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혁신복잡성이 혁신실행과정에 미치는 영향 : 직무요구-자원 모형을 중심으로

        최세연(Se Yeon Choi),문혜진(Hyejin Moon) 한국인사관리학회 2021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45 No.3

        오늘날의 경영환경은 4차 산업혁명의 흐름 속에서 급속한 변화와 치열한 글로벌 경쟁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경영환경 속에서 조직의 생존과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혁신은 그 어느 때보다 복잡해지고 있다. 복잡한 혁신을 성공적으로 실행하는 것은 혁신의 성패는 물론 조직의 생존에도 중요하지만, 혁신복잡성에 관한 기존의 연구결과들은 일관되지 않으며, 대부분이 혁신의 도입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어 혁신실행 과정에 미치는 과정을 규명하는 실증연구는 아직 부족하다. 또한, 대부분의 연구는 집단 및 조직수준으로 이루어져 있어 혁신의 실제 사용자인 구성원들의 관점이 반영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선행연구의 제한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는 혁신복잡성이 구성원들의 혁신실행 및 그 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직무요구-자원모형을 이론적 토대로 하여 직무요구로서의 혁신복잡성이 구성원들의 혁신학습에 및 그 결과인 혁신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그 과정에서 직무자원이자 상황변수인 혁신실행 자율성의 조절효과 및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중국 제조업군의 대기업에 근무하는 171명의 구성원과 50명의 상사를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혁신복잡성은 혁신학습에, 혁신학습은 혁신효과성에 각각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혁신학습은 혁신복잡성과 혁신효과성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혁신실행 자율성은 혁신복잡성과 상호작용을 통하여 혁신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고, 더 나아가 혁신학습의 매개역할을 조절하는 조절된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혁신복잡성은 구성원의 혁신학습을 통하여 혁신의 성공적인 실행에 도움이 된다는 이론적인 시사점과 함께 혁신실행과정에 관한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Rapid changes and fierce global competition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re adding complexity to the evolution of organizations’ essential innovations. However, the question of how innovation complexity affects innovation implementation processes is yet to be answered whereas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complex innovation determines not only the outcome of the given innovation but also overall firm survival. To fill the gap, the current research, based on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aimed to test whether the effect of innovation complexity on innovation effectiveness is mediated by innovation learning whereas a contextual variable, innovation implementation autonomy,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on complexity and innovation learning. In order to test the hypotheses, a survey was conducted to 171 employees and 50 managers who work for a manufacturing company located in China. The results showed that innovation complexity was positively related with both innovation learning and innovation effectiveness. In addition, innovation learning was found to fu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on complexity and innovation effectiveness. As hypothesized, innovation implementation autonomy interacted with innovation complexity to affect innovation learning; as a result, innovation implementation autonomy had a moderated mediation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on complexity and innovation effectiveness.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eoretical implication in regard to the JD-R model and practical implication on innovation implementation processes were provided.

      • KCI등재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이 고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남상희(SangHee Nam),문혜진(Hyejin Moon) 한국인사관리학회 2022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46 No.4

        국내외 기업 스캔들이 막대한 사회적 피해를 발생시킴에 따라 조직 구성원들의 비윤리적 행동에 대한 사회적 및 학문적 관심이 높아져 왔다. 다양한 형태의 비윤리적 행동 중에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 UPB)은 비윤리적이지만 친조직적이라는 이중적인 특성때문에 관찰자들에게 양가적인 반응을 야기한다.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의 행위자 또는 기업 내 관찰자의 관점에서 수행된 기존 연구에서 벗어나 본 연구에서는 기업 외부의 제3자가 가상의 지원자의 UPB 참여 또는 거부 이력에 대해 가지는 태도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특히, 행동의 주관적 기대 효용(subjective expected utility)을 고려하는 도덕 효용성 이론(moral utility theory; Hirsh et al., 2018)의 관점을 바탕으로, 관찰자의 미래결과조망이 집단주의 성향과 UPB에 대한 반응 간 관계를 조절하는지 확인하였다. 본 조사에서는 시나리오를 활용한 설문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1차와 2차 설문에 모두 응답한국내 직장인 173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원자 평가를 맡은참가자들은 UPB 관련 이력이 없는 지원자에 비해 UPB에 참여했거나 거부한 지원자에 대해 더 낮은고용의도를 보였다(가설 1). 둘째, UPB 조건, 집단주의 성향, 미래결과조망 간의 3원 상호작용이 발견되었다(가설 2). 구체적으로, UPB 참여조건에서는 미래결과조망이 낮은 경우, 집단주의 성향이 높을수록 고용의도를 높게 평정한 반면, 미래결과조망이 높은 경우에는 집단주의 성향이 높을수록 고용의도를 낮게 평정하였다. 마지막으로, UPB 참여 지원자에 대한 반응과는 달리 UPB 거부 지원자에 대해서는 미래결과조망의 수준과 관계없이 집단주의가 높을수록 고용의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기 때문에 가설 3은 지지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지원자의 UPB 이력에 대한 제3자의 반응을 비교적 포괄적으로 확인하고, 이러한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 변인들의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UPB 연구를 확장하는데 기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remendous costs created by corporate scandals have enhanced social and scholarly attention to employee unethical behaviors. Among various types of unethical behaviors,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s (UPB), with their unique qualities of unethicality and pro-organizational orientation, elicit ambivalent attitudes from observers. Shifting from previous approaches that focused on either actors or ingroup observers, the current research aimed to explore the attitudes of outgroup observers toward a hypothetical job applicant who either engaged in or refused to engage in UPB. Especially, drawing on moral utility theory (Hirsh et al., 2018) that considers subjective expected utility of behaviors, the current research explored how observers’ consideration of future consequences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ctivistic orientation and reaction to the applicant’s UPB history. The current online experimental study involved hypothetical scenarios, and analysis was conducted on 173 workers in Korea who completed both questionnaires with two waves. First, participants preferred candidates with no UPB-related episode over others, supporting Hypothesis 1. Second, consistent with Hypothesis 2, the three-way interaction among UPB condition, collectivistic orientation, and consideration of future consequences was supported. Specifically, in UPB condition, when consideration of future consequences is high, collectivistic orientation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hiring intentions; however, when consideration of future consequences is low, collectivistic orientation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hiring intentions. Finally, Hypothesis 3 was not supported because the higher the collectivistic orientation, the higher the hiring intentions, regardless of the level of consideration of future consequences. This study contributed to expanding UPB research b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the response of third parties to the applicant’s UPB history and empirically testing the effects of moderating variables. Finally,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we provided practical implications.

