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소아암 아동을 위한 미술치료 현장실습 체험연구
류혜원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master's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who experienced on-site art trerapy for children with childhood cancer, the meaning of their experiences, and the nature of experienced phenomena. Based on the common experience of master's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on-site art therapy for children with cancer, we will adopt phenomenological analysis methods to learn the nature of the phenomenon, describe in detail what they experienced and how they experienced it, and find the essential elements and structure of the experienc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earn about the experiences and meanings of children's cancer art therapy experiences by master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and to use it as data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children's cancer art practice. The research question of this study is, "What is the experience of a master's degree in art therapy who has experienced on-site art therapy for children with childhood cancer, and what is its meaning and essence?" For this study, five master's degree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with field experience in art therapy for children with childhood cancer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In-depth research was conducted non-face-to-face from October to November 2020,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about two to three times each until the data was satura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Max van Manen's analytical phenomenology research method, and six intrinsic and 17 subtopics were derived. The six essential topics are: ‘I feel new feelings about medical art therapy and children's inner circle’,‘Experiencing difficulties in setting up the structure of art therapy’,‘Not enough as an art therapist for children with cancer’,‘Try various things for better art therapy’,‘I feel a sense of accomplishment as a healer through the changing image of a child’,‘I found myself growing up as an art therapis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conclusion of the field practice experience of art therapy for children with a master's degree in art therapy is as follows. First, a master's degree in art therapy meets a child cancer child with a special setting called an open studio, unlike other labs, and the trainee suffers from confusion and difficulty in an unexpected changing treatment environment. Second, master's degree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can experience the power of healing art therapy through the positive change of children with cancer. Third, a master's degree student majoring in art therapy feels that he is growing up as an art therapist through art therapy with children with childhood cancer.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contribute to the area of art therapy as follows: First, this study wanted to convey vividly the experiences experienced by art therapy master students through on-site practice of art therapy for children with childhood cancer through individual statements. It is meaningful that this will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group of inner patients that are not easily accessible. In addition, it is hoped that art therapy targeting children of childhood cancer will be established in the field of medical art therapy by presenting the role and effect of art therapy for children of childhood cancer. Secon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vivid statements of research participants can provide indirect experience in the field to the master's degree trainees who are about to practice pediatric cancer art therapy. Finally, the