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수시 교육과정에 따른 생명과학Ⅰ·Ⅱ 탐구 과제 분석

        김혜경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이 연구에서는 수시 교육과정에 따른 생명과학Ⅰ·Ⅱ의 탐구 과제를 분석하였다. 수시 교육과정은 제7차 교육과정에서 강조하였던 탐구의 중요성에는 그 뜻을 같이하고 있다. 하지만 제7차 교육과정이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지 못한 반면 수시 교육과정에서는 탐구를 신설하여 단원에 제시된 탐구 과제를 학생들로 하여금 스스로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런 과정에서 학생들은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함양할 수 있고 실생활과 관련된 소재의 과제를 수행하면서 호기심과 흥미를 갖게 되며 과학적인 탐구 태도를 기를 수 있다. 하지만 생명과학Ⅰ과 생명과학Ⅱ에 제시된 탐구 과제에 대해서는 아직까지도 분석이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생명과학Ⅰ·Ⅱ 탐구 과제를 탐구 요소별로 분류하고 그 분포 상태를 분석하였다. 또한 2009년부터 시행될 수시 교육과정에 따라 후에 이 탐구 과제를 학교 현장에서 사용할 때 제시된 과제가 단원의 내용과 관련이 있고 현행 교수-학습 여건에서 해당 학년의 학생이면 누구나 할 수 있는 과제인가에 대한 과제의 적절성과 실용성을 논하였다. 연구를 위해 교육인적자원부에서 발표한 생명과학Ⅰ·Ⅱ의 탐구 과제를 분석 자료로 택하였다. 과제의 실용성과 적절성에 대해서는 연구자의 주관이 개입되었기에 객관성이 부족할 수 있다는 점과 아직 적용하지 않았고 적용할 때 까지는 시간이 있으므로 현재와는 교수-학습 여건이 달라질 수 있다는 연구의 한계점이 있다. 과제는 대부분 탐구활동에 분포되어 있었고 적절성에는 큰 문제가 없지만 실용성에는 현행 교수-학습 여건이 따라주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재검토하여 현장에서 대체 할 수 있는 과제로 학생들에게 수업한다면 양질의 수업이 공급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In this study, analysis on inquiry task of life science Ⅰ·Ⅱ according to the causal education course is done. The casual education course agrees to the importance of research emphasized in the 7th education course. However, while the 7th education course could not search for detailed plans, the casual education course created a inquiry in the chapter for students to perform research by themselves. In such course, students can develop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through performance of task related to practical life, they can also develop scientific research skills with curiosity and interest. However, concerning inquiry task proposed in life science Ⅰ and life science Ⅱ, analysis is insufficient yet. Therefore, the study classified inquiry tasks of life science Ⅰ·Ⅱ into research factors and analyzed its distribution status. In addition, concerning the casual education course to be executed from the year 2009, feasibility analysis and practicality analysis were performed to figure out whether the proposed task is related to the content of the chapter and whether every student in his or her pertinent grade can perform such task under current teaching-learning condition when this inquiry task is performed by schools afterwards. For the study, inquiry task of life science Ⅰ·Ⅱ announc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was selected as analysis data. Regarding practicality and feasibility, there are limits in the research in that objectivity may lack due to the researcher's subjectivity when considering practicality and feasibility of the task and in that current teaching-learning conditions could change because it is not applied yet and it would take time for application. The task was mostly distributed in research activity, and there seems to be not great problem in feasibility, but regarding practicality, there was a problem that current teaching-studying condition cannot satisfy such conditions. If students learn such tasks which are substitutable by reviewing such problems, lectures with good quality would be provided.

