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Background/Aims: The point mutations in 23S rRNA gene accounts for the majority of the clarithromycin resistance of Helicobacterpylori.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clarithromycin-resistance of H. pylori and the failure of p

        남관우 ( Kwan Woo Nam ),백명기 ( Myong Ki Baeg ),권정현 ( Jung Hyun Kwon ),조성훈 ( Soung Hoon Cho ),나수진 ( Soo Jin Na ),최명규 ( Myung Gyu Choi ) 대한소화기학회 2013 대한소화기학회지 Vol.61 No.5

        tissue lymphoma.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H. pylori was associated with colorectal neoplasms in Korean subjects undergoing routine checkup. Methods: A total of 10,082 subjects underwent routine checkups from January 2004 to April 2005. A H. pylori IgG test and stool occult blood test were included in the routine checkup program. Colonoscopy was performed if the stool occult blood test was positive or under subject request. Patients who underwent colonoscopy and had histologically confirmed cases of colorectal neoplasms were designanted as the subject group and those without as the control group. Results: Of the 10,082 subjects, 597 had full colonoscopy. The results identified 9 colorectal carcinomas and 118 adenomas. H. pylori seropositivity was identified in 6 (66%) subjects with colorectal carcinoma, 81 (68.6%) with colorectal adenoma and 248 (52.8%) controls. Subjects having colorectal neoplasms had a significantly higher H. pylori seropositivity rate compared with the controls (OR 1.94, 95% CI 1.28-2.95). This remained significant after adjusting for age, sex, body mass index, HbA1c and total cholesterol (OR 1.90, 95% CI 1.23-2.93). Patients with distal neoplasms also had a significantly higher H. pylori seroposivity rate (OR 1.88, 95% CI 1.17-3.01) which persisted after multivariate adjustment (OR 1.79, 95% CI 1.10-2.94). Conclusions: Subjects with colorectal neoplasms present an increased H. pylori seroprevalence compared with controls. (Korean J Gastroenterol 2013;61:259-264)

      • SCIESCOPUSKCI등재

        내압검사에서 정상 또는 비효과적 식도운동 소견을 보였던 식도이완불능증 2예

        남관우 ( Kwan Woo Nam ),조유경 ( Yu Kyung Cho ),백창렬 ( Chang Nyol Paik ),오순 ( Soon Nam Oh ),장재혁 ( Jae Hyuck Chang ),박재명 ( Jae Myung Park ),이인석 ( In Seok Lee ),김상우 ( Sang Woo Kim ),최명규 ( Myung Gyu Choi ),정인식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2008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JNM Vol.14 No.1

        Esophageal impedance manometry provides the information about esophageal contraction and bolus transit. Barium esophagogram provides the structural and functional information in patients with dysphagia. Typical features of achalasia are aperistalsis of esophageal body and incomplete relaxation of lower esophageal sphincter. The radiologic diagnosis of achalasia is made easily in most patients because it usually shows typical radiologic findings, such as esophageal dilatation and tapering of distal esophagus. We report the two patients with dysphagia who had a discrepancy between manometric diagnoses and radiologic diagnosis. Their manometric diagnoses were normal and ineffective esophageal motility respectively, whereas their simultaneous esophageal impedance manometry and barium esophagogram revealed typical features of achalasia.

      • KCI등재

        일반논문 : 제주지역 대학생의 취업 준비 활동과 취업스트레스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관우 ( Kwan Woo Ko ),진열 ( Chin Yeol Nam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3 탐라문화 Vol.0 No.43