subjects of art therapy in this study consisted mostly of children under the age of 13. For follow-up research, we propose various types of research, such as a master's degree in art therapy that conducted on-site art therapy practice for children under the age of 13 as well as children with cancer. In addition, this study is an experience study on art therapy for children with childhood cancer. Throughout the study, I learned that families who take care of children with cancer also have psychological difficulties. Therefore, I propose a follow-up study on the field practice of master's degree in art therapy for parents and siblings of childhood cancer patients. 본 연구는 소아암 아동을 위한 미술치료 현장실습을 경험한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경험에 대해 알아보고 그들이 경험한 체험의 의미와 체험된 현상의 본질을 탐구하고자 진행하였다. 소아암 아동을 위한 미술치료 현장실습을 경험한 석사과정생이 갖는 공통된 경험에 따라 그 현상에 대한 본질을 알아보기 위하여 현상학적 해석학 방법을 채택하고, 실습생이 무엇을 체험했는지, 어떻게 체험했는지에 대해 상세하게 기술하고 체험의 본질적 요소와 구조를 찾아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이 소아암 미술치료 현장실습을 통해 경험한 것과 그 경험에 대한 의미를 알아보는 것으로, 실습생들의 소아암 미술치료 현장실습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소아암 아동을 위한 미술치료 현장실습을 경험한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체험은 어떠하며, 그 의미와 본질을 무엇인가?”이다. 본 연구를 위해 소아암 아동 대상 미술치료 현장실습 경험이 있는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 5명을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심층연구는 2020년 10월부터 11월까지 비대면으로 진행되었으며, 자료가 포화 수집될 때까지 각 2~3회 정도 면담이 진행되었다.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방법에 따라 수집된 자료들을 분석하였으며, 6개의 본질적 주제와 17개의 하위 주제를 도출하였다. 6개의 본질적 주제는 다음과 같다. <의료미술치료와 아동 내담자에 대해 새로운 감정을 느낌>, <미술치료 구조설정에 대한 어려움을 경험함>, <소아암 아동을 위한 미술치료사로서 부족함을 느낌>, <더 나은 미술치료를 위해 다양한 것들을 시도해봄>, <변화하는 아동의 모습을 통해 치료사로서 성취감을 느낌>, <미술치료사로서 성장해가는 나를 발견함>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소아암 아동을 위한 미술치료 현장실습 체험의 결론과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은 다른 실습지와 다르게 오픈스튜디오라는 특수한 세팅으로 소아암 아동을 만나게 되고, 예기치 않게 변화되는 치료 환경 속에 실습생은 혼란스러움과 어려움을 겪는다. 둘째,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은 소아암 아동이 긍정적으로 변화하는 모습을 통해 미술치료 치유의 힘을 경험할 수 있다. 셋째,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은 소아암 아동과의 미술치료를 통하여 자신이 미술치료사로서 성장함을 느끼게 된다. 본 연구의 결론이 미술치료 전공 영역에 기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미술치료 석사과정생이 소아암 아동 대상 미술치료 현장실습을 통해 겪는 경험을 각 개인의 진술을 통해 생생하게 전달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쉽게 접할 수 없는 내담자 그룹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소아암 아동을 위한 미술치료의 역할과 효과를 제시함으로써 의료미술치료 영역에서 소아암 아동을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가 자리매김하기를 기대한다. 둘째, 본 연구는 연구 참여자의 생생한 진술을 통해 소아암 미술치료 실습을 앞둔 석사과정 실습생에게 현장에 대한 간접적인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미술치료의 내담자는 대부분 13세 미만의 아동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후속 연구를 위해 13세 미만의 소아암 아동뿐만 아니라 소아암 청소년 대상 미술치료 현장실습을 진행한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연구와 같은 다양한 유형의 연구를 제언한다. 또한, 본 연구는 소아암 아동을 위한 미술치료 현장실습 체험연구이다. 연구를 진행하며 소아암 아동을 돌보는 가족들도 심리적으로 어려움을 겪는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에 소아암 환자의 부모와 형제들에 대한 미술치료 석사과정생의 현장실습에 관한 후속 연구를 제언한다.
『걸리버 여행기』에 나타난 풍자가 걸리버의 사회 비판 : 상업화와 여성 혐오를 중심으로
류혜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본 논문에서는 18세기에 새로이 등장한 상업 문화에 대한 비판을 스위프트의 여성 혐오와 관련 지어 고찰하고자 한다. 작품 내에서 작가로 등장하는 걸리버와 실제 작가인 스위프트가 맺고 있는 관계는 『걸리버 여행기』에 나타난 근대 영국 사회에 대한 풍자의 복합적 구조를 조명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걸리버는 영국 문화의 상업화를 비판하는 염세주의자인 동시에 판매를 위해 자신의 글을 문학 시장에 내놓는 삼류 문인이라는 점에서 스위프트의 자기 비판을 형상화한 창조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걸리버가 평범한 영국인으로부터 근대 영국의 가치관을 비판하는 염세가로 변화하는 과정을 추적하려 한다. 휘님 종족은 상업화에 의해 부패되지 않은 고전적 미덕을 가장 잘 구현하는 종족으로, 걸리버는 이들에게 감화되어 영국 사회를 비판하는 풍자가로 변화하게 된다. 영국 사회에 대한 비판에서 특히 두드러지는 부분은 여성에 대한 반감인데, 특히 여성의 육체를 기괴하게 묘사함으로써 여성은 탐욕과 감각적 욕구에 지배당하는 존재로 규정된다. 이처럼 여성을 폄하하는 원인은 여성의 소비가 상업화의 확산을 부추긴다는 시각에서 찾을 수 있다. 