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Y. Agam 작품의 조형성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양정란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style of realistic expression had been a base of the art from Greek mimesis' aesthetics as well-grounded the art to impressionism. In twenty century's impressionism, abstract painting could not build it's foundation until the traditional reproduction that had frequently appeared in conventional painting style were refused and color got it's autonomy and origin of the form was sought after. In the early twenty century, rapid progress of science and technology brought forth various thoughts and expression styles, so the refusal of the traditional art style appeared in complex and specific aspects. Such phenomenon produced new concepts and technique, which jointly caused the various style to emerge very strongly. After two world wars, abstract painting adopted the expressionism's aesthetics which reflect the inside of human being to the formative world had brought fourth the grand trends so called abstract expressionism. This became the origin of abstract painting as the spiritual investigation style. Art movement, directly or indirectly motivated from the origin, arised in various aspects until nowadays sometimes as experimentalism or sometimes as avant-garde. But minimal art, so called the acme of modernism, had regarded only the minimal expression and come to eliminate every possibility of expression. Efforts to overcome the problem -exhaustion of the form in modernism - bore the various new approach methods in every dimension. Representational image reappeared in front of the painting art by means of revival of realistic tradition oriented in pop art, quotation from the past, metaphorical suggestion and borrowing various representing style. Especially allegory's reentry to the stage or borrowing allegory (which has the important character representing that pictorial interest in post modernism are induced by the contents or meaning action of a work rather than by matter or formal quality) deserve to regard in the light that it tried to revive the spiritual freedom lost in modernism's closing, with strong comparison with formal character of modernism. In the present days of the huge general public and machine engineering age, art is directed to sublate the past romantic humanism but to bear non-individual character of new features with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approach. Art has been in the world, constantly changed and will change all the times along with change of the society sometimes in advance. Therefore no one can imagine or tell how the art would develop it's shape in the future. But we can be sure that art will never vanish but will constantly exist forever because art has been with the first human being. Human being has constantly sought the way of gushing his aesthetic desire through whole history and tries still in this moment to realize his desire. Art represents the situations of that age and reflects the spirit of that generation. As art can be the intuition of the person in that age, the specific symbol comes out especially from the paintings. In this paper, I investigated the basic characters of kinetic art and the world