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25년 ‘을축년 대홍수’와 조선인의 구호 활동

        서태정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24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 No.120

        이 논문은 1925년 ‘을축년 대홍수’로 인한 식민지 조선의 피해 상황과 조선총독부 당국의 대응, 그리고 조선인의 구호 활동에 대해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1925년의 홍수 피해는 실로 막대했다. 조선총독부를 비롯한 관계 당국에서는 군대, 경찰과 소방대원 등을 동원해 구조 활동에 참여하였다. 그러나 많은 부분은 신문사와 청년회 등의 구조 활동과 의연금에 의지했다. 수재민 구호금은 지방비와 은사금, 조선총독부의 예비금만으로 충당할 수 없었고, 조선수해이재자구제회를 조직하여 그 모금액으로 많은 부분을 충당하였다. 어려운 상황 속에서 조선인 사회는 신문사를 비롯한 각종 사회단체가 자발적으로 구호 활동에 참여하였다. 또 각지에서 구호 활동을 위한 단체를 만들기도 하였다. 이들은 배를 빌려 타고 다니면서 수재민들을 구조했으며, 임시 거처를 마련하고 식사를 제공했다. 또 의사‧간호사와 함께 순회하며 수재민 중 발생한 환자들을 치료했으며, 적극적으로 의연금을 모집하였다. 조선기근구제회를 비롯해 각지에서 조직된 구호 단체들은 수해의 참상을 알리며 의연금을 모집하였는데, 경찰은 조선수해이재자구제회가 이미 조직되었다는 것을 명분으로 이들의 활동을 제지하였다. 일련의 적극적인 구호 활동이 조선총독부 당국으로 하여금 불안감을 심어준 것이다. 이에 시장이나 극장 등 사람들이 모이는 곳에는 경찰이 임석하여 탄압을 서슴치 않았다. 그러나 구호 단체는 여기에 멈추지 않고 음악회 등을 개최하여 그 수익금을 의연금에 보태는 등 어떻게든 수재민 구호 활동에 적극 참여하였다. 의연금 모집에는 각종 사회단체 뿐만 아니라 종교계, 교육계, 상인, 학생, 노동자, 여성, 기생 등 다양한 계층이 참여하였다. 이들은 의연금 뿐만 아니라 식재료, 의복, 땔감 등 생활에 필요한 것들을 기부하였다. 의연금 모금 참여는 단순히 물질적인 지원을 넘어 고난을 함께 극복해 나가는 공동체의 의지를 보여주었으며, 조선인의 민족적 연대를 강화해 나가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damage caused by the 1925 “The Great Flood of the Eulchuk Year” in colonial Korea, the response of the Korean Governor-General's authorities, and the relief efforts by Koreans. The damage from the 1925 flood was indeed enormous. The authorities, including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mobilized military, police, and firefighters to participate in the rescue operation. However, much of the relief efforts and donations relied on Korean newspapers and social organizations. In the midst of difficult circumstances, various social organizations, including newspapers voluntarily participated in relief activities. Additionally, organizations were established in various regions to carry out relief activities. They rescued the flood victims and provided meals. And they with doctors and nurses, traveled around to treat patients among the flood victims. And they actively collected donations for relief funds. However, the Japanese imperialist police obstructed their activities. The Japanese colonial authorities were anxious that the active relief efforts by Koreans might develop into a anti-Japanese movement. However, the relief organizations actively carried out their activities through various means, such as holding concerts and donating the proceeds to the relief fund. The fundraising for disaster relief involved not only various social organizations but also religious groups, educational institutions, merchants, students, workers, women, and even gisaeng. They donated not only money but also essential items for daily life, such as food, clothing, and firewood. The relief efforts of the Korean people went beyond mere material support, demonstrating the community’s will to overcome adversity together and playing a crucial role in strengthening ethnic solidarity among Koreans.