여성의 육체는 당대 영국의 탐욕, 소비, 퇴화를 부추기는 원천으로 자리매김하게 된다. 걸리버는 상업화를 비판하며 소비문화로부터 거리를 유지하려 하지만, 결국에는 천박한 여성에게 여흥을 제공하는 삼류 문인이라는 점에서 그의 시도는 실패할 수 밖에 없다. 그러므로 결과적으로 걸리버는 풍자가인 동시에 풍자의 대상이기도 한 것이다. 스위프트는 걸리버를 삼류 문인으로 형상화함으로써 『걸리버 여행기』에서 생산되는 복합적 풍자의 망에 스스로를 연루시키고 있다. This thesis investigates critiques of the new culture of commerce and its relationship with Swift's notorious misogyny.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Gulliver, the fictive writer, and Swift, the real author, illuminates the complex structure of the satire in Gulliver's Travels. Gulliver is the creation of Swift's self-critical representation: both a misanthrope who criticizes the commercialization of English culture and a scribbler who places his works for sale in the literary marketplace. This thesis traces the process through which Gulliver has converted from a common Englishman to a misanthrope who satirizes modern English values. Houyhnhnms represent the classical civic virtue that is not corrupted by commercialization. Swift views commercialization as stemming from female consumption. The description of female body is monstrous and degrading because the female body is located as source of modern greed, consumption, and degradation. Gulliver tries to keep his distance from the culture of consumption but is bound to fail in this enterprise since he is in the end a mere hack writer who provides entertainment for frivolous women. Thus Gulliver is ultimately revealed to be at once a satirist and the butt of his own satire, and hence Swift himself is implicated in the complex web cast by the satire in Gulliver's Travels.
The chemokine receptor CXCR7 has been suggested to play important roles in the progression of several types of cancers. However, few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biological roles of CXCR7 in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HNSCC). CXCR7 expression and its clinical implications were examined in 103 HNSCC tissues using immunohistochemistry (IHC). The biological roles and mechanisms of CXCR7-mediated signaling pathways were investigated in HNSCC cells through CXCR7 overexpression in vitro and in vivo. High expression of CXCR7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umor size (P = 0.007), lymph node metastasis (P = 0.004), and stage (P = 0.020) in HNSCC. Overexpression of CXCR7 in HNSCC cells enhanced cell migration and invasion in vitro and promoted lymph node metastasis in vivo. CXCR7 also induced 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 through PI3K/AKT. CXCR7 increased secretion of transforming growth factor-β1 (TGF-β1) and promoted EMT through phosphorylated Smad2/3. Taken together, my results provide functional and mechanistic roles of CXCR7 as a master regulator of oncogenic TGF-β1/Smad2/3 signaling in HNSCC, suggesting that CXCR7 might be a therapeutic target for the treatment of HNSCC. 서론: 케모카인 수용체 CXCR7은 악성 종양의 발생 및 진행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두경부암에서 CXCR7의 생물학적 역할에 대한 연구는 매우 드물다. 본 연구에서는 두경부 편평상피세포암에서 CXCR7의 분자생물학적 기능과 임상적 의미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충남대학교병원에서 수술을 받은 103명의 두경부 편평상피세포암 환자유래 조직을 이용하여 CXCR7에 대한 면역화학염색을 시행하였고, CXCR7의 발현과 임상병리학적 인자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두경부암에서 CXCR7의 병태생리학적 역할과 기전을 밝히기 위해 두경부 편평상피세포암 세포주와 동물모델을 이용하였다. 결과: 두경부암 환자에서 CXCR7의 과발현은 종양 크기 (P = 0.007), 임파선 전이 (P = 0.004) 및 병기 (P = 0.020)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연관성이 있었다. 두경부암 세포주에서 CXCR7의 과발현은 암세포의 이동 및 침윤을 증가시켰으며, 마우스를 이용한 동물실험에서도 CXCR7의 과발현이 임파선 전이를 촉진시켰다. 두경부암 세포주에서 CXCR7은 TGF-β1의 분비를 증가시켜 Smad2/3의 인산화를 유도하고 하위 PI3K/AKT 신호전달을 통해 상피-중간엽전이를 유도하였다. 