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서울 1960-70년대 도시계획에서 「잠실지구종합개발기본계획」의 의미

        김진희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서울 1960~70년대 도시계획에서「잠실지구종합개발기본계획」의 의미 1974년, 서울시는 토지구획정리사업을 시행하기 전에 마스터플랜 성격의 「잠실지구종합개발기본계획」(이하, 종합계획)을 수립하였다. 물리적 환경 조성에 있어서 토지구획정리사업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사업 후의 개발 모습까지 입체적으로 구상하였는데 10만명 이상을 수용하는 도시규모에서 도시설계적 차원의 도시계획을 종합적으로 다룬 것은 이 계획이 처음이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잠실지구 종합계획을 해방 후 근대화 과정에서 일어난 중요한 도시계획의 하나로 보고 계획을 수립한 배경, 계획이 물리적 환경에 가져온 결과, 그리고 도시계획에 가져온 의미, 후에 미친 영향에 대해 탐구하여 당면했던 도시문제를 어떻게 풀어나가고 도시계획에 의해 물리적 환경을 어떻게 만들어갔는지 실증적으로 분석, 1960~70년대 도시계획의 질적 발전을 알아보는 것이다. 1960~70년대에 주목하는 이유는 경제성장으로 인한 급속한 도시화로 물리적 환경이 많은 변화를 겪게 되면서 도시를 인식하는 태도와 방법에 큰 변동이 일어난 시기이기 때문이다. 또한, 해방 이후, 우리가 스스로 도시문제를 인식․접근하면서 1962년 도시계획법 제정을 시작으로 현재 도시계획 및 도시설계의 근간을 만들어가는 시기였다. 연구의 내용은 크게 두가지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첫째, 1960~70년대 서울의 도시문제와 과제에 대응하는 도시계획적 시도를 알아보는 것이다. 도시문제를 인식하는 태도와 방법이 달라지면서 서울의 물리적 환경을 실질적으로 어떻게 만들어갔는지 알아보고 잠실지구 종합계획 수립의 필요성이 제기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둘째, 서울의 주요 도시개발계획 사례를 선정하여 계획적 측면에서 잠실지구 종합계획과 비교를 통해 계획 내용의 질적 발전이 이루어졌는지 도시계획적 의미를 도출하는 것이다. 물리적 환경의 계획 방식이 단순히 택지공급 중심의 평면적인 계획에서 종합적․입체적인 계획으로 바뀌는 과정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주요 사례로는 역촌지구 토지구획정리사업(67), 동부이촌동 공유수면매립사업(68), 영동2지구 토지구획정리사업(71), 여의도종합개발계획(71)을 선정하였다. 1960~70년대 서울 도시문제 인식 및 도시계획 대응 과정을 분석한 결과, 잠실지구 종합계획을 수립하게 된 시대적 배경은 다음과 같다. 1970년대 들어 세계적으로 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었고 국내에서는 조경을 도시계획에 적용하기 시작하면서 시가지의 양적인 확장보다는 주거환경의 질에 대한 관심으로 발전하였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시민들도 경제성장에 의해 생활수준이 점차 향상되면서 주거환경의 질 향상을 위한 계획의 필요성을 느끼기 시작한 한편, 1960년대 학술적 기반을 바탕으로 1970년대에는 정식으로 교육받은 도시계획 전문가가 직접 도시계획에 참여하여 도시설계 논리 및 기법을 실제로 적용, 발전시키는 시기였다. 더욱이, 제6회 아시아경기대회(68년 개최권 반납)로 인해 국가적으로 그 전과는 다른 이상적인 현대도시를 만들어 국제적으로 국가의 위상을 향상시키려는 사회적 분위기가 형성되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물리적 환경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있어서 토지구획정리사업 방식의 한계를 인식하였고 그 대안으로 잠실지구에서는 질 높은 도시환경 조성을 목표로 종합계획을 수립한 후, 이에 따라 사업을 시행하게 된 것이었다.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잠실지구 계획과 주요 도시개발계획 사례의 계획 내용을 비교․분석한 결과, 1960~70년대 서울 도시계획에서 잠실지구 종합계획이 갖는 도시계획적 의미는 크게 6가지로 도출되었다. 1) 잠실지구는 도시계획 차원에서 질 높은 도시환경의 조성을 목표로 종합계획을 먼저 수립하고 토지구획정리사업은 이를 실현하기 위한 사업수단으로 적용하였다. 도로 개설 및 대지 조성 등의 토목 위주 사업에 의존한 도시조성의 흐름을 계획 중심의 도시조성으로 전환하는 중요한 사례로 이후, 도시계획 발전의 중요한 이정표가 되었다. 종합계획 이후, 영동아파트지구종합개발계획(76), 가락지구개발기본계획(81), 개포지구도시개발기본계획(81) 등의 계획 행위가 일어났기 때문이다. 토지구획정리사업은 환지로 인한 계획의 제약이 많았기 때문에 1980년대는 토지매수에 의한 택지개발사업이 시가지 개발의 주요 수단이 되나 이 과정 속에서 잠실지구의 종합계획 수립은 하나의 계기적 성격을 지닌다. 2) 잠실지구는 토지이용계획을 수립하여 고밀도․중밀도․저밀도 주거용지, 중심업무지구, 호수공원, 종합운동장, 강변녹지 등으로 토지이용을 구분하고 이에 따른 물리적 환경을 형성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자유로운 토지이용 배분은 공유수면매립에 의해 형성된 대규모 택지를 집단체비지로 확보하고 비(飛)환지를 적용했기에 가능했지만 결과적으로 토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충분한 공공용지를 확보하는 등 토지구획정리사업이 갖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었다. 도시계획 과정에서 토지이용계획의 중요성을 고려해볼 때, 토지이용계획이 없는 채 용도지역에 의해 토지이용을 관리하는 당시의 상황 속에서 잠실지구는 토지이용계획을 바탕으로 물리적 환경을 형성하고 용도지역을 지정하면서 계획적인 토지이용의 관리가 가능하였다. 3) 잠실지구는 집단체비지를 적용하여 고․중밀도 주거용지에는 주공아파트 단지 건설에 의해 대규모 단지형 공동주거지를 형성하였고 중심업무지구에는 계획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통합 계획 및 개발에 의해 면형 중심지를 형성하도록 유도하였다. 즉, 수퍼블록형 개발이 집단체비지에 의해 가능했던 것이다. 