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기왕력 유무에 따른 정맥혈류에 대한 종아리 펌프 운동의 효과 비교

        박상미 청주대학교 보건의료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47

        직업적 요인으로 장시간 움직이지 않고 서 있으면 다리 정맥에 고혈압이 생겨 판막이 나빠지고 만성 정맥 질환으로 이어져 종아리 근육 펌프를 활성화해 증상을 줄일 수 있다. 본 연구는 다리 정맥혈류에 따른 시간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종아리 근육 펌프 운동을 실시하여 정맥혈류의 지연 시간이 감소하는지 여부를 측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무작위 45명 중 17명을 제외한 28명을 피험자로 선정하였으며, 다리정맥류 진단을 받지 않고 발목 가동성에 제약이 없는 사람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정맥혈류는 색 도플러(Color doppler)를 이용해 초음파로 측정했고, 지연 시간은 스마트폰의 카메라 앱으로 측정했다. 연구 결과, 종아리 펌프 동작 적용 후 혈류 지연 시간이 감소하였으며, 기왕력이 있는 그룹에서 더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p<0.05). 따라서 종아리 펌프 운동은 다리 정맥 순환 개선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운동 방법으로 과거 다리 손상을 경험한 다리 정맥 기능 부전 개선 및 예방에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된다. Standing motionless for a long time causes high blood pressure in the leg veins, which causes valve deterioration and leads to chronic venous disease, which can be alleviated by activating calf muscle pump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elay time and lower limb vein flow to see if the delay time of the vein can be reduced by performing calf muscle pump exercises. The study included 28 participants chosen at random who had not been diagnosed with varicose veins and had no restrictions on ankle mobility. The delay of blood flow was measured using ultrasonic waves and a color doppler, and the delay time was measured using iPhone 11 camera application. This studies have shown that the delay time of blood flow was reduced after the application of calf pump motion, and that it had a more positive effect in the anamnesis group (p<0.05). Therefore, calf pump exercise is an exercise method that significantly impacts the improvement of lower limb venous circulation. Workers who work standing and have existing lower limb damage are expecte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and preventing lower limb venous dysfunction.

      • 주가와 환경경영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 KOSPI 상장 기업을 중심으로

        박상미 세종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aper analyzes the relationship of company’s internal governance and environmental-friendly management as Green Growth stimulus policies are gaining momentum at pan-national level after the Low Carbon Green Growth Basic Act has been legislated. Especially, real case studies have been analyzed to see current situations for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establishment in accordance with stock price fluctuation. Entrepreneurs publically announce information related to environmental management to diverse stake-holders and such action influences change in company’s valu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and analyze co-relationship of stock price fluctuation and establishing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Focusing on KOSPI listed companies, following four (4) parameters in establishing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have been selected:i) Organization Management: ISO 14001 Certificate ii) Product process Management: Environmental Labeling Acquisition iii) Environmental Management IP/PR: Publishing Sustainable Management Report iv) Stake-holder Management: CSR Activity Web-publishing Research model has been set up to test three (3) hypothesis based on the presence or non-presence of aforementioned parameters and strategic establishment of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when environmentally sensitive business is involved. As a result of analysis of two groups depending on stock price increase rate, among the four (4) parameters which influence increase of company’s investment value, Organization Management (ISO14001 Certificate) has positive co-relationship but it has been tested that Product Process Management, Environmental Management IP/PR, and Stake-holder Management are not influencing parameters as their data analysis show no statistical significance. Regardless of stock price increase, when environmental sensitive business involvement is compared, all four (4) parameters show positive influences to the company value. It means that biased phenomenon is intensively appearing regarding environmental management results for KOSPI listed companies depending on their sensitivity of business relations to the environment. In particular, Environmental Mark Certificate system, the standard for environmental labeling acquisition, is not popularly recognized, thus resulting, very low participating rate among companies. In addition, only large entrepreneurs with significant investment asset and profit tend to publish Sustainable Management Report, which has been used as Environmental Management IR/PR Management index, there has been no difference presented due to stock price fluctuation. Web-publishing rate f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ies and Ethical Management activities has been presented high. This demonstrates that companies have utilized environmental management related activities to enhance their investment value by voluntarily providing relevant information to diverse stake-holders through easy access along with financial information as the growth limit has been experienced due to the global economic stagnation. However, having this research focusing on KOSPI listed entrepreneurs, the difference of establishing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in investor’s favorite companies and not-preferred-companies turned out to be not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research, internationally scandalized ISO14001 Certificate is being actively adopted by companies with significant increase in stock prices, however, it is proven that there seems to be no strategic reactions for Product Process Management, Environmental Management IR/PR, and Stake-holder Management activities. It is crucial to enact environmental management policies which will motivate companies to actively establish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to eventually cope with national vision of Low Carbon Green Growth.

