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상소문을 활용한 화법 교육 방안 연구 : '강경-제술 논쟁'을 중심으로

        윤하나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55

        It should be improved to every individual after being grown up the ability which is needed in professional and social activities in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What it is required at the process of modern society that the various information is in collision with the value is the ability which could communicate our own opinions clear and persuade the other people. Particularly, in case of the debate which is with the chairman in social structure it is required the debate ability with right manner and formality on public situation. To progress successfully this sort of public debate prepared writing(outline preparation) for speaking is important. But it turned to be not fulfilled well of this kind of education at school education. This study started from the recognition of this kind of problem which is drawing up the outline for public debate have been careless despite of the importance. The present system of education is hard to make progress in quality. Because it would rather real activity-centered speaking skills than for the progress of preparation about how and what should we write. Also it seems that there are no consideration of cultural identification because it deal with the only format and procedure which has been developing in the West. The exemplified contemporary data is not adequate for learning debate format with proper manner and form to public debate. In consequence I'm going to suggest debate education using classic Sang So Moon as a complementary measures. "Sang So Moon(Memorial to the king)" is the writing which includes the argument about the politics under the special relationship between the king and retainer. Therefore it deserve to be a model which could learn the format of public debate that there is a chairman. This study is aimed at defining the outline preparation which is required the step contained by the questioning between argument and opposition of the debate process and showing some plans of education. First of all, it is verified the importance of content construction on persuasion speech and reviewed critically the situation that school education is carried out well. And it is drew the necessity of material of classic example, and discussed the educational values about Sang So Moon's speech use educationally. The study is and adequate Sang So Moon. It is chosen Kim Ban and Byen Gye-Ryang's Sang So Moon which if from "Recite a Confucian classic(講經)-composition(製述) argument" during King Sejong period. Also the macroanalysis, microanalysis and controversy strategy through the process that the students find it by themselves. Besides it shows the education plan which helps to get ready the questioning between argument and opposition using Sang So Moon directly. The study which is used as Sang So Moon educationally has been staying yet at the beginning step because the recognition that it is difficult widespreadly. Sang So Moon is a model of debate with manner and form. Also is has plentiful value as a speaking education materials. It could be possible to verify our traditional debate process and argument structure. I hope this study helps every people enlarging quality and quantity of a speech education materials. 국어과 교육에서는 모든 개인에게 성장 후 직업상, 사회 활동상 필요한 언어 능력을 길러주어야 한다. 수많은 정보와 가치가 충돌하는 현 사회에서 요구하는 능력은 자신의 의사를 정확하게 전달하고 상대방을 설득할 수 있는 능력이다. 특히 조직 사회 내에서 주재자를 사이에 둔 토론의 경우 공적인 자리에 알맞은 예의와 격식을 담은 토론 능력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공적 토론을 성공적으로 진행하기 위해서는 말하기를 위한 준비된 글쓰기(개요 작성)가 중요하다. 그러나 정작 학교 교육에서는 이에 대한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고에서는 공적 토론을 위한 개요 작성이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학교 교육에서는 소홀히 다루어지고 있다는 이러한 문제 인식에서부터 출발하였다. 현행 교육은 ‘무엇을 어떻게 쓸 것인가’에 대한 말하기 준비 과정보다는 실제 활동 위주의 말하기 기술 익히기에 치중하고 있어 말하기의 질적 향상을 꾀하기 어렵다. 또한 서구에서 발달 되어온 형식이나 절차만을 소개하고 있어 문화적 정체성에 대한 고려가 보이지 않으며, 예시로 든 동시대의 자료는 공적 토론에 알맞은 예의와 격식을 갖춘 토론 양식을 익히기에 적절하지 않다. 따라서 이에 대한 보완책으로서 고전 상소문을 활용한 토론 교육을 제안하는 바이다. 상소문은 임금과 신하라는 특수한 관계 하에서 정책에 대한 논쟁을 담은 글이므로 주재자를 둔 공적 토론의 양식을 익힐 수 있는 전범으로 삼을만하다. 본고에서는 토론의 과정 중 입론과 반대 신문에 해당하는 단계에 필요한 개요 작성에 한정하여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는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먼저, 설득 화법에 있어서 내용 조직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학교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그 현황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로부터 고전 예시 자료의 필요성을 도출해내고, 상소문의 화법 교육적 활용 가능성에 대해 그 교육적 가치를 논하였다. 본고는 토론 교육 활용에 적절한 상소문으로 세종조 ‘강경-제술 논쟁’ 중 나온 김반과 변계량의 상소문을 선택하여, 토론의 입론과 반대 신문 준비 단계에 필요한 내용 조직 원리들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상소문 분석 결과 얻을 수 있었던 거시적인 논증 구조와 미시적인 논증 구조, 논쟁 전략을 학생들이 스스로 발견해가는 과정을 통해 토론 준비 단계에 필요한 원리들을 익히고, 이를 직접 활용하여 입론과 반대 신문을 준비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상소문이 어렵다는 인식이 팽배한 탓인지 상소문을 교육적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연구는 아직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다. 상소문은 예의와 격식을 갖춘 토론 형식의 전범이며, 이를 통해 우리의 전통적인 토론 과정과 논변 구조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화법 교육적 자료로서 풍부한 가치를 지닌다. 본고의 연구가 화법 교육 자료의 질적․양적 확대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 SIP 공격 대응을 위한 보안성이 강화된 Stateful/Secure SIP 프로토콜