of Yaacov Agam's works, who is prominent worker in that area and willingly produced the works in which the spectator took part. Yaacov Agam is the first runner who introduced for the first time the time factor and the motion factor into the art. I think his works influenced me very much. I investigated my self how his work had penetrated into my painting. I believe that I did not stay in imitation of other's work as every beginner usually does but did my best to build my own aesthetics containing oriental spirit different from Yaacov Agam. I endeavor to escape from the work which at glance seems to be easy and monotone interpretation, so that I might develop myself to be a genuine artist. A series "Memory of Space" is my work into which I tried to embed my effort and intent. Through the series "Memory of Space", the result of my painful effort, I want that my having pursued to be analyzed and evaluated how much my intent is included in my work, how my intent can be revealed. I believe that those detail analysis, sincere evaluation and kind advise will make me find my lack as well as my merit to guide my carrier in future. 일찍이 서구미술의 근거가 된 사실주의적 표현 양식은 아리스토텔레스의 ‘모방(mimesis)의 미학’으로부터 인상주의에 이르기까지 부정할 수 없는 서양 미술의 기본적 토대가 되었다. 20세기에 들어서면서 이전의 전통 회화양식에서 보였던 인습적인 재현을 거부하고, 색채의 자율성과 형태의 근원적 추구에 몰입하면서 추상회화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과학기술이 급진적으로 대두한 20세기 초부터 전통적 예술 양식에 대한 부정은 새로운 사상과 다양한 표현으로 각기 특색 있고 복잡한 양상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현상은 개념과 기술을 결합함으로서 강력하면서 충격적인 양식을 출현시켰다. 두 번의 세계대전 이후, 추상 회화는 인간 내면의 조형세계를 반영하는 표현주의 미학을 도입하여 추상표현주의라는 거대한 흐름을 탄생시키며, 탐구적 양식의 정신적 근원을 비로소 이루었다. 여기서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파생한 다양한 미술 운동들은 실험성, 전위성을 띠며 오늘날 여러 양상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모더니즘의 극한이라 지칭하는 미니멀 아트에 이르러, 최소한의 표현만을 인정 하다가 결국은 표현 가능성조차 제거한 상태에서 ‘모더니즘의 고갈된 형식’에 대한 극복문제가 대두하면서 새로운 차원의 다양한 접근 방식을 모색하였다. 즉 팝아트에 이르러 사실주의 전통을 부활하는데, 과거의 인용, 은유적 암시, 다양한 양식의 차용 등에 의해 구상적 이미지가 다시 정면에 나서게 되었다. 특히 알레고리 (포스트모더니즘에 있어 회화적 관심이 물질이나 형식적인 질에 있는 것이 아니라 작품의 의미나 내용에 있음을 대변해 주는 중요한 특징)의 재등장이나 차용의 문제는 모더니즘의 양식적 특성과 강한 대비를 보이면서 모더니즘의 폐쇄성 속에서 잃어 버렸던 정신적 자유를 찾으려 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현대의 거대한 대중사회, 기계공학의 시대에 미술의 방향은 과거의 낭만적 휴머니즘을 지양하고 새로운 모습의 비개성적이고 과학적이며 공학적인 접근의 전개로 이어진다. 결국 시대적 양상이기는 하지만, 시대를 한발 더 앞서나가는 진보적인 입장에서 예술은 항상 존재해왔으므로, 앞으로 전개될 미술은 과연 어떤 모습일지 상상하는 것은 그 예측마저도 실로 힘든 것이 사실이다. 다만 인간의 역사와 함께 해온 예술이기에 앞으로도 변함없이 발전하리라는 점만은 확실하다. 이러한 극명한 현실적 상황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끊임없이 미적 욕구를 분출시키고자 하는 의지들은 지금 이 시간에도 곳곳에서 실현되고 있다. 미술은 시대의 표현이며 그 시대의 조건이나 그 시대정신의 반영이다. 한 시대는 그 시대 나름의 상징을 낳게 되는데 미술은 그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직관이기 때문에 이러한 상징은 특히 미술에 있어서 잘 나타난다. 이 논문은 우선 키네틱 아트의 여러 가지 기본적 특성 중에서 관객 참여 작품을 즐겨 제작한 야고프 아감(Yaacov Agam)-시간과 움직임의 요소를 예술에 처음 도입시킨 키네틱 아트의 선두주자- 의 작품 세계를 중심으로 본인의 작품제작과 예술정신에 끼친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인 나름의 미학을 확고히 다지면서 아감의 작품에서 받은 영향과 감격을 바탕으로 평소 추구하고 사유했던 동양적인 세계와 정신을 드러내고자 하였는데, 단조롭게 대상의 해석에만 머물렀던 식상한 작업을 털고, 진정한 작가로서의 예술적 고뇌를 담아 표현하고자 하는 의도가 <공간의 기억>이라는 시리즈에 담겨 있다. 나의 작품세계의 변화를 시도하고 탐구한 결과물인 <공간의 기억> 시리즈 작품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그 의미와 가치를 평가받고자 하였고, 이러한 심도 있는 분석을 계기로 지금까지의 작업에 대한 과감한 반성과 앞으로 이루어질 작업 방향을 모색하여 발전의 기회로 삼고자 한다.

