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The metropolitan body in the rise of the early English novel : 초기 영국 소설에 나타난 대도시와 몸

        류혜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런던을 주요 배경으로 대도시적 몸을 그리고 있는 네 편의18세기 영국 소설을 분석하고자 한다. 대도시적 몸이라는 개념은 물리적으로 구성된 육체적인 몸뿐만 아니라, 그 몸이 위치한 도시라는 공간과 그 공간을 규제하는 훈육의 담론이 구성하는 몸을 지시한다. 본 논문에서 다루는 작품들은 런던이라는 도시에서 일상을 살아가는 몸을 특정한 방식으로 재현하며, 이러한 재현의 방식은 몸에 대한 당대의 논의를 반영하고 재생산 한다는 점에서 궁극적으로는 몸의 담론적 구성에 참여하게 된다. 런던을 배경으로, 그 공간에서 생활하는 인물들의 몸이 18세기 영국 소설에서 어떻게 반영되고, 구성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본 논문의 목표이다. 이는 질서정연한 근대적 대도시의 등장을 공간의 재배치, 몸의 훈육, 소설의 발생이라는 세 축을 바탕으로 분석하려는 시도이기도 하다. 훈육의 체계에 대한 푸코의 분석틀과 일상의 경험에 대한 철학 비평을 결합하여 적용함으로써, 본 논문은 18세기 영국 소설이 몸과 도시 공간에 대한 훈육의 담론을 생성한다고 주장한다. 본론의 첫 장은 『런던 스파이』(1698-1700)에서 그려지는 왕정복고기의 도시를 대도시적 몸의 그로테스크한 측면과 연결하여 분석한다. 17세기 후반부터 시작된 제도적 개혁과 새로운 행동 규범의 등장은 중세의 수도를 근대적 도시로 탈바꿈시키기 시작했다. 이와 동시에, 급작스러운 인구의 증가와 훈육의 부재로 인한 무질서는 런던의 거리를 카니발의 일탈이 이루어지는 군중의 결집소로 만든다. 유동적이고 집합적인 군중의 몸체는 도시의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만들어진 계층적, 공간적 구별을 일시적으로 무력화시킨다. 위계의 질서를 불분명하게 만들고 훈육의 규범을 넘나드는 일탈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런던의 거리를 장악한 군중의 몸체는 경계가 불확실한 그로테스크한 몸으로 자리매김한다. 작품의 서술자인 스파이가 런던의 거리에서 관찰하는 거대한 군중과 이들의 구별되지 않은 몸은 오로지 도시에서만 경험할 수 있는 감각적인 즐거움의 원천이 된다. 두 번째 장에서는 『전염병 연대기』(1722)를 무질서하고 혼재된 군중을 통제하고 개혁하려는 서술자의 시도라는 측면에서 살펴본다. 18세기 초반부터 등장한 훈육의 잣대를 통해서 런던은 질서정연하게 구획된 대도시로 재편되기 시작했다. 역병에 대비한 검역과 격리의 의료체계는 병자들에 대한 면밀한 감시를 통해서 관료주의적 통제의 한 축을 이루게 된다. 그러나 질병의 위협에 시달리는 대도시적인 몸으로부터 벗어나 위생적인 몸을 지향하려는 서술자의 노력은 훈육의 담론이 등장하기 시작했음을 지시할 뿐 아니라 그러한 담론의 실패를 예증하기도 한다. 완벽한 통제의 체계를 세우고자 하는 서술자의 시도는 전염병의 창궐로 급증하는 병자들로 인해 실패하게 된다. 쌓여가는 시체와 고통 받는 병자들의 비명은 전지적 관찰자로서의 서술 능력을 혼란 시키고, 개혁적 시도를 가로막는다. 논문의 마지막 장은 『아멜리아』(1751)와 『이블리나』(1778)를 함께 살펴봄으로써 대도시적인 몸을 훈육하려는 시도의 결과로 런던이 지형적으로 구획되고 가정이라는 사적 영역이 분리되는 과정을 분석한다. 대도시적인 몸은 등장인물들의 정체성을 형성하는데 있어 가능성과 위험성을 동시에 지닌다. 런던에서 경험하게 되는 익명성은 전통적인 공동체에서의 사회적, 계층적 제한을 일시적으로 완화시킴으로써 넓은 범위의 교류를 가능하게 해준다. 이러한 교류는 또한 원치 않는 사회적 노출을 강제할 수 있는 위험성을 안고 있기도 하다. 두 작품의 등장인물들은 대도시에서의 양가적인 경험을 통해 안정되고 개별화된 자아상을 갈망하게 되고, 가정은 이러한 자아상을 생성할 수 있는 절대 영역으로 부상하게 된다. 각 인물들의 정체성은 외부로부터 내부로, 도시로부터 가정으로, 혼잡한 거리로부터 고요한 내면의 세계로 이동하여 정착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소설이 문학의 한 장르로 자리잡는 과정은 대도시적 몸이 훈육되는 과정과 궤를 같이 한다. 본 논문은 무질서하고 난폭한 대도시적인 몸이 사적인 영역에 안착함으로써 훈육되고 개별화된 근대적인 몸으로 변모되는 과정을 18세기 영국 소설을 통해서 고찰하고 있다. This thesis examines the eighteenth-century English novel in terms of the metropolitan body, molded in and by the discursive space of London. Viewing the body as both specific and collective, somatic and discursive, this thesis traces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 construction of the novel and the body, particularly with regard to the city of London. The analysis is based upon the assumption that many strata coordinate the construction of the body as a nexus of discursive, spatial, and somatic operations. The eighteenth-century novel not only reflects the physicality of the body but shapes it through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discourses about the body. How the disruptive corporeality of the metropolitan body and its discipline configure the topography of London in the new form of the novel is the main concern of this thesis. Extending the Foucauldian framework of changing technologies of discipline, and incorporating the critique of everyday lived experience to the literary domain of the novel, this thesis views the structure of the eighteenth-century novel as corporeally and topographically figured. The first chapter investigates The London Spy (1698-1700) as a product of post-Restoration London. The metropolis that the narrator of the work, the spy, explores continues to be haunted by the ghosts of the two Charleses and Cromwell even while modern institutions were beginning to emerge. Through imaginary adventures that the spy undergoes, London is presented as a gigantic, disorderly, heterogeneous metropolis.