        윤하나 한신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1855

        SIP 프로토콜 기반 VoIP 서비스는 편리함과 저렴한 통신비용으로 사용자 수가 급증하고 있다. 하지만 SIP 프로토콜은 텍스트 형태의 SIP 헤더 정보를 UDP 방식으로 전송하기 때문에 손쉽게 위변조 할 수 있으며, 송신자에 대한 인증 기능을 제공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악의적 공격자에 의해 SIP 패킷 폭주 공격 등에 매우 취약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SIP 취약성을 해결하기 위해 SIP 상태코드를 모니터링하여 SIP 폭주 공격을 탐지하고 SIP 패킷에 대해 인증 및 보안 기능이 강화된 프로토콜을 제시하였다. SIP 공격탐지 시스템을 구축하여 SIP 세션을 능동적으로 관리하였으며 보안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사용자 인증을 적용하여 SIP 프로토콜의 취약점을 해결할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기법은 기존 SIP 프로토콜에서의 보안 취약성을 해결하고 최소한의 트래픽 전송 지연만으로도 안전하게 패킷을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SIP 프록시 서버에서의 서비스 지연, 서버의 과부하 등의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The user valence of VoIP services with SIP protocol is increasing rapidly because of cheap communication cost and its conveniency. But attacker can easily modify the packet contents of SIP protocol as SIP header is transmitted by using UDP methods in text form. The reason is that SIP protocols does not provide an authentication function on the transmission session. Therefore, existing SIP protocol is very weak on SIP Packet Flooding attack etc. In order to solve like this kinds of SIP vulnerabilities, we used SIP status codes under the monitoring module for detecting SIP Flooding attacks and additionally proposed an advanced protocol where the authentication and security function is strengthened about SIP packet. We managed SIP session spontaneously in order to strengthen security with SIP authentication function and to solve the vulnerability of SIP protocol. The proposed mechanism can securely send SIP packet to solves the security vulnerability with minimum traffic transmission. Also service delay in SIP proxy servers will be minimized to solve the overload problem on SIP proxy server.