      • 지형적 특성을 고려한 자전거 최적경로 탐색 기법

        양정란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최근 전 세계적으로 에너지 위기와 지구온난화가 커다란 이슈로 부각됨에 따라 녹색성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친환경 교통수단인 자전거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이에 기반이 되는 자전거도로는 지형적 요소를 고려하지 않고 설계되고 있어 실제 많은 이용자가 자전거를 이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자전거를 통근, 통학 등 출·퇴근용으로 이용하기 보다는 주로 운동이나 여가활동을 목적으로 이용하고 있어 활용성이 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전거도로의 편리한 접근성과 연속성을 위해 지형적 요소를 고려한 최적의 노선으로 경로를 선택하는 것이다. 또한 자전거 이용에 있어서 생활교통으로의 접근이 활성화 되도록 통학에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최적경로의 연산에 있어서 경사도와 교차로를 고려한 식을 도출하였으며, 변형된 다익스트라 알고리즘(Dijkstra Algorithm)을 적용해 최적 노선을 선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분석 결과, 자전거도로의 노선은 지형적 요소를 고려해 설계해야하며, 신속하게 목적지까지 이동을 요구하는 통학용 자전거도로의 경우 단순하게 이동거리를 기준으로 노선을 선정하기 보다는 횡단보도나 교차로에 의한 대기시간과 경사에 의한 속도 증감을 고려한 최단시간을 기준으로 노선이 선정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향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자전거도로의 개선 및 확충하는데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기초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s global energy crisis and climate change have recently emerged as major global issues, an increased attention on green growth leads to the greater importance of bicycle, an environmentally friendly transportation means. However, bicycle routes, the very foundation of encouraging the use of bicycle, are being developed without a consideration of geographical factors, and not many people use bicycle. Moreover, utility of bicycle is decreasing because people bicycle for the purpose of an exercise or a recreational activity rather than of the purpose of commuting to work or school. This study aims to identify and select the optimum bicycle route considering geographical factors to enhance convenience, accessibility, and continuity of bicycle routes. In addition, in order to promote accessibility of bike as a daily transportation means, the study focuses on the bicycle’s role of commuting to school or work. To this aim, it devised a formula with a consideration of slope and crossroads to calculate the optimum route, and applied modified Dijkstra Algorithm to find out a means to select the best route.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ed that bicycle routes should be developed with a consideration of geographical factors. Moreover, it also indicated that route of bicycle routes for commuting which requires a quick arrival at destination should be selected on the basis of shortest time path considering increasing or decreasing speed due to a slope and waiting time at crosswalks or crossroads, rather than simply on the basis of transport distance. This study will serve as a basis of effectively improving and expanding bicycle routes which are on the continuous rise.

      • 낱말 형성법을 통한 새말 만들기의 교수 학습 방안 연구

        양정란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사회가 변화함에 따라 새로운 사물이나 개념이 등장할 때, 이를 나타내기 위하여 새로운 말이 등장하게 된다. 이렇게 나온 것이 바로 새말이다. 새말은 이미 존재하는 개념이라 하더라도 그것을 표현하던 어휘의 표현력이 감소되었을 때 그것을 보강하거나 신선한 맛을 내기 위하여 등장하기도 한다. 통신매체가 의사소통과 문화 확산의 주된 매체로 자리 잡으면서 새말을 만들어 쓰는 이들의 나이대가 낮아지고 전파 속도도 무척 빨라지고 있다. 과거에는 새말을 만드는 주 세대가 20대였지만 지금은 10대의 청소년들도 적극적으로 새말을 만들어 쓰고 있다. 청소년들이 만드는 말 중에는 국어의 낱말 형성 방식에 맞지 않거나 비속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고, 기성세대들은 좀처럼 이해하기 어려운 말들이 많다. 언어의 주된 역할이 의사소통이라고 본다면 이것은 큰 문제가 아닐 수 없다. 국어의 잘못된 사용에 대한 인식의 필요성과 언어 예절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을 절감하는 요즘, 새말을 만드는 방식이나 태도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본다. 7차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새말 만들기는 ‘[8-2] 국어의 조어법을 안다’라는 지도 내용의 심화 활동으로 제시되어 있다. 그렇지만 교과서에서는 이를 반영하고 있지 않아 현재 새말 만들기에 대한 지도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새말은 모국어를 사용하면서 낱말 형성법을 배우면 누구나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새말 만들기의 학습 난이도는 그리 높지 않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학습자의 흥미나 참여를 쉽게 끌어낼 수 있기 때문에 낱말 형성법 학습에서 심화 과정이 아닌 기본 과정으로 다루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본다. 본고에서는 낱말 형성법 단원의 교수 학습 실태 분석을 통하여 낱말 형성법 단원 교수의 개선방안을 마련하였고, 새말 만들기를 낱말 형성법 단원과 함께 학습하도록 단원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형태소(1차시) → 낱말 형성법(2~3차시) → 새말 만들기(4~5차시) → 보충심화(6차시)의 순으로 학습하도록 교수 학습 계획을 세웠다. 새말 만들기의 학습 내용으로는 최근에 만들어진 새말을 통해 새말 만들기의 유의점을 찾아보기, 합성법과 파생법을 이용해 새말 만들기를 제시하였으며, 탐구 학습 모형으로 교수 학습 안을 구안해 보았다. 본고에서 구안한 교수 학습 안으로 실제 수업을 해 본 결과 새말 만들기가 어휘력 확장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 학생은 74%였고, 59%의 학생이 새말 만들기 학습에 흥미를 느끼고 있었다. 또한 수업 전 새말을 만들 수 있다고 답한 학생은 51%였으나, 수업 후 83%의 학생이 새말을 만들 수 있다고 답한 것으로 보아 새말 만들기가 학생들에게 의미 있는 경험이었음을 알 수 있다.