      • 어머니의 자아탄력성이 유아 문제행동 인식과 양육방식에 미치는 영향

        김혜경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어머니의 자아탄력성이 유아 문제행동 인식과 양육방식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 전공 김혜경 본 연구는 어머니의 자아탄력성에 따른 유아 문제행동 인식과 양육방식은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더 나아가 어머니의 자아탄력성이 유아 문제행동 인식과 양육방식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유아교육기관에 재원중인 5, 6, 7세 유아의 어머니 60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자료의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변인에 따른 자아탄력성, 유아 문제행동 인식, 양육방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ANOVA 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어머니의 자아탄력성에 따른 유아 문제행동 인식과 양육방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자아탄력성 평균을 사분위수 기준으로 4집단으로 분류하여 ANOVA 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어머니의 자아탄력성이 유아 문제행동 인식과 양육방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어머니의 자아탄력성을 측정하기 위한 자아탄력성 도구는 Block과 Kremen(1996)이 개발한 자아탄력성 척도(Ego-Resiliency Scale)를 사용하였고, 어머니의 문제행동 인식 척도는 Behar와 Stringfield(1974)가 3~6세 유아의 행동 및 부적응 행동을 검사하기 위해 개발한 The Preschool Questionnaire(PBQ)를 번안하여 사용한 서수경(1993)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어머니의 양육방식은 Baumrind(1991)의 논의에 기초하여 Robinson, Mandleco, Olsen과 Hart(1995)가 개발한 양육방식과 차원 질문지 Parenting Styles and Dimensions Questionnaire(PSDQ)를 김나경(2011)이 수정하여 만든 것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결과는 먼저 어머니의 개인변인에 따라 자아탄력성, 유아 문제행동 인식, 양육방식은 차이가 있는가? 에서 어머니의 자아탄력성은 유아의 성별, 나이, 어머니의 학력, 취업, 월평균수입 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개인변인에 따른 문제행동 인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적대적-공격성 문제행동 인식의 차이에서 어머니의 학력과 월수입에 따라 걱정-불안 문제행동 인식의 차이에서는 어머니의 연령과 학력에 따라 과잉행동성-산만 문제행동 인식의 차이에서는 어머니의 학력에 따라 문제행동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변인에 따른 양육방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어머니의 학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자아탄력성에 따른 유아 문제행동 인식과 양육방식은 차이가 있는가? 에서 어머니의 자아탄력성에 따른 유아 문제행동 인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유아 문제행동 인식의 하위요인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어머니의 자아탄력성에 따른 양육방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어머니의 자아탄력성이 높은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권위 있는(민주적인)양육방식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섯째, 어머니의 자아탄력성은 유아 문제행동 인식과 양육방식에 영향을 미치는가? 에서는 어머니의 자아탄력성은 유아 문제행동 인식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어머니의 자아탄력성은 권위 있는 양육방식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어머니의 자아탄력성이 높아질수록 권위 있는(민주적 유형)양육방식을 많이 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어머니의 자아탄력성이 유아 문제행동 인식과 양육방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의 결과는 어머니의 자아탄력성을 양육태도와 관련하여 부모교육과 부모교육 프로그램에서 어머니의 자아탄력성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며 어머니들로 하여금 양육스트레스나 삶의 어려움 앞에서 낙관적인 생각과 태도의 변화로 인해 궁극적으로 유아의 전인적 발달에 기여하는데 의의를 갖는다. M.A. Thesis The Effects of Mothers’ Ego-resiliency on the Perception of Children’s Problem Behaviors and the Parenting Style Kim Hye-kyeong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Yeungnam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Hyeonjin Lee Abstract This research studied if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 perception of children’s problem behaviors and the parenting style according the mothers’ ego resiliency, and furthermore, it investigated if the mothers’ ego resiliency affected perception of children’s problem behaviors and their parenting styles. This research targeted 600 mothers that had children aged 5, 6 and 7 study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a statist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the SPSS Win 21.0 program for the collected data; and the analysis methods for data were as follows: First, it carried out the ANOVA analysis to find out the differences among the mothers’ ego resiliency, perception of children’s problem behaviors and parenting style, according to individual variables. Second, to figure ou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erception of children’s