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노인요양시설의 화재 발생 시 연기 유동장과단위면적에 따른 피난특성에 관한 연구

        유재길,성재용 한국위험물학회 2022 한국위험물학회지 Vol.10 No.2

        The analysis of the flow field in the elderly care facility showed that a vertical flow occurred due to vortex and buoyancy near the airflow entrance and fire source on the floor plan. The velocity in the corridor was high due to the location of the smoke window on the floor plan, and the carbon monoxide mass fraction in the fire room was 0.5 or more within 1 minute. In addition, smoke detectors work much faster than heat detectors, but not many places voluntarily install smoke detectors for economic reasons. Therefore, fire safety standards should be revised to the following to reduce damage in elderly nursing facilities: “Smoke detectors must be installed in living rooms and other rooms (treatment rooms or office rooms) used for purposes such as sleeping, lodging, hospitalization for the elderly.” The study of evacuation behavior of occupants of elderly care facilities in unit area showed that evacuation was completed in 4 minutes and 43 seconds in small and medium-sized buildings and in 5 minutes and 5 seconds in large buildings. Considering that the initial evacuation started after about 100 seconds, this results in a difference of about 20 seconds for horizontal evacuation, not considering evacuation over several floors. In addition, a comparison with normal populations in large buildings confirmed that the risk exposure time increased sharply with increasing building size, with the elderly taking 1.7 times longer.

      • 〈자연-생명력〉연작을 중심으로한 조형적 변형 : 辛光錫 陶藝展

        유재길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1992 造形 FORM Vol.- No.15

        80년대 초반 신광석의도자예술에 나타난 조형적 특성은 사각의기하학적 기형 속에 자연의 이미지를 추상화시킨 단순한 형태와 모노크롬의 중간색조에서 찾아볼 수 있다. 당시그의작품 제목은 '자연을 바탕으로 구조, 변형, 얼굴, 산, 우주, 만원 등의 부제를 붙인다. 기하학적 추상형태의 요소를 바탕으로 조형적 탐색이 이루어진 그의 판작업 도자는 순수 형태의 절대적 미를 추구하는 경향이다. 동시에 이같은 새로운 기법의 도예작업은 자연 이미지의 독특한 구조적 추상형태 모색과 함께 한국 현대도예에 신선한 충격을 주었다. 여기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역시 자연 이미지를 닦고 있는 개성적 형태의 창조이다.' 과감한 형태의 외적 변화는 전형적인 도자기의 곡선과 원형에서 탈피, 직선적인 면의 표현적 효과와 사각의 완벽한 추상적 구조에서 나타난다. 전부터 다루어왔던 원형의 물레성형에서 벗어나 판작업으로 새로운 형태를 만들어 낸 것이다. 판작업이라는 기법의 실험으로 그는 인습적 형태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도예가의 한정된 인식을 넓혀 주었으며 사각의 기형을 자유롭게 펼쳐 보여 주면서 기하학적이며 직선적인 구조의 차갑고 엄격한 느낌을 강조하는 형태 창조로 현대도예의 새로운 흐름을 유도하였다. '자연-태양'에서 시작된 태양의 원형 이미지 작업 후 '자연-구조'와 '자연-변형'작업은 가장 단순한 평면적 면과 선적 구성요소로 구축된 도자이다. 추상조각가들이 인체가 갖는 불륨감의 부분들을 추상화하여 조형적 덩어리를 만들었다면 그는 자연의 사물에서 이미지를 차용하고 극대화내지는 극소화한 도자를 만든다. 단순하면서 수직적 형태의 구조와 변현은 인위적인 아름다움을 갖춘다. 자연 그대로의 형상에 머물지 않고 자연의 유사성을 인간의 의지와 감각으로 새롭게 만들어 내려는 힘은 창조적 조형성의 탐구 결과이다. 신광석의 초기작업에서 보여지는 자연의 이미지 탐구 작업은 예술철학자 르네 위그의 말대로 인간은 자연에 의해서 주어진 암시를 자신의 것으로 소유하려는 노력끝에 자신의 분신을 창조해낸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비단 자연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그의 작업은 초기 뿐만 아니라 후기에 이르기까지 지속성을 갖는 것을 보며 초기에는 그 구체적 형상이 엄격한 구조의 틀에 갇혀 순수한 추상적 형태의 단순미에 치중한 느낌을 준다. 직사각형의 단순한 도자형태에서 부분적으로 삽입된 삼각형 면과 톱니처럼 파여진 작은 면들은 단조로운 구조의 틀에 많은 이미지의 변화를 준다. 태양이나 달, 산을 비롯 얼굴의 형상까지 나타난 다양한 자연의 이미지는 직선적인 면을 기본으로 하여 차가운 추상을 추구하였던 모더니스트 화가들과 같은 공통점을 생각하게 한다. 그러나캔바스나 청동, 대리석의 질감과 달리 유약과 소성의 과정을 거친 '자연-변형'의 표면은 그 차가움을 넉누르고 뜨거움과의 중간입장을 취한다. 차가운 미니멀리스트의 오브제나 캔바스의 모노크롬 표현과 흡사한 초기 직사각 구조의 표면은 변형된 자연 이미지를 불러 일으키면서 도자가 갖눈 차분하고 정적인 세계를 유지한다. 다듬어지고 형상을 드러내는 조각가의 볼륨감과 달리그가 만들어내는 속과 겉의 표면은 이중적 공간을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볼륨으로 동적일 수 없는 정적인 감각에 머문다. 이같은 표면의 촉시적 느낌과 자연의 이미지 형상에서 주는 예술적 깊이가 초기작업의 조형적 특성이다.