      • KCI등재

        대한제국기 평택지역 계몽운동의 전개양상과 성격

        서태정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2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71

        평택지역은 지리적인 위치로 인하여 동학과 기독교 등의 유입이 비교적 쉽게 이루어졌다. 20세기 초반 경부선 개통에 따라 상업중계지로서 성장하는 주요한 계기였다. 철도 개통으로 성장한 대표적인 근대 도시 중 하나이다. 이는 주민들에게 급변하는 시대상을 직접 목격ㆍ체험하는 현장이었다. 이곳 최초의 공립학교인 진위소학교는 1898년 사립으로 설립되어, 주민들의 청원에 의해 1899년 공립화되었다. 설립자인 이범철은 신문과 잡지, 열국사기 등을 통해 조선이 처한 현실적인 문제를 두루 인식하였다. 국가적인 위기상황 타개를 위한 방책은 근대교육 진흥임을 강조했다. 이는 의무교육 시행을 역설하기에 이르렀다. 그는 학교 운영에서 파생되는 재정적인 문제 등을 해결하고자 흥학회를 조직하였다. 근대교육운동 실천을 위한 장기적인 방책은 여기에서 엿볼 수 있다. 주민들 또한 시세변화와 더불어 근대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절감하는 상황이었다. 학교 유지를 위한 자발적인 모금과 유지회 결성 등은 이를 반증한다. 근대교육에 대한 열망은 사회적인 책무로서 인식되는 분위기였다. 사립교육기관은 보통소학교 과정 외에도 사범양성학교ㆍ노동야학회ㆍ강습소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졌다. 1906년 고종의 ‘사학설립 조칙’ 반포 이후 전현직 지방관들은 사립학교설립운동에 적극적이었다. 이는 을사늑약과 통감부 설치 등 일제의 식민지화가 본격적으로 추진되는 상황과 맞물려 전개되었다. 근대교육은 부국강병을 위한 시무책이자 국권회복 일환임을 의미한다. 1907년 3월 평택군 주사 박준화와 진위공립소학교 교원 윤대선의 국채보상운동 참여에 대한 격절권고는 경쟁적인 참여로 이어졌다. 신문기사에 나타난 모금자는 전ㆍ현직 관료나 유림ㆍ계몽운동가뿐만 아니라 여성ㆍ학동ㆍ상인ㆍ종교인 등 다양한 계층이 참여했다. 특히 학동들은 저녁 끼니를 아껴 의연했으며, 단체조직이 전무했던 여성 참여도 두드러졌다. 이는 민중들의 각성과 현실인식 심화로 이어졌다. 경험적인 산물은 ‘사회적인 책무’를 자각하는 주요한 계기였다. 사립학교 설립운동과 국채보상운동은 부국강병을 위한 문화계몽운동이지만 ‘국권회복’을 추구하는 시발점이었다. 평택지역 학교 설립의 주체자 중 국채보상운동 참여 역시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흥학회의 발기인인 진위군수 백남규와 이범창ㆍ이범철과 진문소학교의 교원인 고제항, 마두리 사숙의 설립자 이병철도 국채보상 모금에 참여하였다. 이는 학생들 참여와 일반 민중들의 각성으로 이어졌다. 사회운동의 참여는 당시 현실문제에 대한 관심을 증폭시키는 요인이었다. 계몽운동을 주도한 계층의 차후 행방은 대부분 모순된 현실을 적극적으로 개혁하기보다 원만한 타협을 추구하였다. 진흥의숙 설립자 이범창은 대동학회 회원, 진위군수 김영진은 총독부 중추원 참의까지 올랐다. 이들은 사회진화론 영향으로 다양한 계몽운동을 펼쳤다. 그러나 문명개화론에 매몰되어 약육강식을 현실적인 사회질서로서 수용하는 등 한계를 보였다. 이는 대한제국기 계몽론자의 인식 한계이자 계몽운동이 지닌 한계점이었다. Due to its geographical advantages, Donghak and Christianity entered Pyeongtaek area more easily than to other regions. With the opening of the Gyeongbu line in the early 20th century, Pyeongtaek area became one of the modern cities that quickly developed as a center of commerce. The residents had an opportunity to observe and experience the quickly changing phases of the times. The first public school was Jinwi Elementary School, which was established in 1898 as a private institution, but changed into a public school in 1899 with the petition of residents. The founder Lee Beom-cheol fully recognized the realistic issues of Joseon from newspapers and magazines. He emphasized the promotion of modern education to overcome the national crisis. He organized Heugnhak Hoei to solve any financial problems derived from operating school. This was a long-term measure to practice the campaign for modern education. Residents also felt the necessity of modern education amid the changes in the times. Efforts to maintain the school such as voluntary donation and formation of Yooji Hoei show how strong their desire was. The desire for modern education was perceived as a social obligation. Other than the elementary school course, private institutions like normal schools and labor night schools were operated. After Emperor Gojong‘s ’Rotyal edict on Private School Establishment‘ was promulgated in 1906, former and current local government officials began to participate more actively in movements to establish private schools. In March 1907, the participation of county clerk of Peongtaek Park Joon-hwa and a faculty at Jinwi Public Elementary School Yoon Dae-sun encouraged an aggressive participation. Donors listed in the newspaper included not only former and current government officials and enlightenment movement activists but also women, school children, merchants and religious leaders. Fruits from the experience were the crucial motivator that awaked ‘social obligations.’Movements to establish private schools and National Debt Repayment Movement were culture and enlightenment movements that aimed to enhance national prosperity and defense, but also were the starting point that called for the ‘recovery of the sovereignty of the nation.’ This is the reason why it is not difficult to find people who were founders of schools in Pyeongtaek area who were also a participant of National Debt Repayment Movement. Founder of Heunghak Hoei Nam-gyu Baek Lee Beom-chang, Lee Beom-chul, the teacher of Jinmun primary school Ko Je-hang, and founder of Madoori private school Lee Byeong-chul also had participated in the national debt repayment donation. This effort was continued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students and the public. The ones who led the enlightenment movement later sought after amicable agreements rather than trying to actively reform the contradicting reality. Later, the founder of Jinheungeuisook Lee Beom-chang became a member of Daedong Society, and the governor of Jinwi Kim Young-jin became a government general, Jungchuwon counsellor. With the influence of the theory of social evolution, they participated in various enlightenment movements. However, the movement hit a limit as it was buried by the civilization-enlightenment theory, and as people accepted the law of the jungle as the realistic social order. This was the limit of the understanding that enlightenment movement activists during the Korean Empire Period and the enlightenment movement itself had.

