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동죽(Mactra veneriformis)가공에 따른 정미성분의 변화

        류화정,고영수,Ryu, Hwa-Jeong,Ko, Young-Su 한국식품과학회 1985 한국식품과학회지 Vol.17 No.3

        동죽은 자숙하여 천일건조시료, 열풍건조시료로 만들어서 일반성분과 정미성분으로 알려져 있는 핵산관련물질, 유리아미노산, glycogen의 함량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일반성분은 가공전후에서 큰 차이가 없었으나 회분함량은 가공후 21.5%가 증가하였다. 핵산관련 물질은 생시료에는 ATP, ADP, IMP 및 Hypoxanthine이 많았으나 건조시료에서는 ATP는 상당량(78%)줄었고 다른 핵산관련물질도 모두 줄어들었다. 유리아미노산은 glycine, alanine 및 arginine이 전체 유리아미노산의 85%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건조후 유리아미노산은 전체적으로 생시료의 60%정도를 함유하고 있었다. 동죽자건품의 중요한 정미성분은 glycine, alanine, arginine과 같은 유리아미노산 및 ATP 분해생성물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 The taste compounds including glycogen, nucleotides and their related compounds and free amino acid content of Raw, Boiled and Sun-dried and Boided and 1lot-air dried surf clam(Mactra veneriformis) were investigated. Crude protein and crude lipid content changed little after processing, but ash content of processed surf clam was increased 21.5%. Glycogen content was increased 6.7% in a processed surf clam. In nucleotides and their related compounds there are much ATP, ADP, IMP and Hypoxannthine in raw material, ATP, ADP, IMP content was decreased and Hypoxannthine disappeared after processing, In the raw extract, glycine, alanine, arginine were abundant, holding 85% of total free amino acid contents. After processing, generally 60% of raw material free amino acids content were existed.

      • KCI등재

        『纂注分類杜詩』 補註에 활용된 宋ㆍ元代 문학비평서 검토

        류화정(Ryu, Hwa-Jeong)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22 동양한문학연구 Vol.61 No.-

        1444년 조선에서 편찬된 『纂注分類杜詩』(이하, 『찬주』)에는 諸家의 주석을 제외하고 별도로 첨가한 補註가 있다. 보주를 구성하고 있는 텍스트들은 매우 다양한데, 그중 본고에서 주목한 것은 宋ㆍ元代 문학비평서다. 이에 대해서는 이미 선행 연구에서 일정한 방향성을 제시했고, 참고할 만한 성과들이 있다. 이를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보주에 인용된 송ㆍ원대 문학비평서를 좀 더 조사하여 목록을 만들고, 조선 초기 유입 여부를 따져보았다. 또한 보주에서 외부 텍스트를 인용하는 방식을 분석하여, 실제로 자주 활용된 텍스트들을 살펴보았다. 보주를 구성하는 데 가장 많이 활용되었던 것은 魏慶之의 『詩人玉屑』이다. 이 책은 1439년 충청도에서 간행된 이력이 있는데, 이미 詩學書로 알려져서 ‘詩學의 指南’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었다. 徐居正의 『東人詩話』서문에서도 이 책은 좋은 비평서로 빠짐없이 언급되었다. 蔡正孫의 『詩林廣記』는 元版本이 현재 전해지고, 조선 초기 문학비평서로는 유일하게 금속활자[乙亥字]로 인쇄된 적이 있는 독특한 텍스트다. 보주에서도 실제 원문을 꼼꼼히 분석한 결과, 『시림광기』에 수록된 다른 시화들을 재인용 하는 방식으로 자주 활용되었다. 다만 보주에는 『시림광기』에서 재인용한 것임을 따로 밝혀놓지 않아서 원문을 비교하기 전까지는 사정을 알기 어렵다. 보주에 나타난 송ㆍ원대 비평서를 주목했던 이유는 조선 초기 문학비평을 다른 시각에서 접근해보고자 함이다. 조선 초기 문학사에 대한 거시적 담론을 여기서 말하기는 어렵다. 본고에서는 서적의 수용과 텍스트의 전파라는 측면에서 당시에 수용된 문학비평서를 문헌학적으로 검토해 보았다. 이것은 고려 중기부터 연속성을 보인 송ㆍ원대 문학비평서에 대해 새로운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조선 초기 문학비평을 설명하는 데 실증적인 자료를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纂注分類杜詩』 was compiled in 1444 in Joseon. This book has 補註, which is added separately except for several annotations. The books cited in 補註 are very diverse. Among them, what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is literary criticism of Song-Won period[宋ㆍ元代]. In this regard, a certain direction has already been suggested in previous studies, and there are achievements worth referring to. Based on this, in this paper, the literature criticism of Song-Won period cited in 補註 was further investigated to make a list, and whether or not it flowed in the early Joseon Dynasty was examined. In addition, by analyzing the method of citing external text in 補註, we looked at the texts frequently used in 補註. The most commonly used one in 補註 is 『詩人玉屑』. This book was published in Chungcheong-do in 1439. At that time, it was already known as a textbook of Chinese poetry and was evaluated as ‘The right guide of Chinese poetry’. In the preface of 『東人詩話』, this book was mentioned as a good critique. 『詩林廣記』 is now handed down a edition published in the Yuan Dynasty[元版本]. It was the only Literature critiqu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at was printed in metal type[金屬活字, 乙亥字]. As a result of thorough analysis of the actual text in 補註, 『詩林廣記』 was frequently used as a recitation method. However, it is difficult to know the situation until the original text is compared because the source of the re-quotation(『詩林廣記』) was not disclosed separately. The reason for paying attention to the literary criticism of Song-Won period shown in 補註 is to approach literary criticism in the early Joseon Dynasty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In terms of book acceptance and text propagation, it is a literary review of the literary criticism accepted at the time. This cannot explain the huge discourse of literary history. However, it will be possible to attract new attention to literary criticisms such as 『詩林廣記』 and secure empirical data necessary to explain literary criticism in the early Joseon Dynasty.