problem behaviors and the parenting style, according to the mothers’ ego resiliency, the averages of ego resiliency were divided into 4 groups based on the quartile and the ANOVA analysis was conducted. Third,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the mothers’ ego resiliency on the perception of children’s problem behaviors and the parenting styles, th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As for the research tool, the Ego-Resiliency Scale developed by Block and Kremen(1996) was used to measure the mothers’ ego resiliency; and the Preschool Behavior Questionnaire(PBQ), which was developed by Behar and Stringfield(1974) to test behaviors and maladjustment behaviors of children aged 3 to 6 and which was translated and used by Seo Su-kyeong(1993), was used for the mothers’ perception scale of problem behaviors. As for the mothers’ parenting style, the parenting style, which was developed by Robinson, Mandleco, Olsen and Hart(1995) based on the discussion of Baumrind(1991), and Kim Na-kyeong(2011)’s revised version of the dimensions questionnaire Parenting Styles and Dimensions Questionnaire(PSDQ)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first, in the question about if there are the differences among ego resiliency, perception of children’s problem behaviors and parenting styles according to the mothers’ individual variables, the mothers’ ego resiliency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ren’s gender and age and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 employment and average earnings per mon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problem behaviors according to the individual variables, it was found out that the perception of problem behaviors was high in the differences between perceptions of hostile-aggressive problem behaviors according to the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 and monthly income; in the differences between perceptions of worry-anxiety problem behaviors according to the mothers’ age and educational background; and in the differences between perceptions of hyperactivity-discursiveness problem behaviors according to the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the mothers’ parenting styles according to the individual variables, it was found out that there wer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 Second, in the question about if there we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erception of children’s problem behaviors and their parenting style, according to the mothers’ ego resilienc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children’s problem behaviors according to the mothers’ ego resilience, every subfactor of perception of children’s problem behavior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the mothers’ parenting style according to their ego resiliency, it was found out that the mothers’ group with high ego resiliency provided more authoritative (democratic) parenting style than the opposite group. Third, in the question about what effects the mothers’ ego resiliency have on the perception of children’s problem behaviors and the parenting style, it was found out that mothers’ ego resiliency did not have an influence on the perception of children’s problem behaviors but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authoritative parenting style. This means that the authoritative(democratic type) parenting style is performed more as the mothers’ ego resiliency gets higher.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bout the effects of the mothers’ ego resiliency on the perception of children’s problem behaviors and the parenting style have the significance in that the results can be provided as the basic data to develop mothers’ ego resiliency in the parent education programs and can ultimately contribute to developing a child as a whole person by changing mothers facing parenting stress and difficulties of life to have optimistic thinking and attitudes.

      • 재조합 baculovirus를 이용한 닭 인터페론 알파의 발현