      • 퍼스널 컬러 시스템을 적용한 디자인 교육 개발 프로그램 연구 : 장신구 디자인 교과과정 중심으로

        윤하나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855

        지금 우리 사회는 창의력과 다양성이 요구되는 지식기반 사회이자 디자인 시대라고 할 수 있다. 국가 산업이 발전하고 국민들의 생활양식과 소비성향이 변화하고 높아짐에 따라 디자인의 중요성과 함께 다양한 소비자의 구매성향에 따른 맞춤형 제품을 생산하는 디자인 마케팅 방식이 요구되고 있다. 디자인이 점차 우리의 생활 속에 녹아들면서 디자인 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하고 그에 따른 맞춤적인 능력, 창의력, 독창적인 능력이 중요시되는 현실이다. 이와 같은 디자인 시대에 가장 중요한 학교 교육에 있어서 현대사회가 요구하는 디자이너를 양성시키기 위한 연구 발전이 필요하다. 그 중 소비자의 선택에 있어서 개인적인 취향 및 선호에 따른 영향을 많이 받는 장신구 디자인 교육과정에 대해 연구 하였다. 장신구란 제작과정의 어려움과 높은 제작비용, 제작환경 등으로 인해 쉽게 만들고 구매하여 착용 하는 것이 아니기에 신중하게 디자인 되어야 하며 소비자 또한 신중하게 선택하고 구매하는 것이 장신구이기에 미래의 디자이너로서 소비자에게 어울리는 장신구를 디자인 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디자이너가 갖추어야 할 창의성, 심미성, 발상능력, 예술성 등 아름다움을 표현할 수 있는 디자인 감각도 중요하지만 디자인에 있어서 가장 중요하고 효과적인 표현방법인 색채를 조화롭게 활용할 수 있는 색채감각은 디자이너의 꼭 필요한 자질이다. 디자이너에게 있어서 꼭 필요한 이런 능력들을 교육과정 속에 포함시켜 학교 수업시간에 훈련과 학습으로 개발이 된다면 유능한 디자이너 양성에 효과가 있을 것이라 본다. 따라서 자신 또는 타인이 가지는 고유의 신체색을 가지고 잘 어울리는 퍼스널 컬러와 이미지를 찾아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퍼스널 컬러 시스템을 본 연구에 적용하여 교육 프로그램을 제안 하였다. 퍼스널 컬러 시스템은 사람마다 타고난 신체 색상을 가지고 이를 기준으로 하여 자신에게 가장 잘 어울리는 컬러를 찾아주는 시스템이며 장신구 디자인뿐만 아니라 헤어, 의상, 메이크업, 무대 등에서 원하는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미국, 일본에 이어 한국에서도 많이 다뤄지기 시작하였으며 다양한 분야에서도 연구가 끊임없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퍼스널 컬러 시스템을 적용하여 고객의 다양한 요구와 기대를 충족시키고 상품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고객 맞춤형 디자인을 할 수 있는 디자이너 양성교육의 필요성과 방향을 장신구 디자인 분야에 초점을 두고 제안했다. 많은 연구의 결과들을 살펴보면 다양한 분야에 있어서 퍼스널 컬러를 적용하였을 경우가 이전보다 만족도가 높으며 의도하고자 하는 이미지의 연출, 자신감의 향상, 충동구매를 줄임으로서 시간과 돈의 절약 등 다양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소비자의 선택에 민감한 반응을 일으키는 장신구 디자인에 퍼스널 컬러 시스템을 적용한다면 현실에 맞는 실질적인 교육이 이루어지고 멀리 나아가 소비자에게 맞는 창의적인 디자인을 창출 할 수 있는 디자이너의 양성과 함께 장신구 디자인 교육의 발전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 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한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학습자는 퍼스널 컬러 시스템을 이해하고 장신구 디자인에 직접 적용 및 응용해 봄으로서 색채의 개념 이해와 배색능력 등 색체에 관한 정확한 인지능력 향상 및 맞춤 디자인 능력 향상과 체계적인 디자인 프로세스를 적용해 갈수 있을 것이다. 이 시대의 디자이너가 될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디자인 교육의 도움을 주기위한 교육프로그램을 확립해 디자인적인 사고능력을 증진시키고 잠재적인 능력을 끓어 올릴 수 있는 교육방법을 모색하여 학생들이 디자인적인 안목과 색채를 다루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에 연구 목적을 두고 있다. 본 논문의 구성으로는 전체 7장으로 구성 되어 있으며, 각 장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 1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제시하고, 연구의 방법 및 방법을 서술하였다. 제 2장에서는 색채에 관한 이론적인 고찰과 퍼스널 컬러 시스템의 개념과 진단 방법에 대해 서술하였다. 또한 퍼스널 컬러 시스템을 적용하는 장신구 디자인 제작과정에서 사용될 액체상감기법에 대해 분석하였다. 제 3장에서는 장신구 디자인 교육에서의 색채 교육현황 및 중요성을 분석하고 장신구 디자인 교육에서의 퍼스널 컬러 시스템 적용 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제 4장에서는 퍼스널 컬러 시스템을 적용한 장신구 디자인 교육프로그램의 교육목표 및 지도계획과 평가계획을 제시하고, 구체적인 학습 지도 계획안을 마련하였다. 제 5장에서는 본 연구가 제시한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수업 결과물과 그에 따른 수업 결과 분석을 제시하였다. 제 6장에서는 제시한 교육프로그램의 결과를 검증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분석하고 검증하여 연구 효과를 제시하였다. 제 7장에서는 본 교육프로그램에 대해 종합적인 결론과 한계점 및 향후 연구의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퍼스널 컬러 시스템을 적용한 장신구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한