      • KCI등재

        려말선초(麗末鮮初) 황정견(黃庭堅) 시론(詩論)의 수용 양상

        류화정 ( Ryu Hwa-jeong ) 한국한문학회 2020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77

        麗末鮮初에 漢詩 창작의 본보기가 되었던 黃庭堅의 詩論이 언제부터 어떤 경로로 조선 문단에 유행하게 되었는지 살펴보았다. 황정견의 시론은 李仁老의 『破閑集』에서 처음 등장한다. 이인로가 소개했던 황정견의 換骨奪胎 이론은 『山谷集』에는 없고, 송대 시화집인 惠洪의 『冷齋夜話』에 나온다. 이인로는 『산곡집』 외에 『냉재야화』를 통해서도 황정견의 시론을 배운 것이다. 하지만 당시에는 蘇軾을 추종하는 풍조가 만연하여 황정견의 시론에 대한 영향력은 미미했다. 이후에 崔滋의 『補閑集』과 李齊賢의 『櫟翁稗說』 등 고려 말 詩話集에서 황정견의 시론이 서서히 소개되면서, 그의 이론을 보다 깊이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채용하려는 노력이 보이기 시작한다. 최자가 『보한집』에서 ‘換骨’이라는 용어를 곧바로 사용하기도 하고, 이제현의 『역옹패설』에는 황정견의 시론을 적극적으로 배운 인물에 대한 소개가 나오기도 했다. 이후 徐居正의 『東人詩話』에 이르면, 황정견의 시론을 바탕으로 한 용어와 비평들이 곳곳에 등장한다. 가장 주목할 만한 부분은 點化와 蹈襲에 관한 비평들이다. 이러한 배경에는 「東人詩話序ㆍ後」에서 언급된 『詩話總龜』ㆍ『漁隱叢話』ㆍ『詩人玉屑』ㆍ詩林廣記』 등을 비롯한 宋代의 각종 시화집들이 황정견의 시론뿐만 아니라 한시 창작의 전반적인 방법과 비평적 안목을 기르는 데 도움을 주었던 것으로 보인다. During Yeomal-Suncho(麗末鮮初), we looked at how 黃庭堅' poems became popular in Joseon literary circles. 黃庭堅's theory of poetry first appears in 補閑集. The theory of 黃庭堅(換骨奪胎), introduced by 李仁老, is not found in 山谷集(by.黃庭堅), but 冷齋夜話(by.惠洪) in the collection of poems by Song Dynasty. 李仁老 have learned his theories not only from his collection but also from the collection of poems by Song Dynasty. However, there was a widespread tendency to follow 蘇軾, with little influence on Huang's poetic theory. Later, with the introduction of Huang's poetic theory in the late Goryeo Dynasty's poetry collection, such as 補閑集(by.崔滋) and 櫟翁稗說(by.李齊賢), people began to understand his theory deeply and make active use of it. 崔滋 used the term ‘換骨 immediately in 補閑集. In 櫟翁稗說, there was an introduction to the person who actively learned Huang's theory. By the 東人詩話(by.徐居正), terms and criticisms based on Huang's theory appear everywhere. The most notable parts are criticism of 點化 and 蹈襲. The change appears to have played a major role in the acceptance of the Song Dynasty's poetry collection. For example, at the preface of 東人詩話 mentioned three poems of the Song Dynasty, 詩話總龜 and 漁隱叢話 and 詩人玉屑, as important books. The books are believed to have helped foster a critical eye and the overall way of creating chinese poetry.