결론: 두경부암에서 CXCR7이 TGF-β1/Smad2/3 경로를 통하여 암 진행 및 전이를 촉진하는 것으로 보아 CXCR7이 두경부암의 병태생리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류혜원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현재 우리나라의 특수교육은 장애아동을 일반아동과 함께 최대한 적절한 환경에서 교육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통합교육의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성공적인 통합을 위해서는 행정적·재정적·교육과정적·사회적 지워도 중요하지만 교사와 아동의 상호 작용에 지대한 영향을 주는 교사들의 통합교육 및 장애아동에 대한 이해 및 협조가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일반교사들의 장애아 통합교육에 관한 전반적인 인식을 조사하여 초등학교 장애아 통합교육 수행의 현주소를 파악하는데 있다. 또한 그 인식에 교사들의 교직경력, 특수교육 관련 연수경험, 장애아동 지도 경험의 각 변인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하여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장애아 통합교육 방향을 세워나가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수원시내 공립 초등학교 일반교사 270명을 대상으로 통합교육에 관한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문항별로 빈도와 비율을 산출하였고, 일원변량 분석과 scheffe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일반교사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이해도는 특수학급 담임과 장애아동 지도 경험이 있는 교사들, 교직 경력 5년에서 15년 미만의 교사들의 인식이 긍정적이었다. 또 교육기관에서 직무연수를 받은 교사들의 인식이 자율 연수를 받거나 연수 경험이 전혀 없는 교사들보다 높았다. 둘째, 초등학교 일반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통합교육 수행의 문제점을 요인별로 살펴보면, 교직 경력에 따른 인식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특수학급 담임과 특수학급이 없는 학교에서 장애아동 지도 경험이 있는 교사들의 인식이 장애아동 지도 경험이 없는 교사들보다 높았고, 교육기관에서 직무연수를 받은 교사들의 인식이 대학교에서 특수교육 관련 강의를 듣거나 연수 경험이 없는 교사들보다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통합교육 실현을 저해하는 요인으로는 과중한 업무와 특수교육에 대한 지식 부족, 학급 운영의 피해 등을 가장 큰 원인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교 일반교사들의 통합교육을 위해 필요한 지원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10년 미만의 교직 경력을 가진 교사들과 특수학급 담임, 특수학급이 없는 학교에서 장애아동을 지도한 경험이 있는 교사들, 교육기관에서 직무연수를 받은 교사들의 인식이 높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들을 볼 때, 일반교사들의 입급된 장애아동의 교육권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는 연수가 필요하며, 일반교사들이 특수교육에 대한 전문성을 갖춰 통합교육의 이점을 충분히 살릴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에 교육현장에서 교사들이 저해요인으로 인식하고 있는 요소들을 점차적으로 경감시켜, 통합을 위한 최적의 여건을 마련하기 위한 지원이 이루어져야 통합교육의 본 취지를 잘 살릴 수 있을 것이다.
Short course and early switch of vigabatrin for infantile spasms
Purpose Vigabatrin has proven efficacy in the treatment of infantile spasms, but carries the risk of irreversible visual field constriction. Incidence of the vigabatrin -induced visual field constriction seems to depend on the extent of vigabatrin exposur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whether the therapeutic effect is maintained in patients with infantile spasms receiving a short vigabatrin course followed by switching to another antiepileptic drug (AED). Methods Patients with infantile spasms responsive to initial vigabatrin treatment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 vigabatrin switch group (n=25) and a vigabatrin maintenance group (n=41). Vigabatrin was switched to other drugs within 6 months of spasm remission. The rate of seizure recurrence at 6 and 12 months from spasms remission was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vigabatrin switch and maintenance groups in the age of onset, presence of concomitant seizures, time from spasm onset to vigabatrin treatment, time from vigabatrin treatment initiation to spasm remission and vigabatrin dose at spasm remission. The number of patients with seizure recurrence at 12 months from spasm remission was 3 (3/25, 12%) in the vigabatrin switch group and 10 (10/41, 24.4%) in the vigabatrin maintenance group. The seizure recurrence rate at 12 months from spasm remissio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roups. Ten of 13 patients with seizure recurrence had symptomatic etiology. Conclusion A short course of vigabatrin could be considered in patients with infantile spasms who were responsive to initial vigabatrin treatment, since spasm remission was maintained after switching to other drugs. Whether this strategy could ultimately result in lower incidence of visual field defect should be further investigated.