      • 초등학생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관한 연구

        양정란 대진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is conducted in order to analyze manners of how students handle stress, based on a surve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are 4th and 6th grade. To achieve our goal we set subjects like the below. First, how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ndle stress according to the gender? Second, how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ndle stress according to the grade? The study focused on 432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are 4th and 6th grade in two schools located in city K. To measure the general propert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 set our directions regarding 4th and 6the grade, used situation handling tes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using SPSS 14.0 program are like the below. First, manners how students handle their stress would be vary but in this study we classified 29 questions on the survey into 5 categories and named self-directed handling, social handling, self-controlling handling, behavioral handling, affective handling. Second, overall tendency toward stress handling shows that students take the positions of behavioral handling, social handling more, relatively than other types. Third, we found out a difference of the gender regarding 'self-directed handling'. Female students showed that more tendency toward self-directed handling rather than male students. Especially girls inclined to respond more to the question 'I figure out what to do before what I do.' Fourth, the survey shows there is no much difference between boys and girls regarding 'social handling'. However in somepart, female students inclined to answer 'yes' rather than male students to the question 'I call my friend when I am stressed out.' Fifth, regarding differences of 'self-controlling handling' there is no much difference between boys and girls. However girls responded to the question 'I draw a picture when I have stress' more rather than boys. Sixth, we found out there is no special difference between boys and girls regarding 'behavioral handling'. However male students inclined to answer to the questions- 'I play a game', 'I work out', 'I watch a cartoon' more than female students and relatively female students answered 'yes' to the questions- 'I listen to the music and sing a song'. Seventh, when we look at 'affective handling',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female and male students. To put it concretely, girls showed to answer the question' I feel nervous when I don't handle stress well' more than boys. Eighth, regarding 'self-directed handling'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ades. However 6th grade students have tendency to 'social handling', 'self-controlling handling' rather than 4th grade students. Regarding 'behavioral handling' and 'affective handling'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ades. Ninth, the survey showed that students are stressed out from friends, siblings, parents in order of frequency. When we consider the results of this study on the above, we need to suggest ways which can help students know they are under stress and relieve stress themselves when they are stressed out in their daily lives. Especially, it is urged that we have to set up more programs for students to relieve stress in a variety of healthy ways. 본 연구는 초등학교 4학년과 6학년의 스트레스 대처 방식에 관한 조사를 토대로 스트레스 대처 방식을 분석하는 것으로 목적을 삼았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연구를 추진하였다. 첫째, 초등학생들의 남녀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어떠한가? 둘째, 초등학생들의 학년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어떠한가? 연구의 대상은 K시에 소재한 2개 초등학교 4, 6학년 학생 43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초등학생들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기 위하여 4학년과 6학년에 관한 방향을 제시하고, 스트레스 상황 대처 검사를 사용하였으며, SPSS 14.