      • KCI등재
      • KCI등재

        麗末鮮初 문인들의 邵雍 漢詩 수용과 이해

        류화정 ( Ryu Hwa-jeong )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2022 퇴계학논총 Vol.39 No.-

        본고에서는 邵雍의 한시가 처음 유입된 시기와 경로를 추적해보고, 초기에 소옹의 한시가 어떻게 활용되었는지 살펴보았다. 소옹은 북송 도학자로서는 드물게 시집(『伊川擊壤集』)을 남겼다. 소옹과 『격양집』은 조선 후기에 首尾吟體가 유행하면서 널리 알려지는데, 『격양집』은 고려 말부터 이미 들어와 있었다. 여말선초에 『격양집』을 비롯하여 소옹의 한시가 수록된 서적들을 조사해보니, 『격양집』은 극소수만이 공유했던 것으로 보이고, 소옹의 한시는 『性理群書句解』와 『性理大全』에 있는 것들이 주로 인용되었다. 그중에서도 유독 두드러지게 활용되는 작품은 「淸夜吟」이었다. 범상한 자연 현상으로 우주 만물의 진리를 형상화한 「청야음」은 여말선초 문인들에게 다양한 형태로 인용되었다. 단순하게 詩句를 직접 인용하는 것부터 유사한 詩想을 가진 다른 작품과 결부시켜서 발전적인 변용을 보이기도 했다. 이때는 黃庭堅이 周敦頤의 인품을 묘사한 ‘光風霽月’이라는 표현이 유행처럼 번지고 있었는데, 「청야음」도 이와 결합되어서 새로운 수사적 표현이 나타나기도 했다. 이들은 모두 우주 만물의 진리[道]나 깨달음의 경지 혹은 그런 경지에 오른 사람에 대한 묘사를 문학적으로 형상화한 것이다. 여말선초에 「청야음」을 포함한 이런 수사적 표현이 활용된 것은 性理學의 수용과 관련이 있다. 성리학은 거대한 형이상학적 사상 체계이기 때문에 단시간에 몇 권으로 책으로 이해하기 어렵다. 성리학적 문학관의 경우, 이것을 전문적으로 다룬 서적이 없기에, 성리학 서적에 산재한 문학 담론들을 모아서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밖에 없다. 제한적이고 파편화된 정보를 수집하여 체계적으로 파악하는 것 또한 시간이 필요하다. 그런 상황에서 여말선초 문인들이 소옹의 한시를 비롯해 특정한 수사적 표현을 자주 활용한 것은 성리학이나 성리학적 문학관을 이해하기 위한 효율적인 방법이었다고 할 수 있다. 「청야음」의 詩想과 ‘光風霽月’과 같은 수사적 표현을 통해 ‘道’에 대한 개념이나 깨달음의 경지를 간접적으로 체험하고, 자신의 창작에 이런 표현들을 적절하게 구사해 보면서 성리학적 문학관을 구현해 보는 것이다. 이런 해석은 기존에 여말선초 문학사 혹은 성리학 수용 초기 모습을 성급하게 ‘완성’하려고 했던 시각을 재고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In this paper, we tracked the time and path of Shao Yong's poem first introduced, and looked at how Shao Yong's poetry was used in the early days. Shao Yong left a rare collection of poems for moralist in the Northern Song Period. Shao Yong and 『Icheongyeokyangjip』 are widely known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rough SuMiEumChe. However, 『yeokyangjip』 already existed from the end of Goryeo. Investigating, 『yeokyangjip』 was shared by very few, and Shao Yong’s poems at the time were mainly cited in 『Seongrigunseoguhae』 and 『Seongridaejeon』. Among them, the most prominent work used was 「Cheongyaeum」. This poem embodies the truth of all things in the universe with ordinary natural phenomena. Writer in the Period of Yeomal-Suncho quoted this work in various ways. It showed a variety of appearances from direct citation to developmental changes. In addition, a new expression was created in combination with ‘It's like a clear wind and a bright moon after the rain(光風霽月)’ described by Huang Tingjian. The use of this rhetorical expression is related to Neo-Confucianism's acceptance. The existing theory said that Neo-Confucianism came in with Neo-Confucian Literary Ideas and was understood, and was naturally used for creation. But both are difficult to understand in a short time. Rather, it is natural to say that the two were efficiently understood by appropriately utilizing the rhetorical creation method that was mainstream at the time. I think this interpretation can help us reflect on the view that we tried to hastily “complete” the early stages of acceptance of literary history or Neo-Confucianism at the beginning of the year.