집단체비지는 자유로운 토지배분 및 토지의 고도이용이 불가능한 구획정리사업의 한계를 극복하고 계획의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한 수단으로 잠실지구는 집단체비지 개념이 보편화되기 전, 실제적으로 적용되어 개발이 일어났다. 이를 계기로 집단체비지 제도화, 아파트지구 도입에 영향을 주었으며 기존에 시도되지 않았던 면적인 중심상업지 개념이 들어오는데 영향을 미쳤다. 4) 잠실지구 계획에서는 부도심 조성을 목표로 중심업무지구 계획을 중요하게 생각하였고 이를 향한 방사상과 환상으로 도로를 배치하여 중심성을 확보하였다. 도시형태를 통해 도시기능을 강화하려는 의도였다. 중심업무지구에 대규모 업무기능을 중점적으로 확보하고 주변 세력권을 포함한 직주근접을 실현하여 일종의 자족기능을 갖는 신시가지를 형성하고자 하였다. 격자형 도로망 형성과 주거지 중심의 시가지 확장에만 치우친 기존 토지구획정리사업에서는 고려하지 않았던 도시기능 및 형태적 측면의 새로운 계획적 시도였다. 잠실지구는 결국, 1978년에 부도심으로 선정되었고 1990년 도시기본계획까지 이어졌으며 도시계획을 통해 부도심 조성을 실현했다는 점에서 종합계획 자체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5) 잠실지구는 토지이용계획 단계에서 인구밀도를 기준으로 공공시설의 면적을 산정하였으며 그 결과, 공공용지는 전체 면적의 41%로 대부분 20~30%대를 유지하던 이전 사업지구보다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종전, 빨리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서 인구밀도를 고려하지 않고 확보하기 쉬운 위치에 공공용지를 배분하고 학교, 공원, 시장에 국한하여 최소한의 공공시설을 배치하는 방식과는 확연한 차이가 있었다. 1960년대에 비해 1970년대 사업지구의 공공용지 비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는 바, 이는 도시화에 따른 주택지 수급을 위해 양적인 개발에 치우쳐 있는 1960년대 도시개발의 흐름과 비교할 때, 주거환경의 수준 향상을 도모하는 질적인 개발로 전환하는 시기였다. 이러한 것이 잘 드러난 선도적 사례가 잠실지구이기에 그 계획적 의미는 더 크다. 6) 잠실지구는 도시계획 단계에서부터 주거용지, 상업용지, 공원녹지용지로 토지이용을 구분하고 건물의 배치, 형태, 규모 등에 대한 설계 개념을 제시하여 개발 후의 모습까지 미리 구상하는 입체적인 계획이 이루어졌다. 종전, 기반시설 계획과 대지 조성 중심의 평면적인 계획에서 물리적 환경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입체적 공간 질서를 찾아가는 행위였다. 잠실지구 종합계획은 그전까지 도시설계 차원에서 종합적으로 접근하는 사례가 없었다는 점, 설계 수준 및 내용이 현재와 같은 발전적인 모습을 보인다는 점, 1970년대 물리적 환경의 질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도시계획으로 구현되었다는 점, 1980년 도시설계가 제도화되기 전에 도시설계적 접근이 이미 시도되었다는 점에서 도시계획적 의미가 있다.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established Jamsil Comprehensive Master Plan in 1974 and it was planned prior to land readjustment project. It was the first time that the image of the city designed multi-dimensionally after the development despite the limitations of land readjustment project. It dealt with urban planning comprehensively in terms of urban design in the scale over 100,000 people.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dentify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urban planning in the 1960~70s regarding Jamsil plan as a significant urban planning since liberation(1945) focusing on how they dealt with urban problems and made built-environment based on urban planning. The reason why I focus on the 1960s~70s urban planning is that there were big changes in the manner cognizing the city and there was rapid urbanization by economic growth. Furthermore, it was the time to make the basis of urban planning and urban design through approaching the urban problems by ourselves beginning with legislating Urban Planning Law in 1962 since liberation(1945). The research methods are divided into two ways. Firstly, I analyze attempts of urban planning responding urban problems in the 1960~70s. I look into how they make built-environment of Seoul with changing the way cognizing urban problems and find out the process rising the necessity of planning in Jamsil district. Secondly, I figure out the meaning of urban planning whether there were qualitative developments of Jamsil plan through comparing it with other plans. I selected Yeokchon land readjustment project(67), Dongbuichon-dong tidal reclamation project(68), Yeong-dong2 land readjustment project(71) and Yeouido masterplan(71) as major cases. I analyze the process empirically transforming the two-dimensional planning into the multi-dimensional planning.