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이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방법은 다양하겠지만 본 연구에서는 29개 설문문항을 크게 자기주도적 대처, 사회적 대처, 자기조절적 대처, 행동적 대처, 정서적 대처로 명명해 보았다. 둘째, 학생들의 스트레스대처에 대한 전체 경향을 보면 대체로 행동적 대처, 사회적 대처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자기주도적 대처’에 대한 남녀별 차이를 보면, 전체적으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특히, ‘무엇을 할 것인지를 우선적으로 생각해 본다’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높게 반응하였다. 넷째, ‘사회적 대처’에 대한 남녀별 차이를 보면, 전체적으로는 남학생과 여학생 사이에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부분적으로 보면, 스트레스를 받을 때 ‘친구에게 전화를 한다.’에서 여학생이 남학생 보다 훨씬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자기조절적 대처’에 대한 남녀별 차이를 보면, 전체적으로는 남학생과 여학생 사이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스트레스를 받을 때 ‘그림을 그린다.’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행동적 대처’에 대한 남녀별 차이를 보면, 전체적으로는 남학생과 여학생 사이에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게임을 한다.’, ‘운동을 한다.’, ‘만화책을 본다.’ 문항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노래를 듣거나 부른다.’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일곱째, ‘정서적 대처’에 대한 남녀별 차이를 보면, 전체적으로 여학생이 남학생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보면 ‘잘 대처하지 못하는 점에 대해 불안해 한다.’에서 여학생이 남학생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여덟째, ‘자기주도적 대처’에 대한 학년별 차이를 보면, 전체적으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사회적 대처‘에서는 4학년보다 6학년이 높게 나타났으며, ‘자기조절적 대처’에서는 6학년이 4학년보다 높게 나타났다. ‘행동적 대처’ 및 ’정서적 대처’에서는 학년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홉째, 스트레스원에 대해 학생들은 친구, 형제자매, 부모, 기타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볼 때, 학생들이 일상생활 중에 스트레스 상황에 처할 때 이를 알고 적절히 해소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특히, 학생들이 더욱 건전한 방법으로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마련되어져야 할 것이다.

      • 방과후학교 운영을 통한 초등학교 평생교육 운영 방안

        양정란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방과후학교의 개념은 “정규수업시간 이외에, 학교 안팎에서, 학생과 학부모의 희망과 요구를 최대한 반영하여, 개인 수익자 부담 또는 학교 재정 지원이나 교육 나눔 등에 의하여 학교 계획에 따라 정해진 기간 안에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교육을 말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등학교의 방과후학교 운영 실태와 문제점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초등학교 평생교육 운영에 적합한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교육부 주최 방과후학교대상 수상학교 사례집을 통해 방과후학교 운영 실태와 문제점을 분석 및 경기북부 초등학교 교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초등학교 평생교육의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 모의 맞벌이 여부가 자녀의 애착 및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양정란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designed to investgate the the effect of dual-earner mother on attachment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of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difference of attachment by the surroundings of bring up children and how to effect on psychological maladjustment and trait anxiety. The subject of this study consisted of a recruited sample of 5 elementary school's third grade students in Busan area and their mothers. In this study Armsden & Greenberg's(1987)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questionnaires of Park(1998) and Anxiety-Inventory was used. Using T-test for comparing attachment between children who grown up by mother for 3 years after birth and doesn't case. Also the data was analzed with multiple regression and path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rist, attachment children who grown up by mother for 3 years after birth higher than by deputy case. Second, attachment have nothing to do with psychological maladjustment and trait ahxiety. Third, in the case of children who grown up by mother for 3 years after birth, conversation have a great influence on psychological maladjustment also it tells on the state ahxiety. Forth, conversation with parents and reliance affect on psychological maladjustment. In conclusion, dual-earner mother influence on attachment of children also unstable attachment have a great influence on psychological maladjustment and unrest.

