, 이혼여성의 경우에는 연령, 이혼사유, 정서지원 관련 자원, 주변반응이 이혼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나 연령이 낮을수록, 이혼사유가 많을수록, 정서지원 관련 자원이 낮을수록, 이혼의향에 대해 주변인이 이혼을 적극적으로 권유할수록 이혼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나 성별에 따라 이혼발생에 미치는 영향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성별에 따라 이혼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이혼여성의 경우, 남성에 비해 사회적자원의 영향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성과 여성 성별에 관계없이 주변인의 반응이 이혼발생에 촉진시키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사회적자원이 이혼발생에 있어서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개인특성, 가족특성, 사회적자원특성이 이혼결정과정에서 이혼의향과 이혼발생을 촉진시키거나 억제하는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특히 이혼결정과정에 있어서 주변인의 반응, 경제지원 관련 자원, 정서지원 관련 자원과 같이 사회적자원의 영향력을 밝혀냄으로써 이혼결정과정에 사회적자원이 미치는 영향력의 중요성을 입증하였다는 점, 그리고, 성별에 따라 이혼결정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간의 차이가 있음을 밝혀냄으로써 이혼결정과정에 관해 새로운 인식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따라서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이혼결정과정에 있어서 사회복지적 개입과 관련하여 사회적자원의 활용방안모색과 성별간 차이를 고려한 이혼예방 교육, 상담, 치료 프로그램의 실시 등 이혼결정과정에서의 사회적 개입의 필요성을 밝혀냈다는 점에서 실천적 의의가 있다. Studies by this time on a divorce has been focused on expeience processes after a divorce based on a pathological viewpoint, which has put a divorce under a taboo as a social pathologic phenomenon such as a disease or a crime. Therefore the consideration-why the divorce was no choice but to be like that beyond problems of a particular person and a family-was in a lack or didnt be handled. This study viewed in this situation and regarded a divorce as a social phenomenon related deeply to a social cultural structure rather than as a particular individual problem. Consequently the effects of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 familial characteristics and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resources on deciding a divorce had been examined by two dependent variables, the divorce occurrence and the divorce intention. In particular, this study had focused on the differences caused by the sexual distinction and on the influencing power of social resources considering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Korean society and Korean family. Based on this, this study verified the differences happened by the influence of social resources on deciding a divorce and examined the differences of the phases of deciding a divor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 Firs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on this survey were as follows. The average age of the respondents was 38 years old. The male was 40.4% and the female was 59.6% of all. The percentage of the educational attainment equals to and higher than those of high school graduate was 67.38. The percentage of those who were engaged in producing, engineering and service was 31; 30.4 percent for jobless men and full-time housewives; 19.4 percent in special lines of business and administrative departments; 19.1 percent for office staffs. The percentage of those people with religion was 63.8 percent and without it was 36.2 percent. The reasons of divorce was 1.85 out of 5 points. The next was on the familial characteristics. 2,900,000 won was for the average household income; the average number of children was 1.7 for on family; 10 years and 4 months for the average year of marriage; 2.37 out of 5 points for the tension in conjugal relations. The final was on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resources. According to the resources, related to the emotional support was 3.58 out of 5 points; 3.31 for the personal support; 2.25 for the economical support; 2.34 for the support to rear children; 1.3 for the psychological support. The others opinions was 1.99 out of 5 points. The expecting assets more than 50,000,000 under 100,000,000 won after a divorce was 35.5 percent: 27 for over 100,000,000 won: 19.9 for more than 10,000,000 under 50,000,000 won: 17.6 for less than 10,000,000 won. Second, the reasons of divorce, the tension in conjugal relations, the economical support and the others opinions were the factors of accelerating a divorce. The number of children and the resources related to the personal support were the repressing factors of divorcing. The sexual distinction also affected the occurrence of divorce so the divorce rate of men was higher rather than that of women. The divorce rate was also higher for those who have no religion rather than who have a religion. Meanwhile, the reason of divorce, the tension in conjugal relations and the others opinions were the factors of accelerating the divorce intention. Third, it had been shown that the causes, which influence the occurrence and intention of divorce, were different in accordance with the sexual distinction. For example, the social resources had more influencing power on divorced woman than on divorced man in the divorce occurrence. Namely, the lesser educational background, the lesser faith on a religion, the lesser children they had, the more specific their occupations were, the higher the tension in conjugal relations was, the more agreements of the other on the divorce intention they had, the more divorce was occurred in divorced men. While the younger they were, the more reason, the lesser support related to the emotion, the more agreements of the other on the divorce intention they had, the more divorce was occurred in divorced women. As a result the reasons of divorce had different influences according to the sexual distinction. In the meantime, the causes which influenced on the divorce intention were different in accordance with the sexual distinction. In mens cases, the tension in conjugal relations and the resources related to person were the factors which influenced on the divorce intention and accelerated it. On the other hand, in womens cases, the reasons of divorce and the tension in conjugal relations were the factors accelerating the divorce intention. As a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 familial characteristics and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resources were affecting on the processes of deciding divorce. And ascertaining the influencing power of social resources, such as the response of the other, the resources related in economical support and in emotional support, on the process of deciding divorce, we proved that the influencing power of social resources was important on the process of deciding divorce. Besides ascertaining that the causes, which affected on the process of deciding divorce, were different in accordance with the sexual distinction, the necessity of new recognition was submitted in the process of deciding divorce.