        본 연구는 대학생의 취업준비활동 상태와 취업스트레스 수준을 살펴보고, 취업스트레스와의 관계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조사는 제주지역 2∼4학년 대학생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하였으며, 최종분석에는 313부가 사용되었다. 분석방법은 SPSS win 18.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및 T-test와 ANOVA,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대부분 청년실업의 원인으로 일자리는 있으나 마음에 드는 일자리 부족을 들었으며, 안정적인 공무원(공기업)을 선호하고 있었다. 또한 응답자의 87.8%가 취업가능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고, 구직예상기간도 58.8%가 2년 미만이라고 응답하였다. 둘째, 대학생들의 취업준비행동 실태를 보면 대부분 인터넷(86.5%)을 이용해 정보를 습득하고, 친구 (26.6%)나 선배(23.7%)에게 주로 취업상담을 하며, 취업준비비용도 10만원 이하 가 56.9%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58.5%가 전공과 희망직장이 일치한다고 하였지만, 희망직장의 채용조건과 취업준비내용은 62.3%가 불일치하였다. 셋째, 대 학생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취업 스트레스 지각 수준은 여성, 3학년, 인문사회계열, 중상층에서 스트레스 수준의 평균이 대체로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취업준비행동과 취업스트레스와의 관계를 살펴보면, 전공-희망직장 일치도는 취업스트레스의 모든 하위영역에서 취업가능성은 학업스트레스를 제외한 모든 하위영역에서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어 취업스트레스에 중요한 요인으로 밝혀졌다. 반면 채용조건-취업준비내용은 취업스트레스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이 없었다. This study is to grasp university students` employment stress levels,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and to examine their relationship with employment stress. The number of 313 university students(2nd∼3rd) participated in the study. By means of the SPSS WIN 18.0,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As a result, 1) it has turned out that the students have picked out lack of favorite work positions among other reasons for youth unemployment though there are some work positions, and that they preferred stable public officials. 2) Most of the students acquired relevant information from internet, and they mainly consulted friends or superiors. While 58.5% of the respondents reported that their majors and desired job positions were corresponding, only 37.7% of them admitted the correspondence between employment conditions and employment preparation contents. 3) The employment stress levels perceived by the university students in average were generally high in female students, juniors, students majoring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and students with higher than middle grades. 4) As for affecting factors in employment stress, the levels of correspondence between majors and desired job positions and employment possibility have turned out to be crucial as the former have negative effect on all the sub-areas and the latter on all the sub-areas except study stress while employment conditions and employment preparation contents had no effect.

      • KCI등재

        초기 청소년의 체험활동 참여 영역에 따른 공동체의식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관우 ( Kwan Woo Ko ),진열 ( Chin Yeol Nam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1 청소년복지연구 Vol.13 No.4

        본 연구는 초기 청소년의 체험활동 경험이 공동체의식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체험활동간 영향력 분석을 목적으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1차년도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데이터 중 중학교 1학년 2,351명을 분석대상으로 활용하였다. 체험활동을 건강보건활동, 과학정보활동, 교류활동, 모험개척활동, 문화예술활동, 봉사활동, 직업체험활동, 환경보존활동, 자기(인성)계발활동 등 9개 영역으로 분류하였으며, 연구결과, 체험활동 경험 상태에 따라 집단간 차이와 상대적으로 높은 평균을 나타냈고, 그 상대적 영향력은 공동체의식에서 봉사활동(β=.081), 과학정보활동(β=.078), 자기(인성)계발활동(β=.047), 환경보존활동(β=.043)과 문활예술활동(β=.043) 순으로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그리고 학교생활적응의 하위영역 중 교사관계에서는 과학정보활동(β=.093), 봉사활동(β=.071) 순으로, 학습활동에는 봉사활동(β=.110), 과학정보활동(β=.083), 문화예술활동(β=.072), 직업체험활동(β=.053) 순으로, 학교규칙에는 봉사활동(β=.084)에 이어 환경보존활동(β=.053)과 과학정보활동(β=.053) 순이었으며, 교우관계에서는 봉사활동(β=.102)이 상대적 영향력이 가장 크며 환경보존활동(β=. 059)과 직업체험활동(β=.051) 순으로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공동체의식과 학습활동에 대부분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개별 체험활동의 성격과 활동 내용을 명확히 구분하여 청소년들의 다양한 특성과 성격에 맞는 체험활동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experiential activity in early adolescence on important developmental tasks: sense of community and school adjustment, and to compare and identify the influences of experiential activities, using the first year of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KCYPS) in which the participants consist of 2,351 middle school students of the first grade. The study reveals the wide gap between groups and relatively high average based on the experiential activities, and each activity has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sense of community, in order of voluntary activity, scientific and intellectual activity, self-developmental activity, environmental activity, culture and arts activity. Furthermore, study found that activities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school adjustment. According to the study, scientific and intellectual activity and voluntary activity in relationship with teachers, voluntary activity, scientific and intellectual activity, culture and arts activity and job shadowing activity in learning activity, voluntary activity, environmental activity, and scientific and intellectual activity on school rules, and remarkably voluntary activity, environmental activity, and job shadowing activity in the relationship with peer have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ubcategories of school adjustment. In this study, these factors affect the sense of community and leaning activity in common. Therefore, various experiential activities which bring together their personalities and individualities are needed to provide to the adolescences, identifying each features and contents of the activities.