        김혜경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Type interferon은 바이러스나 박테리아의 공격으로부터 다른 세포들을 보호하기 위해 감염된 세포가 분비하는 단백질이다. 이 물질들은 바이러스의 성장을 저해하기 위해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에서 활동할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이 중 INF-Φ, INF-τ, INF-δ, INF-λ은 영양아세포에서도 분비되며 이 물질들은 임신시 모체의 면역반응을 조절한다. Interferon-alpha (INF-α )는 대부분 림프계 수지상세포에서 분비되며 림프구, 단핵세포, 대식세포에서도 일부 분비된다. 포유류에서는 INF-α subtype을 활발하게 밝혀내고 있으며 일례로 소에서는 10~12개의 subtype이 발견된 바 있다. INF-α의 receptor complex는 heterodimer IFNAR1과 IFNAR2 로 구성되어 있다. 이 수용체에 의한 세포내 전달은 JAK와 STAT 단백질을 통해 활성화되어 항바이러스성 유전자들을 발현한다. INF-β도 같은 구조와 신호체계를 가지고 있다. INF-α는 선천적, 후천적 면역반응 둘 다에서 강한 자극물질이다. INFα는 NK 매개성 세포독성을 활성화시키고 단핵세포가 성숙하고 활성화된 수지상세포로 분화하도록 자극한다. 또한 INF-α는 선천적 면역에서 후천적 면역으로 변이하는데도 관여하며 몇몇 γ/δ T 세포의 반응을 유도한다. 이것은 memory T cell이 증식하도록 자극하고 naive T cell 을 활성화시키며 항원 특이성 T cell의 초동발현을 개시한다. INF-α는 또한 항체 생산과 대체경로의 시작을 촉진한다. Chicken Interferon-alpha도 이제까지 알려진 다른 포유류의INF-α와 비슷한 작용을 하는cytokine으로 밝혀져있다. 본 연구에서는 닭 인터페론 알파 (Chicken Interferon-alpha, chINF-α)를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발현체계로 재조합 baculovirus를 이용하여 chINF-α의 발현을 유도하고 그에 대한 항바이러스효과를 측정하였다. chINF-α 유전자를lipopolysaccharide로 자극된 닭 비장세포로부터 reverse transcriptase (RT)-PCR에 의해 증폭하여 cloning vector에 클로닝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chINF-α는 실험결과를 쉽게 나타낼 수 있도록 Histidine Hexamer (His-tag)가 존재하는 pFastBac HTA vector를 이용한 chINF-α (His-tag) 발현 재조합 baculoviru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baculovirus로부터 chINF-α의 발현은 anti-chINF-α 단일클론항체를 이용하여 Western blot에 의하여 확인하였다. 또한 Nickel chelated agarose를 이용해 정제 후 Newcastle disease virus와 infectious bursal disease virus에 대하여 항바이러스 효과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정제된 chINF-α는 Newcastle disease virus 감염시 1.25 x 10-1 ㎍/㎕ 의 농도에서 ED50 항바이러스 효과를 보이고, infectious bursal disease virus감염시 5.00 x 10-1 ㎍/㎕ 의 농도에서 ED50 항바이러스 효과를 보였다.

      • 보육시설장의 운영관리에 따른 교직원과의 갈등 인식에 관한 연구 : 민간보육시설장을 중심으로

        김혜경 청주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47

        ABSTRACT A Study on the Conflicts between the Employees and the Employers in the Management of the Private Childcare Centers Kim, Hea-Kyeong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The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and Public Administration Cheongju University Due to the concept of childcare or the limit of childcare centers, the conflicts in the childcare facilities are inevitable phenomenon. It can be very meaningful to examine the recognition of the childcare center director on these conflicts. For the purpose of discussing the logical connection about difficulties or conflicts which the directors of childcare centers have on the spot, this research helps people understand the director of childcare centers better, other directors operate the childcare facilities, and government establish the policy related to the education of the director or child care. There are the specific research projects from these research purposes as follows: ․ Research Project 1. What are the conflict factor and the conflict recognition in the operational management like? ․ Research Project 2. What is the approach concerning the conflict like? ․ Research Project 3. Through this thesis, is it possible to reach an agreement about childcare policy? 10 directors operating the private childcare centers over than five years' experience took part in this research. The research method drew a mutual agreement about the conflict recognition they share through in-depth individual interviewing. In-depth individual interviewing was carried out by visiting each child care center once or twice from March 12, 2012 to April, 17, 2012. The contents interviewed were voice recorded and field observations and other data else were collected for this study. The process and analysis of the research material passed through the steps like the organization of material, the material understanding and the categorization for the material interpretation, and the deduction of the core category for content analysis. In the