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과거사청산에서 사회적 의례의 인식

        노용석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7 민족문화논총 Vol.67 No.-

        Since 2014, about 10 civil society organizations have conducted the exhumation of remains of civilian victims around the Korean War. This exhumation began in the process of urging the nation to continue its transitional justice program that was closed in 2010, it has unearthed some 40 remains in three areas. Exhumation of Civil society organizations are different from the exhumation of state and victims’ family. This exhumation is not an exhumation to find the body of the victim to the bereaved family, but rather an activation process of 'social discourse' to continue transitional justice suspended in Korea. In particular, the discovery of remains has also created an opportunity to change the perception of the bereaved. Originally, victims’ families were aimed at finding the body of the family in the discovery of remains, while participating in exhumations by civil society organizations, they gradually became aware of social rituals in the transitional justice in Korea. At this time, social rite is a sort of "commemoration and consolation" that prevents the mistake of national violence that occurred in the previous period from being recurred again in the future. This means that the unfair death of the family is viewed from a wider social perspective. 2014년부터 약 10여 개의 시민사회단체들은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피학살자 유해 발굴을 실시하였다. 이 발굴은 2010년 진실화해위원회가 종료된 이후 국가의 계속적인 진실규명 사업을 촉구하는 과정에서 시작되었고, 2017년까지 모두 세 곳의 매장추정지에서 약 40여 구의 유해를 발굴하였다. 시민사회단체의 유해 발굴은 이전 유족들이 중심이 되었던 발굴 및 국가주도 유해 발굴과는 다른 특성을 가지는데, 이 발굴은 유족들에게 희생자의 시신을 찾아주기 위한 발굴이기보다는, 한국에서 정지된 과거사청산을 계속 진행하기 위한 ‘사회적 담론’의 활성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유해 발굴은 그 과정에서 유족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계기를 만들기도 하였다. 본디 유족들은 유해 발굴에서 가족의 시신을 찾는 것이 목표였으나, 시민사회단체에 의한 발굴에 참여하면서 점차적으로 과거사청산에서의 사회적 의례 인식을 갖게 되었다. 이때 사회적 의례라 함은 이전 시기 발생하였던 국가폭력의 과오를 후대에 다시금 재발되지 않도록 하는 일종의 ‘기념과 위령’의 과정으로서, 가족의 억울한 죽음을 좀 더 넓은 사회적 시각에서 바라본다는 의미를 가진다.

      • KCI등재

        빨치산의 기억으로 본 한국전쟁기 민간인학살 -전남 함평 불갑산지역 민간인학살 사례를 중심으로-

        노용석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9 민족문화논총 Vol.73 No.-

        This article looks at the cases of civilian massacre in Hampyeong Bulgapsan area, Jeonnam, through specific oral testimony. The research on civilian killings during the Korean War has been actively conducted since 2000, and considerable research achievements have been accumulated. In particular, the study of civilian genocide during the Korean War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areas of "history from below" and "memory politics," bringing many "forgotten records" that were not incorporated into mainstream discourse after the Korean War to the level of official history. However, the situation of division in Korean society has an important influence on evaluating and interpreting things. Therefore, there is not much research on interpreting historical events through the partisans or the Army od North Korea, which was the former enemy. This paper reconstructs the situation at the time of the Korean War and the massacre of civilians in the Bubapsan area through the memory of a person who worked as a partisan in Hampyeong Bupyeongsan area during the Korean War. Such attempts can help to expand the interpretation of history unified by the situation of division and the “Red Complex” in various ways, and also to provide a more objective view of events such as the killing of civilians. 이 글은 역사적 사건이라 할 수 있는 전남 함평 불갑산지역 민간인학살 사례를 개인의 구술증언을 통해 바라보고 있다. 한국전쟁기 민간인학살에 대한 연구는 2000년 이후부터 활발하게 전개되어, 상당한 수준의 연구성과가 축적되었다. 특히 한국전쟁기 민간인학살 연구는 ‘아래로부터의 역사’와 ‘기억정치’라는 부분에서 상당히 큰 역할을 하였으며, 한국전쟁 이후 주류담론으로 편입하지 못했던 많은 ‘잊혀진 기록’들을 공식적 역사의 수준으로 끌어올렸다. 하지만 아직까지 한국 사회에서 분단이라는 상황은 사물을 평가하고 해석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과거 ‘적군’이었던 빨치산이나 인민군을 통해 역사적 사건을 해석하는 것은 그리 많은 연구가 나오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 논문은 한국전쟁 당시 전남 함평 불갑산지역에서 빨치산으로 활동하였던 사람의 기억을 통해 한국전쟁 당시의 상황과 불갑산지역 민간인 학살 사건을 재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시도는 분단 상황과 레드 콤플렉스 등에 의해 일원화되었던 역사의 해석을 다양한 방식으로 확장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고, 또한 민간인학살과 같은 사건을 좀 더 객관적인 시각에서 볼 수 있도록 도와준다.