      • KCI등재

        1920년대 『朝鮮文 朝鮮』에 나타난 조선총독부 관료의 사회교육론

        서태정 숭실대학교 역사문물연구소 2020 숭실사학 Vol.0 No.44

        This article examines the education-related articles of the 1920‘s from in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s publication Chosunmoon Chosun.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s publication Chosun were published in Japanese and Korean. However, these were not simple translations, and contents were different. The Korean version was the official means of communicating what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wanted to promote to Korean people.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changed from 'military rule' to 'cultural rule' after the 3.1 movement in 1919. Because of this, the international community criticize the Japanese colonial rule. So, the Japanese imperialism wanted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Korea due to their domination. Furthermore, education was especially important among the colonial rule of Joseon. In this article, I attempted to analyze the constitution and content of my writing by the author who wrote articles related to education of Joseon.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education articles are composed of various topics such as education on the system, rural education, women education, youth education, and social education. Among them, social education were the most important contents. The purpose and character of social education are as follows. Japanese imperialism decided that greater progress was needed after World War I. For this, society must stabilize, and the people have to become the "Loyal imperial subject" the state wants. So all the people in society have become subjects of education. Social education was an alternative becouse of the majority of the people were unable to go to school In colonial Joseon. The principal agent of social education was the governmental institution.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recognized the people as subjects of enlightenment. And They rightly argued that people should devote themselves to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