      • KCI등재

        고려 말 性理學 서적의 수용과 성리학적 문학 담론 양상 고찰

        류화정(Ryu, Hwa-Jeong)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20 동양한문학연구 Vol.57 No.-

        고려 말 性理學 서적과 주요 인물들에 대한 정보는 이미 널리 알려져 있다. 하지만 성리학의 수용이 성리학적 문학관의 이해를 동반한 것은 아니다. ‘성리학적 문학관’이라는 것은 실체는 없지만, 성리학을 수용한 지식인들에게 문학에 대한 인식 변화를 유도했다.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무엇이 어떻게 변했고, 그 실마리가 되는 생각은 어디서 유래했는지는 좀 더 세부적으로 밝힐 필요가 있었다. 본고에서는 서적의 수용이라는 외부적 관점에서 성리학적 문학관의 기원을 밝혀보고자 했다. 사상의 轉移는 서적의 수용도 하나의 動因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단 성리학을 수용하기 전에는 蘇軾과 黃庭堅의 기교를 배우기 위해 골몰했다면, 성리학을 배운 이력이 있는 白文寶의 경우 經典에 나오는 문구들을 인용하여 성리학적 문학관을 피력했다. 그런데 그가 주로 언급한 내용이나 표현은 『四書集註』와 『近思錄』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다음으로 고려에 들어온 성리학 텍스트들을 조사해서 구체적인 서지 정보를 획득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그 속에 있는 문학 담론들을 추출하여 의미를 해석해 보았다. 실제로 고려로 들어온 성리학 서적들을 검토해 본 결과, 성리학적 문학관을 비교적 선명하게 인식할 수 있는 텍스트는 『四書集註』와 『近思錄』이었다. 그렇지만 고려 말에 성리학을 접한 지식인들은 극소수에 불과하고, 성리학 서적 속에 산발적으로 담긴 성리학적 문학관을 인지하고 창작으로 옮겨가는 과정은 오랜 시간이 필요했던 것으로 보인다. 성리학을 배우고 인식의 변화를 보이는 자료들도 있지만, 여전히 기존의 문학관을 고수하거나 완전히 벗어나지 못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그러나 이것은 성리학적 문학관을 처음 인식하여 이해하는 과정에서 보이는 과도기적인 모습으로, 매우 자연스러운 과정이라고 생각한다. Information on books concerned Neo-Confucianism and key figures at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is already widely known. However, the acceptance of Neo-Confucianism does not accompany the understanding of the Neo-Confucian Literature Ideas. ‘the Neo-Confucian Literature Ideas’ doesn t really exist, induced the intellectuals who embraced Neo-Confucianism to change their perception of literature. In particular, it was necessary to reveal in more detail what has changed and where the idea of the clue originates. In this book, I wanted to reveal the origin of the Neo-Confucian Literary Ideas from an external perspective of accepting books. This is because the acceptance of books can be a factor in the movement of thought. Once they had been bent on learning So Sik(蘇軾) & Hwang Jeong Gyun(黃庭堅) s skills before accepting Neo-Confucianism, Baek Mun-bo(白文寶), who has a history of learning Neo-Confucianism, the Neo-Confucian Literary Ideas was expressed by quoting the phrases in the Confucian classics. But what he mainly mentioned or expressed was derived from Sishu jizhu(『四書集註』) & Jinsilu(『近思錄』). Next, I examined the Neo-Confucian texts that entered Goryeo to obtain specific bibliographic information, and based on them, I extracted the literary discourse in it and interpreted the meaning. After examining the biblical books that actually came into Goryeo, Sishu jizhu(『四書集註』) & Jinsilu(『近思錄』) was the text that could recognize the Neo-Confucian literature relatively clearly. However, only a small number of intellectuals encountered Neo-Confucianism at the end of the Goryeo, and the process of recognizing and moving to creative Neo-Confucian literature sporadically contained in Neo-Confucian books seems to have taken a long time. Some materials show a change in perception and learning Neo-Confucianism, but others still stick to existing literary views or fail to completely deviate from them. But this is a transitional form seen in the process of first recognizing and understanding Neo-Confucian Literature Ideas, and I think it is a very natural process.