Franz Liszt의「Piano sonata in B minor」연구
류혜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리스트 (Franz Liszt 1811-86)는 19세기 낭만음악에서의 절대적인 인물로 많은 작품을 작곡, 편곡하였고 여러 새로운 방법들을 시도하였다. 그는 여러 부류의 음악작품에서도 공헌한 바가 크지만 피아노의 귀재로서 피아노 음악에 있어서 가장 위대한 업적을 남겼다. 그리하여 피아노 음악에서는 새로운 방법과 피아노 기법들이 개발되었는데, 이러한 수법들이 잘 나타난 『피아노 소나타 B단조』는 리스트의 바이마르시절의 최고의 업적이며 19세기 피아노 음악 중 가장 걸작이라 할 수 있겠다. 본 논문에서는 피아노 소나타 B단조를 연구함으로써 그의 음악작품의 구조와 형식, 새로운 음악어법, 발전된 피아노 주법등을 살펴보겠다. B단조 소타나는 1852-53년에 작곡되어진 리스트의 유일한 소나타 작품으로 고전 피아노 소나타가 여러 악장으로 분리된데 반해 이 작품을 하나의 악장으로 되어 소나타의 구성 원리를 새롭게 해석하여 논리적인 배열 안에서 연속적인 여러 개의 부분 (section)들로 되어있다. 약 30분의 긴 연주 시간을 필요로 하는 이 곡은 760마디의 곡 전체에 5개의 주제적 소재들이 '주제 변형 기법 (Thematic trasformation)' 으로 나타내어지는데 긴 소재들은 전 곡을 통해서 음형적, 선율적, 성격적, 그리고 단편적으로 응용되어지며 리듬의 확대와 축소, 선율적인 유사, 전위 등의 무한한 변형과 발전된 수법으로 극적인 효과를 보여주고 교향시의 특징이라 할 수 있는 순환형식을 이 소나타에 성공적으로 도입하였다. 결론적으로 리스트의 소나타 B단조는 19세기 낭만음악과 그의 많은 작품들 중의 걸작으로 '소나타 (Sonata)' 라는 제목을 가지고 기존의 형식들과의 다른 소나타 구성으로 새롭게 해석한 점과 새로운 피아노 기술들을 도입하여 피아노라는 악기를 최고의 수준으로 끌어올린 탁원한 작품으로 연주자에게도 도전해 볼 만한 가치가 있으며, 연구적 가치로도 충분한 작품이다. This study is research about the piano work 'Piano sonata in B minor ' of the Franz Liszt(1811~1886). Liszt was one of the leaders of the Romantic movement in music. And the piano stood at the center of Liszt's life and work. In his compositions he developed new methods, both imaginative and technical. Liszt's virtuosic piano sonata(1852~1853) composed in Weimar and this sonata is the Liszt's only piano sonata. This sonata is one movement that comprises sections in different tempos and employs the technique of thematic transformation, already evident in his symphonic poems. Liszt used a form of development akin to variation which he called thematic transformation. In sonata, five thematic element are transformed by the method of melodic similarity, augmentation․diminution of the rhythm, interval and inversion. And structure of this sonata includes the 'sonata form(exposition - development - recapitula -tion)' and 'sonata(multiple movements form)'. In short, in this sonata Liszt has marshalled all the resources of the piano, controlling them with what he chose to take from traditional sonata form. And this work showed Liszt's great dramatic power and lyrical expression by new method. The B minor sonata is one of the masterpieces of nineteenth- century piano literature.