      • 이완 음악감상이 유아교사의 부정 정서조절과 정서고갈 감소에 미치는 영향

        박상미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이완 음악감상이 유아교사의 부정 정서조절과 정서고갈 감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대상은 서울, 인천, 경기, 충청 지역의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60명이다. 이 중 실험집단 29명, 통제집단 31명으로 무선 배치하였다. 실험집단에게는 평일 주 5회, 음원이 게재된 링크(URL)를 2주 동안 문자메시지로 발송하여 총 10회기의 이완 음악감상을 진행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중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사전과 사후에는 정서수준 척도(K-PANAS), 부정 정서조절 척도(K-DERS), 정서고갈 척도(MBI)를 사용하여 참여자들의 부정 정서조절과 정서고갈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정서수준 점수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이완 음악감상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정서수준 사후 점수는 사전 점수와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부정 정서조절 점수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완 음악감상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점수 비교에서도 부정 정서조절 점수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정서고갈 점수에 있어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 이완 음악감상에 참여한 실험집단 내 사전-사후 점수 비교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이완 음악감상이 유아교사의 부정 정서조절과 정서고갈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relaxing music listening on regulating negative emotion and alleviating emotional exhaustion on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Sixty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Seoul, Incheon, Gyeong-gi, and Chung-cheong Province participated in this study. Sixty participan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twenty-nine of them were experimental groups and thirty-one of them were control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s participated in relaxing music listening by transmitted text-messages including music file URL for five days a week for two-weeks and control groups were not participated in relaxing music listening. Every participants were checked their negative emotional regulation and emotional exhaustion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groups and control groups in positive emotion and negative emotion after relaxing music listening intervention. Positive emotion significantly increased and negative emotion significantly decreased among experimental groups after relaxing music listening intervention.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negative emotional regulation after relaxing music listening intervention. The negative emotional regulation of experimental groups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relaxing music listening intervention. Thir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motional exhaustion between two groups after relaxing music listening intervention. However, the emotional exhaustion of experimental group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relaxing music listening intervention compared to prior checked emotional exhaustion. In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relaxing music listening have positive effects on regulating negative emotion and alleviating emotional exhaustion on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 황동규의 연작시 비가와 풍장에 드러난 종교적 세계관

