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애니메이션의 선구자 신동헌의 모더니티 연구

        박유신 ( Yoo-shin Park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6 美學·藝術學硏究 Vol.48 No.-

        한국에서 애니메이션 제작의 역사는 1960년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애니메이션은 한국을 현대적으로 구축해 나간 주요한 과학 기술이자 시각 문화였다. 그리고 당대의 애니메이션의 기술적 예술적 발전을 주도적으로 이끌어 간 것은 신동헌이라는 엘리트이자 모더니스트였다고 볼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1960년대 한국 애니메이션의 모더니티에 주목하며, 이 시대의 애니메이션을 주도적으로 이끌어나간 애니메이터 신동헌의 개인적 배경과 애니메이션 작업 과정 및 작품에 나타난 예술적 특징을 중심으로 그의 모더니스트적인 면모를 살펴보았다. 신동헌은 함경도의 개방적 문화적 분위기에서 모더니스트 지식인의 교육과 해외 문화의 영향을 받고 성장하였으며, 당대의 뉴 미디어제작자 및 기술자로서의 자아를 가지고 당대의 모더니스트들과 교류하며 시각문화를 주도하였다. 신동헌은 한국의 전통 미술과 신문 만화의 영향 이외에도 미국의 초창기 애니메이션과 동시대적 애니메이션 스타일의 영향을 받았으며 필요에 따라 예술적 스타일을 자유롭게 활용하였다. 신동헌의 작품 속에는 당대의 한국사회의 소망을 반영하는 유토피아적 이상과 사회 개혁의 의지, 그리고 현대적 자아 성찰이 담겨 있다. The history of the production of animation in Korea can be traced back to the 1960s. At the time, animation was part of the visual culture, as well as a major scientific technique for establishing modernity in Korea. Shin Dong-heon can be considered and a modernist who led the technical and artistic development of animation during this period. This study focuses on the modernity of Korean animation in the 1960s and analyses the personal background and modernist aspects of the animator Shin Dong-heon, a leading figure in the field of animation during this era. Furthermore, the study focuses on his work process and the artistic characteristics of his work. Shin Dong-heon grew up in the culturally open atmosphere of Hamgyong Province, Korea; he was influenced by the education of modernist intellectuals and foreign culture. He thought of himself as a producer of new media and a technician of the era and led the visual culture while interacting with contemporary modernists. In addition to Korean traditional art and newspaper cartoons, Shin Dong-heon was influenced by early American animation, as well as contemporaneous animation styles, and freely utilized artistic styles, as needed. His works reflect the aspirations of the Korean society at the time, such as Korean Animation Films, Dong-heon Shin, Korean Modern Animation, 1960``s Animation Film.utopian ideals, a will for societal reform, and modern self-reflection.

      • KCI등재후보

        문화예술교육에서 포스트휴먼 주제 탐색하기

        박유신(Park Yoo-shin) 한국문화예술교육학회 2019 모드니 예술 Vol.16 No.-

        This research emphasizes post-humanism in art and culture education and discusses the topics of post-humanism hat should be covered in such education. Post-humanism is defined as a new interpretation of humanism that has formed since modern times, and is the overcoming of anthropocentrism. The significance of post-humanism is steadily rising alongside current progress in science and technology. Thus, in culture and art education, it has become necessary to overcome the humanistic premises found in today’s society, system, law, culture, and art, and engage in post-humanistic topics. The following are some post-humanistic topics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covered in this paper: life extension, conquering and communicating with nature, artificial life, human labor under post-humanistic conditions, robots and human ethics, hyper-connected society, virtual reality, technology monopol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ism and post-humanism. It is essential to reason and debate post-humanistic topics in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the current education system, for they are necessary competencies in the post-human world.