      • KCI등재

        공공미술과 장소로 확장된 예술의지(Kunstwollen)에 관한 연구

        유재길 ( Jae Kil Yoo ),성원선 ( Won Sun Seou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2 기초조형학연구 Vol.13 No.3

        공공미술은 지난 40여 년 동안 세계의 미술환경 속에서 인간의 삶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예술적 영역으로써 정책적 지원을 받으며 다양한 각도에서 발전했다. 그와 더불어 현대미술의 다양하고 혁신적인 창의적 활동들은 공공미술의 경계를 계속적으로 확장하며, 새로운 장르성 즉, 건축물속의 미술, 공공장소속의 미술의 영역을 넘어서, 사회적 환경을 조성하고, 관계를 성립하는 공공영역의 미술로써 확장되고 있다. 예술과 공공의 문제를 확장적으로 인식하고 작가가 표현하고자 하는 예술개념에 대한 실천적 과정을 조형적이나 미학적으로 분석하여야만 한다. 그것을 통해 현재의 공공미술에서 대두되는 개념적, 사회적 예술형식을 미술 비평적으로 분석하는 토대를 형성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동시대 미술담론과 비평에 있어서 공공미술의 담론의 시작을 로잘린 클라우스(Rosalind Klauss)의 「확장된 장으로써의 조각」에서 나타난 조각에 대한 견해를 토대로 하여 연구하고자 하였으며 연구의 범위를 1977년 이뤄진 제 1회 뮌스터 조각프로젝트의 작품을 통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뮌스터 조각프로젝트에서 나타나는 장소찾기 (Platzsuche)를 통해 제기된 공공/ 공공성 (Public/publicness)의 문제와 프로젝트 참여 작가들의 공공영역 (Public Sphere), 공공장소 (Public Place)에 대한 인식들을 도널드저드(Donald Judd), 클래스 올덴버그(Class Oldenburg), 요셉 보이스(Joseph Beuys), 칼 안드레(Carl Andre), 마이클 에셔(Michael Asher), 브루스 나무만 (Bruce Naumann)의 작업을 통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공공성과 도시 공간, 공공영역으로 확장되는 작가들의 예술의지(Kunstwollen)를 미술 비평적으로 접근하였으며, 결론적으로 조각의 확장적 영역으로 공공영역과 공공성에 대한 미적담론의 필요성과 사회적, 역사적 그리고 시대적으로 변화하는 대중과의 예술소통의 가치를 위한 새로운 작가적 예술의지들이 고양되어야 한다는 것을 주장하고자 하였다. Public art has developed in various aspects with political support as an artistic field needed to realize human`s life in the world art environment for last 40 years. With this, the modern art`s various and innovative creative activities constantly expand the boundary of public art, make a social environment beyond the domain of art in public space, a new genre, that is, art in architecture, and expand as the art of public space which established relations. In order to recognize the problem of arts and publicness expansively and to consider and analyze its aesthetic discourse from a critical point of view,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practical process toward artistic concepts which the artists aim to express formatively or aesthetically in forming the basis for analyzing conceptual and social artistic formality which is on the rise in the public art.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contemporary artistic discourse and criticism through the works of art in the 1st Munster sculpture project performed in 1977 which makes factors and to conduct a critical consideration based on the opinion of Rosalind Krauss. The development of public art in various viewpoints, to analyze the sphere of sculpt in an artistically critical approach as an expanded place of the problem of public/publicness shown through Platzsuche shown in it and the recognition toward a public sphere and a public place of artists ( Donald Judd, Class Oldenburg, Joseph Beuys, Carl Andre, Michael Ashe, Bruce Naumann) participating in the project This research topic, through a critical approach of publicness of Munster Sculpture Project is important to verificate artist`s Kunstwollen and expanded sculptural point of view about integrating social and analyzed. Participation in public and social awareness and art experiments on a new role for the modern practices on the relationship of the artist as well as Kunstwollen in the public domain, through the expression of its influence in public urban spaces and the expansion of the concept, and the new public art reached the conclusion that art as a genre was developed.