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each locale observed in his walk mark out the increasingly divergent topography of the metropolis. While parts of the city are being reorganized by the new protocols of corporeal and spatial demarcation, the agglomeration of its huge population transforms the metropolitan space into a locus of carnivalesque transgression. This chapter takes particular note of the promiscuous bodies of London crowds as constituting a paradigmatic instance of carnivalesque transgression, producing an intermingling that suspends hierarchical discrimination and a laughter that evokes the economy of the grotesque within the city space. The second chapter analyzes A Journal of the Plague Year (1722) in regard to the new spirit of Enlightenment that permeated the eighteenth century. Set in the Great Plague of 1665, the narrator’s reformative bent is continuously disrupted by the irregular topography of the old city and the inefficiency of traditional regulations before the emergence of modern bureaucracy. The grid of discipline that emerged at the beginning of the eighteenth century intended to transform the city from the site of disorderly agglomeration into a structure of clearly differentiated segregation. In A Journal of the Plague Year, the differences thereby produced and controlled are intertwined with matters of bureaucratic administration and medical concern raised by the narrator’s proposal to deal with the potential threat of the plague. Veering away from the sick, heterogeneous body toward the construction of the sanitized, enclosed self, the narrative of A Journal of the Plague Year not only prefigures reformist tracts that attempt to demonstrate the constructive power of disciplinary regime but also their ultimate failure. The uncontainable bodies of the sick disrupt the narrator’s attempts at complete authoritative surveillance, implicating him in corporeal sameness. The last chapter concerns the metropolitan experience from the female point of view. By elaborating the dialectical relationship of women to the trope of the metropolis, this chapter attempts to connect the establishment of domestic space and the expulsion of the heterogeneous body from such space with the containment of the novel as a form of domestication. In Amelia (1751) and Evelina (1778), the city of London has ambivalent effects on the two female characters. Their anonymity in the metropolis temporarily incapacitates the demarcation of propriety, exposing them to a wide range of social intercourse. At the same time, this freedom affects the female body, threatening its integrity through dangerous corporeal exchanges. The experience of anonymity in the urban masses creates a continuous fluctuation of identity, and this fluctuating selfhood eventually prompts return home, where the female character can anchor identities within a stable domestic sphere, seemingly a safe haven from the disorderliness of the metropolis. This process of domestication is interrelated with a newly accentuated focus on interiority and the literary convention of transparency, which render the character’s internal life fully accessible and intensely visible without direct intervention of the author. The movement of the two characters from outdoors to indoors, from the metropolis to the confines of the home, and from public sites to the domestic interior marks out the separation of the individual body from the collective composite corporeality. The eagerly wild, exuberant, unruly roaming in the city streets is contained by the establishment of the domestic sphere that sets out to establish propriety in both spatial and corporeal senses by the end of the century. The alignment of the metropolis, the body, and the novel establishes the modern order of the civilized metropolis.