      • 곰소만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시·공간적인 군집구조 변화

        윤하나 군산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855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a spatio-temporal environmental change in Gomso Bay by evaluating the distribution of macrozoobenthos community and conducting a benthic ecosystem health assessment. Sampling was conducted in November 2017, February, May, and August 2018, by collecting macrozoobenthos from 51-52 stations. A total of 194 species of macrozoobenthos were identified in Gomso Bay, and the average density of macrofauna was 398 ind./㎡. Among them, 86 species (44.3%) belonged to the phylum Annelida with an average density of 277 ind./㎡, being the dominant group in the area. LeBris Index indicated that the top 10 dominant species showed 81.7% prevailing rate. The most dominant species was Heteromastus filiformis, which was the most dominant species during the entire duration of the study, distributed throughout the study area. As for the ecological qualities of the study stations, ecological quality indices were calculated from the benthic community data; diversity (′) was 1.62±0.20, evenness (′) was 0.80±0.04, and richness ( ) was 1.51±0.34. A cluster analysis using similarity classified the study sites into intertidal and subtidal zones that are being affected by seasonal changes. BPI, AMBI, and K-dominance were applied to assess the benthic ecological status. BPI resulted in an average value of 45±23, which is a level Ⅱ value indicative of the "good" category. AMBI showed an average value of 2.96±0.41, which is also a level Ⅱ value indicating a "good" marine environment. The result of K-dominance showed that the study area was stable and unpolluted during the entire study period. Therefore, these three health assessments suggest that Gomso Bay is environmentally healthy. BIO-ENV analysis of environmental factors correlating with the structure and distribution of macrozoobenthos communities showed univariate environmental factors of silt and showed the highest combination of silt and mean grain size. The correlations between biotic indices and environmental factors indicated a relationship between gravel and macrozoobenthos density, as well as sand, mud, and mean grain size related to the distribution of major dominant species in the area. 본 연구는 곰소만 해역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 군집의 분포 양상과 저서 환경 건강도 평가를 통해 해역의 시공간적 환경변화를 파악하였다. 조사 기간은 2017년 11월, 2018년 2월, 5월, 8월에 51~52개의 정점을 대상으로 대형저서동물을 채집하여 조사하였다. 곰소만 해역에서 조사 기간 동안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종 조성은 194종, 평균 서식밀도 398 ind./㎡이며, 분류군별 종 조성은 환형동물이 86종(44.3%), 평균 서식밀도 277 ind./㎡로 가장 우점하는 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LeBris Index를 이용한 상위 10종의 우점종은 81.7%의 우점율을 나타냈다. 최우점종은 고리버들갯지렁이 (Heteromastus filifomis)로 모든 조사 시기에 주요 우점종으로 출현하였으며 연구 해역 전체적으로 분포하는 양상을 보였다.생태지수인 다양도 지수(′)는 1.62±0.20, 풍부도 지수( )는 1.51±0.34, 균등도 지수(′)는 0.80±0.04로 나타났다. 유사도를 이용한 집괴분석 결과 크게 조간대 해역과 조하대 해역으로 구분 되었으며 계절적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해역의 저서환경 건강도를 평가하기 위해 BPI, AMBI 그리고 K-dominance 분석을 실시하였다. BPI 분석 결과, 평균 45±23로 Ⅱ등급의 Good (양호) 상태를 나타냈다. AMBI 분석 결과, 평균 2.96±0.41로 Ⅱ등급의 Good (양호) 상태를 나타냈다. K-dominance 분석 결과, 모든 조사 시기에의 양호한 상태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3가지 건강도 평가를 통하여 곰소만의 건강도는 양호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대형저서동물 군집 구조 및 분포와 상관관계를 갖는 환경요인을 파악하는 BIO-ENV 분석 결과는 단변량으로 영향을 주는 환경요인은 실트로 나타났으며 실트와 평균입도가 가장 높은 조합을 보였다. 환경요인과 저서동물 생물지수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자갈이 서식밀도와 상관관계를 보였고 모래, 실트, 평균입도는 주요 우점종과 상관관계를 많이 나타내었다.