      • KCI등재

        『정선당송천가련주시격(精選唐宋千家聯珠詩格)』에 활용된 송(宋)ㆍ원대(元代) 문학비평서의 문헌학적 검토

        류화정 ( Ryu¸ Hwa-jeong ) 한국한문학회 2021 韓國漢文學硏究 Vol.- No.83

        『精選唐宋千家聯珠詩格』(이하, 『聯珠詩格』)은 于濟ㆍ蔡正孫의 絶句選集이다. 이 책이 국내로 유입된 시기를 명확히 알 수 없지만, ‘絶句는 『연주시격』’이라는 공식이 전해질 정도로 유행했다. 1483년에는 成宗이 직접 이 책의 諺解와 註解를 명했다. 언해는 완성되었는지 알 수 없지만, 주해는 1485년 徐居正을 중심으로 1차 완성되었고, 1492년에 성종이 다시 安琛 등에게 補削을 요구하여 1502년에 간행되었다. 채정손의 評釋을 의식하여 ‘增註’라고 이름 붙인 朝鮮 註解本은 이후에 원본 『연주시격』을 대체하여 일본으로 전해지고, 중국에도 역수출되었다. 『연주시격』과 같은 詩選集이 한시 학습서로 수용된 데는 고려로부터 이어진 宋ㆍ元代 批評書에 대한 독서와 이해가 전제되어 있다. 黃庭堅을 인지하고, 江西詩派를 발전적으로 수용하여 海東江西詩派까지 출현하게 된 것이다. 그럼에도 송ㆍ원대 비평이 조선 초기까지 꾸준히 영향력을 발휘했다는 것을 드러낼 수 있는 자료들이 비교적 드물어서, 비펑서들의 유입과 활용 양상을 충분히 규명하기 어려웠다. 이런 상황에서 국가적인 사업으로 진행된 『연주시격』의 增註에 활용된 송ㆍ원대 비평서를 검토해 보는 것은, 자료의 한계를 어느 정도 극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선초기 문학비평과의 관련성을 재고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증주에 인용되었다고 모두 당시 문단에 영향을 끼쳤다고 할 수는 없다. 기록이 남아 있지 않은 시화집과 시선집들의 존재를 확인하고, 주해 내용을 통해 비평서의 활용 양상을 짐작해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조선 초기 문학비평을 이해하는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JeongSeonDangSongCheonGaYeonJuShiGeok』(『精選唐宋千家聯珠詩格』) (Abbreviation, 『聯珠詩格』) is a book of selections of JeolGu(絶句) by 于濟ㆍ蔡正孫. It is not clear when this book came into the country. The slogan, ‘絶句 is 『聯珠詩格』’ was so popular that it was passed on. SungJong(成宗) ordered Korean translation of Chinese classics(諺解) andannotation(註解) of this book in 1483. It is not known whether 諺解 is complete. 註解 was first completed around 徐居正 in 1485. In 1492, 成宗 asked 安琛 and a few others to make up again, and it was published in 1502. The ‘增註’, named 朝鮮 註解本, was later exported to Japan as a replacement for the original, and was also exported back to China. Acceptance of 『聯珠詩格』 was possible because the Literature Criticism of hat followed from Goryeo was premised. Recognition of 黃庭堅, developmental acceptance of 江西詩派, the appearance of 海東江西詩派, these are examples. Nevertheless, the lack of data, it difficult to identify the inflow and utilization aspects of the early 朝鮮. In this situation, it is meaningful to review the Literature Criticism that was used for 『聯珠詩格』 增註. The limits of the data can be overcome and it can be an opportunity to reconsider literary criticism in the early 朝鮮. Of course, not all of these books influenced at the time. I think this can be a way to understand literary criticism in the early 朝鮮, given that we can guess the usage of critical books through the contents of the notes.