      • lipo-PGE1(Eglandin)이 누드 마우스에 주입된 인간 지방 조직의 생존률에 미치는 효과

        이무영 울산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연구목적 자가 지방은 원하는 부위에 자연스러운 모양을 만들 수 있고 자가 조직이라는 장점, 그리고 쉽게 추출할 수 있고 공여부의 이환률이 낮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어 필러의 재료로 이용하는 것은 더욱 늘어날 것이다. 하지만 흡수율을 예측하는 것은 쉽지 않고 반복 시술을 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수 있다. Lipo-PGE1(EglandinR)은 혈행재건술 후의 혈류 유지에 도움을 주고 말초 혈류 개선 작용을 나타내어 임상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에 누드 마우스에서 lipo-PGE1(EglandinR)을 복강내 투여하여 이 약물이 이식된 지방 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평균 25g의 누드 마우스 20마리를 각각 10마리씩 두 군 (Group I - II,)로 나누어 건강한 인체에서 콜만의 방법으로 흡입 채취한 지방을 채취 당일 3000rpm으로 5분간 원심 분리하여 각 1cc씩 군당 10마리의 누드 마우스에 16게이지 바늘을 이용하여 두피 하에 주입하고. 실험군 (n=10)은 lipo-PGE1(EglandinR,1ug/kg/day)을 3일 동안 복강내로 주입하였다. 대조군(n=10)은 동량의 생리식염수를 복강에 주사한 후 4개월이 지나 이식된 지방의 부피와 혈관의 비율을 측정하였다. 그 후 각 조직을 10% formalin으로 고정한 후 parrafin에 넣었다. 그 후 Hematoxylin-eosin 염색을 시행하였다. 낭성 변화, 섬유화, 염증 반응 등의 조직학적 소견을 고비율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결과 Lipo-PGE1(EglandinR)을 투여 한 실험군과 대조군의 부피 유지율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미세 혈관은 실험군에서 대조군보다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또한 조직학적 검사를 실시하여 얻은 결과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낭성 변화와 섬유화 반응이 적게 일어났으며 구조적 완성성은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더 높았으며 염증 반응은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 Lipo-PGE1(EglandinR)이 이식된 지방 세포의 생존 능력과 질을 향상 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육안적, 조직학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중심 단어: Lipo-PGE1(EglandinR), 지방 이식(fat graft)

      • 穴 四象의 坐向에 관한 玄空理氣風水 硏究

        이무영 대구한의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다양한 풍수이론 중 현공풍수이론에 입각하여 穴 四象인 窩•鉗•乳•突의 전형적인 음택지를 선정하여 분석했다. 음택의 길흉화복의 변화를 정확하게 추적하는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 목적이며, 향후 현공풍수이론에 입각한 연구의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窩形 穴 鄭榮邦 墓는 현공풍수이론을 적용하여 좌향을 분석하면 주천도 307도의 戌乾空亡이 되어 흉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택명반 작성이 불가능하다. 鉗形 穴 鄭賜 墓는 下元 7運 癸坐丁向으로 下卦이며, 주천도 18도로 雙星會坐局으로 해석된다. 택명반 작성 결과 全盤山星合十으로 인물이 大旺했다. 乳形 穴 廣州李氏 始祖 墓는 주천도 357도의 3運 子坐午向 下卦 宅名盤이 작성되었으며, 현공풍수 四大局 중 雙星會向局이다. 財丁兩面으로 좋은 영향을 받았다. 突形 穴 鄭琢 墓 坐向은 주천도 51도 艮坐坤向 替卦에 해당한다. 당시에는 인정이 興旺했을 것이나, 운이 변화됨에 따라 음택발복이 크게 작용하지 않았을 것으로 해석된다.

      • 중학생의 지각된 부모양육태도가 등교거부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지지 및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중학생의 지각된 부모양육태도가 등교거부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지지 및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이무영 한양사이버대학교 휴먼서비스대학원 상담 및 임상심리학과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학생의 등교거부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 및 자기효능감이 이중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포항시 소재 중학교 학생 552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데이터를 수집하여 요인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진행한 것으로서 연구결과 및 청소년 상담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지각된 부모(아버지, 어머니)의 양육태도 유형별 변인과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의 상관 분석 결과 첫째, 지각된 부모(아버지,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권위주의적이거나 허용적일 경우 자녀의 사회적 지지 및 자기효능감과 부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의 양육태도가 민주적 일 경우 자녀의 사회적 지지 및 자기효능감과 높은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지각된 부모(아버지,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권위주의적이거나 허용적 일 경우 이것이 자녀의 등교거부경향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면서 사회적 지지 및 자기효능감을 통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쳐 부분매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지각된 부모(아버지,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민주적이면 이것이 자녀의 등교거부경향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사회적 지지 및 자기효능감을 통한 간접적인 효과 만 나타나 완전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지각된 부모(아버지,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등교거부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사회적지지 및 자기효능감이 이중매개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