        박상미 고려대학교 인문정보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Religious Perspective Expressed in Elegy and Aerial Sepulture An essay in application for a master's degree Park Sang-mi Program of Literary Creation Graduate School of Humanity Information Korea University Instructor: Prof. Kim Myeong-in The primary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author's religious worldview expressed in the serial poems of Elegy and Aerial Sepulture by Hwang Dong-kyu. The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analyze the shift from the Christian worldview strongly represented by Elegy to the Zen worldview expressed in Aerial Sepulture. Throughout the series of Elegy, Hwang's Christian worldview is thoroughly represented, from the description of an apocalyptic and tragic world to citation of biblical phrases. The methodology employed to read Elegy is via negativa of Crucifixion, a tradition of the creative spirit in the Christian theology. Hwang reveals via negativa through direct confrontation with death, discovery of naught, and the meaninglessness of existence. He, however, reaches the 'being' of the life, viz. re-creation, on the spatial chapter of the 'non-being', which is a representation of via negativa. Such worldview is the so-called 'creatio ex nihilo', which Hwang realizes in the dark path. The series of Aerial Sepulture, which Hwang wrote almost two decades later his Elegy, explores into the more oriental, Zen interpretation of the world at depth. The 'aerial sepulture'is the result of overcoming the fear of death through recognition of the oriental, Zen death. Death aspires to the natural assimilation with the air. The speaker of the poem learns about death by directly confronting it, and finally reaches a phase in which he transcends death. The change in the worldview inevitably accompanies the change in the structure of poetry. In Aerial Sepulture, Zen subjects, questions and answers, and images are frequently found. Although the series of Aerial Sepulture seems to emphasize the theme of death on the surface using the motive of an aerial burial, it becomes clear to the sensitive reader that the true, hidden theme of this poem is to lookinto the life through deat 황동규(黃東奎, 1938~) 시에 나타난 변모 과정들은 1960년대에서 1990년대를 거치는 한국 시의 변화 과정을 선명하게 보여주기에, 그를 20세기 후반 한국시의 대표적 시인이라 할 만하다. 본고는 특히 「비가」와 「풍장」 연작시를 통해 황동규 시에 나타난 종교적 세계관을 분석하는 데 중점적인 목표를 둔다. 「비가」에 드러난 기독교적 세계관에서 선(禪)적 세계관으로 변모하는 과정이「풍장」연작시에 어떻게 형상화 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황동규의 시세계에 있어서 변화의 양상을 설명할 때, 흔히 등장하는 표현이 ‘기독교적 세계’에서 ‘동양적 달관의 세계’로 옮겨갔다는 지적이며, 이는 또한 그의 시세계를 설명하는 중요한 핵심이기도 하다. 「비가」연작에서 황동규는 세계의 비극성을 기독교적 묵시록적 세계를 통해 드러낸다. 시에 등장하는 묵시록적 &#8228; 비극적 세계의 묘사에서부터 성경구절의 인용에 이르기까지, 황동규의 시세계가 기독교적 세계관에 기반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는 요소는 시 전반에 걸쳐있다. 또한 「비가」를 읽어내는 방법론으로서 기독교의 세계관 중에서도 창조영성의 전통인 ‘어둠의 길’Via Negativa 이라는 십자가의 신학을 통해 「비가」를 조명해 보았다. 황동규는 죽음과의 직면, 허무의 발견, 실존의 무의미를 통해 어둠의 길을 자각 했으며 이 어둠의 길의 표상인 부재(不在)라는 공간적 장을 통해, 삶의 유(有) 즉 재창조를 발견 하게 되는 것이다. 그것은 바로 ‘부재(不在)로부터의 창조’(creatio ex nihilo)이며, 황동규는 어둠의 길에서 바로 이를 깨닫게 된 것이다. 그 동안의 서구사회는 ‘빛’과 ‘어둠’을 이분법적으로 분리함은 물론, 더욱이 어둠을 ‘두려워’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황동규는 이러한 이분법인 어둠과 빛의 세계에서, 어둠을 직면함으로써 그 텅 빈 부재(不在)에 침잠함으로써 빛의 이미지를 건져 올릴 수 있다는 사실을 알려주고 있다. 그보다 20여 년이 지난 후에 시작된 「풍장」 연작은 시인의 내적 풍경과 갈등이 다양화하기 시작하는 한국사회의 모습을 담고 있다. 이성에 의한 합리적 사고의 추구하는 기독교적 세계관이 해답이 될 수 없을 때 시인은 같은 질문을 새롭게 시작한다. 그리고 그것은 동양적 &#8228; 선적 세계를 통해 탐구된다. 동양적 &#8228; 선적 죽음에 대한 인식을 통해 그 두려움을 넘어선 것이 바로 「풍장」이다. 죽음은 바람과의 자연스러운 동화를 꿈꾼다. 그는 능동적으로 죽음과 대면함으로써 죽음을 배우고 끝내 죽음을 초월하는 경지에 이르게 된다. 세계관의 변화는 필연적으로 시의 구조적 변화를 수반하게 된다. 선적인 소재와 선문답의 차용, 선시적 이미지가 표현되어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풍장」연작시는 ‘풍장’이라는 모티브를 통해 죽음이라는 표층적인 주제를 부각시키고 있으나, 죽음은 드러난 것일 뿐, 숨겨진 주제는 죽음을 통해 삶을 들여다보는 일임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풍장」속에는 죽음과 삶의 문제를 순환론적으로 바라보는 선적 인식이 깊이 형상화 되어 있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 3D 프린터 출력물의 BIM객체 활용방안 연구