      • KCI등재

        부산역 인근 ‘텍사스촌’의 형성과 러시아어권 이주민 유입 연구

        노용석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22 민족문화논총 Vol.82 No.-

        부산역 인근에 위치한 동구 초량동 텍사스촌은 2022년 현재까지도 어떤 사람들에게 ‘러시아인의 거리’로 알려져 있고, 또한 어떤 이들에게는 근접할 수없는 ‘윤락가’와 ‘홍등가’로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이곳은 역사적으로 화교와미군을 비롯한 수많은 외국인 방문객들이 복합적으로 엮인 곳이라 할 수 있으며, 러시아인들은 무대 주역의 한 부분일 뿐이다. 그럼에도 한국인들은 이 구역을 러시아인들의 전유물이었다고 생각하고, 텍사스촌의 ‘윤락가’ 인식은 러시아인들을 바라보는 일반적 관념이 되어버렸다. 하지만 부산역 인근 텍사스촌은 1990년대 냉전 이후 한국과 처음 수교를 한 러시아의 ‘데뷔 무대’였고, 이곳에서 러시아인들을 대상으로 한국의 경제가 상당 부분 발전할 수 있었다. 이 논문은 부산역 인근 텍사스촌의 형성 배경과 러시아어권 이주민 유입에 관한 고찰로서, 향후 실시될 부산 경남지역 전체 러시아어권 이주민 조사의 총괄 데이터를 완성하기 위하여 실시된 것이다.

      • KCI등재후보

        사장님이 되었던 빨치산 : 어느 남부군 대원의 생애와 빨치산 활동의 회고

        노용석 한국구술사학회 2016 구술사연구 Vol.7 No.1

        이 글은 한국전쟁 중 빨치산으로 활동하였던 인물의 인생을 기록한 것이다. 글 속 에 등장하는 김태규는 경북 성주에서 출생하여 남한에서 생활하던 중 1949년 ‘스미스’호라는 선박을 이끌고 월북하였다. 이후 그는 ‘제3군관학교’에서 빨치산 양성교육 을 받은 후 1950년 6월 남파되었으며, 1950년 10월부터 남한 빨치산의 대명사라 할 수 있는 남부군(일명 이현상 부대)에 들어가 ‘조국해방전쟁’에 참여하였다. 그는 수 많은 전투를 겪으며 용감히 ‘투쟁’하였으나, 1954년 국군에 의해 체포되어 15년의 수형생활을 경험하게 된다. 김태규는 출소 후 부산과 대구 등지에서 사업을해 크게 성공하여 사장님이 되기도 하였다. 김태규가 남긴 글은 남부군의 전투상황에 관한 것 이지만, 남부군 내부의 관점에서 부대 운영상황에 대한 날카로운 비판을 담고 있다는 측면에서 상당히 중요한 기록이라 할 수 있다. 우리는 이 기록을 통해 한국 현대사에 서 경계를 넘어섰던 한 사람의 인생을 재발견 할 수 있다. This article analyzes a document that describes the life history of a war veteran named Kim Tae-Kyu, who participated in partisan activity in the Korean War. Kim was born in Seongju, Kyeongsangbuk-do. After liberation, he lived in South Korea as a sailor. However, in 1947, he joined the Communist Party, and in 1949, moved to North Korea, crossing the 38th parallel with a ship called Smith. In 1949, Kim entered “the 3rd military school” in North Korea to become a partisan, and then in June 1950, he secretly entered South Korea with a spec ial mission. From October 1950, Kim partic ipated in the ”National Liberation War“ as a ”Nambugun“ warrior. ”Nambugun“ was the most well-known partisan organization during the Korean War. He bravely fought in many battles, but was arrested by the South Korean army in 1954 and imprisoned until 1969. After being released from prison, Kim achieved great success in business, becoming a ”boss“ of a company. Although the document written by Kim describes mainly how the ”Nambugun“ fought during the Korean War, it is very useful in understanding someone who crossed the border in modern Korean history.

      • KCI등재후보

        과테말라 한인 사회의 형성과 문화적응전략으로서의 특수성

        노용석 사단법인 한국민족연구원 2014 민족연구 Vol.0 No.57

        This article is a case study focusing formation of Korean society in Guatemala anddistinct of migration. Korean people have begun migration to Guatemala since around1962, and now there are around 10,000 Korean people living in Guatemala. TheKorean society in Guatemala is divided two major groups, workers of maquiladora andmerchants. They just want pursuit of profit without contact with host society. In therespect of cross-cultural psychology, the type of migration model in Korean society ofGuatemala can be called ‘separation’, rejecting contact with the host society. Thereare so many problem such as intercultural communication in the workshop of Koreanfactory and split of Korean community in Guatemala Korean society. The reason ofthe problem is resulted from negative effect of short term migration, and is also oneof the crucial distinct in emigrant of Latin America. Neo-liberalism focusing free tradeand multinational corporation makes a new type of short term migration which isjust seeking profit without contact the host society. The case of Korean society inGuatemala is typical short term migration.