      • PR직업윤리에 대한 PR실무자와 언론인의 상호인식 연구 : 사적 관계에 대한 중요성 인식을 바탕으로

        윤하나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PR-언론 관계에서 많은 오해와 갈등의 원인이 되는 PR직업윤리에 대한 두 집단의 인식 차이를 올바로 파악하고, 사적 관계에 대한 중요성 인식에 따라 이것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분석하는데 기본적인 목적을 두고 있다. PR실무자와 언론인의 PR직업윤리에 대한 인식과 상호 인식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은 PR과 언론의 장기적인 호의적 관계 형성을 위한 기본적인 바탕이 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이를 다룬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R직업윤리에 대한 두 집단간 상호 인식을 종합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정향 모델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이에 사적 관계의 중요성 인식을 적용하여 정향성의 변화를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필요한 자료는 PR실무자와 언론인 표본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수집되었으며, 회수된 229개의 응답이 독립표본 t-test, 상관분석 등을 이용한 자료 분석에 사용되었다. 이론적 고찰과 실증분석을 통해 얻어진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PR직업윤리에 대한 PR실무자와 언론인간 정향성은 모든 면에서 차이를 보였는데, 두 집단간 PR직업윤리에 대한 각각의 인식에 차이가 나타났으며, 상대방의 인식에 대해서도 오해하고 있었다. PR실무자가 언론인보다 우리나라 PR직업윤리를 더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었다. 또한 PR실무자가 언론인의 인식을 실제보다 더 긍정적으로 추측하고 있는데 반해, 언론인은 PR실무자의 인식을 실제보다 더 부정적으로 추측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 대체로 두 집단은 상호간 인식의 차이가 있다는 것은 모두 인지하고 있지만, 그것조차도 실제 상대방의 인식과는 차이를 보여 결국 오해가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PR직업윤리에 대한 PR실무자와 언론인 인식간 정향성에 사적 관계의 중요성 인식을 적용해 본 결과, 전체적으로 두 집단간 기존의 정향 형태에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아 사적 관계가 윤리에 있어서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아님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PR실무자가 언론인의 인식은 정확하게 파악하고 있어 사적 관계에 대한 중요성 인식이 전체 집단에서 희석되었던 정확도의 정도를 확실하게 보여주고 있었다. 또한 PR실무자와 언론인 모두 사적 관계를 중요시하지 않는 집단이 중요시하는 집단에 비해 몇 항목의 PR직업윤리에 대해 더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어, 사적 관계를 중요시할수록 공적 커뮤니케이션 타락 행위 금지 측면을 비롯한 몇몇 PR직업윤리에 대해 더 좋지 못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PR직업윤리에 대해 나타난 PR실무자와 언론인간에 큰 인식의 차이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는데, 물론 가장 기본적인 문제는 PR직업윤리에 대한 PR실무자의 생각과 언론인의 생각이 다르다는 것이다. PR실무자 자신들이 윤리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한 만큼 언론인들도 긍정적인 평가를 할 수 있도록 전문적이고 윤리적인 PR활동 수행을 보여주어야 할 것이다. 이와 더불어 실제 언론인에 의해 PR직업윤리가 낮게 평가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PR실무자는 언론인이 자신들의 생각과는 다르지만 그래도 어느 정도 윤리를 긍정적으로 인식할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따라서 실제 언론인이 PR직업윤리에 대해 갖고 있는 부정적인 인식의 원인이 무엇인지를 정확히 파악하고 PR실무자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실제 언론인들이 더 부정적인 평가를 내리고 있다는 것을 깨달아야 한다. 이렇게 공생의 관계가 발전적으로 유지되기 위해서는 상호간 인식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여러 부분들에 있어서의 오해를 불식시키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PR직업윤리에 대해 언론인이 갖고 있는 부정적인 인식을 불식시키기 위해서는 PR실무자 자신들의 노력이 무엇보다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Media relation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rea of PR in Korea. And PR business ethics is the cause of misunderstandings and complications in PR-media relationship. Therefore, Identifying differences of PR practitioners' and journalists' perceptions about PR business ethics Identifying differences between PR practitioners' and journalists' perception about PR business ethics is important, but that kind of study is very rare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PR practitioners' and journalists' perceptions about PR business ethics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perception of interpersonal connection. To analyze this, co-orientation model is applied. A 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 was sent to PR practitioners and journalists by e-mail and visit. 229 questionnaires were submitted for data analysis using t-tes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are all the differences of the state of co-orientation between PR practitioners and journalists. PR practitioners' perception about PR business ethics is different from journalists'. And each part misunderstand the other's perception. PR practitioners' estimate about PR business ethics is more positive than journalists'. Furthermore, PR practitioners guess journalists' perception more positively and journalists guess PR practitioners' perception more negatively. Accordingly, though they recognize the differences (between) their own perception and others, there are still differences and misunderstanding. Second, perception of the interpersonal connection's importance has not been found to be an influential variable) However when the perception of the interpersonal connection's importance is applied, PR practitioners grasp journalists' perception accurately. And in several items of the PR business ethics, especially gift giving behaviors, the group of high perception about the interpersonal connection's importance estimate more negatively than the other group. As this study shows, there are all the differences on the mutual perception about PR business ethics. To maintain good and long-term PR-media relationship, it is necessary to have accurate understanding about the other's perception. Thus PR practitioners and journalists need to try to remove misunderstanding in many aspects of PR business ethics. Especially, PR practitioners should make every effort to reduce journalists' negative perception.