      • KCI등재후보

        웹기반 분산 기업시스템의 적기협력을 위한 시간 제약 조건의 분석

        서태정,이동우 대한공업교육학회 2008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3 No.2

        Timely collaboration among businesses is required these days such as in B2B E-Commerce. That is, emergency requests or urgent information among businesses should be processed in an immediate mode.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semantics on timing constraints of timely collaboration among businesses in terms of event, data, and action and present ECA rule construction related to the timing constraints and its violation. The prototype is implemented using web-based active functionality component. 최근 기업들은 B2B EC와 같은 웹 기반 분산 환경에서 적기 협력을 필요로 한다. 특히 시간 제약을 필요로 하는 긴급 협조 요청이나 긴급 메시지는 즉시 처리 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웹 기반 분산 시스템 환경에서 기업사이의 적기 협력을 위한 시간 제약 조건을 사건, 데이터, 행위 관점에서 분석하였고, 시스템 설계자들이 시간 제약 조건과 이의 위반에 관련된 적기 협력 방안을 적절히 표현할 수 있는 ECA 규칙 프로그래밍 기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웹 기반 능동 기능 컴포넌트를 이용하여 프로토타입을 구현하였다.

      • KCI등재

        대한제국기 일제의 동물원 설립과 그 성격

        서태정 한국근현대사학회 2014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68 No.-

        The first modern zoo in Korea was built inside Chang-gyeong-gung Palaceduring the Korean Empire Period, when was struggling against the invasion ofJapanese imperialism. The zoo which was not only a modern enlightenment facilitiesbut also a show space of modern civilization power was built in the Korean Empire,where was a target area of the World Powers. The reason why the zoo was built inside Chang-gyeong-gung palace was thepurpose of giving comport to Emperor Sunjong, successor to the throne of EmperorGojong who was abdicate the throne by the Japanese empire. Chang-gyeong-gungpalace was next to Chang-gyeong-gung palace where Emperor Sunjong resided. The zoo was built by Japanese empire and was opened to the public next year,November 1909. It was not easy to open the palace where the king reside. But Japanese empirepushed ahead with opening the palace to the public for “the people” againstthe opposite opening of the palace. On this thesis, I tried to research critically whether the zoo of Korean Empirewas a public facilities to justification of Japanese empire through the analysisof establishment process and management status. Besides, I also intended to analyzethe feature of the zoo during Korean Empire by comparison of Japanese zoo. The zoo of Japanese empire was established for the symbol of prestige andbuilt inside the palace some times. But more recently, the palace was openedto public. The management of zoo between Korean and Japanese are quite different. Based on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Japanese. It is considered that Japaneseempire established the zoo in Chang-gyeong-gung palace for the purpose of propaganda of justification for the invasion of Korean Empire both inside andoutside. Actually, visitors of zoo was almost Japanese and Korean of high class,not public.

      • KCI등재

        1910년대 ‘창경원’의 운영과 그 성격

        서태정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6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89