      • KCI등재

        지역사회복지서비스 실천체계에 따른 복지주체별 역할에 관한 연구

        관우(Ko, Kwan Woo),진열(Nam, Chin Yeol),김상미(Kim, Sang Mi)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8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66

        본 연구는 지역사회복지서비스의 효과적 전달을 위해 복지주체별 역할인식 및 역할수행 수준, 역할정립에 필요한 전달체계 구축원칙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지역복지서비스 실천체계로서 복지주체별 역할정립을 위한 방향성을 모색하였다. 제주지역 공공과 민간기관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하여 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지역사회 복지주체별 역할과 역할수행 수준인식은 대체로 동일하게 나타난 반면, 도청과 행정시청은 상이하게 나타났다. 둘째, 복지주체별 전달체계 구축원칙 방향은 서비스 제공측면에서 공공의 경우 광역일수록 전문성을 바탕으로 통합성이, 읍면동일수록 접근용이성을 바탕으로 전문성 원칙이 제시되었고, 민간은 전문성을 바탕으로 접근용이성 원칙이 제시되었다. 네트워크 측면에서 공공은 전문성을 바탕으로 지역특성 원칙이, 민간은 전문성을 바탕으로 통합성이 제시되었다. 자원개발 측면에서 공공은 전문성과 통합성이, 민간은 평등성, 전문성, 지역특성이 중요 원칙으로 제시되었다. 셋째, 지역사회복지서비스 실천체계에 따른 전달체계 구축 원칙은 서비스제공과 자원개발 추진체계는 전문성을 바탕으로 접근용이성이 강조되었고, 네트워크 추진체계는 통합성이 가장 우선 적용원칙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내용을 중심으로 지역사회복지 주체의 역할 방향을 도식화하여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cognition of the role, level of role performance, and the principle of construction of welfare delivery system of welfare subjects for effective delivery of community welfare service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social workers working at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s in Jeju. This study shows the following: First, While community welfare subjects generally see the same level of roles and performance as well, Jeju-do and city office were different. Second, the result of the principles of constructing a delivery system of welfare subjects in the practice system of community welfare services. In terms of providing services, the public applied importance in professionalism and integration in metropolitan areas. and accessibility and professionalism in eup, myeon, and dong. The private applied importance in professionalism and accessibility. In terms of network, the public applied importance on professionalism and regional specificities, and the private applied importance on professionalism and integration. In terms of resource, the public applied importance on professionalism and integration, and the private applied importance on equality, professionalism, and regional specificity. Third, the result of the principle of constructing a delivery system in the practice system of community welfare services. Accessibility was emphasized in the system of initiating the development of resources and providing services based on professionalism. The system of initiating a network was displayed as the foremost priority. Finally, the direction of the role of welfare subjects is presented as a diagram.