      • Structural refinement of (Quinolin-4(1H)-ylidene)acetamide derivatives as potential cannabinoid receptor ligands

        류혜원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endocannabinoid system consists of CB1 receptors and CB2 receptors, which are G-protein coupled receptor. The CB1 receptor is mainly expressed in the brain and central nervous system (CNS), while the CB2 receptor is expressed in the peripheral nervous system (PNS) and immune cells. In addition, cannabinoid receptors are evenly distributed over many organs, making them an important target for development of possible therapeutic agents for various diseases. Some existing cannabinoid receptor agonists have anti-inflammatory and analgesic effects, but usually have serious CNS side effects due to activation of the CB1 receptor present in the CNS. Furthermore, some reported agonists acting selectively on CB2 receptor did not show significant pharmacological effects in the clinical tests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animal model and humans. Accordingly, as the importance of the CB1 receptor for the drug target has emerged again, peripherally limited CB1/2 dual agonists, like CB13 have been developed to avoid CNS side effects. In a previous study, we constructed the (quinolin-4(1H)-ylidene)acetamide skeleton through the fusion of oxoquinoline structure that selectively acts on the CB2 receptor and the vinylidene indene structure which act as CB1/2 dual agonist and on peripheral system. In our laboratory, many compounds of this skeleton were designed and synthesized by diversifying the N-substitution of amide based on the docking study for CB1/2 receptor, in silico druggable properties, and prediction of BBB (blood-brain barrier) permeability to lead 4-arylidenylquinoline derivatives and their 4-thioquinolinium salts, respectively. Among synthesized compounds, HY4 having N-indolyl carboxamide moiety and its salt HY-S4 showed potent receptor binding affinities against CB1 and CB2 receptors and agonism effect superior to Novartis pharma developed CB13. Accordingly, in this work to design new CB1/2 dual agonists, the (quinolin-4(1H)-ylidene)acetamide skeleton was fixed with the N-indolyl carboxamide moiety, and the N-pentyl substituent of the quinoline ring was changed to different alkyl, acetoxyalkyl, hydroxyalkyl, fluoroalkyl, and aminoethyl substituents. New seventeen 1-(1H-indol-1-yl)-2-(quinolin-4(1H)-ylidene)ethan-1-one acetamide compounds and fifteen 4-thioquinolinium salts were synthesized starting from 4-quinolinol according to the synthesis procedures established in the previous study. Synthesized compounds will be tested for CB1/2 receptor binding affinities and cAMP accumulation effects in the future. 내인성 카나비노이드 시스템은 GPCR의 일종인 CB1 수용체와 CB2 수용체로 이루어져 있다. CB1 수용체는 주로 뇌와 중추신경계에, CB2 수용체는 말초신경계와 면역세포에 발현되어 있다. 이 외에도 카나비노이드 수용체들은 여러 장기에 골고 루 분포하고 있어 다양한 질병의 치료제 개발에 중요한 목표가 될 수 있다. 카나비노이드 수용체 작용제들은 항염증효과와 진통 효과를 나타내지만 중추신 경계에 존재하는 CB1 수용체의 활성화로 인해 심각한 중추신경계 부작용을 나타냈 다. CB2 수용체 작용제의 개발은 동물모델과의 종간 차이로 인해 임상에서 유의미 한 효과를 보이지 못하여 제한적인 성과를 거두었다. 이에 CB1 수용체의 중요성이 다시금 대두되면서, Novartis에 의해 신경병성 통증 치료제의 후보 물질로 연구된 CB13과 같이 중추신경계 부작용을 피할 수 있도록 말초에 제한적으로 작용하는 CB1/2 이중작용제가 개발되고 있다. 선행 연구에서 CB2 수용체에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oxoquinoline 구조와 CB1/2 이중작용제이자 말초 제한적인 효과를 가지는 vinylidene indene 구조를 조합하여 (quinolin-4(1H)-ylidene)acetamide 골격을 구축하였다. 선행연구의 화합물들은 CB1/2 수용체에 대한 docking study, in silico druggable property 및 BBB 투과도 예측을 고려하여 amide의 질소 치환체를 다양화하였다. 총 16종의 arylidene acetamide 화합물과 그의 4-thioquinolinium salt 화합물은 CB13을 대조군으로 하여 CB1/2 수용체 결합 능력 평가와 cAMP 평가가 진행되었다. 그 중에서 Nindolyl carboxamide moiety를 가지는 HY4와 그의 salt HY-S4가 CB13보다 우 수한 수용체 결합 능력과 agonism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새로운 CB1/2 이중 작용제를 디자인하기 위한 본 연구에서는 (quinolin-4(1H)-ylidene)acetamide 골격에서 amide의 질소 치환체를 Nindolyl carboxamide로 고정하고, 기존에 quinoline 고리의 N-pentyl 치환체를 alkyl, acetoxyalkyl, hydroxyalkyl, fluoroalkyl 치환체로 다양화하였다. 선행 연구 에서 구축한 합성법을 따라 4-quinolinol을 출발 물질로 하여 새로운 17종의 1- (1H-indol-1-yl)-2-(quinolin-4(1H)-ylidene)ethan-1-one acetamide 화합 물들을 합성하였다. 합성한 화합물들은 선행연구와 마찬가지로 빠른 시일 내에 CB1/2 수용체 결합 능력 평가와 cAMP 평가를 진행할 예정이다.