        This research examines the operation of Changgyeongwon Garden(昌慶苑) in the 1910s. And through this, one aspect of the Japanese Empire colonial rule was understood. Existing research on Changgyeongwon Garden has generally been done only for its appearance since the 1920s. Because after th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Joseon turned to so-called "cultural rule" and encouraged tourism or leisure activities under an active policy. In the 1920s, culture was enjoyed in various fields, and Changgyeongwon Garden became a famous modern recreation spot. However in the 1910s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ctively expanded the facilities of Changgyeongwon Garden. And I was able to see the way of propagating it through “Maeil Shinbo(每日申報)”. Since the 1910s, when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Joseon general government established the logic of justification for colonial rule and established the ruling system, it noticed Changgyeongwon Garden as a tourism or leisure activity place. And they was to use Changgyeongwon Garden as a kind of cultural policy. Changgyeongwon Garden was operated by Yiwangjik(李王職). However All of Yiwangjik's staff and budget were supervised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Joseon. Changgyeongwon Garden belonged to Yiwangjik, but was actually governed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Joseon. Starting in the early 1910s, Yiwangjik tried to change Changgyeongwon Garden to an ideal park by expanding facilities, purchasing animals and plants, and installing trams. They also planted a cherry blossoms, and Changgyeongwon Garden has become a popular place for flower viewing since the mid-1910s. This series of measures was intended to transform the facility that can show off when foreigners visited the Colonial Joseon. At that time, the largest botanical garden in the East Asia was a modern facility that would be appreciated by anyone. This facility became a medium to understand imperialism of Japan to colonize Korea when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foreigners and Colonial Joseon Koreans. We can confirm the intention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Joseon through Changgyeongwon Garden spectators in the “Maeil Shinbo(每日申報)”. Most of the articles related to the visitors are about the gentry such as Sunjong(純宗), Yi royal-family(李王家), and senior management. They were enjoying Changgyeongwon Garden, a beautiful modern facility where they can see flowers blooming even in the cold winter. At the time of the Japanese imperialist rule, the appearance of Changgyeongwon Garden was peaceful. Changgyeongwon Garden was not a destroyed palace but a symbol of a new civilization recognized by Yi royal-family(李王家). The observation groups visited Changgyeongwon Garden and went back to them hometown and advertised this. Changgyeongwon Garden was a good place to relax and see flowers blooming regardless of the season. Also, sometimes they could see Sunjong(純宗) like an event. Colonial Joseon Koreans were criticized for setting up a garden in the palace. However through various articles, they may have changed their minds to they want to go there once.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Joseon made the foundation of the colonial policy in the 1910s and used Changgyeongwon Garden as a kind of 'cultural policy'. 본고는 1910년대 창경원의 운영현황에 대해 고찰하고, 이를 통해 일제 식민지배정책의 일면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창경원에 대한 기왕의 연구는 대체로 1920년대 이후에 맞추어 진행되었다. 주지하다시피 3ㆍ1운동 이후 조선총독부는 소위 ‘문화 통치’로 전환하였으며, 적극적인 정책 하에 관광 혹은 여가생활이 장려되었기 때문이다. 1920년대는 다양한 분야에서 문화 향유가 이루어졌고, 창경원 역시 손꼽히는 행락지로 자리잡아갔다. 그러나 이른바 무단통치를 자행하던 1910년대에도 일제는 적극적으로 창경원 시설을 보완ㆍ확장하였으며, 『매일신보』를 통해 그것을 선전한 모습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는 조선총독부가 식민 지배에 대한 정당화 논리를 만들고 지배체제를 구축해 나가던 1910년대부터 창경원을 관광 혹은 여가활동지로서 주목하였으며, 일종의 문화정책으로 활용하고자 했기 때문이다. 창경원의 운영 주체인 이왕직의 직원 및 세입ㆍ세출은 모두 조선총독부에서 관할하였다. 이를 통해 볼 때 창경원은 이왕직에 소속되었지만 실제로는 조선총독부의 의지에 따라 좌지우지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이왕직은 1910년대 초반부터 시설 확충과 동식물의 구입, 전차 부설 등을 통해 창경원을 이상적 공원으로 탈바꿈하고자 노력했다. 또 창경원 개원 초기에 식재된 벚나무는 1910년대 중반부터 만발하여 대표적인 꽃놀이 장소로 변화해갔다. 이는 재조일본인을 위한 조치이기도 했지만 우선적으로 외국인들이 식민지 조선에 방문했을 때 당당하게 보여줄 수 있는 시설로 바꾸기 위함이었다. 당시 동양최대 크기의 식물원은 어디에 내놓아도 손색없는 근대 시설이었다. 창경원은 외국인들의 시선으로 보았을 때나 조선인들이 보았을 때나 일제가 조선을 식민지화한 것에 대한 정당성을 제공하는 기제가 되었다. 이러한 모습은 당시 유일한 언론매체였던 『매일신보』에서 관람객의 모습을 통해서도 살펴볼 수 있다. 우선 관람객 관련 기사는 순종과 순종비 등 왕실과 상류층 관련 기사가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다. 그들은 추운 겨울에도 만발한 꽃을 볼 수 있는 아름다운 근대 시설인 창경원을 즐기고 있었다. 일제의 무단통치가 자행되는 시기에 창경원의 모습은 한없이 평화로울 따름이었다. 이러한 모습을 통해 창경원은 파괴된 궁궐이 아닌 이왕가가 인정한 ‘새로운 문명의 상징’이 되었다. 새로운 근대 시설인 창경원에 다녀간 지방의 시찰단들은 각지로 돌아가 이 모습을 선전했다. 시설 확충에 노력하거나 이러한 관람객 양상을 볼 때 창경원은 보다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불러일으키고자 하는 의도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창경원은 계절과 관계없이 만발한 꽃을 볼 수 있고 휴식하기에 좋은 공간이었다. 또한 가끔은 이벤트처럼 순종이 산책하는 모습도 볼 수 있었다. 당초 식민지 조선인들은 궁궐에 동식박물관이 설치되는 모습을 비판하기도 했지만, 이렇게 창경원과 관련한 다양한 기사를 통해 한번쯤은 가보고 싶은 공간으로 변모하였다. 총독부는 1910년대 식민지배정책의 기반을 다지며 일종의 문화 정책으로 창경원을 활용한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Performance Comparison of TCP and SCTP in Wired and Wireless Internet Environment