산/염기 촉매를 이용한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 및 리그닌과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혼합 열분해 공정 연구
류혜원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본 연구는 산/염기 촉매로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물질을 제거하고 폐기물을 고부가가치물질로 전환시키는 연구를 하였다. 다양한 산/염기 촉매를 오존 촉매 산화와 촉매 혼합열분해에 적용하고 그 활성을 비교하여 각 공정에 적용할 수 있는 최적의 촉매를 선정하였다. 먼저, 휘발성 유기화합물인 톨루엔을 산 촉매로 오존 산화하였다. 높은 표면적과 균일한 기공을 가진 메조포러스 촉매 CeO2 (meso), ZrO2 (meso), Mn2O3 (meso), γ-Al2O3 (meso)의 톨루엔 제거 효율을 비교한 결과, 가장 큰 표면적을 가진 산 촉매 γ-Al2O3 (meso)의 활성이 가장 높았다. 그 다음, 물리화학적 특성과 결정성이 다른 Al2O3에 Mn을 담지하여 합성된 Mn/γ-Al2O3 (meso), Mn/γ-Al2O3 (13nm), Mn/α-Al2O3의 활성을 비교하였을 때, Mn/γ-Al2O3 (meso)이 적합한 기공 구조 및 망간 산화물 조성으로 인해 촉매 활성이 가장 높았다. 오존 농도의 증가는 carbon selectivity를 향상시켰지만 부산물이 촉매에 침적되어 carbon selectivity는 여전히 낮았다. 그 다음, 리그닌과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LLDPE)의 혼합열분해 생성물을 염기촉매로 개질하였다. 촉매 특성 분석 결과로부터 MgO/C가 가장 큰 표면적과 균형 잡힌 산성 및 염기성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Bulk MgO, MgO/C, MgO/Al2O3, MgO/ZrO2 사용 시 열분해 생성물 분포와 가스 수율을 비교하였을 때, MgO/C가 decarboxylation 반응을 통해 산소화합물을 제거하고 방향족 탄화수소의 생산을 촉진시키는데 가장 효과적이었다. 또한, MgO/C를 적용했을 때, BTEX 및 총 방향족 탄화수소 생산의 시너지 효과가 리그닌/LLDPE 비율이 각각 75:25 및 50:50 일 때 가장 높아 시료를 혼합하는 것이 BTEX 생산에 효율적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오존 촉매 산화 연구를 통해 적절한 기공 구조 및 금속 산화물의 성질이 촉매 활성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고 표면적 탄소에 지지된 염기성의 금속 산화물이 리그닌 열분해 공정에 효율적인 촉매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종합하자면, 이 연구는 높은 비표면적과 부피를 가진 산/염기촉매가 뛰어난 활성을 가져 대기오염물질 제거 및 열분해 공정에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move environmental pollutants and to convert waste into valuable materials by acid/base catalyst. The acid/base catalysts were synthesized and applied to catalytic ozonation and co-pyrolysis. Their activities were compared and the optimum catalysts were selected for each process. First, catalytic ozonation of toluene, a volatile organic compound, was performed with acid catalysts. The removal efficiency of toluene over ordered mesoporous catalysts such as CeO2 (meso), ZrO2 (meso), Mn2O3 (meso) and γ-Al2O3 (meso)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γ-Al2O3 (meso) had the highest activity. Next, Mn was loaded on various Al2O3 having different pore structures and crystallinity, The catalytic activity of Mn/γ-Al2O3 (meso), Mn/γ-Al2O3 (13 nm) and Mn/α-Al2O3 were compared. Mn/γ-Al2O3 (meso) had the highest catalytic activity due to its optimized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manganese oxide composition. The increase of ozone concentration improved the carbon selectivity. However, byproducts were accumulated on the catalyst, leading to low carbon selectivity. Secondly, catalytic co-pyrolysis of lignin and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LDPE) was performed with base catalysts. From the results of catalyst characterization, MgO/C had the largest surface area and well-balanced acidity and basicity. The distribution of pyrolysis oil product and gas yield were compared over Bulk MgO, MgO/C, MgO/Al2O3 and MgO/ZrO2. As a result, MgO/C was most effective in removing oxygenates and promoting the production of aromatic hydrocarbons mainly through decarboxylation. Using MgO/C, the synergistic effect of BTEX and total aromatic hydrocarbon production was highest when the lignin/LLDPE ratio was 75:25 and 50:50, respectively. This result confirmed that the co-pyrolysis of lignin and LLDPE using MgO/C was