      •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소아암 아동을 위한 미술치료 현장실습 체험연구

        류혜원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master's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who experienced on-site art trerapy for children with childhood cancer, the meaning of their experiences, and the nature of experienced phenomena. Based on the common experience of master's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on-site art therapy for children with cancer, we will adopt phenomenological analysis methods to learn the nature of the phenomenon, describe in detail what they experienced and how they experienced it, and find the essential elements and structure of the experienc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earn about the experiences and meanings of children's cancer art therapy experiences by master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and to use it as data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children's cancer art practice. The research question of this study is, "What is the experience of a master's degree in art therapy who has experienced on-site art therapy for children with childhood cancer, and what is its meaning and essence?" For this study, five master's degree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with field experience in art therapy for children with childhood cancer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In-depth research was conducted non-face-to-face from October to November 2020,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about two to three times each until the data was satura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Max van Manen's analytical phenomenology research method, and six intrinsic and 17 subtopics were derived. The six essential topics are: ‘I feel new feelings about medical art therapy and children's inner circle’,‘Experiencing difficulties in setting up the structure of art therapy’,‘Not enough as an art therapist for children with cancer’,‘Try various things for better art therapy’,‘I feel a sense of accomplishment as a healer through the changing image of a child’,‘I found myself growing up as an art therapis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conclusion of the field practice experience of art therapy for children with a master's degree in art therapy is as follows. First, a master's degree in art therapy meets a child cancer child with a special setting called an open studio, unlike other labs, and the trainee suffers from confusion and difficulty in an unexpected changing treatment environment. Second, master's degree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can experience the power of healing art therapy through the positive change of children with cancer. Third, a master's degree student majoring in art therapy feels that he is growing up as an art therapist through art therapy with children with childhood cancer.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contribute to the area of art therapy as follows: First, this study wanted to convey vividly the experiences experienced by art therapy master students through on-site practice of art therapy for children with childhood cancer through individual statements. It is meaningful that this will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group of inner patients that are not easily accessible. In addition, it is hoped that art therapy targeting children of childhood