      • KCI우수등재

        상사와 부하의 쌍 관계에서 정서지능과 그 상호작용의 역할에 관한 연구

        유신(Yoo Shin Im),오수(Oh Soo Park) 한국경영학회 2012 經營學硏究 Vol.41 No.6

        Concerning various dyadic interactions between the leader and the subordinate, there has been insufficient research conducted on affective elements such as emotion, while most research focused on the leader`s evaluation of the cognitive elements such as performance and capability. Furthermore, very few studies have examined the role of emotional intelligence (EI) and the role of the EI interactions between the leader and the subordinate in the context of leadermember exchange (LMX) relationship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prove the existence of the effects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leader`s EI and the subordinate`s EI on the leader`s leadership pattern and the relationship among the leader`s EI, his leadership pattern, and the quality of LMX. In order to serve this purpose the following investigation model was established. The sample in this study consisted of junior military officers serving in the Korean Army. A questionnaire-based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main study. Questionnaires were sent via mail or given in person to 200 company commanders and 200 platoon leaders who served in military units in Kyonggi-Do and Kangwon-Do. The data from 153 leader-subordinate dyads were analyzed using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turned out that the higher EI the subordinate possesses, the higher the LMX quality that the leader perceives, and the higher EI the leader possesses, the higher the LMX quality the subordinate perceives. Second, the higher EI the leader possesses, the higher level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e leader shows. Third, it turned out that it is not significant the subordinate`s EI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s EI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Finally, transformational leadership mediates between 1) the leader`s EI and the LMX qualities that the leader perceives and 2) the leader`s EI and the average of the LMX quality that the leader and the subordinate perceiv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s results are like the following. First, this study empirically proved and analyzed the roles of the leader`s EI and subordinate`s EI and the interactions between them in a more concrete manner. Second, when the EI trait of the leader was expressed in the form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subordinate`s EI on this relationship was confirmed. Third, through empirical investigation of the mediating rol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between the leader`s EI and LMX quality, a new approach to shedding ligh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Fourth, this study suggested a practical application of EI that is likely to contribute to military organizations and workplace.

      • KCI등재

        미래사회를 위한 포스트휴먼 교육

        박유신(Park Yoo Shin),조미라(Cho Mi ra) 한국미술교육학회 2017 美術敎育論叢 Vol.31 No.2

        본 연구는 미래사회를 위한 교육으로 포스트휴머니즘에 기반한 교육의 필요성을 논한다. 인공지능, 로봇, 생명과학기술 등 테크놀로지의 발달은 인간 중심의 세계에서 다양한 비-인간이 중심이 되는 세계로 향하고 있음을 예고하고 있으며, 포스트휴머니즘은 이에 대한 철학적 대응이라고 볼 수 있다. 미래사회를 위한 교육에서 포스트휴머니즘은 교육철학적 기반 및 교육내용과 방법의 전환에서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포스트휴먼 담론에 대한 이론적 연구 및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하여 미래사회를 위한 포스트휴먼 교육과 관련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으며, 포스트휴먼 시대의 변화, 포스트휴먼 교육의 혁신, 포스트휴먼 시대의 역량, 포스트휴먼 시대의 교육내용, 포스트휴먼 시대의 교수․학습방법에 대하여 전문가들의 견해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포스트휴먼 시대를 위한 교육적 혁신에 대한 논의는 휴머니즘에 기반한 근대 교육에 대한 반성적 사유에서 출발할 필요가 있으며, 미래사회의 교육은 직무역량이나 기술교육의 강조 이상으로, 성찰과 사유, 상상력, 유연성 비판적 사고와 협력적 의사소통, 창의성 등이 강조된다. 이러한 포스트휴먼 교육은 경험에 기반한 교육이어야 하며, 특히 포스트휴먼 교육에서 예술은 중요성을 가진다. 인간과 비-인간의 존재와 인간신체에 관심을 기울여 온 미술 작품 SF 영화 등 다양한 문화적 생산물은 포스트휴먼 교육의 내용을 제공하고, 교육과정 통합의 중심 텍스트로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This research aimed to deduce the principal elements of education in the posthuman age through the Delphi method and theoretical examination. The questionnaires of the Delphi method were composed of several sections as these: the changes expected in the posthuman age, the necessary innovations for the posthuman education, the required competency, the contents of education, and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the posthuman age. The experts of many related fields agreed that the educational innovations must start from the critical thought on the modern education based on classical humanism, and that such competencies as critical mind, imagination, flexible thinking, cooperative communication, and creativity should be encouraged in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Especially as for the contents of the posthuman education, various cultural products like SF art and film can be used as the texts for the integrated curriculum, as they represent many possible forms of human body and nonhuman being.

      • KCI등재

        K-pop아이돌 무대 퍼포먼스 디자인에 반영된 디지털 애니메이션의 영향

        박유신(Park Yoo Shin)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4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34