efficient for BTEX production. Catalytic ozonat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have shown that suitabl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properties of metal oxide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atalytic activity. In addition, it has been shown that basic metal oxides supported on carbon with high surface area can be an efficient catalyst for the co-pyrolysis process. To sum up, this study shows that acid/base catalysts with high specific surface area and pore volume can be used for the industrial process with excellent activ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Response-Based Literature Instruction for Young Children(RBLI) on their language competence, literature comprehension and creativity. It was compared with the Teacher-Led Literature Instruction(TLLI). RBLI was based on Reader-Response literature theory of Rosenblatt(1995). Reader-Response literature theory emphasized the reader's understanding and opinions for the text.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forty-eight five-year-old kindergarteners. Sixteen of them participated in the RBLI(experimental group) while sixteen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TLLI(comparative group). The rest sixteen children served as a control group, participating only in pre and post test sessions. In order to monitor the effect of RBLI, Project Spectrum Language Competence Assessment and Daily Language Activity Checklists were used totest the language competence of the subjects. All subjects were also tested on literature comprehension to check the level of their understanding of the given material. K-CCTYC (Korean Comprehensive Creativity Test for Young Children) was given to test the subjects' creativity. The findings of the analyses were as follows. 1. RBLI enhanced significantly daily communicative language competence as well as general language competence compared to TLLI. 2. RBLI improved significantly level of young children's comprehension on literature. 3. RBLI showed significantly effects on all four components of creativity.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RBLI had significant effects on young children's language competence, literature comprehension and creativity. The rest of this study implicated the importance of children's active role in literature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독자 반응 이론에 바탕을 둔 유아를 대상으로 한 반응중심 동화수업을 설계하고 유아들에게 실시하였을 때 반응중심 동화수업이 유아들의 언어능력, 동화 이해도, 창의성에 효과적인가를 알아보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해 반응중심 동화수업의 효과를 교사 주도적 동화수업과 비교하여 알아보았다. 반응중심 동화수업은 Rosenblatt(1995)가 제시한 독자반응 문학이론에 바탕을 두고 있는 문학교육 방법으로, 독자반응 문학 이론은 문학에 대한 독자의 이해와 의견을 강조하는 이론이다. 유아를 대상으로 한 반응중심 동화수업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만 5세 남녀 유아 48명을 대상으로 12주 동안 24편의 동화로 총 24회의 수업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의 유아에게는 반응중심 동화수업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의 유아에게는 교사 주도적 동화수업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업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사용한 검사도구는 다음과 같다. 유아들의 언어능력을 알아보기 위한 검사로는 프로젝트 스펙트럼의 언어평가와 일상생활 언어활동 체크리스트를 사용하였다. 동화 이해도를 알아보기 위한 검사로는 동화 이해도 검사를 사용하였고, 창의성 부분은 유아 종합 창의성 검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아 대상 반응중심 동화수업을 유아들에게 실시한 결과, 언어능력 점수를 유의하게 증진시켰으며, 일상생활에서의 언어능력 점수도 유의하게 증진시켰다. 2. 유아 대상 반응중심 동화수업은 유아들의 동화 이해 능력을 유의하게 증진시켰다. 3. 유아 대상반응중심 동화수업은 창의성의 하위요인 중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상상력 모두를 유의하게 증진시켰다. 유아를 대상으로 한 반응중심 동화수업은 유아들의 언어능력과 동화 이해능력 및 창의성을 증진시키는 데 효과적이라고 결론지을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문학교육에 있어서 유아의 능동적인 역할이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Tributyltin Chlolride(TBTCl)가 수컷 흰쥐의 생식장기와 생식호르몬에 미치는 독성영향연구