cancer will be established in the field of medical art therapy by presenting the role and effect of art therapy for children of childhood cancer. Secon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vivid statements of research participants can provide indirect experience in the field to the master's degree trainees who are about to practice pediatric cancer art therapy. Finally, the subjects of art therapy in this study consisted mostly of children under the age of 13. For follow-up research, we propose various types of research, such as a master's degree in art therapy that conducted on-site art therapy practice for children under the age of 13 as well as children with cancer. In addition, this study is an experience study on art therapy for children with childhood cancer. Throughout the study, I learned that families who take care of children with cancer also have psychological difficulties. Therefore, I propose a follow-up study on the field practice of master's degree in art therapy for parents and siblings of childhood cancer patients. 본 연구는 소아암 아동을 위한 미술치료 현장실습을 경험한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경험에 대해 알아보고 그들이 경험한 체험의 의미와 체험된 현상의 본질을 탐구하고자 진행하였다. 소아암 아동을 위한 미술치료 현장실습을 경험한 석사과정생이 갖는 공통된 경험에 따라 그 현상에 대한 본질을 알아보기 위하여 현상학적 해석학 방법을 채택하고, 실습생이 무엇을 체험했는지, 어떻게 체험했는지에 대해 상세하게 기술하고 체험의 본질적 요소와 구조를 찾아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이 소아암 미술치료 현장실습을 통해 경험한 것과 그 경험에 대한 의미를 알아보는 것으로, 실습생들의 소아암 미술치료 현장실습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소아암 아동을 위한 미술치료 현장실습을 경험한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체험은 어떠하며, 그 의미와 본질을 무엇인가?”이다. 본 연구를 위해 소아암 아동 대상 미술치료 현장실습 경험이 있는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 5명을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심층연구는 2020년 10월부터 11월까지 비대면으로 진행되었으며, 자료가 포화 수집될 때까지 각 2~3회 정도 면담이 진행되었다.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방법에 따라 수집된 자료들을 분석하였으며, 6개의 본질적 주제와 17개의 하위 주제를 도출하였다. 6개의 본질적 주제는 다음과 같다. <의료미술치료와 아동 내담자에 대해 새로운 감정을 느낌>, <미술치료 구조설정에 대한 어려움을 경험함>, <소아암 아동을 위한 미술치료사로서 부족함을 느낌>, <더 나은 미술치료를 위해 다양한 것들을 시도해봄>, <변화하는 아동의 모습을 통해 치료사로서 성취감을 느낌>, <미술치료사로서 성장해가는 나를 발견함>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소아암 아동을 위한 미술치료 현장실습 체험의 결론과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은 다른 실습지와 다르게 오픈스튜디오라는 특수한 세팅으로 소아암 아동을 만나게 되고, 예기치 않게 변화되는 치료 환경 속에 실습생은 혼란스러움과 어려움을 겪는다. 둘째,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은 소아암 아동이 긍정적으로 변화하는 모습을 통해 미술치료 치유의 힘을 경험할 수 있다. 셋째,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은 소아암 아동과의 미술치료를 통하여 자신이 미술치료사로서 성장함을 느끼게 된다. 본 연구의 결론이 미술치료 전공 영역에 기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미술치료 석사과정생이 소아암 아동 대상 미술치료 현장실습을 통해 겪는 경험을 각 개인의 진술을 통해 생생하게 전달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쉽게 접할 수 없는 내담자 그룹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소아암 아동을 위한 미술치료의 역할과 효과를 제시함으로써 의료미술치료 영역에서 소아암 아동을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가 자리매김하기를 기대한다. 둘째, 본 연구는 연구 참여자의 생생한 진술을 통해 소아암 미술치료 실습을 앞둔 석사과정 실습생에게 현장에 대한 간접적인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미술치료의 내담자는 대부분 13세 미만의 아동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후속 연구를 위해 13세 미만의 소아암 아동뿐만 아니라 소아암 청소년 대상 미술치료 현장실습을 진행한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연구와 같은 다양한 유형의 연구를 제언한다. 또한, 본 연구는 소아암 아동을 위한 미술치료 현장실습 체험연구이다. 연구를 진행하며 소아암 아동을 돌보는 가족들도 심리적으로 어려움을 겪는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에 소아암 환자의 부모와 형제들에 대한 미술치료 석사과정생의 현장실습에 관한 후속 연구를 제언한다.