      • 문자와식 단원에서의 교정학습에 관한 연구

        윤하나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1855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on the question " What kind of influences does error correctional learning have on academic achievements?"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d on what positive effects the error correctional learning has in academic achievements of mathematics compared to explanatory class run by teacher, and verified by setting and applying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1) What types of errors are made by students in lesson "characters and formula" for the first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2) To which group is the error correctional learning, focused on the first grade middle school lesson "characters and formula" , more effective? In order to perform this research, 2 classes of Seoul I middle school were selected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ative group. Error inspection sheet contains 20 problems based on total 3 types. Each type is divided into obtaining answers of formula, linear expression, multiplication, division, addition and subtraction of linear expressions. The types of error in the research are categorized into 4 of falsified theorem and definition, technical errors, incompletion errors and vague errors based on article studies. Each frequency of student's errors for total errors was displayed as a percentage. If we look into the results of research item 1, errors occurring from formula answers were high in falsified theorem and definition showing 56%, technical errors 43.2%, and barely found in incompletion errors and vague errors. Secondly, problems on linear expressions, multiplication and division of numbers were highest in technical errors with 46.6%, relatively high in falsified theorem and definition, and incompletion errors with 31.56% and 21.58%, respectively. Thirdly, in additions and subtractions of linear expressions, technical errors comprised 39.35%, falsified theorems and definitions, similar 32.5%, and incompletion errors were also high as 27.62%. From the comparative analysis of academic achievements after experiments on the research item 2, the academic achievement of whole group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 However, it did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when divided into high, middle and low levels. While the high groups of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did not produce significant results, middle and low levels did show improvement in academic achievements from error correctional learning. It is judged that the low group students had more motivations for study through error correctional learning than the high/middle group students. Future projects require processes to analyze and correct error types according to the grade, semester, and lesson based on long-term plans. Furthermore, diverse methods need to be utilized in correcting errors, and teachers should have more interests in error correcting methods adjusted to students of each academic achievement level, and try to discover effective methods. 본 연구의 목적은 “오류교정 학습이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검증해 보려는 것이다. 특히 본 연구는 수학 학업성취도에 있어서 오류교정학습이 교사의 설명식 수업에 비해 어떠한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는지에 주목하고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 적용하여 검증해 보았다. 1) 중학교 1학년 「문자와 식」단원에서 학생들이 자주 범하는 오류의 유형에는 무엇이 있는가? 2) 중학교 1학년 「문자와 식」단원을 중심으로 오류교정학습은 학업성취 수준별 어느 집단에게 더 효과적인가?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연구 대상은 서울 I중학교 1학년 2개 학급을 각각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오류 검사지는 총 3개의 유형을 바탕으로 하여 전체 2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유형은 식의 값 구하기, 일차 식과 수의 곱셈과 나눗셈, 일차 식의 덧셈과 뺄셈으로 나누어진다. 본 연구에서 오류의 유형은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오류의 유형을 곡해된 정리나 정의, 기술적 오류, 불완전성으로 인한 오류, 애매모호한 오류 네 가지로 분류하였다. 학생들의 오류들이 전체 오류에 대해 차지하는 각각의 빈도를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연구문제 1에 대한 결과를 살펴보면, 식의 값 유형에서 나타나는 오류는 곡해된 정리나 정의가 56.6%, 기술적인 오류가 43.2%로 높게 나타났고 불완전성으로 인한 오류와 애매모호한 오류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두 번째 일차 식과 수의 곱셈과 나눗셈에 관한 문제에서는 기술적인 오류가 46.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곡해된 정리나 정의, 불완전성으로 인한 오류도 각각 31.56%와 21.58%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세 번째 일차 식의 덧셈과 뺄셈에서는 기술적 오류가 39.35%, 곡해된 정리나 정의가 32.5% 로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불완전성으로 인한 오류도 27.62%로 높게 나타났다. 연구문제 2에 대한 실험 후 학업성취도 비교분석을 보면, 유의수준 에서 전체 집단의 학업성취도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다고 할 수 없으나 상위⋅중위⋅하위 집단으로 분류하여 보았을 때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상위집단은 오류교정 학습결과 유의미한 결과가 나오지 않은 반면, 중위집단과 하위집단은 교정학습 결과 학업성취도가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하위학생들이 상위⋅중위학생들보다 교정학습을 통해 공부에 대한 동기 부여가 되었다고 판단된다. 앞으로의 과제는 장기적인 계획에 따라 학년, 학기, 단원에 맞게 오류의 유형을 분석해보고 교정하는 과정이 필요 할 것이다. 또한 오류를 교정하는데 있어 여러 가지 방법을 활용하고, 학업성취수준별 학생들에게 맞는 교정방법에 대해 교사들이 보다 많은 관심을 가지고 효과적인 방법을 찾아내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 R. Schumann의 《Kreisleriana Op. 16》 분석 연구