process of drawing a research finding, 2 directors of childcare centers, my colleagues, were confirmed and research participants were reconfirmed. There are research findings arranged as follows: First, the causes of the conflict outbreak in the operational management of the private childcare center directors were found in childcare program service, the personnel management of employers, kindergartener management, health and safety, accreditation , parent management, and so on. Secondly, there are full-day child care operation, the lack of program preparation, and the impact in the vehicle guidance due to work stress, etc. in the conflict connected with childcare program service. In the conflict related to the personnel management of employers are poor work environment, kindergarten teachers' turnover due to treatment and promotion etc. In the conflict related to children's management are the attendance management of children attending late and getting home late, the management of children's number in the class, parenting attitude . In the conflict related to health and safety are the educational needs about the safety management, the needs of practical training(ability to cope with the situation and preparation for emergency situations), the change of nurturing environment and childcare policy, the lack of proper knowledge. In the conflict related to evaluation and accreditation from Ministry of Education are demands about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childcare centers, the standardization of evaluation criteria, idle teachers' attitude, the difficulty of preparation. In the conflict involved in parents are parents' perceived lack about facilities, parents' values, and excessive demands and complaints . I'd like to make the director of childcare centers operate the facilities efficiently and present basic data to realize the qualitative improvement in childcare and eduction. Also, I want to analogize that the operational management the director and the mental stability of the director generalizing a childcare facility works as the most important environmental factor of childcare. 초 록 보육의 개념이나 보육시설이 갖는 제한성으로 인하여 보육시설에서의 갈등이 불가피한 현상이라면 이러한 갈등에 대한 보육시설장의 인식에 관하여 살펴보는 것은 보육의 발전을 위해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시설장들이 어린이집의 현장에서 가지는 어려움이나 갈등에 대한 맥락을 심도 있게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어린이집의 시설장을 보다 잘 이해하고자 하고 다른 시설장에게도 도움이 될 수 있고 시설장교육이나 보육과 관련된 정책을 수립함에 있어 도움을 주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운영관리영역 내의 갈등발생 원인과 운영관리에 따른 갈등의 인식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인식하는 갈등에 대한 접근방안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이 논문으로 보육정책에 대해 어떠한 함의가 가능한가? 본 연구에는 청주시에서 민간 어린이집을 운영하고 있는 5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시설장 10명이 참여하였다. 시설장들이 공유하고 있는 갈등인식을 도출하기 위하여, 2012년 3월12일부터 4월17일 사이에 각 어린이집을 1~2회 방문하여 개인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한 내용은 음성녹음을 하였으며, 현장을 관찰하는 한편, 기타 자료 등의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자료의 처리 및 분석은 자료정리, 자료해석을 위한 자료내용 이해 및 범주화, 내용분석을 위한 핵심 범주도출의 단계를 거쳤다. 연구결과를 도출하는 과정에서 어린이집을 운영하는 시설장 2인에게 동료 확인을 받았으며, 연구 참여자들에게 재확인을 받았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민간 어린이집 시설장의 운영관리영역 내의 갈등은 보육프로그램 서비스, 종사자 인사관리, 원아관리, 건강 및 안전, 평가인증, 학부모관리 등에서 발생하고 있었다. 둘째, 보육시설 시설장의 운영관리에 따른 갈등의 인식은 보육프로그램 서비스에 관련된 갈등으로는 종일반 운영·프로그램 준비의 미흡·업무적인 스트레스로 인한 차량지도에 영향 등으로, 종사자 인사관리에 관련된 갈등으로는 근무환경의 열악함·교사처우의 문제로 인한 교사의 이직·승급으로 인한 교사의 이직 등으로, 원아관리에 관련된 갈등으로는 늦게 등원하고 늦게 귀가하는 유아의 출석관리·학급인원수 관리·부모님의 양육태도 등으로, 건강 및 안전에 관련된 갈등으로는 안전관리에 대한 교육적 요구·실기 교육의 요구(상황대처 능력과 응급상황에 대비)·양육환경과 보육정책의 변화·올바른 지식의 부족 등으로, 평가인증에 관련된 갈등은 보육시설의 질적인 향상 요구·평가기준의 획일화·안일한 교사의 태도·준비의 어려움 등으로, 마지막으로 학부모와 관련된 갈등은 시설에 대한 부모의 인식부족·학부모의 가치관·무리한 건의와 불만 등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본 논문은 보육시설장이 효율적으로 시설을 운영하고 보육과 교육의 질적 향상을 실현해 나갈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동시에, 보육시설 운영관리를 총괄하는 시설장의 심리적 안정감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보육의 환경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도 유추해 보고자 하였다.