      • 『걸리버 여행기』에 나타난 풍자가 걸리버의 사회 비판 : 상업화와 여성 혐오를 중심으로

        류혜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18세기에 새로이 등장한 상업 문화에 대한 비판을 스위프트의 여성 혐오와 관련 지어 고찰하고자 한다. 작품 내에서 작가로 등장하는 걸리버와 실제 작가인 스위프트가 맺고 있는 관계는 『걸리버 여행기』에 나타난 근대 영국 사회에 대한 풍자의 복합적 구조를 조명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걸리버는 영국 문화의 상업화를 비판하는 염세주의자인 동시에 판매를 위해 자신의 글을 문학 시장에 내놓는 삼류 문인이라는 점에서 스위프트의 자기 비판을 형상화한 창조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걸리버가 평범한 영국인으로부터 근대 영국의 가치관을 비판하는 염세가로 변화하는 과정을 추적하려 한다. 휘님 종족은 상업화에 의해 부패되지 않은 고전적 미덕을 가장 잘 구현하는 종족으로, 걸리버는 이들에게 감화되어 영국 사회를 비판하는 풍자가로 변화하게 된다. 영국 사회에 대한 비판에서 특히 두드러지는 부분은 여성에 대한 반감인데, 특히 여성의 육체를 기괴하게 묘사함으로써 여성은 탐욕과 감각적 욕구에 지배당하는 존재로 규정된다. 이처럼 여성을 폄하하는 원인은 여성의 소비가 상업화의 확산을 부추긴다는 시각에서 찾을 수 있다. 여성의 육체는 당대 영국의 탐욕, 소비, 퇴화를 부추기는 원천으로 자리매김하게 된다. 걸리버는 상업화를 비판하며 소비문화로부터 거리를 유지하려 하지만, 결국에는 천박한 여성에게 여흥을 제공하는 삼류 문인이라는 점에서 그의 시도는 실패할 수 밖에 없다. 그러므로 결과적으로 걸리버는 풍자가인 동시에 풍자의 대상이기도 한 것이다. 스위프트는 걸리버를 삼류 문인으로 형상화함으로써 『걸리버 여행기』에서 생산되는 복합적 풍자의 망에 스스로를 연루시키고 있다. This thesis investigates critiques of the new culture of commerce and its relationship with Swift's notorious misogyny.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Gulliver, the fictive writer, and Swift, the real author, illuminates the complex structure of the satire in Gulliver's Travels. Gulliver is the creation of Swift's self-critical representation: both a misanthrope who criticizes the commercialization of English culture and a scribbler who places his works for sale in the literary marketplace. This thesis traces the process through which Gulliver has converted from a common Englishman to a misanthrope who satirizes modern English values. Houyhnhnms represent the classical civic virtue that is not corrupted by commercialization. Swift views commercialization as stemming from female consumption. The description of female body is monstrous and degrading because the female body is located as source of modern greed, consumption, and degradation. Gulliver tries to keep his distance from the culture of consumption but is bound to fail in this enterprise since he is in the end a mere hack writer who provides entertainment for frivolous women. Thus Gulliver is ultimately revealed to be at once a satirist and the butt of his own satire, and hence Swift himself is implicated in the complex web cast by the satire in Gulliver's Travels.

      • CXCR7 promotes migration and invasion in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by upregulating TGF-β1/Smad2/3 signaling

        류혜원 忠南大學校 大學院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서론: 케모카인 수용체 CXCR7은 악성 종양의 발생 및 진행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두경부암에서 CXCR7의 생물학적 역할에 대한 연구는 매우 드물다. 본 연구에서는 두경부 편평상피세포암에서 CXCR7의 분자생물학적 기능과 임상적 의미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충남대학교병원에서 수술을 받은 103명의 두경부 편평상피세포암 환자유래 조직을 이용하여 CXCR7에 대한 면역화학염색을 시행하였고, CXCR7의 발현과 임상병리학적 인자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두경부암에서 CXCR7의 병태생리학적 역할과 기전을 밝히기 위해 두경부 편평상피세포암 세포주와 동물모델을 이용하였다. 결과: 두경부암 환자에서 CXCR7의 과발현은 종양 크기 (P = 0.007), 임파선 전이 (P = 0.004) 및 병기 (P = 0.020)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연관성이 있었다. 두경부암 세포주에서 CXCR7의 과발현은 암세포의 이동 및 침윤을 증가시켰으며, 마우스를 이용한 동물실험에서도 CXCR7의 과발현이 임파선 전이를 촉진시켰다. 두경부암 세포주에서 CXCR7은 TGF-β1의 분비를 증가시켜 Smad2/3의 인산화를 유도하고 하위 PI3K/AKT 신호전달을 통해 상피-중간엽전이를 유도하였다. 결론: 두경부암에서 CXCR7이 TGF-β1/Smad2/3 경로를 통하여 암 진행 및 전이를 촉진하는 것으로 보아 CXCR7이 두경부암의 병태생리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chemokine receptor CXCR7 has been suggested to play important roles in the progression of several types of cancers. However, few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biological roles of CXCR7 in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HNSCC). CXCR7 expression and its clinical implications were examined in 103 HNSCC tissues using immunohistochemistry (IHC). The biological roles and mechanisms of CXCR7-mediated signaling pathways were investigated in HNSCC cells through CXCR7 overexpression in vitro and in vivo. High expression of CXCR7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umor size (P = 0.007), lymph node metastasis (P = 0.004), and stage (P = 0.020) in HNSCC. Overexpression of CXCR7 in HNSCC cells enhanced cell migration and invasion in vitro and promoted lymph node metastasis in vivo. CXCR7 also induced 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 through PI3K/AKT. CXCR7 increased secretion of transforming growth factor-β1 (TGF-β1) and promoted EMT through phosphorylated Smad2/3. Taken together, my results provide functional and mechanistic roles of CXCR7 as a master regulator of oncogenic TGF-β1/Smad2/3 signaling in HNSCC, suggesting that CXCR7 might be a therapeutic target for the treatment of HNSCC.