        윤하나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855

        본 논문은 슈만(Robert Alexander Schumann, 1810-1856)의 피아노 곡《크라이슬레리아나 op. 16》(Kreisleriana Op. 16, 1838)에 관한 연구이다. 이 작품은 호프만(Ernst Theodor Amadeus Hoffmann, 1776-1822) 의 소설인 『수고양이 무어의 인생관』(Lebens-Ansicht des Katers Murr, 1819-1821)에서 영감을 받아 작곡하였으며 자신의 이중자아인 플로레스탄과(Florestan) 오이제비우스(Eusebius)의 성격을 소설의 주인공인 크라이슬러(Kreisler)의 이중성을 통해 묘사하였다. 슈만의 《크라이슬레리아나》는 개인의 감정과 특정한 분위기를 표현한 성격소품으로 여덟 곡으로 구성되었으며 피아노 싸이클의 형식을 갖는다. 슈만의 이중자아인 플로레스탄은 열정적인 성격으로 빠른 템포의 지시어, 16분음표, 붓점리듬, 반음계적인 진행을 하며, 악상은 포르테와 불규칙한 스포르잔도, 스타카토, 당김음 등을 통해 나타난다. 그와 반대인 섬세한 오이제비우스의 성격은 느린 템포의 지시어와 여린 셈여림, 서정적인 선율, 리타르단도와 루바토를 사용하며 내면적인 분위기로 나타난다. 이러한 대조적인 성격은 음악에 동시적으로 나타나며 혼합적인 성격으로 공존을 이룬다. 조성은 B♭장조와 g단조가 중심조가 되며 중심조성을 토대로 각 곡에는 관계조성이 나타나 여덟 개의 곡들은 조성적으로 연결되고, 유기적으로 전개된다. 또한 선율적으로는 제 1곡의 주제선율을 각 곡에 나타내 통일성을 부여하고, 그로인해 여덟 개의 곡은 선율적으로도 순환한다. 슈만의《크라이슬레리아나》는 연결된 조성, 각 곡에 내포한 주제선율을 통해 여덟 개의 곡을 통합하였으며, 이러한 통합장치로 인해 각 곡들은 순환하며 피아노 싸이클의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유기적인 싸이클의 형식 속에서 나타나는 슈만의 가상의 인물들은 성격의 대립이 아닌 동시성을 갖으며 작품에서 공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thesis is a study of《Kreisleriana Op. 16》by Robert Alexander Schumann(1810-1856). The work was inspired by Hoffmann(1776-1822)'s novel 『Lebens-Ansicht des Katers Murr』and described the characteristics of Schumann's double ego, Florestan and Eusebius into duplicity of a main character Krdisler. Schumann's 《Kreisleriana》is the character piece that expresses individual feelings and peculiar atmosphere, which was composed of eight pieces and had a form of piano cycle. The passionate character of Florestan, Schumann’s double ego, is expressed by using indication of fast tempo, sixteenth notes, dotted rhythm, chromatic scale, forte and irregular appearance of sforzando, staccato and syncopation. On the contrary, Eusebius's meditative character is expressed by using indication of slow tempo and weak dynamic, lyrical melody, ritardando and rubato with internal mood. These contrastive personalities are simultaneously shown in Schumann's music and appear as a mixture of personalities that receives coexistence. In case of tonality, both B♭ major and G minor are to be main scale and each piece has a related key within an overall tonality and systematic. which gives unity and indicates that eight pieces circulates systematically. As the theme melody of piece No.1 appears in each song, which gives unity and indicates that eight pieces also circulate in melody. Schumann's Kreisleriana integrated eight pieces through connected tonality and theme melody of each pieces, which makes each piece circulate and have a structure of piano cycle. Schumann's fictional characters in cyclic structure are shown as synchronism, not contrast of characters in a work.