      • 한국어 방문교육에 관한 만족도 연구 : 광주·전남지역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양정란 호남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 방문교육의 효율성을 위해 한국어 방문교육에 관한 만족도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방문교육에 대한 교육의 효과와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는 광주광역시 ‧ 전라남도 지역에 소재하고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지원하는 한국어 방문교육을 받고 있거나 받은 여성결혼이민자 162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 방문교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독립변수(한국어능력, 교육환경, 교육자료, 방문교사), 매개변수(자아존중감), 종속변수(방문교육만족도)로 분류하여 [그림 1]의 연구모형을 기반으로 가설을 설정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패키지(22.0 version)를 이용하여 통계처리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으로 특정 도구의 타당도를 측정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하였고, 신뢰도를 측정하기 위해 Cronbach's alpha 계수를 제시하였고 조사대상자들의 인구통계학적특성과 방문교육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각 변인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차이검증을 실시하였고 주요변인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서 피어슨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한 후 여성결혼이민자의 자아존중감과 방문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크게 세 가지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능력, 교육환경, 교육자료, 방문교사가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에서, 모든 변수가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능력, 교육환경, 교육자료, 방문교사등의 변수는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주지는 못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능력, 교육환경, 교육자료, 방문교사가 방문교육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에서, 교육환경과 방문교사의 변수에서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여성결혼이민자의 교육환경과 방문교사 등의 변수는 방문교육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방문교사의 표준화계수 값은 .364로 교육환경 보다 더 높은 영향력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여성결혼이민자의 자아존중감이 방문교육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에서,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여성결혼이민자의 자아존중감은 방문교육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는 못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방문교육에 관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 방문교육을 좀 더 체계화하고, 의무화해야 한다. 둘째, 학습자들마다 이해력, 인지능력이 다 다르므로 모든 학습자에게 일률적인 학습기간을 적용하기보다는 학습자가 원하고, 또한 방문교육지도사의 요청이 있으면 학습기간을 연장할 수 있는 제도적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여성결혼이민자들은 교사에 대한 요구사항으로 한국어 교육에 관한 지식이 풍부한 교사를 선호하였고, 교사에 대한 불만족의 원인으로 수업 설명을 너무 어렵게 해서가 98명(60.5%)으로 과 반수의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따라서 전문성과 체계적인 교수법을 갖춘 방문교육지도사를 양성해야 한다. 넷째, 여성결혼이민자의 교육환경과 방문교사 등의 변수는 방문교육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때문에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 방문교육에 관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교육환경과 방문교사에 대한 경제적인 처우 개선 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와 전남지역의 화순다문화가족지원센터, 담양다문화가족지원센터, 장성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지원하는 한국어 방문교육을 받았거나 받고 있는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효율적인 한국어 방문교육이 되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향후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방문교육의 정립에 본 연구가 조금이나마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아동·청소년기의 무용교육경험이 무용관람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양정란 신라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aim of this study is to make this paper a basic resource for rearranging dance education in such a way that it realizes its own value and obtaining future customers through research on the effects of childhood and adolescent dance education on dance performance attendance. The results from a survey of 487 adults demonstrate that educational dance experience roughly affects audience viewing of dance performances in a positive manner. A certain degree of interest in dance is entirely normal and nothing out of the ordinary. In this case, the degree of interest exhibited by women was higher than that of men. Survey results indicate that people who have some experience with any form of dance education during their childhood or adolescent years tend to attend dance performances more frequently and systematically than those who have not had any such experience-in terms of daily attendance and performance viewing, types of favorite dance, and the motives behind attendance. Most of these adults advised an overall change within the dance educational system-not only must dance education incorporate technique and practice, it should also foster an appreciation for dance through performance attendance and viewing from an early age. Therefore, people in charge of our dance education should understand this problem and provide effective measures of reform to counter it, which would make a substantial difference. Furthermore, research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an active dancing culture must be continued. Hopefully, this study will become one of the fundamental resources supporting such research.