      • 서비스부문의 스마트워크 품질이 업무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 변혁적 리더십 조절효과

        김혜경 부경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Smart work is leading the important changes in the working environm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by the way workers work freely across time and space based on the Internet.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smart work, this study aims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 work quality and work efficiency in working environment by referring to related studies and literatures. The theoretical model and hypothesis of this study were established based on previous studies related to smart work quality and work efficiency.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selected a department store that occupies an important position in the tourism industry, and collected data by conducting a questionnaire survey using convenience extraction method for employees working there. The study subjects obtained data from self-investigated questionnaires from August 20th to September 30th, 2019, for partner employees working at Shinsegae Department Store at Centumcity, Busan.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37 questions excluding demographic content, and a total of 32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a total of 300 questionnaires were used as the final analysis data, excluding unsatisfactory responses or questionnaires. In order to analyze the concept of smart work quality, this study first grasped the perception of smart work quality and efficiency among partners, and then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 work quality and work efficiency. Next, we analyzed how the leadership of managers aff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 work quality and work efficiency. As a result, the system quality such as convenience, connection, speed, and speed of up and down of the system use process, usage method, and acquisition method among smart work quality have an effect on work efficiency. In addition, technical system quality such as proper design and configuration, use and operation of the system affects the work efficiency. Next, information quality among the quality of smart work was found to affect the work efficiency by providing data related to sales and transactions, data corresponding to department administrative work, and standardized forms. In the case of service quality, the user's real-time work processing and the provision of result contents have an effect on work efficiency. In the effect of smart work quality on work efficiency, the moderating effec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howed partial results. First of all, in the case of information quality that showed a moderating effect, the overall scope of work is the role of sales leader, but more leadership is needed. This suggests that the sales leader's human resources such as sales, profits, and transactions of department stores are needed in addition to the prompt and convenient administrative work in the field. On the other hand, among the quality of smart work, system quality and service quality had no moderating effect, and the use of department store smart work system is mainly focused on the fast and smooth work process as the field-oriented workers. It can be seen that the attributes of system quality and service quality, which provide a convenient work environment that meets the task, are sufficient to support efficient work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smart work system can reduce the space cost, operation cost, and manpower cost, and share various information resources by connecting manpower, information, and administration systems through a network, eliminating unnecessary waste factors such as payment. And contribute to streamlining and simplifying work. In addition, this study shows that the leadership of sales leaders contributes to the smooth and autonomous execution of work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 work quality and work efficiency.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since there were no studies that simultaneously analyzed the level of smart work quality and the direct and regulatory effect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is research model could serve as a basic guideline for conducting subsequent research. Second,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smart work quality on work efficiency and continuously monitors the relationship between department smart work quality and work efficiency based on the development of new system quality in line with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t will be used as a guideline for future research.