      • KCI등재

        한국 어촌의 문화변동과 어민의 적응전략 연구 - 어민들의 구술생활사 분석을 중심으로

        노용석,고종환,정해조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0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llect the oral history of fishermen working in the marine and fisheries field, and explain what are the major cultural changes currently being experienced by Korean fishing villages and what aspects of the adaptation strategies of fishermen to overcome them. In this study, 12 fishermen with different occupations were selected from major coastal cities in Korea to investigate the reality of Korean fishing villages and fishermen's life history. The fishermen explained to the research team how to catch fish, transmit knowledge, and learn the memory and cognition to grasp the natural environment during the investigation process. It is true that, beyond the 21st century, the life history of Korean fishing villages and fishermen is undergoing enormous changes. At present, in terms of resources, Korean fishing villages have changed a large number of fish species due to climate change and water temperature, and as a result, uncertainty in the economic life of fishermen is growing. Also, from a social point of view, Korean fishing villages 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supply and demand of domestic labor due to the avoidance of fishing among young people, and as a result, the number of foreign workers is rapidly increasing in most fishing villages. Based on the testimony of the fishermen and the results of the survey, the research team analyzed the adaptation strategies of Korean fishermen in preparation for future cultural changes. However, since this study was conducted not only for all Korean fishermen but mainly for the life history and testimony of 12 selected fishermen, this study is not a comprehensive study of Korean fishermen, but rather an oral history study based on qualitative research. 본 논문의 목적은 해양수산 분야에 종사하는 전국 어민들의 구술생활사를 수집하고, 이 내용을 분석하여 현재 한국 어촌이 겪고 있는 주요한 문화변동이 무엇이고, 이를 극복 하기 위한 어민들의 적응전략에는 어떤 양상들이 있는가를 설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주요 해안도시에서 각기 다른 직종을 가진 어민 12명을 선별하 여 한국 어촌의 현실과 어민 생활사를 조사 하였는데, 이들은 그들의 고유한 어로형태뿐 만 아니라 관계하고 있는 주요 어종, 거주지역 등 대부분의 기준에서 다양함을 보여주고 있다. 어민들은 조사과정에서 물고기를 잡는 방법과 지식의 전승, 그리고 자연환경을 파 악하는 기억과 인지의 학습 등을 연구팀에게 설명하였고, 또한 예로부터 내려져오던 어 촌 공동체의 전통이 산업화시기를 맞이하면서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에 대해서도 설명 하였다. 21세기를 넘어서면서 한국의 어촌과 어민들의 생활사는 실로 거대한 변화를 겪 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현재 한국 어촌은 자원적 측면에서 볼 때 기후와 수온 변화로 인 해 상당수의 어종이 변화하였고, 이로 인해 어민의 경제적 생활에 있어서 불확실성이 커 지고 있다. 또한 사회적인 측면으로 볼 때도 한국의 어촌에서는 청년층의 어업 기피 현상 으로 말미암아 국내 노동력 수급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로 인해 대부분의 어 촌 지역에서 외국인 노동자의 숫자가 급상승하고 있다. 연구팀은 위와 같은 어민들의 증언과 조사결과 등을 토대로 한국의 어민들이 향후 발생할 수 있는 문화변동에 대비하여 어떠한 적응전략을 가지는 가에 대해 분석하였다. 하 지만 한국의 모든 어민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선별된 어민 12명의 생활사와 증언을 중심으로 행해졌기에, 이 연구는 한국 어민에 대한 총괄적 연구가 아니라 질적연 구에 기인한 구술생활사 연구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과테말라 민간 공공외교의 현황과 특성

        노용석 한국라틴아메리카학회 2022 라틴아메리카연구 Vol.35 No.3

        This study was intended to analyze how the field of public diplomacy is being operated in Guatemala, and in particular,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tion methods and roles of the private sector including the Korean immigrant community in Guatemala's public diplomacy. In the case of Guatemala, more public diplomacy activities are carried out by migrants than by government agencies. In this study, it is assumed that the active public diplomacy of the Guatemalan Korean immigrant community is the social and cultural adaptation strategy of Korean immigrants in response to the changing environment of the Guatemalan Korean immigrant socie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helpful in setting the direction of public diplomacy in Latin America as a whole, not just the interpretation of Guatemala's special environment .This study was intended to analyze how the field of public diplomacy is being operated in Guatemala, and in particular,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tion methods and roles of the private sector including the Korean immigrant community in Guatemala's public diplomacy. In the case of Guatemala, more public diplomacy activities are carried out by migrants than by government agencies. In this study, it is assumed that the active public diplomacy of the Guatemalan Korean immigrant community is the social and cultural adaptation strategy of Korean immigrants in response to the changing environment of the Guatemalan Korean immigrant socie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helpful in setting the direction of public diplomacy in Latin America as a whole, not just the interpretation of Guatemala's special enviro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