        Sasikala,서태정,이용진 대한공업교육학회 2008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3 No.2

        HTTP는 월드 와이드 웹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프로토콜의 하나로 신뢰성을 제공하기 위해 전송 계층 프로토콜로 TCP를 사용한다. HTTP는 개별적인 파일 요청에 대해 분리된 TCP 연결을 사용하기 때문에 파일 수신에 있어서 불필요한 오버헤드인 헤드-오브-라인 (head-of-line) 블로킹을 유발시킨다. 웹 응용은 일반적으로 전송되는 크기가 작기 때문에 무선 환경에서는 TCP로 인한 핸드오버의 지연이 증가한다. 이에 비해 최근에 제안된 SCTP(stream control transmission protocol)는 멀티-스트리밍과 멀티-호밍과 같은 매력적인 기능을 갖고 있다. SCTP의 이러한 기능들은 TCP의 헤드-오브-라인 블로킹을 제거하고, 무선 환경에서 TCP의 핸드오버 지연을 줄이는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평균 응답 시간은 대부분의 웹 응용에 있어서 중요한 측정 요소이다. 본 논문에서는 NS-2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유무선 인터넷 환경에서 SCTP와 TCP의 평균 응답 시간을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유선 환경에서는 패킷 손실률, 대역폭, RTT(Round Trip Time) 및 웹 객체의 개수의 변화에 따른 평균 응답 시간이 비교되었고, 무선 환경에서는 이동속도 및 반경의 크기에 따른 평균 응답 시간과 패킷 손실률이 비교되었다. 시뮬레이션 결과는 SCTP가 TCP의 평균 응답 시간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HTTP is one of the most widely used protocols of the WWW. Currently it uses TCP as the transport layer protocol to provide reliability. The HTTP uses separate TCP connection for each file request and adds unnecessary head-of-line blocking overhead for the file retrieval. The web application is short sized and affected by the increased handover latency of TCP in wireless environment. SCTP has attractive features such as multi-streaming and multi-homing. SCTP's multi-streaming and multi-homing avoid head-of-line blocking problem of TCP and reduce handover latency of TCP in wired and wireless environment. Mean response time is the important measure in most web application.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comparison of mean response time between HTTP over SCTP with that of HTTP over TCP in wired and wireless environments using NS-2 simulator. We measured mean response time for varying packet loss rate, bandwidth, RTT, and the number of web objects in wired environment and mean response time and packet loss rate for varying moving speed and region size in wireless environment. Our experimental result shows that SCTP reduces the mean response time of TCP based web traffi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