      • ENHANCING THE DISSOLUTION RATE OF A POORLY SOLUBLE COMPOUND

        윤하나 차의과학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855

        고체분산체는 생물약제학적분류체계 계열 2에 속하는 난용성 약물의 용해도를 향상시키는 기술로 무정형 약물이 고분자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는 형태, 약물의 결정형이 남아있는 형태와 무정형 약물이 고분자에 골고루 분포하지 않은 형태가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난용성 약물인 ARK1205의 용출률을 증가시키고자 마이크로침전법(Microprecipitated Bulk Powder)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ARK1205와 친수성 고분자(MPMCAS, HPMCP, Eudragit)의 다양한 조성하에서 고체분산체를 제조한 후, 편광현미경, 시차주사열량계와 용출시험을 통해 물리화학적 특성분석을 하였다. 복굴절과 용융점이 존재하지 않은 고체분산체 HPMC-AS MG, HPMC-AS HF, 그리고 Eudragit S100은 결정형 약물이 무정형으로 변했다고 생각할 수 있으며, 용출시험 결과를 통해 무정형 상태의 약물이 고분자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는지 유추했다. 고체분산체를 이용한 난용성 약물은 용출률 향상도 중요하지만 보존기간 동안 제품의 안정성도 중요하며,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실험이 필요하다. Overcoming poor solubility of a new chemical entity (NCE) can be a challenge during pharmaceutical development. When the NCE is a crystalline form with high crystalline energy, amorphous form can be explored to enhance dissolution rate. Solid dispersions have been used to obtain stable amorphous drug formulation, and thereby improve dissolution and bioavailability. The aim of this paper is solid dispersion study on enhancing the dissolution rate of a poorly soluble ARK1205 by microprecipitated bulk powder (MBP). The solid dispersions of ARK1205 with various ratios of drug/hydrophilic ionic carriers (HPMCAS, HPMCP, Eudragit) were prepared. The solid dispersions have been characterized by polarized light microscopy,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and dissolution test. The results obtained showed that the rate of dissolution of ARK1205 was considerably improved when formulated in solid dispersions as compare to pure drug. And solid dispersions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solid dispersion structure such as amorphous drug homogeneously dispersed in carrier, crystalline drug formation, and amorphous drug-rich domains by characteriz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