      • 중환자 가족과의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간호정보 템플릿 개발

        양정란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Background: When a patient is admitted to Intensive Care Unit (ICU), various needs occur from his or her family. In particular, as the need for information increases, appropriate information about ICU patients should be provided in an effective and friendly way to meet their information needs. Recently, mobile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tablet PCs are used in the healthcare field and research on how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ICU patients, using mobile devices has been increased.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needs of nursing information from family members of ICU patients and develop a nursing information template for effective communication with family members of ICU patients, based on their needs. Methods: This is a methodological research to develop a nursing information template.. The needs for nursing information were explored through literature reviews and interviews with ICU nurses and family members of ICU patients. Based on the information needs, the items of nursing information were organized. The final items of nursing information were selected through content validity index by experts. After a tablet PC-based nursing information template was drafted, it’s content, design and strategy was assessed by conducting a survey with nurses. The nursing information template was finalized, on the basis of the assessed items. Results: Among 13 nursing information items selected through literature reviews and interviews, 11 items were finalized based on CVI of 0.80 or above. The template was organized to be available on a table PC and its draft for nursing information was developed and easy terms for helping understanding of families with ICU patients. The initially developed template was evaluated by 20 ICU nurses and a total score was 4.13 of 5 points. In particular, scores of contents (4.30± 0.56) and strategies (4.18± 0.79) were high and a score of template design was 3.90. Based on nurse’s evaluation, the font size was increased and duplicate information was merged. Conclusion: The nursing information template, which was developed in this study, would be a useful tool to satisfy the information needs of family members of ICU patients. Moreover, it is expected to promote participation of families in patient care and improve in an effective way of communication between ICU nurses and families. 본 연구는 중환자 가족의 간호정보 요구를 파악하고 이를 기초로 간호정보 템플릿을 개발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이 템플릿의 사용으로 중환자 가족의 눈높이에 맞추어 간호정보를 제공함으로서 중환자 가족과의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며, 중환자 간호에 가족이 참여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중환자 가족의 정보요구와 관련된 문헌고찰을 토대로 치료, 환자상태, 일일계획, 안위수준, 가족참여 5개의 영역으로 분류 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중환자 가족의 간호정보 요구 조사를 위한 반 구조화된 질문을 구성하였다. 2016년 4월 15일부터 5월 10일 까지 서울 소재의 일개 대학 병원의 중환자실 간호사 10인과 중환자 가족 10인을 대상으로 개별 면담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요구도 50%이상인 13개의 예비 간호정보 제공 항목을 선정하였으며, 이에 대해 8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내용 타당도를 파악하여 CVI 0.80 이상인 간호정보 제공 항목을 선정하였고, 전문가의 의견에 따라 항목의 내용을 추가하거나 수정하여 11개의 간호정보 제공 항목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항목에 대해 간호정보 제공을 위한 태블릿 PC 기반의 템플릿 초안을 개발하였다. 초안에 대해 중환자실 간호사 20인에게 간호정보 템플릿의 내용, 설계, 전략에 대한 설문을 시행하였다. 설문결과 간호정보 제공을 위한 템플릿 초안의 총 평가는 5점 만점에 평균 4.13점이었고, 하부 항목인 내용은 평균 4.30점, 설계는 평균 3.90점, 전략은 평균 4.18점으로 평가되었다. 중복되는 정보는 하나로 통합하면 좋겠다는 의견과 글자의 크기가 작다는 등의 의견을 반영하여 수정 및 보완 하는 단계를 거쳐 최종 간호정보 템플릿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간호정보 템플릿은 실제 임상에서 적용하여 환자의 상태에 따른 그날의 간호정보를 제공하여 중환자 가족의 정보요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더불어 중환자실 간호사와 중환자 가족의 의사소통 어려움을 개선하며, 환자 치료에 가족참여를 유도하여 궁극적으로는 중환자 가족의 불안, 우울과 같은 심리적 증상 경감과 중환자 치료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 만성질환 노인의 건강정보이해능력, 자기효능감이 약물복용이행에 미치는 영향