        박상미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3D 프린터 기술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으며, 특히 제조업, 자동차 산업 등의 분야에서 각광받고 있는 기술이다. 3D 프린터 를 활용하면 디자인의 목업 및 시제품 제작 시 비용과 시간을 줄일 수 있다. 특히 3D 프린터는 모형을 적층하며 쌓아 올리는 기술로 형태의 제약이 없어 원하는 모형을 그대로 출력할 수 있어 비정형 디자인의 모형 제작 시에도 많이 활용되고 있다. 건설 산업에서도 3D 프린터를 활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3D 프린터를 활용하여 교량, 건축 구조물 등 실제 구조물을 출력하는 사례 또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목업 구조물이나 거푸집 등 다양한 구조물 출력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도 발표되고 있다. 3D 프린터의 건설 분야 활용을 위해서는 구조물의 3D 모델링이 필요하며, 설계단계에서 제작되어지는 BIM 데이터를 활용하여 3D 프린터로 토목 구조물을 출력해야 하나 BIM 데이터는 3D 프린터 출력을 위한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3D 프린터 출력과정에는 많은 문제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BIM 데이터의 3차원 모델을 3D 프린터로 출력 시 발생하는 문제점에 대해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3D 프린터 출력을 위한 BIM 모델링 제작 모형을 구축한다. 또한 BIM 데이터 기반의 3D 프린터 출력물의 활용방안을 제시하고, 사례 적용을 통해 3D 모델 제작 모형의 적용성을 검증한다. 본 연구에서 BIM 데이터의 3D 프린터 출력 시 발생되는 다양한 오류를 분석하여 3D 모델 제작 모형을 제시함으로 3D 프린터 출력 시 최소한으로 오류를 줄이고자 하며, 출력물을 활용한 다양한 활용방안을 제시하여 건설 프로젝트 업무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 사진정보와 4D 모델 동기화에 의한 딥러닝기반 건설 공정 시각화 기술 개발

        박상미 경상국립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In the building process of a construction project, many photos of the construction site are captured and stored at each stage of the construction. In recent years, it is convenient to take pictures with a smartphone, and various information such as a photographing angle and azimuth coordinates are included in the photo properties, so that the usability for construction management can be further improved. These construction photos are a useful tool for understanding the progress of construction as data that can visually supplement the situation on site, which is difficult to express in text. However, in actual construction, they are not utilized other than to understand the image of the construction structur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uggest a more systematic and practical application plan for field photo information that is generated in various stages of construction. In particular, recently, as the number of cases of schedule management by introducing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in the construction stage is increasing, the use of BIM linkage of photographic information is more necessary. Due to the expansion of the use of smart construction technology, recently, after securing 3D data using 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and drones, a technology for monitoring the status of the progress by comparing it with the BIM model is also being used. However, in order to utilize these technologies, manpower and cost are required to purchase and install specialized equipment. On the other hand, if site photo information can be used to understand the actual progress compared to the planned progress, it can be easily used for construction management without the installation of special equipment and additional cos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methodology that can visually grasp actual progress information compared to the plan by interlocking on-site photographic information and 4D model, and to present a system based on the methodology. To this end, the study presents a methodology for extracting structure information from field photos and 4D models using image deep-learning techniques. By using the image information, the coordinates of the 4D model object, and the view point linkage technology, a procedure with deep-learning techniques that can visually grasp actual progress information compared to the plan is introduced. To this end, a 4D CAD system capable of simulating the planning schedule is built, and the coordinates of 4D model with the planned schedule and the photo information with actual image are synchronized, and the progress status is compared with