        안무는 시간 안에서 일련의 움직임을 디자인하는 활동이다. 따라서 각각의 시대가 시간과 공간,그리고 인간을 바라보는 관점은 당대의 가장 첨예한 신체 퍼포먼스의 디자인에 반영되기 마련이다. 각 시대의 시공간 감각은 그 시대가 가진 종교, 철학, 기술적 발전 등의 사회문화적 맥락에 기초하기 때문에, 우리는 그 시대를 대표하는 신체 퍼포먼스의 분석을 통해 그 시대가 인간을 바라보는 관점을 이해할 수 있다. 이 글은 한국의 대표적 대중문화인 K-pop 아이돌의 퍼포먼스 분석을 통해 현재 한국 사회의 인간-시공간 감각을 탐색한다. K-pop의 대표적 아이돌‘샤이니’의 2013년 발표곡인 <Everybody>의 뮤직 비디오 및 안무 디자인은 2010년대의 한국이 가진 시공간 감각이 다름 아닌 디지털 애니메이션적인 시공간적 감각에 기초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Everybody>의 퍼포먼스 디자인은 서구의 전통적인 자동인형 모티브의 예술적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이와는 차별화된 안무에서의 시공간적 감각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자동인형 모티브는 인간의 형상을 창조하겠다는 오랜 인간의 욕망, 즉 애니메이션의 역사와 긴밀히 연계되어 발전되어 왔다. 자동인형, 그리고 기계가 실제로 인간을 대체하기 시작한 서구의 근대 역사에서 자동인형 모티브는 인간의 기계에 대한 소외와 매혹을 드러내는 중요한 예술 장르였다. 또한 발레와 같은 대중 무용 및 모더니스트 안무가들의 기계적 신체 퍼포먼스는 인간이 기계적 동작을 모방하도록 함으로서 인간을 하나의 기계로 바라보는 당대의 관점을 반영하고 있다. K-pop 안무의 새로운 경향인 <Everybody>의 자동인형 퍼포먼스 디자인은 시각적 측면 뿐 아니라 움직임의 구성 등에서 디지털 애니메이션적 특성을 드러낸다. 그리고 그러한 특성은 현재 한국 사회가 공간 뿐 아니라 시간 또한 통제하는 진일보한 디지털-애니메이션적 관점으로 인간을 바라보고 있음을 시사한다. K-pop performances are in the center of the contemporary popular arts and cultural industry, and implicitly reveal the way that our society views the body and the time-space. This paper explores the motif of automaton in the K-pop idol group ShiNee’s stage performance of ‘Everybody’ and the song’s music video. At the same time, the paper relates the motif with the automaton of the digital era?that is, the sense of time-space in digital animations. The motif of the automaton has its origins in the mythical forms related to the animation, and is related to the human desire to create humanlike forms. Also, this motif is closely linked to the aesthetical meaning of the animation, being played in different variations since the beginning of the animation. This paper explores the tradition of automaton motif in culture and the arts, and look into the cases in which the histor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dia and body performance harboring the automaton motif has been displayed in 19th century ballet or modern body expressional arts. In addition, this paper will compare and analyze representative contemporary works that reveal digital viewpoint and the choreography of ‘Everybody’, and compare other works that stand in similar aesthetic tradition, investigating the influence of digital animation reflected in the K-pop idol and its aesthetic and social undertones.

      • KCI등재

        시각문화교육에서 추상 애니메이션이 가지는 교육적 가능성

        박유신(Park Yoo-shin),김재웅(Kim Jae-woong) 한국미술교육학회 2008 美術敎育論叢 Vol.22 No.3

          본고는 시각문화교육에서 추상 애니메이션의 교육적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이다. 추상 애니메이션은 이미지의 시간성 및 운동성과 관련된 모더니스트 예술가들의 실험적 작품으로서, 그리고 미술사적 의미를 가진 예술작품이자 현대의 시각문화의 한 양상으로서 교육적 중요성을 가지고 있다. 추상 애니메이션은 의도적으로 서사와 재현적 이미지를 배제하고 시간 안에서 순수한 형과 색의 움직임을 창조함으로서, 예술적이고 정서적인 의미를 창출한다. 동시에 추상 애니메이션은 총체 예술적 성격을 지니기도 한다. 현대 사회의 시각 문화에서 이미지는 공간 뿐 아니라 시간과 관련해서도 중요한 미학적 의미를 가진다. 추상 애니메이션은 시각문화의 지각적 체험과 관계가 깊다는 점에서도 시각문화교육적 측면에서 의미가 깊다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추상애니메이션의 역사적 배경과 성격을 밝히고, 시각문화교육적 의미의 중요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article is a basic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 for abstract animation in the field of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VCAE). The image, in modern society, has an important aesthetic meaning not only associated with space but also with time. Visual literacy has crucial meaning not just in reading and writing of singe image, but also in arrangement of images in context with diachrony. The abstract animation has educational importance in fundamental movement by modernist artist related with temporal and kinetic image, art work with historical meaning, and as one of phenomena of modern visual art. The abstract animation excludes narrative and representative image with purpose, creates pure movement of form and color temporally, and creates artistic and emotional images by doing these. At the same time, the abstract animation is synthetic education with musical music along with the tradition from Kandinsky. Also, the abstract animation has deep relation with aesthetic experience of visual culture, which focuses on voluptuous visual images excluding narrative. This article elucidates historical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abstract animation, and discusses importance of abstract animation in terms of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 KCI등재