        양정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만성질환 노인을 대상으로 건강정보이해능력과 자기효능감의 정도와 약물복용이행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만성질환 노인의 약물복용이행을 높이기 위해 시행하였다. 자료 수집은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일개 상급종합병원에서 65세 이상의 만성질환 노인 2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도구는 Davis 등(1993)이 개발한 Rapid Estimate of Adult Literacy in Medicine(REALM)을 근거로 하여 이수현 등(2011)이 수정, 보완한 Korea Heath Literacy Assessment Tool (KHLAT-4)을 사용하였다. 자기효능감 측정은 Sherer 등(1982)이 개발한 자기효능감 도구 중 오현수(1993)가 번역한 도구를 이용하였고, 약물복용이행은 8항목으로 구성된 Morisky, Krousel-Wood 와 Ward(2008)가 개발한 Morisly Medication Adherence Scale(MMAS-8) 도구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술통계 및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는 남성 97명(48.5%), 여성 103명(51.5%)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74.1 세였다. 보유질환 중 고혈압이 109명(33.0%)이었으며, 심혈관계 약물 복용이 282명(52.2%)으로 가장 많았다. 2. 만성질환 노인의 건강정보이해능력 점수는 66점 만점 중 평균 37.90점으로 이는 4-6등급에 해당되었다. 자기효능감 점수는 82점 만점 중 평균 52.56점이었고, 약물복용이행 점수는 8점 만점 중 평균 5.68점이었다. 3. 만성질환 노인의 일반적 특성 중 학력(F=17.447, p<.001), 동거유형(F=6.412, p<.001)에 따라 건강정보이해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만성질환 노인의 약물복용 특성 중 하루 약복용 횟수가 높을수록 건강정보이해능력(r=-.164, p=.020), 자기효능감(r=-.235, p=.001), 약물복용이행(r=-.186, p=.008) 점수가 낮아졌다. 일일 복용량 개수가 높을수록 자기효능감(r=-.317, p<.001), 약물복용이행(r=-.236, p=.001)이 낮아졌다. 약 복용 시 도움을 주는 사람 유무에 따라 자기효능감(t=2.166, p=.032)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약물 부작용 유무에 따라 건강정보이해능력(t=-1.991, p=.048)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4. 만성질환 노인은 건강정보이해능력이 높을수록(r=.453, p<.001) 자기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r=.573, p<.001), 건강정보이해능력이 높을수록(r=.224, p=.001) 약물복용이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 자기효능감(t= 9.849, p<.001)은 약물복용이행을 32.5%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냈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건강정보이해능력은 학력과 동거유형에 따른 차이를 나타냈으며, 하루 약복용 횟수가 많을수록 건강정보이해능력, 자기효능감, 약물복용이행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약물복용이행은 건강정보이해능력,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잘 이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만성질환 노인의 약물복용이행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교육수준을 고려하여 건강정보이해능력 강화 및 자기효능감 증진을 위한 교육이 제공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actors on medication adherence in elderly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 The study subjects included 200 elderly with chronic disease. The instruments of the research included the Korea Heath Literacy Assessment Tool (KHLAT-4), self-efficacy scale, Morisky Medication Adherence Scale (MMAS-8). The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of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statistics WIN 21.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97 males(51.5%) and 103 females(51.5%), and their average age was 74.1. 109(33.0%) of them were hypertensive, and 282(52.2%), the majority of them, were dosing themselves with cardiovascular disease. 2. A score of the health literacy of the elderly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was 37.90 out of 66 points, and it’s 4-6 levels. A score of the self-efficacy was average 52.56 out of 82 points, and the medication adherence was average 5.68 out of 8 points. 3.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on the health literacy, according to the level of education(F=17.447, p<.001) and type of living together(F=6.412, p<.001) among general figures of the elderly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As for the character of taking medicine of the elderly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if the number of a day’s taking medicine is higher, the scores of the health literacy(r=-.164, p=.020), the self-efficacy(r=-.235, p=.001), the medication adherence(r=-.186, p=.008) become lower. If the number of medicine taken in a day is higher, scores of the self-efficacy(r=-.317, p<.001), the medication adherence(r=-.236, p=.001) become lower. The self-efficacy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according to being or not being of helper for taking medicine.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on the health literacy(t=-1.991, p=.048) according to having side effects of medications or not. 4. The higher the level of health literacy of the elderly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is(r=.453, p<.001), the higher the level of self-efficacy is. The higher the levels of the self-efficacy(r=.573, p<.001) and the health literacy(r=.224, p=.001) are, the higher the level of the medication adherence is. 5. The self-efficacy appeared to explain 32.5% on the medication adherence. As the result of above-mentioned research, the health literacy showed the difference according to level of education and type of living together, and if the number of a day’s taking medicine is higher, the health literacy, the self-efficacy, and the medication adherence become lower. The more the levels of the health literacy and the self-efficacy are, the more the level of the medication adherence is. Therefore, for the improvement of the medication adherence of the elderly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it suggests that the education for developing the health literacy and the self-efficacy be provided considering the level of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