      • KCI등재

        대학생세대와 부모세대의 문화성향이 복지의식과 국가의 복지책임인식에 미치는 영향

        관우(Ko, Kwan Woo),진열(Nam, Chin Yeol)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8 비판사회정책 Vol.- No.58

        본 연구는 대학생세대와 부모세대 간 개인의 문화성향이 복지의식과 국가의 복지책임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세대 211명, 부모세대 214명의 응답이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문화성향의 경우 대학생세대는 수평적 집단주의와 수평적 개인주의가 좀 더 높았고, 부모세대는 수평적 집단주의와 수직적 집단주의가 좀 더 높았다. 세대 간 차이에서는 부모세대의 수직적 개인주의와 수직적 집단주의 성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대학생세대는 수평적 집단주의가, 부모세대는 수직적 그리고 수평적 집단주의 성향이 강할수록 긍정적 복지의식에 영향을 미쳤고, 대학생세대는 수직적 개인주의가, 부모세대는 수평적 개인주의 성향이 강할수록 부정적 복지의식을 증대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대학생세대는 수직적 그리고 수평적 집단주의가, 부모세대는 수직적 집단주의 성향이 강할수록 국가의 복지책임인식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individual cultural disposition on the welfare consciousness and national welfare responsibilities among college students and their parents. For this purpose, 211 college students and 214 their parents participate into the current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a cultural disposition, the college students show a higher rate of responses on horizontal collectivism and horizontal individualism, while the parents’ generation shows a higher rate of responses on horizontal collectivism and vertical collectivism. Statistically, propensity of parents’ generation on vertical individualism and vertical collectivism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ir counterpart. Second, students’ horizontal collectivism has a strong influence on the welfare consciousness and parents’ vertical and horizontal collectivism more on the welfare consciousness in a positive way. The stronger vertical individualism in the college students’ generation and horizontal individualism in the parents’ generation, the more increasing the negative welfare consciousness. And it is also revealed that vertical and horizontal collectivism of college students’ generation and stronger vertical collectivism of parents’ generation raise the awareness of national welfare responsibilities.

      • KCI등재

        지역사회 장애인복지시설 조직문화와 사회적 자본이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우(Ko, Kwan Woo),진열(Nam, Chin Yeol)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4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51

        본 연구는 장애인복지시설의 조직문화와 조직 구성원들 간 관계에 기초한 사회적 자본이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한 실증연구로서 구조방정식 모델을 사용하였다. 이를 위해 제주지역 장애인복지시설(거주시설 13개소, 이용시설 6개소)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분석에 300부가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장애인복지시설의 조직문화 중 집단발전문화와 위계문화는 사회적 자본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합리문화는 사회적 자본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집단발전문화는 사회적 자본을 매개로 하여 이직의 도를 감소시키는 간접효과가 있었으며, 위계문화는 이직의도를 증가시키는 직접효과와 사회적 자본을 매개로 이직의도가 감소되는 간접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합리문화는 사회적 자본을 매개로 이직의도를 증가시키는 간접효과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자본은 이직의도를 떨어뜨리는 직접효과가 있었다. This was the empirical study us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investigate the relation of social workers’ turnover intention on organizational culture and social capital basing on social connections among organizational members in disabled social welfare facilities. It was done a structured survey of social workers working for disabled social welfare facilities(13 living facilities, 6 using facilities) in Jeju. A total of 300 has been analyzed.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mong organization cultures in disabled social welfare facilities, the hierarchy culture and group development culture influenced positively on social capital, while rational culture did negatively. Second, through the medium of social capital, both group development culture and hierarchy culture indirect effected decreasing turnover intention. And hierarchy culture direct effected increasing turnover intention. Besides rational culture indirect effected increasing turnover intention through the medium of social capital. Last, social capital direct effected falling turnover intention.