        교과용도서 내 영상물 선정 기준 연구

        박유신(Park, Yoo-shin),이규정(Rhee, Gyu-jeong),손지현(Sohn, Ji-hyun)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7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47

        본 연구는 교과용도서 내 영상물 수록이 활발해짐에 따라 영상물 선정의 기준과 관련된 정책을 마련하기 위하여 실행된 기초연구이다. 이를 위해 먼저 영상물이 어린이 및 청소년의 발달단계에 따른 정서적 영향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고 영상물과 학생의 정서 및 건강, 교육적 효과성 간의 관련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후 국내외 영상물 관련 심의 및 등급분류 기준을 폭넓게 검토함으로써 국가 수준의 정책 차원에서 영상물 등급제를 제도화 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위의 사항을 바탕으로 연구자들은 일곱 가지 제언을 하였다. 첫째, 교과용도서 편찬상의 유의점 및 편수자료 등에 영상물 선정 기준을 명시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과용도서에 수록하기 위한 영상물의 정치적 중립성과 인권 측면을 검토하는 데 도움이 되는 지침이 필요하다. 셋째, 국내외 영상물 등급 제도의 범주 항목 및 연령별 준거를 참고하여 교과용도서 내 영상물 선정 지침을 상세화해야 한다. 넷째, 명백한 교육적 목적이 있을 경우에 한하여 영상물 등급 제도를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다섯째, 교과용도서의 영상물 수록 지침 설정을 위한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 여섯째, 교과용도서 개발 전 과정에 영상물 전문가 집단이 참여해야 한다. 일곱째, 교실 수업에서 교육용 영상물을 활용하여 자기주도적 학습을 할 수 있도록 교사 교육 프로그램을 병행해야 한다. This study is a basic study to prepare policies related to selecting media to be included in textbooks. Researchers looked at previous studies focusing on how media affect children"s and adolescent"s emotions according to their developmental stages. Researchers also wanted to identify how the media is related to student emotions, health, and educational effectiveness. The researchers then examined a wide range of domestic media review and rating criteria, and argued that it is necessary to institutionalize the rating system of media at national level policy level. Based on the previous discussion, the researchers made seven suggest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specify media selection criteria in the guidelines for issuing textbooks at the national level. Second, guidelines are needed to help review the political neutrality and human rights aspects of the media for inclusion in textbooks. Third, media selection guidelines in textbooks should be detailed with reference to categories and age based criteria of domestic and foreign media rating system. Fourth, the media rating system should be applied flexibly if there is a clear educational purpose. Fifth, institutional support is needed for setting guidelines for media collection of textbooks. Sixth, media experts should participate in the whole process of textbook development. Seventh,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implemented to support teachers to use self directed learning by using educational media in classroom instruction.

      • KCI등재

        리얼리즘적 그래픽 노블

        박유신(Park Yoo Shin)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3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32

        본 연구는 현실 참여적인 그래픽 노블로서 『세슘137』이 취하고있는 다양한 예술적 전략을 다룬다. 파스칼 크로시는 광의의 그래픽노블, 즉 ‘이미지-텍스트’의 작가로서 자신이 원하는 메시지 전달을 위해 다양한 예술적 형식을 활용하고 접합한다. 이는 그래픽 노블 고유의 것 뿐 아니라 다양한 장르의 리얼리즘 전통과 결부되어 있다. 이를 위해 이 글에서는 리얼리즘 예술 및 각 장르에서의 리얼리즘 예술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 현실 참여적 예술로서 『세슘137』이 취하고 있는 그래픽 노블 고유의 예술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예술 형식 면에서 『세슘137』은 다양한 리얼리즘적 예술 언어를 구사한다. 소격효과, 표현적 드로잉, 가상-다큐멘터리적 구성은 리얼리즘적 특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술 전략이다. 이러한 미학적 특성으로 인해 작가의 메시지는 독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된다.『세슘137』은 리얼리즘적 그래픽 노블의 예술적 가능성을 보여준다. This study takes a look at diverse artistic strategies 〈Cesium137〉 is taking as a graphic novel of participation. Pascal Croci has used and combined the forms to convey the message he want as a writer of an inclusive graphic novel, image-text. It is linked with an intrinsic to the graphic novel as well as tradition of realism in a wide variety of genres. This study takes a brief look at the realism art in each genre and confirms in relation to the artistic characteristics of intrinsic to the graphic novel 〈Cesium137〉 is taking as a graphic novel of participation. 〈Cesium137〉 is consists of the process of covering a case and the form of a broadcasting report and a fictional format emphasizes the objectivity in contents to highlight the journalistic characteristics of the general narrative. 〈Cesium137〉 uses various artistic languages of realism. The audience feels a realistic case through the experience and writer’s message is convey effectively. 〈Cesium137〉 shows the generic openness of the graphic novel.