      • 인천광역시 일부지역 김밥취급업소의 세균오염도 조사

        김혜경 가천의과학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 4개구의 대표적인 김밥취급업소 57개소를 대상으로 예방적차원의 세균오염도 위생관리수준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ATP (Adenosine TriPhosphate)검사 측정기를 이용하여 세균오염도를 측정하였고, 김밥취급업소의 영업주 및 종사자를 대상으로 위생관리 현황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세균오염도를 안전, 주의, 심각 등으로 측정한 결과, 칼에 대한 오염도 판정에서 안전 판정을 받은 업소는 14.0% ,주의 판정을 받은 업소는 28.1%, 심각판정을 받은 업소는 57.9%였다. 도마에 대한 오염도 판정에서는 안전 판정을 받은 업소는 17.5%, 주의 판정을 받은 업소는 35.1%, 심각 판정을 받은 업소는 47.4%였다. 행주는 66.7%가 심각한 오염수준으로 측정되었고, 주의 판정을 받은 업소는 31.6%,안전 판정을 받은 업소는1,8%인 1개소에 불과하였다. 종사자의 손에 대한 오염도는 판정에서 안전 판정을 받은 업소는 21.1%, 주의 판정을 받은 업소는 38.6%, 심각 판정을 받은 업소는 40.4%였다. 업소특성에 따라 칼, 도마, 행주, 종사자의 손 등의 위생상태 차이를 분석한 결과, 칼인 경우는 영업시간이 15시간 미만인 업소의 세균오염도 판정결과 위생적인 경우가 21.1%인 반면, 영업시간이 15시간 이상인 업소가 위생적인 경우는 0.0%에 불과하였고,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도마인 경우는 남성이 운영하는 업소에서의 세균오염도 판정결과 50%가 위생적인 반면에 여성이 운영하는 업소 17.0%로 나타나 여성에 비하여 남성이 운영하는 업소가 위생적으로 나타났다. 근무시간이 8시간 미만인 업소의 세균오염도 판정결과에서는 31.8%가 위생적인 반면에 8시간이상업소의 위생적인 경우가 10%에 불과하였다. 행주의 위생상태 차이에서는 각 변수별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종사자 손의 위생상태 차이에서는 사업주의 연령대가 50세 이상인 업소 40.0%가 위생적으로 나타난 반면에 40세 이상에서 49세 이하의 업소 18.5% 만이 위생적으로 나타나 50세 이상의 사업주가 운영하는 업소가 위생상태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업소의 위생관리와 칼의 위생상태 차이에서는 조리에서 판매까지 보관시간 이 30분 미만업소의 세균오염도 판정결과 23.5%가 위생적인 반면에 30분 이상 인 업소의 경우는 0.0%가 위생적으로 판정되어 조리에서 판매까지 보관시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도마의 위생상태 차이에서는 자연건조한 도마인 경우 세균오염도 판정결과 소독기를 사용한 업소는 28%가 위생적으로 판정된 반면에 위생적인 업소는 0.0%로 주방용구 살균방법에 의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위생복 착용 경우는 업소38.5%가 위생적인 업소로 판정된 반면에 미착용 11.4%업소만이 위생적인 업소로 판정되었다. 행주의 위생상태 차이에서는 각 변수별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종사자의 손 위생상태에서는 주방용 세척방법인 경우는 항균세제 또는 살균세제를 사용하는 업소의 오염도를 판정 결과 35.0%가 위생적으로 판정된 반면에 주방용세제를 사용하는 업소는 위생적인 경우가 11.4%에 불과하였다. 일회용장갑 1일 교체사용횟수인 경우는 5회 미만인 업소의 오염도판정결과 위생적인 경우가 6.9%인 반면에,5회이상인 업소의 해당하는 경우 32.0%로 위생적으로 판정되었다. 종사자의 손의 차이에서는 주방용세척 방법 및 일회용장갑은 1일 교체 횟수 등에 따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보듯이 김밥취급업소의 시설 환경요인, 김밥 제조과정에서 작업도구 관계, 영업주 및 종업원위생관리 등이 김밥취급업소의 오염도에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보아 총체적인 대책수립이 요구된다. 특히 외부에 노출된 김밥 제조대 및 판매대,조리도구 등에 의한 교차오염을 예방하기위하여 다른 시설과 구획될 수 있도록 시설을 권고하고, 시설환경, 조리기구 관리, 위생관리 등을 점수화하여 등급관리 · 차별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위생상태 판단을 위해 자율적으로 사전에 김밥 종사자의 손, 도마, 행주, 칼, 물 등 세균검사를 실시하여 기록․비치하고, 간편하고 신속한 장비를 이용하여 세균오염검사를 모니터링하여 대처방안 강구 및 종업원의 위생수칙 등을 관리하는 것이 필요한 조치라고 판단된다. Bacterial contamination Survey of Kimbab Restaurant in Incheon Metropolitan Kim Hae Kyoung Gacheon University of Medicine & Science,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Master degree in Epidemiology & Disease Management This study investigated 57 Kimbab stores in four districts of Incheon Metropolitan to identify the sanitary level of bacterial contamination for prevention. To do this, ATP (Adenosine TriPhosphate) test was used to measure the contamination rate and a survey of the owners and workers of the Kimbab store to obtain the status of sanitation. On the result of the bacterial contamination rate according to safe, warning and serious, 14% of the stores received safe for the knife contamination, 28.1% received a warning and 57.9% received serious. For the chopping board, 17.5% received safe, 35.1% received a warning and 47.4% received serious. For the dish cloth, 66.7% received serious contamination, 31.6% received a warning and only 1.8% which is 1 store, received safe. Finally for contamination rate of the worker's hands, 21.1% received safe, 38.6% received a warning and 