      • KCI등재

        대졸 청년층 고용의 질 유형에 따른 이직 관련성 연구: 잠재 프로파일 분석의 적용

        이한성 ( Hansung Lee ),문혜진 ( Hyejin Moon ),이태헌 ( Taehun Lee ) 한국조사연구학회 2022 조사연구 Vol.23 No.2

        본 연구는 한국고용정보원의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GOMS) 자료를 기반으로 대졸 청년층 임금근로자를 고용의 질에 따라 유형을 분류한 후, 각 유형과 주요 개인 및 일자리 특성과 취업 준비 특성과의 관련성을 탐색하고, 유형에 따라 이직 의도 및 이직 준비 행동에서 나타나는 차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GOMS의 설문 구조를 바탕으로 고용의 질 측정 도구를 일부 수정하고, 대졸 청년층의 특성을 반영한 직무 적합 차원을 추가하여 고용의 질을 측정하였다. 잠재 프로파일 분석 결과, 불안정 일자리, 좋지 않은 일자리, 도구적 일자리, 일반적 일자리와 이상적 일자리의 총 5개의 유형이 도출되었다. 도출된 고용의 질 유형과 개인 및 일자리 특성 간의 관계에서는 일반적으로 연령이 증가할수록, 남성, 수도권 대학 출신, 기혼일수록 이상적 일자리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고용의 질 유형과 취업 준비 특성 간의 관계에서는 졸업 학점이 높을수록, 인턴 경험이 있는 경우, 자격증 취득 개수가 많을수록 이상적 일자리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이직 의도 및 이직 준비 행동과의 관계에서는 전반적으로 고용의 질이 높은 집단에 속할수록 이직 의도와 이직 준비 행동이 상대적으로 낮은 경향을 보였다. 예외적으로, 도구적 일자리와 좋지 않은 일자리는 이직 의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도구적 일자리에 속한 청년들은 더 낮은 이직 준비 행동을 보였다. 본 연구는 하위 차원의 질적인 차이를 반영하는 고용의 질 유형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직 의도와 이직 준비 행동을 구분하여 전반적 고용의 질이 낮은 경우에 경제적 보상과 고용안정성이 실질적인 이직 행동과 관련되었음을 밝혔다. Using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GOMS) data, this study profiled collegegraduated young workers on different types of employment and found that these profiles were distinguished by major individual and job characteristics, job preparation characteristics, turnover intention, and turnover preparation behaviors. To measure the employment quality of college graduates, we modified Quality of Employment Index and added an additional dimension of person-job fit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ample. We employed latent profile analysis to identify five employment quality profiles: unstable job, bad job, instrumental job, ordinary job, and ideal job. In search of associations with individual and job characteristics, we found that age, gender (male), education (graduation from metropolitan areas), and marriage predicted a higher likelihood of being classified in ideal job. In addition, we found that higher GPA, internship experience, and the number of certificate of qualification predicted a higher likelihood of being classified in ideal job. Finally, the overall quality of employment predicted lower turnover intention and preparation behaviors. Exceptional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urnover intention between instrumental job and bad job whereas less turnover preparation behavior was found in instrumental job. This study contributed to improving employment quality measurement by presenting employment quality profiles that consider qualitative differences in sub-dimensions. Furthermore, distinguishing actual turnover behaviors from turnover intention, we found that economic compensation and job security were related to actual turnover behavior when the overall quality of employment was lo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