      • KCI등재

        시각문화교육과 디지털 미디어 시대의 애니메이션 교육의 방향

        박유신(Park Yoo Shin)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4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35

        시각문화교육은 포스트 모더니즘 이후, 미술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이라고 볼 수 있다. 시각문화교육은 전통적인 미술교육에서 우리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시각 환경으로 그 관심의 폭을 확대하였으며, 전통적인 순수예술에서 대중문화 및 영상예술 등으로 미술교육의 관심을 폭넓게 확장해 왔다. 시각문화교육은 이미지를 둘러싼 사회문화적 맥락에 주목하고, 비주얼 리터러시 능력을 강조하며 구성주의적인 학습을 강조한다는 면에서 문화예술교육의 이슈와 많은 부분을 공유하고 있으며, 실제로 문화예술교육의 주요한 이론적 배경이기도 하다. 이 글에서는 디지털 미디어 시대와 더불어 중요성을 더해가고 있는 애니메이션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해, 시각문화교육의 이론적 배경 및 이슈를 살펴보고, 이와 관련하여 애니메이션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시각문화교육은 1970년대 이후의 진보적인 문화적 배경 아래에서 탄생하였으며, 그 요지는 개인적이고 사회적인 삶의 개선을 위해 시각적 인공물과 그 행위의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다. 그러나 시각문화교육은 시각문화 양상의 변화에 따라 지속적으로 발전 중이며, 현재에는 시각문화에서의 미적 체험교육이나,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통한 의미 구성등으로 그 관심을 확장하는 중이다. 디지털 미디어 시대의 시각환경에서 애니메이션은 시각문화의 중심에 자리잡고 있으며, 애니메이션은 하나의 예술장르, 혹은 테크놀러지를 넘어 시각문화 전반에 걸쳐 이미지가 구현되는 형식이기도 하다. 그간 시각적 의사소통 및 비판적 문화 읽기 등을 강조해온 시각문화교육 또한 미술교육의 체험에서 이해, 감상에 이르기까지 전 영역에 있어서 디지털-애니메이션 시각문화의 새로운 양상을 반영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 글에서는 애니메이션 교육 영역의 확장, 범교과적 접근, 사회재건주의적 교육철학, 애니메이션 리터러시 등을 강조하였다. 시각문화교육적 관점에 기초한 애니메이션 교육의 연구는 애니메이션 교육의 정립에 이론적 토대가 될 뿐 아니라 전통적인 비판적으로 텍스트 읽기 중심의 시각문화교육을 내용적으로 풍부하고 동시대적이고 미래적인 방향성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VCAE) seems to be the new paradigm for art education after postmodernism. Getting beyond the traditional art education, VCAE has expanded its scope of interest to include the visual environment that surrounds our life, thus pushing the boundary of art education beyond the traditional fine arts to cover pop culture and visual art. VCAE shares the issues as well as a lot of elements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and in fact serves as a major theoretic background for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that it pays attention to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images and emphasizes visual literacy and constructionist learning. In this paper, I have review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related issues of VCAE with a view to presenting a direction for animation education, which is gaining in importance coming into the Age of Digital Media. VCAE was born in the progressive cultural atmosphere from the 1970s and thereafter, and its gist consists in figuring out visual artifacts and their action in order to improve individual and social life. Yet, VCAE continues with its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changing aspects of visual culture, and currently, it is expanding its scope of interest to cover the esthetic, experiential education in visual culture and construction of meaning through digital story-telling. In the visual environment of the Digital Age, animation is establishing itself as the center of the visual culture, being a form that goes beyond an art genre or technology to realize images throughout the visual culture. Also, VCAE, which has so far emphasized visual communication and critical reading of culture, would need to reflect the new aspects of the visual culture in digital animation across the entire gamut from experiencing to understanding and appreciating art education. In this paper, I emphasize on Cross-Curricula, social reconstruction, the expansion of animation education, interests in animation as a digital media, and animation literacy. A study of animation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VCAE will not only provide a theoretical basis for establishing animation education, but also enrich the content of VCAE, traditionally focused on critical text reading, and promote its contemporary and futuristic orien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