two image information at the same time. In this study, the application of this methodology and system is verified by a computerized model that calculates the schedule progress numerically by recognizing the difference in the image of the actual structure compared to the plan. The methodology and system presented in this study include a verification process that recognizes parts such as foundations, columns, and copings for bridges and recognizes the degree of actual progress compared to the plan by linking with the 4D model. Through this verification process, the detection rate of objects in the image is analyzed, and causes of high and low detection accuracy and useful methods are suggested.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intuitively grasp the status of the construction progress compared to the plan by linking the site photos with objective data and the 4D model, and improve the utilization efficiency of various photographic information and the applicability of the BIM model to the construction stage. 건설공사의 시공과정에는 공사 단계별로 많은 현장 사진 이미지가 촬영되고 저장된다. 최근에는 스마트폰 등에 의한 사진 촬영의 편리성과 사진 속성에 촬영각도와 방위 좌표 등의 다양한 정보들이 포함되어 공사관리에 활용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이러한 현장 사진은 문자로 표현하기 힘든 현장 상황을 시각적으로 보완할 수 있는 자료로서 공사 진행현황의 파악에 유용한 도구이지만, 실제 공사에서는 공사 시공 모습의 파악 이외에는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공사단계별로 다양하게 발생되는 현장 사진정보의 보다 체계적이고 실무적인 활용방안 구성이 필요하다. 특히 최근 시공단계에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을 도입하여 공정관리 업무를 수행하는 사례가 증대되고 있으므로 사진정보의 BIM 연계 활용성은 더욱 필요성을 갖고 있다. 스마트건설기술의 활용 확대로 인하여 최근에는 건설공사의 공정 현황 파악 방법으로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 및 드론(Drone) 등으로 3차원 데이터를 확보한 후에 BIM 모델과 비교하여 공정 현황을 모니터링하는 기술도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술의 활용을 위해서 전문화된 장비 구입 및 설치 등에 인력과 비용이 소요된다. 반면에 현장 사진정보를 계획대비 실제 모습의 공정현황 파악에 활용할 수 있다면, 특수 장비의 설치과정과 추가 비용이 없이 간편하게 공사관리에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현장 사진정보와 4D 모델의 연동에 의해 계획대비 공정 진행 현황 정보를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방법론을 구축하고 방법론에 근거한 시스템을 제시하는 것이 목표이다. 이를 위하여 이미지 딥러닝 (Image Deep-learning)기법을 이용한 현장 사진 및 4D 모델의 구조물 정보 추출 방법론을 제시한다. 이미지정보와 4D 모델 객체의 좌표 및 뷰포인트 (View Point) 연동 기술과 딥러닝 기법을 이용하여 계획대비 공정 진행 현황을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모형을 구성한다. 이를 위하여 계획공정의 시뮬레이션이 가능한 4D CAD시스템을 구축하고, 계획 공정의 4D 모델과 실제 공정의 사진정보 좌표를 동기화하여 동일 시점의 두 이미지 정보로 공정현황을 비교한다. 연구에서는 이러한 방법론과 시스템의 활용방안으로 계획대비 실제 구조물의 이미지 차이 인식에 의해 공정 진도를 수치적으로 산정하는 시스템을 구성하여 적용성을 검증한다. 연구에서 제시된 방법론과 시스템은 교량을 대상으로 기초, 기둥, 코핑 등 부위를 인식하고 해당 4D 모델과 연동하여 계획대비 실행정도를 인식하는 검증과정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검증과정을 통해 이미지 내 객체 검출률을 분석하여 검출정도의 높고 낮은 원인과 유용한 활용방안을 제시한다. 이로써 객관적 자료인 현장 사진과 4D 모델의 연계로 계획대비 실행 공정 현황 모습의 직관적 파악이 가능하고, 다양한 사진정보의 활용 효율성과 BIM모델의 시공단계 적용성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전래동요와 창작국악동요의 음악적 특징 비교 분석

        박상미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글초록:본 연구는 전래동요 20곡과 창작국악동요 20곡을 무작위로 선정해서 각각의 음악적인 특징을 파악하고, 전래동요와 창작국악동요를 비교 분석해서 우리나라 전통음악교육의 발전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각각 선정된 곡들을 박자, 리듬, 구성음, 장단, 형식, 화음의 사용, 국악적인 표현의 사용, 음계 등 음악적인 요소들을 통해 분석하고 전래동요와 창작국악동요의 분석 결과를 비교한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박자면에서는 전래동요는 12/8박자의 사용이 8곡으로 가장 많았고, 창작국악동요는 6/8박자의 사용이 6곡으로 가장 많았으며, 장단면에서는 전래동요는 정형화된 박이 아니기 때문에 기존의 장단 사용 보다는 기타(타령, 단모리 등)장단의 사용이 많았고, 창작국악동요는 자진모리장단의 사용이 많았다. 창작국악동요의 경우는 한 곡 안에서의 변형장단을 시도한 것이 특징이라 할 수 있겠다. 리듬면에서는 전래동요는 4분음표 혹은 2분음표의 단순한 리듬의 사용을 반복했다면, 창작국악동요에서는 여러 리듬의 변화를 시도해 곡의 흥을 돋워 주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기음 면에서는 전래동요는 'g'음이 많았다. 그러나 이는 창자나 채보 과정에서 달라 질 수 있음을 명시하고, 이 같은 분석의 결과는 한계성이 있다. 창작국악동요는 ‘a'음이 많았다. 종지형태면에서는 전래동요는 동도종지가 12곡으로 가장 많았고, 창작국악동요는 상행종지가 9곡으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했다. 