      • KCI등재

        라틴아메리카 현대미술의 국제화에 관한 연구 -1960년대 아르헨티나 전위미술을 중심으로

        유재길 ( Jae Kil Yoo ),오병희 ( Byung Hee Oh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1 기초조형학연구 Vol.12 No.3

        현대미술의 세계화 과정 속에서 라틴아메리카 미술은 어떠한 변화를 거쳐 왔는지를 연구하는 시발점으로서, 1960년대 아르헨티나의 전위 예술을 살펴보고자 한다. 당시의 젊은 작가들은 유럽이나 미국의 작가들과 동시적으로 실험적인 개념미술과 팝아트를 선보이면서, 자국의 미술을 국제화의 흐름에 유입시키고자 하였다. 1960년대 미국은 라틴아메리카와의 ``진보동맹`` 을 통하여 경제원조 뿐만 아니라 문화교류를 중요시하는 외교를 펼쳤다. 이러한 사회적 배경이 라틴아메리카 미술의 국제화를 촉진시키기는 했지만, 외부적 요소 못지않게 자발적으로 국제화의 노력을 기울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아르헨티나의 미술계는 국립미술관이나 디 뗄라와 같은 예술교육기관을 통하여 국제화를 향한 제도적 노력을 기울였으며, 외국의 유명 비평가를 심사위원으로 초빙하는 수상제도를 운영하기도 했다. 하지만 유럽과 미국에서는 여전히 아르헨티나의 전위예술을 지역의 정체성이나 문화인류학적인 측면을 강조하여 평가하려는 관점이 지배적이었다. 서구의 사람들이 소위 ``제3세계`` 국가의 미술 작품을 비평할 때에는 국제적이고 보편적인 미적 기준보다도 지역적이고 특수한 내용을 우선시하는 경향이 우세하다. 따라서 오늘날 많은 라틴아메리카 미술가들이 다원주의적 국제 전시에 참여한다는 것만으로 라틴아메리카 현대미술의 국제화가 이루어졌다고 볼 수는 없다. 국제화 실천에서 발생하는 이러한 모순은 한국미술의 세계화를 위한 제도적 실천들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오늘날의 한국미술계에도 공통된 문제점이기도 하다. For studying on transition of Latin american art in the influence of globalization in contemporary art, it can be a good stating point to investigate Argentinean avant-garde art in 1960`s. Then Argentinean young artists displayed experimental conceptual art and pop-art at the same time as artists in Europe or USA, and tried to insert their artwork in the international art stream. In 1960`s USA government carried out a diplomatic policy, named ``Alliance for progress`` with Latin america. It regarded cultural exchange as important besides economic aid. Though social context like this promoted internationalization of Latin american art, it is significant that Argentineans accept the internationalization spontaneously. Argentinean art world worked hard to attain the international value through the institutional system ; national museum and educational institution Di Tella. They also made a prize and invited the famous foreign critics as judges of the prize. But it is dominant among the critics in Europe and USA to appreciate Argentinean avant-garde art with emphasizing the regional identity or the aspect of cultural anthropology. When the western people critic on the artwork from so-called ``the third world``, they have a tendency to take interest in the regional and particular contents over the international and universal aesthetic value. Because of this reason, even though the quantity of participation of Latin american artists in global exhibition has increased, but we cannot think that internationalization of Latin american art completed in success. Korean contemporary art world making effort to globalize their own art, has common problem with Latin american`s ; The contradiction taking place in the practice of internationalization

      • KCI등재

        베니스 비엔날레 한국관 연구 -글로벌 미술담론의 변화와 한국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유재길 ( Jae Kil Yoo ),김택용 ( Taek Yong Km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0 기초조형학연구 Vol.11 No.6