      • 통합교육에 관한 초등학교 일반교사의 인식 조사

        류혜원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 우리나라의 특수교육은 장애아동을 일반아동과 함께 최대한 적절한 환경에서 교육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통합교육의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성공적인 통합을 위해서는 행정적·재정적·교육과정적·사회적 지워도 중요하지만 교사와 아동의 상호 작용에 지대한 영향을 주는 교사들의 통합교육 및 장애아동에 대한 이해 및 협조가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일반교사들의 장애아 통합교육에 관한 전반적인 인식을 조사하여 초등학교 장애아 통합교육 수행의 현주소를 파악하는데 있다. 또한 그 인식에 교사들의 교직경력, 특수교육 관련 연수경험, 장애아동 지도 경험의 각 변인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하여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장애아 통합교육 방향을 세워나가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수원시내 공립 초등학교 일반교사 270명을 대상으로 통합교육에 관한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문항별로 빈도와 비율을 산출하였고, 일원변량 분석과 scheffe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일반교사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이해도는 특수학급 담임과 장애아동 지도 경험이 있는 교사들, 교직 경력 5년에서 15년 미만의 교사들의 인식이 긍정적이었다. 또 교육기관에서 직무연수를 받은 교사들의 인식이 자율 연수를 받거나 연수 경험이 전혀 없는 교사들보다 높았다. 둘째, 초등학교 일반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통합교육 수행의 문제점을 요인별로 살펴보면, 교직 경력에 따른 인식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특수학급 담임과 특수학급이 없는 학교에서 장애아동 지도 경험이 있는 교사들의 인식이 장애아동 지도 경험이 없는 교사들보다 높았고, 교육기관에서 직무연수를 받은 교사들의 인식이 대학교에서 특수교육 관련 강의를 듣거나 연수 경험이 없는 교사들보다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통합교육 실현을 저해하는 요인으로는 과중한 업무와 특수교육에 대한 지식 부족, 학급 운영의 피해 등을 가장 큰 원인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교 일반교사들의 통합교육을 위해 필요한 지원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10년 미만의 교직 경력을 가진 교사들과 특수학급 담임, 특수학급이 없는 학교에서 장애아동을 지도한 경험이 있는 교사들, 교육기관에서 직무연수를 받은 교사들의 인식이 높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들을 볼 때, 일반교사들의 입급된 장애아동의 교육권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는 연수가 필요하며, 일반교사들이 특수교육에 대한 전문성을 갖춰 통합교육의 이점을 충분히 살릴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에 교육현장에서 교사들이 저해요인으로 인식하고 있는 요소들을 점차적으로 경감시켜, 통합을 위한 최적의 여건을 마련하기 위한 지원이 이루어져야 통합교육의 본 취지를 잘 살릴 수 있을 것이다.