형식면에서는 전래동요의 경우는 한 도막 형식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창작국악동요 곡에서는 세도막 형식과 두 도막 형식이 많이 사용되었다. 화음의 사용면에서는 전래동요의 경우는 단선율의 사용이 많았고, 창작국악동요에서는 부분 2부 합창을 주로 사용했고, 화음으로 사용된 음정은 주로 단3도, 완전4도, 완전5도가 쓰였다. 전래동요의 단순함을 창작국악동요를 통해 발전시키려는 노력은 알 수 있었으나 악보상에 요성 혹은 시김새 등의 표시로 국악적인 표현을 사용한 곡은 몇 곡 찾아 볼 수 없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전래동요와 창작국악동요의 특성을 제대로 파악하고 이를 우리 음악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보다 체계화된 국악교육 지도안이 필요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국악을 접할 수 있는 기회가 보다 확대될 수 있도록 국가와 학교의 지원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영문초록:This study focuses on two types of children's music, music passed down traditional children's song and created traditional Korean songs. This research analyzed and compared 20 songs and the results made it possible to formulate a plan to help students study our traditional music. The research focused on beat, rhythm, form, jangdan, musical mode, chordal use, expression and scale. The results are as follows. Regarding beat, 12/8 was used in eight out of twenty songs from the traditional songs category and 6/8 was used in six out of twenty songs from the created Korean songs. Regarding jangdan, traditional Korean music uses jajinmori most. Andrevised jajinmori are used in the created Korean songs. Regarding rhythm, traditional songs used rather simple rhythm, while created songs use variety of rhythms that makes music more interesting. Regarding tone-center, traditional music often uses 'G' note. However,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too limited to get an accurate result. The created traditional Korean music uses the 'A' note most. Regarding form, traditional songs used one-part form while created Korean songs use part form in general. Regarding chordal use, traditional songs are just simple melodies and created Korean music employs chorus partly. The created songs try to elaborate the simplicity of traditional songs.However, we can hardly see traditional techniques such as yosung (vibration) and sikimsae(ornaments) in created Korean music.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o understand and distinguish the different characters of these two types of music. And we need to make guidelines to apply them into teaching traditional music to our children. Finally, the school and the government should provide a wide range of Korean musical experiences to the students

      • 경기도 일부 신경정신과 외래 환자의 질환별 식습관 비교

        박상미 단국대학교 정보미디어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rate of mental disorders is increasing in current times where we are entering an aging society due to an extension of the average lifespan of people. The occurrence of mental disorders among young people is rapidly increasing, and therefore, education on nutrition so patients of mental disorders can maintain a proper diet throughout their illness, which is predicted to become longer periods, is necessary. This study was conducted on some psychiatric outpatients in Gyeonggi Province. First, patients of schizophrenia, depression and bipolar disorder were divided into men and women, and their dietary habits and health were examined. Second, spread of consumption according to food type was examined through an examination of dietary habits and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of people according to disease, and the aim was to use the results as basic material for nutrition education of psychiatric outpatients. There were a total of 150 subjects - 50 patients of each of the three disorders, schizophrenia, depression and bipolar disorder. The average of patients according to disease were 40.5 