40.4% received serious. On the result of the sanitary status of the knifes, cutting board, dish cloth and the worker's hand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ore, for the knife, 21.1% of the stores that operate less than 15 hours a day had a sanitary status. On the other hand, 0.0% of the stores had a sanitary status that operated more than 15 hours a day and also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tatistics. Also for the cutting board, 50% of the stores that was run by a male and only 17.0% of the stores run by a female turned out to have a sanitary status, which means that stores run by male had an overall sanitary status. 31.8% of the stores that had employees working for less than 8 hours a day, showed a sanitary status on the bacterial contamination test, while only 10% of the stores that had employees working for more than 8 hours showed a sanitary status on the tes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on the sanitary status of the dish cloth according to each changing factors. For the sanitary status of the worker's hands, store owner's over 50 years old showed 40.0%, but for the owners between 40 to 49 years old showed 18.5%, which means that the store owners over 50 years old showed a good sanitary status. A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sanitary status between the store's sanitary management and knife was shown, the stores which took less than 30 minutes from the cooking time to the selling and storing time of the food showed 23.5% sanitary, while 0.0% was shown for the stores that took more than 30 minutes. On the result of the sanitary status of the cutting board, 28% of those dried naturally had bacterial contamination while 0.0% was shown on those dried by a sterilizer,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according to the sterilization method. For the stores that wore sanitary clothes showed 38.5% of sanitary status, while only 11.4% was shown on the stores that didn't wear sanitary clothe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on the dish cloth sanitation status according to the changing factors. For the sanitary status of the worker's hands, 35.0% of the stores that used both the anti-bacteria cleaner and the sterilizing cleaner showed a sanitary status, while only 11.4% of the stores that used only kitchen cleaners showed a sanitary status. For the stores that used less than 5 times of the disposable gloves showed 6.9% of the sanitary status, while those who used more than 5 times showed 32.0%. On the difference of the worker's hands,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on the statistics according to the number of using the disposal gloves. As shown on the results above, since the environmental factor, the tools used for cooking, the owner and the worker's sanitation affected the contamination rate of the store, measurements needs to be made. Especially for the cooking board, the selling counter and the cooking tools that is shown to the customers, a different facility must be designed to prevent cross-contaminations. Also the environment, management of the cooking tools and the sanitary status should be scored and classified according to the rank and differentiated. To identify the sanitary status in advance, the stores can freely conduct, record and place the bacterial contamination test results for the Kimbab, worker's hands, cutting board, dish cloth, knife and water. Another method is to use a quick and convenient equipment, the bacterial contamination can be monitored which will help take measurements and decide the sanitary regulations for the work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