        오늘날 비엔날레는 동시대 미술의 현 지점을 보여주며, 과거 담론에 대한 대안을 모색한다. 국제미술의 현장으로서 비엔날레는 새로운 장르와 양식, 시의적 담론들과 이슈, 전 세계 작가들의 국가적, 민족의 각축장이 되고 있다.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베니스비엔날레는 포스트모더니즘의 다양한 담론을 바탕으로 다면적 코드를 전시개념에 수용하고 새로운 이념들을 전시개념에 반영하였다. 그리고 관객과 예술의 새로운 관계성의 전시를 보여줌으로써 비엔날레가 가지고 있는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노력했다. 하지만 특별전이 보여준 전시개념과 구조의 획기적인 변화와는 달리, 여전히 문화패권주의적 성향을 보여주는 국가관의 전시경향과 서구사상의 미적지식을 바탕으로 한 큐레이팅 방식은 서구적 시각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는 한계점으로 지적되곤 한다. 이런 점에서 우리는 글로벌리즘의 문화 정치적 도구로서의 비엔날레를 살펴 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한국관이 개관된 1995년 장 클레르(Jean Clair)의 45회 비엔날레부터 최근 번바움의 53회 전시를 통해 한국관이 동시대 미술에 어떠한 방식으로 개입하고 미술의 맥락을 생산하고 있는지 주목하였다. 한국현대미술이 어떻게 동시대 미술현장에 개입 하는지 알아보기 위해선 우선 베니스비엔날레 그 이면에 존재하고 있는 다양한 지층들을 점검할 필요가 있다. 이런 점에서 본 연구는 베니스비엔날레에 대한 거시적 조망을 통해 글로벌 미술담론과 한국관의 상호관계를 살피는 과정과 같다. The current Biennale shows a present point of the contemporary arts and also it is seeking alternative for the past discourse. As a field of international arts, Biennale is in charge of the national arena of competition among the artists all over the world for the new genre and style as well as timely discourse and issues. At the beginning of the 1990s, Biennale accepted a many-sided subject and reflected new concepts into the exhibition based on a various discourse of postmodernism. Also, Biennale tried to overcome the limitation as it showed the exhibition of the new relationship with audience in arts. On the contrary to the innovative change on special exhibit, Biennale is still pointed out its limitations. Since it still has problems with the exhibition of an outlook on the nation reflecting on the cultural supremacy and the way of curating based on the aesthetic knowledge of the Western thought. In this respect, we need to look into the Biennale with new aspect as cultural and political tool in today`s global era. In this research, we paid significant attention to Korean Pavilion about how it involved in the contemporary fine arts and produced the art context from the first opening of the Korean pavilion on 45th Exhibition (by Jean Clair, 1995) to the 53rd Exhibition (by Daniel Birnbaum, 2009). First, we need to examine the diversity of aspects that lie behind the Biennale in order to how Korean arts could be involved in the contemporary fine arts. Accordingly, herein we reported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pavilion and global arts discourse through the macro view of the Venice Biennale.

      • KCI등재

        뉴욕 현대미술관(MoMA)연구

        유재길(YOO, Jae-Kil)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07 조형디자인연구 Vol.10 No.1

        The Museum of Modern Art (MoMA) in New York, U. S. A was re-opened on Nov. 20, 2004 with a slogan, "Manhattan is Modern Again". It indicates that MoMA which has around 70 years history from 1929 to the present is seeking a new change after modernism. Re-opening of MoMA in 2004 aims to not only to simply expand the space but also attain the glory of American modernism in 1960s. The purposes of re-opening are, 1) Core role of world's modern art, 2) Expansion of art museum space, 3) Collection of representative art works in the same period, 4) advancing exhibition planning and 5) Sympathy and Exchange between people and MoMA in accordance with expansion of art education. The study herein is to focus on the purpose of MoMA re-opening and development of American modernism. Especially, it focuss on admission and change of modernism art pursued by MoMA till the present, spatial characteristics in accordance with re-opening and exhibition planning. Moreover, the new MoMA model inquired by American society such as new exhibition space application, admission of various genres art museum, etc, can be checked from the re-opening. The study is started from modernism art of early MoMA which its basic frame was established by Alfred H. Barr, Jr. the first curator. Alfred H. Barr, Jr. focused on the collection of European impressionism and late impressionism art work, and furthermore, made a key role to establish American modernism art with exhibition planning and work collection of Picasso, Matiss and abstract art work. Subsequently, re-opening of MoMA in 2004 is mentioned with checking the birth of American modernism in 1960s. Re-construction was carried out by Yoshio Taniguchi, which is called as "White Box" in modernism style. It shows the trend which continues past modernism rather than dramatic change and prepares the future. The study herein focuses on the change and characteristics of space and exhibition contents in accordance with re-opening. Also, the study herein gropes social and public property of art museum with dealing positive and negative aspect of expansion of MoMA. For the former study which pointed the role of 21st century art museum related to this, The Early Years of the International Program and Council of Helen M. Franc, or collections and exhibition plan. Moreover, from the overview of art education for various popularization as well as various space formation, a new model of modern art museum is presented.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