for schizophrenia patients, 40.4 for depression patients and 43.5 for bipolar disorder patients, making the average age of bipolar disorder patients a little higher than the rest. 45.3% were high school graduates, and the most frequent occupation was "unemployed" at 26.7%. Depression patients had a shorter period of having the disease (P<0.05), and the BMI (body mass index) of patients was generally normal, at 34.7%, and next was obese, at 30.7%. Of the 129 patients who had experience consuming alcohol, there were more male patients (55.0%) than female patients (45.0%), and the order of frequency of drinking experience was bipolar disorder patients > depression patients > schizophrenia patients. Depression patients had a comparatively higher age of first consuming alcohol out of those who had experience drinking (P<0.05). Out of the 129 subjects who had experience consuming alcohol, most (37.2%) said "I have not had a drink at all in the past year." The most frequent answer for bipolar disorder patients were "I have not had a drink at all in the past year" and "I drink 2 to 4 times a month" (P<0.001). An examination of volume of alcohol consumption showed that excluding the 48 patients who said they had not had a drink at all in the past year, most of the remaining 81 patients said they drink "3 to 4 glasses" when they drink (P<0.05). There were more male patients(67.0%) than female patients(33.0%) who had experience smoking, and the current smoking rate in order of frequency was bipolar disorder patients > depression patients > schizophrenia patients. An examination of dietary habits according to gender and disease showed that 82.0% of schizophrenia patients and 76.0% of depression patients have breakfast, whereas 56.0% of bipolar disorder patients do not have breakfast (P<0.001). When asked if they had eaten breakfast with their family in the past year, 52.0% of schizophrenia patients said they had breakfast with their family, but most depression patients (52.0%) and bipolar disorder patients (80.0%) said they did not have breakfast with their family (P<0.005). An examination of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according to disease showed that depression patients and schizophrenia patients consumed rice from the grain food group "three times a day," but most bipolar disorder patients consumed rice "twice a day" (P<0.001). There were most responses for eating tofu (including tofu in soups, Korean pizzas, boiled food and soft tofu) from the bean food group "twice to three times per week," and "hardly eating" soy foods (including soy bean rice and beans cooked in soy) and sweet potatoes (including roasted sweet potatoes, steamed sweet potatoes, fried sweet potatoes and sweet potato dessert) (P<0.05). There were most responses for eating eggs from the eat and eggs group "two to three times per week," and "hardly eating" ham, bacon or sausages (including hot dogs) (P<0.05). Most said they ate seaweed from the marine algae food group (including seaweed in soups, seasoned seaweed and stir-fried seaweed stem) and laver (including roasted laver, seasoned laver and kimbap) "once a week" (P<0.05). Most said they hardly consumed milk from the dairy food group (including low-fat milk, skimmed milk, processed milk and powdered milk) (P<0.05). Most said they hardly drank soft drinks (including coke, sprite and fanta) from the drinks group, and said they drank coffee "once a day" (P<0.05). Most patients said they hardly drank beer, soju or makgoli from the alcoholic beverages group (P<0.05). Based on the results above, schizophrenia patients had the highest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or most categories, excluding coffee from the drinks group