      • KCI등재

        조선 후기 전겸익(錢謙益)의 수용 과정과 인식 양상

        류화정 ( Hwa Jeong Ryu ) 한국한문학회 2015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57

        A lot of Studies have been done on the acceptance of Qian Qianyi(錢謙 益) related to literature and literary criticism in the late Josun. However, there are still problems such as route his books were brought into Joseon, person who recognized political defection of Qian Qianyi(錢謙益). This paper explained them clearly. Qian Qianyi(錢謙益) was widely known to <Liezhaoshiji 列朝詩集>. The book was first published in 1652. After 30 years, many Shidafu(士大夫) in Joseon alrealy read it. In <Dohyup Collection of Articles 陶峽叢說> written by Lee Eui Hyun(李宜顯), Kim Seok-Joo(金錫胄) bought <The biographies in Liechao shiji 列朝詩集小傳> in 1683. GyongHwaSeJog(京華世族) introduced literature and literary criticism of Qian Qianyi(錢謙益) for the first time in Joseon. They have monopolized knowledge and information since they were separated by faction and family. It took 130 years to know the fact that political defection of Qian Qianyi(錢謙益) for that reason. I thought it is hard to accept and improve literary criticism of Joseon in this circumstance. Qian Qianyi(錢謙益) provided literary criticism overcoming the writing theory of pseudo-ancient-style(擬古派) prose circle and summarized literary criticism in Ming(明). However, It is main cause he was warmly received in Joseon that he was political activist of anti-Qing(淸) and Neo-Confucianism scholar. So the news of his political defection came as a shock. As his political defection became known, Shidafu(士大夫) in late Joseon denounced him as well as literature and literary criticism of Qian Qianyi (錢謙益). But some Shidafu(士大夫) still put his criticism to literary use. Others defended his literature tacitly. This means his political defection is unrelated to his great literary achievements. Nevertheless, Qian Qianyi(錢謙益) has been forgotten gradually in late Joseon. It is a matter for studying how to concatenate between individual behaviour and literary achievements. It also is effective discussion other studies.