      • Short course and early switch of vigabatrin for infantile spasms

        류혜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Purpose Vigabatrin has proven efficacy in the treatment of infantile spasms, but carries the risk of irreversible visual field constriction. Incidence of the vigabatrin -induced visual field constriction seems to depend on the extent of vigabatrin exposur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whether the therapeutic effect is maintained in patients with infantile spasms receiving a short vigabatrin course followed by switching to another antiepileptic drug (AED). Methods Patients with infantile spasms responsive to initial vigabatrin treatment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 vigabatrin switch group (n=25) and a vigabatrin maintenance group (n=41). Vigabatrin was switched to other drugs within 6 months of spasm remission. The rate of seizure recurrence at 6 and 12 months from spasms remission was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vigabatrin switch and maintenance groups in the age of onset, presence of concomitant seizures, time from spasm onset to vigabatrin treatment, time from vigabatrin treatment initiation to spasm remission and vigabatrin dose at spasm remission. The number of patients with seizure recurrence at 12 months from spasm remission was 3 (3/25, 12%) in the vigabatrin switch group and 10 (10/41, 24.4%) in the vigabatrin maintenance group. The seizure recurrence rate at 12 months from spasm remissio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roups. Ten of 13 patients with seizure recurrence had symptomatic etiology. Conclusion A short course of vigabatrin could be considered in patients with infantile spasms who were responsive to initial vigabatrin treatment, since spasm remission was maintained after switching to other drugs. Whether this strategy could ultimately result in lower incidence of visual field defect should be further investigated.

      • Franz Liszt의「Piano sonata in B minor」연구

        류혜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리스트 (Franz Liszt 1811-86)는 19세기 낭만음악에서의 절대적인 인물로 많은 작품을 작곡, 편곡하였고 여러 새로운 방법들을 시도하였다. 그는 여러 부류의 음악작품에서도 공헌한 바가 크지만 피아노의 귀재로서 피아노 음악에 있어서 가장 위대한 업적을 남겼다. 그리하여 피아노 음악에서는 새로운 방법과 피아노 기법들이 개발되었는데, 이러한 수법들이 잘 나타난 『피아노 소나타 B단조』는 리스트의 바이마르시절의 최고의 업적이며 19세기 피아노 음악 중 가장 걸작이라 할 수 있겠다. 본 논문에서는 피아노 소나타 B단조를 연구함으로써 그의 음악작품의 구조와 형식, 새로운 음악어법, 발전된 피아노 주법등을 살펴보겠다. B단조 소타나는 1852-53년에 작곡되어진 리스트의 유일한 소나타 작품으로 고전 피아노 소나타가 여러 악장으로 분리된데 반해 이 작품을 하나의 악장으로 되어 소나타의 구성 원리를 새롭게 해석하여 논리적인 배열 안에서 연속적인 여러 개의 부분 (section)들로 되어있다. 약 30분의 긴 연주 시간을 필요로 하는 이 곡은 760마디의 곡 전체에 5개의 주제적 소재들이 '주제 변형 기법 (Thematic trasformation)' 으로 나타내어지는데 긴 소재들은 전 곡을 통해서 음형적, 선율적, 성격적, 그리고 단편적으로 응용되어지며 리듬의 확대와 축소, 선율적인 유사, 전위 등의 무한한 변형과 발전된 수법으로 극적인 효과를 보여주고 교향시의 특징이라 할 수 있는 순환형식을 이 소나타에 성공적으로 도입하였다. 결론적으로 리스트의 소나타 B단조는 19세기 낭만음악과 그의 많은 작품들 중의 걸작으로 '소나타 (Sonata)' 라는 제목을 가지고 기존의 형식들과의 다른 소나타 구성으로 새롭게 해석한 점과 새로운 피아노 기술들을 도입하여 피아노라는 악기를 최고의 수준으로 끌어올린 탁원한 작품으로 연주자에게도 도전해 볼 만한 가치가 있으며, 연구적 가치로도 충분한 작품이다. This study is research about the piano work 'Piano sonata in B minor ' of the Franz Liszt(1811~1886). Liszt was one of the leaders of the Romantic movement in music. And the piano stood at the center of Liszt's life and work. In his compositions he developed new methods, both imaginative and technical. Liszt's virtuosic piano sonata(1852~1853) composed in Weimar and this sonata is the Liszt's only piano sonata. This sonata is one movement that comprises sections in different tempos and employs the technique of thematic transformation, already evident in his symphonic poems. Liszt used a form of development akin to variation which he called thematic transformation. In sonata, five thematic element are transformed by the method of melodic similarity, augmentation&#8228;diminution of the rhythm, interval and inversion. And structure of this sonata includes the 'sonata form(exposition - development - recapitula -tion)' and 'sonata(multiple movements form)'. In short, in this sonata Liszt has marshalled all the resources of the piano, controlling them with what he chose to take from traditional sonata form. And this work showed Liszt's great dramatic power and lyrical expression by new method. The B minor sonata is one of the masterpieces of nineteenth- century piano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