and a few foods, and had higher weight and BMI results compared to depression and bipolar disorder patients. Depression patients had weight and BMI that were generally lower than schizophrenia and bipolar disorder patients. Bipolar disorder patients had a tendency to skip a meal, and had a lower frequency of eating with their family than patients of other disorders. In addition, there was a high frequency of noodles and coffee consumption from the food products consumption frequency examination, but a low consumption of other food groups, showing a consumption pattern that was biased towards certain foods. 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efforts to actively understand and solve food habit problems in order to prevent a second physical disease of psychiatric patients during their term of disease through proper dietary habits. 인간의 평균 수명연장으로 인한 고령화 사회로 접어드는 현시대에 정신질환의 유병율이 높아지고 있다. 점차 젊은층의 정신질환 발병율이 급속도로 증가되고 있어 그만큼 길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유병기간 동안 정신질환자들이 올바른 식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영양교육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조사는 경기도 일부 신경정신과 외래환자를 대상으로 첫째, 정신분열증․우울증․조울증을 남․여로 구분하여 생활습관과 건강행태를 살펴보고 둘째, 질환별 식습관과 식품 섭취 실태를 통해 각 식품별 섭취 분포를 살펴보고 이를 정신질환자의 영양교육 기초자료로 하고자 한다. 조사대상자는 질환별로는 정신분열증․우울증․조울증 각각 50명으로 총 1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질환별 평균연령은 정신분열증환자는 40.5세, 우울증환자는 40.4세, 조울증환자는 43.5세로 조울증환자 연령이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다. 학력은 고등학교 졸업이 45.3%, 직업은 무직이 26.7%로 높게 나타났다. 병력기간은 우울증환자가 낮게 나타났고(P<0.05), 평균체질량지수(BMI)분포는 정상체중 34.7%, 비만 30.7%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음주경험이 있는 129명 중 남자정신질환자(55.0%)가 여자정신질환자(45.0%)보다 많았고, 조울증환자〉우울증환자〉정신분열증환자 순으로 음주경험자가 많았다. 음주경험이 있는 대상자 중 최초 음주연령은 우울증환자에서 다소 높았다(P<0.05). 음주 경험이 있는 129명 중 37.2%는󰡐최근 1년간 전혀 마시지 않았다󰡑로 높게 나타났고 질환별로는 조울증환자에서󰡐최근 1년간 전혀 마시지 않았다󰡑와󰡐한 달에 2-4번󰡑음주를 하는 것으로 높게 나타났다(P<0.001). 음주량을 살펴보면 최근 1년간 전혀 마시지 않은 48명을 제외한 81명 중 한번 마실 때󰡐3-4잔󰡑마시는 것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흡연 경험이 있는 91명 중 남자정신질환자(67.0%)가 여자정신질환자 (33.0%)보다 많았고, 조울증환자〉우울증환자〉정신분열증환자 순으로 현재흡연율이 높게 나타났다. 성별․질환별 식습관을 살펴보면 정신분열증환자(82.0%)와 우울증환자(76.0%)는 아침식사를 하는 것으로 높게 나타난 반면 조울증환자(56.0%)에서는 아침식사를 하지 않는 것으로 높게 나타났다(P<0.001). 최근 1년 동안 가족동반 아침식사여부에 있어서 정신분열증환자(52.0%)는 가족과 아침식사를 함께 하는 것이 높게 나타났으나, 우울증환자(52.0%)와 조울증환자(80.0%)는 가족과 아침식사를 하지 않는 것이 높게 나타났다(P<0.005). 질환별 식품섭취빈도를 살펴보면 곡류군의 쌀 섭취빈도는 우울증환자와 정신분열증환자에서는󰡐1일 3회󰡑섭취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조울증환자의 경우는󰡐1일 2회󰡑섭취하는 경우가 많았다(P<0.001). 두류·서류군의 두부(국, 찌개, 부침, 조림, 순두부 포함)는󰡐1주 2-3회󰡑, 콩류(콩밥, 콩자반 포함)․고구마(군고구마, 찐고구마, 튀김, 맛탕 포함)는󰡐거의 안 먹음󰡑이 높게 나타났다(P<0.05). 육류․난류군의 달걀은󰡐1주 2-3회󰡑, 햄․베이컨․소시지(핫도그 포함)는󰡐거의 안 먹음󰡑이 높게 나타났다(P<0.05). 해조류군의 미역(국, 무침, 줄기볶음 포함)․김(구이, 무침, 김밥 포함)은󰡐1주 1회󰡑섭취하는 것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우유․유제품군의 우유(저지방우유, 탈지우유, 가공우유, 분유 포함)는 거의 안 먹는 것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음료군의 탄산음료(콜라, 사이다, 환타 포함)는 거의 안 먹는 것으로 높게 나타났고, 커피는󰡐1일 1회󰡑섭취하는 것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주류군의 맥주․소주․막걸리는 거의 안 먹는것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위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정신분열증환자들은 주류군과 커피 등 몇 개의 식품을 제외한 대부분의 식품섭취빈도조사에서 높게 나타났고, 체중과 체질량지수(BMI)에서도 우울증환자와 조울증환자에 비해 높은 결과를 볼 수 있었다. 우울증환자는 체중과 체질량지수(BMI)에서 정신분열증환자와 조울증환자에 비해 낮은 경향을 보였다. 조울증환자에서는 아침․점심․저녁식사의 결식율이 높았으며 가족동반식사에서도 다른 질환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또, 식품 섭취 빈도조사에서 국수와 커피의 섭취가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다른 식품군에서는 낮게 나타나 일부 식품에 편향된 섭취패턴을 보였다. 그러므로 정신질환 환자들의 유병기간 동안 올바른 식습관을 통한 제 2차 신체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 좀 더 적극적인 식습관 문제 파악과 해결하려는 노력이 시급하다고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