      • KCI등재

        『東人詩話』에 수용된 중국 詩學書 연구

        류화정(Ryu, Hwa-jeong)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3 동양한문학연구 Vol.36 No.-

        서거정 비평이 黃庭堅 및 江西詩派의 영향을 받았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하지만 그 연원을 정확하고 실증적으로 밝히는 연구는 다소 미진하다. 『東人詩話』에는 ‘古人’으로 시작되는 비평 문구들이 곳곳에 등장한다. 이것은 서거정이 특정 텍스트에서 인용한 것이다. 그 텍스트의 출처를 추적하고 내용을 분석해본다면, 서거정 비평의 연원을 좀 더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동인시화』에 인용된 텍스트는 대체로 송ㆍ원대 비평서들이었다. 특히 송대 詩論書인 『詩人玉屑』은 『동인시화』 속 비평의 근원이 되는 대표적인 책이다. 서거정은 『시인옥설』의 특정 내용을 한 글자도 다르지 않게 그대로 인용하는가 하면, 『시인옥설』의 소제목을 배열하여 문장으로 만들어 썼다. 이것은 서거정이 『시인옥설』을 그만큼 열독하였고, 자신의 비평 의식을 형성하는 데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고 할 수 있다. 그 외에 『동인시화』에 주로 인용된 텍스트는 『詩話叢龜』와 『苕溪漁隱叢話』이다. 이들은 당시 중국 문단에서도 중요한 의의를 가질 뿐만 아니라 고려와 조선에서 대표적인 詩學書로 활용된 시화총집이다.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었다고 추정되는 텍스트로는 『唐詩鼓吹』ㆍ『瀛奎律髓』ㆍ『精選唐宋千家聯珠詩格』이 있다. 이것들은 조선 전기에 수차례 간행되고 지속적으로 열독되었던 詩選集이다. 서거정은 위의 서적들을 누구보다 빨리 접했으며, 그들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예를 들어 서거정은 『영규율수』를 읽고 조선에서 가장 먼저 비평을 남겼으며, 『연주시격』의 언해와 주해 작업을 모두 主任했다. 요컨대 서거정은 고려와 조선에서 시학서로 활용된 서적들을 통해 비평 의식을 형성하여 『동인시화』를 저술했다. 그 중에서도 『시인옥설』이 가장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이후에 『동인시화』는 서거정이 文衡의 지위에 있을 때에 독립적으로 간행되었기 때문에 당시에 어느 정도 영향력을 행사하였을 것이다. It has been known for Seo Geo-Jeong to accept Hwang Jeong-Gyun(黃庭堅) and a criticism of poems in Gangseo(江西詩派). But it is not enough an empirical study related to the origin of Seo Geo-Jeong`s poetic criticism yet. In Dongin-Sihwa(『東人詩話』), it can be easy to find lots of sentences written on ‘Go-In(古人)’. They are quoted by other books. Analyzing a source of these books, we can find out the origin of Seo Geo-Jeong's poetic criticism clearly. It is in the textbooks on poetic criticism in Dang and Sung dynasty(唐ㆍ宋代) that sentences quoted in Dongin-Sihwa. Especially, Siin-Okseol(『詩人玉屑』) written in Sung dynasty(宋代) is a representative book of the source of poetic criticism in Dongin-Sihwa. For example, Seo Geo-Jeong quoted in full some sentences in Dongin-Sihwa from Siin-Okseol. Also, he wrote sentences using the subtitle of Siin-Okseol. It means he studied Siin-Okseol carefully and made use of it for setting up his poetic criticism. Other books quoted in Dongin-Sihwa is Sihwa-Chonggui(『詩話總龜』), Chogye- Eun-Chonghwa(『苕溪漁隱叢話』). They have been a representative book of textbooks on poetic criticism since Goryeo and Joseon dynasty(高麗ㆍ朝鮮). The rest of books concerned with writing Dongin-Sihwa is Dangsi-Gochui(『唐詩鼓吹』), Yunggyu- Yulsu(『瀛奎律髓』), Thousands of an Annotated edition of Ryenju-Sigyeok(『精選唐宋千家聯珠詩格』). They have been a representative book of textbooks on poetic criticism since Joseon dynasty, too. Seo Geo-Jeong got above books and up to date information related to poetic criticism more quickly than anybody else. It is he that wrote reviews for the first time after reading Yunggyu-Yulsu(『瀛奎律髓』) and took charge of annotating Ryenju-Sigyeok(『聯珠詩格』). In short, he set up his poetic criticism through above books. Siin-Okseol(『詩人玉屑』) is the most impact to him and Dongin-Sihwa among others. And Dongin- Sihwa affected many scholars and nobility in Joseon dynasty, because he worked in director of Culture(Mun-Hyeong, 『文衡』) when Dongin-Sihwa was published.