      • KCI등재

        대학생의 아르바이트 경험과 스트레스 지각수준의 관계

        관우 ( Kwan Woo Ko ),진열 ( Chin Yeol Nam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2 청소년복지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대학생의 아르바이트 경험과 스트레스 지각수준을 파악하고, 대학생들의 아르바이트 참여 경험이 스트레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제주지역 대학생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분석에 320부가 활용되었다. 대학생들의 인구사회학적 변인과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등록금·학교성적·진로결정·취업 스트레스 수준을 파악하고 아르바이트 경험 유무에 따른 집단간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χ2 검증과 T-test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아르바이트 경험 유무가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320명 중 아르바이트 경험이 있는 대학생은 83.4%, 경험이 없는 대학생은 16.6%로 나타났다. 대학생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아르바이트 경험 유무에 따른 집단간 분포의 차이에서는 성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지만, 학년, 대학성적 수준, 가정의 생활경제수준, 부모의 소득참여형태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아르바이트 경험유무에 따른 스트레스의 집단간 평균의 차이는 진로결정 스트레스와 취업 스트레스에서 경험이 있는 집단이 경험이 없는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대학생이 지각하는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아르바이트를 경험할수록 진로결정 스트레스(β=.208)와 취업 스트레스(β=.177)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wo-fold: 1)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part-time work experiences and the perceived level of stress, 2) To investigate what influence the experience of part-time work on stress. For this, the questionnaire has been carried out with college students around Jeju. A total of 320 has been analyzed. First of all, it was investigated at what level of stress students have depending on the two factors: socio-demographic and social factors such as tuition and fees, grade, and the uncertainty about future job. With these factors in mind, T-test and χ2 were carried out to the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one of which participated in the part-time work and the other not. Furthermor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examine in what ways the absence or presence of part-time experience has an influence on the level of stress. As a result, among 320 participants, 83.4% has part-time experience and 16.6% has no part-time experience. There is a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part-time experience and garde, economic status of household, parents` income. Bu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gender. Speaking of stress in terms of the absence or presence of part-time experience, those who have future job-searching experience show high level of stress compared to those who have no experience. This i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Finally, the present study looks over some factors which influence on the level of students stress. the more they have part-time experience, the higher level of stress they have: stress related to their future direction(β=.208) and future job-searching(β=.177).

      • KCI등재

        장애아동 어머니의 장애수용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관우(Ko, Kwan-Woo),진열(Nam, Chin-Yeol)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6 비판사회정책 Vol.- No.51

        본 연구는 실질적인 주 양육자로서 장애아동을 둔 어머니의 장애수용과 관련된 국내의 양적연구를 분석하고, 관련된 연구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연구방향과 과제에 대해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장애 또는 장애아동관련 전문학술지 19종과 학위논문을 대상으로 검색한 결과 선정기준에 맞는 18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장애아동 어머니의 장애수용과 관련된 양적연구는 전문학술지 논문 6편과 학위논문 12편으로 2010년을 전후하여 최근에 발표되기 시작하였고, 학문분야별로도 특수교육(교육심리)학적 접근에서 주로 연구가 진행되어 다양한 영역에서의 연구가 미흡하였다. 또한 장애아동의 장애유형에서도 단일 장애대상 어머니 보다는 장애유형에 관계없이 장애아동 어머니를 연구하고 있어 장애유형 특성에 따른 어머니의 심리적 상태와 특성을 적절하게 반영하고 있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모형에서 인과관계분석은 10편으로 장애수용 변수는 대부분 독립변수로 장애아동 어머니의 장애수용의 심리적 단계별 적응과정에 필요한 여러 요인들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향후 다양한 연구의 방향과 필요성 등을 제시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wofold: 1) to analyze the quantitative research on the disabled children mother’s acceptance of disability and 2) to explore the future directions of related studies. A number of 18 journals and 19 theses regarding disability and the disabled kid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All the studies imported a quantitative research methodology and mainly focused on the disabled children mothers’ acceptance of disability. They were published around 2010 and made from the perspectives of special education or educational psychology. Except this education related area, little research has been done so far. Their main focuses went on the mothers’ acceptance of disability without any consideration of the types or variances of disability. Additionally, they fail to show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which mothers might have in experiencing the different types of disabilities. Their research design also lacks the relation variables of the levels of those mothers’ acceptance in their psychological adaptation to disability. Finally, suggestive remarks have been made for future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