류혜원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TBT(tributyltin)를 비롯한 유기주석화합물은 PVC 안정제, 각종 플라스틱 첨가제, 산업용 촉매, 살충제, 살균제, 목재 보존제 및 선박용 페인트 속에 부착방지제(antifoulant)로 사용되고 있다. Tributyltin(TBT)은 복족류에서 암컷에서 임포섹스(imposex)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유기주석 화합물의 1종인 tributyltin(TBT)이 수컷 흰쥐의 생식 장기 및 정소의 스테로이드 합성(steroidogenesis)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하고자 실시하였다. 13주령 수컷 흰쥐에 tributyltin chloride(TBTCl)를 0, 1, 2, 4mg/kg/day로 14일간 투여하였다. 그 결과 흰쥐의 전립선, 정낭, 항문 거근은 2 및 4mg/kg/day 투여 군에서 감소하였고, 부신 무게는 4mg/kg/day 투여 군에서 증가를 보였다. 혈액과 Leydig cell 배양액의 스테로이드 합성 관련 호르몬인 progesterone, testosterone, estradiol을 측정하고, 호르몬 합성과 관련 효소들의 mRNA 발현과 비교 조사하였다. 그 결과 혈청 testosterone은 4mg/kg/day 투여 군에서 감소하였고, progesterone은 약물에 용량 의존적인 감소 경향을 보이며, 1mg/kg/day 투여 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또, TBTCl은 Leydig cell의 testosterone과 progesterone의 합성능력을 감소시켰고 estradiol은 증가시켰다. 그리고 이에 관여하는 효소들인 steroidogenic acute regulatory(StAR), cytochrome P450 side-chain cleavage(P450scc), 3β-hydroxysteroid dehydrogenase (3β-HSD), cytochrome P450 17α-hydroxylase/C17,20 lyase (P450c17), 17β-hydroxysteroid dehydrogenase (17β-HSD) 그리고 aromatase의 정소 내 mRNA 발현을 조사한 결과, aromatase는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CYPscc, 3β-HSD, 17β-HSD의 발현의 감소가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TBTCl의 생식 장기 및 생식호르몬(testosterone, progesterone, estradiol) 변화는 스테로이드 합성과 관련되는 효소들의 변화에 의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Tributyltin Chloride(TBTCl) is an organotin compounds that have been widely used as antifouling agents and bioaccumulated in the food chain. TBTCl has been known to induce imposex in female gastropods. There are several reports that TBTCl increased testosterone level and inhibited the conversion of testosterone to estradiol by the aromatase cytochrome P450 enzyme. In this studies,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BTCl on steroidogenesis in testes. We dosed to 13-week-old Spragus-Dawleys(SD) male rats with TBTCl(0, 1, 2 and 4mg/kg/day) daily by gavage for 14 days. TBTCl significantly decreased the weights of seminal vesicle, prostate and LABC at 2 and 4mg/kg/day but significantly increased the weights of adrenals at 4mg/kg/day. mRNA levels of steroidogenic in blood serum and Leydig cell culture serum acute regulatory protein(StAR) and aromatase were increased whereas mRNA levels of cytochrome P450scc, 3β-HSD, P450 17α-hydroxylase/C17-20 lyase(P450c17) and mRNA of 17β-hydroxysteroid dehydrogenase(17β-HSD) were decreased by TBTCl. TBTCl significantly decreased serum testosterone level and progesterone level in TBTCl 1, 2, 4mg/kg/day, which testosterone levels was unchanged at the dose. From these results, we found that TBTCl altered mRNA expression of enzymes related steroidogenesis, weights of organs serum progesterone levels and serum estradiol levels. These suggest that the change of hormone levels may be due to alteration of mRNA levels of steroidogenic enzyme in testes by TBTCl. However further studies are necessary to investigate hormone levels in testis organ in order to elucitate a relation of enzyme related to steroidogenesis with hormone leve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