      • KCI등재

        조선 전기 精選唐宋千家聯珠詩格 의 수용과 활용

        류화정(Ryu, Hwa-jeong) 대동한문학회 2015 大東漢文學 Vol.44 No.-

        精選唐宋千家聯珠詩格 (이하, 聯珠詩格 )은 조선 전기 한시 학습에 도움이 되었던 詩學書이다. 조선으로 유입 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세종 때부터 한시 학습서로 널리 읽혔다. 1483년에 성종은 연주시격 을 諺解하라는 명령을 내렸는데, 문학 텍스트로서는 이례적인 일이다. 언해본의 유무는 알 수 없지만, 이듬해에 徐居正을 필두로 하여 이 책의 註解書가 만들어졌다. 조선의 주해본은 詩句나 故事의 출처를 밝히는 기본적인 내용을 비롯하여, 반절 표시, 동의어유의어 나열 및 낱글자의 해설 등 사전의 역할을 겸하였다. 人名地名物名 등의 정보와 작품 해설 또한 시의 내용을 파악하는 데 길잡이가 되었다. 이들은 모두 해당 詩格을 정확히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조선에서 연주시격 은 주해서가 완성되면서 폭넓은 독자층을 형성한 것으로 보인다. 한시를 처음 배우는 초학자들을 비롯하여, 한시 창작에 능숙한 문인들에게도 참고서 및 교양서적으로 자리 잡았고, 연주시격 을 底本으로 한 朝鮮本 詩選集이 나오기도 했다. 연주시격 이 조선 전기 한시 창작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었던 것은 분명하다. 다만 문인들의 작품 속에서 연주시격 만의 학습 결과로 명확하게 제시할 만한 자료를 찾기란 쉽지 않다. 그래서 본고에서 제시한 작품들도 연주시격 을 참고했을 가능성이 높은 사례로 추정하는 정도가 적당할 것이다. 연주시격 은 七言絶句를 모은 선집이지만, 조선에서는 對句나 平仄 등 律詩의 규칙 혹은 수사법을 단련하기 위한 참고서로 사용되었을 것이라 생각된다. 이를 입증할 만한 실증적인 근거들은 앞으로 다른 텍스트들을 두루 공부하면서 찾아보도록 하겠다. TangsongqianjiaLianzhushige( 唐宋千家聯珠詩格 ) (short for, Lian zhushige(聯珠詩格) is study books for creation of poetry during the early Joseon. There's no saying when the book bring to Joseon, Lianzhushige (聯珠詩格) has been a widely-read book since King Sejong. In 1483, King Seongjong ordered to the Korean translation of the book, it was unusal for literary book. I don't know whether or not the Korean translation of Lianzhushige(聯珠詩格) has existed since then, an annotated edition of the book was completed by several scholars including Seogeojeong(徐居正) next year. The annotated edition made Joseon contained many things to use when we write a poem such as the origin of words or phrase, providing synonym groups and interpreting letter. The annotated edition also assists in understanding the context through the name of many things.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is book helps learn poem skills. I think Lianzhushige(聯珠詩格) has been a wide range of readers since the annotated edition was completed in Joseon. The book is useful in many ways, for example as reference book or educational book. And there is come out an anthology of poetry imitating Lianzhushige(聯珠詩格) made by the Joseon. It is true Lianzhushige(聯珠詩格) is used to write pomes. But it is difficult to present evidences of learning outcomes for only Lianzhushige (聯珠詩格) . So it is right the evidences in article is high probability of learning outcomes for the book. I regard Lianzhushige(聯珠詩格) as reference book providing a style of Chinese verse such as rhyming couplets(對句), the different tones in which characters are pronounced in Chinese(平仄) and so on. For proving the argument, I`ll find empirical reasons through studying other literature tex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