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cognition of urban problems and response of urban planning in the 1960~70s, the background of Jamsil plan is as follows. The quantitative expansion of city has been changed into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built-environment as the concept of landscape was applied to urban planning and environmental concerns grew worldwide. People started feeling the necessity of planning for improving quality of life as the standards of living became better by economic growth. Meanwhile, it was the time that educated professionals were involved in urban planning directly and they applied and developed the planning methods in the 1970s based on an academical foundation in the 1960s. Due to the 6th Asian games, social atmosphere for enhancing the nation’s position was created and the government wanted to make the modernized city. The planners realized the limitations of land readjustment project in making built-environment. Therefore, master plan for Jamsil district was planned for constructing a qualitative environment prior to land readjustment project. As the result of comparing Jam-sil plan with other major plans, implications of Jamsil plan in the 1960~70s are as follows. 1) Jamsil plan was devised in advance for making high-quality built-environment in terms of urban planning and land readjustment project was applied as the means of realizing the plan. It was the turning point that the flow of urban planning depending on civil engineering has been changed into the urban planning focusing on plans. It became an important milestone in the development of urban planning since then, because a lot of plans were devised in other district. Land readjustment project by replotting had a lot of limitations in planning. So, it changed into land development project by land purchase in the 1980s. In this process of change, Jamsil plan had the transitional characteristics. 2) Through land use planning, Jamsil district was devided into the high density․medium density․low density residential area, central business area, lake, sports complex, openspace along the river and was tried to construct built-environment according to land use. It was possible to overcome limitations in planning by applying collective land parcel and replotting moved to other place, so that it could use land effectively and secure enough public spaces.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land use planning in the process of urban planning, it was possible to manage land use intentionally applying zoning system after forming physical environment according to land use planning. 3) The concept of collective land parcel was applied to Jamsil plan, which enabled to create a large-scale apartment in the high-density residential area and an areal center by an integrative plan in the central business area. That was the super-block development. The collective land parcel was the means for overcoming limitations of land readjustment project and gaining flexibility of planning because it was impossible to distribute land use freely and efficiently. It affecte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he collective land parcel, enforcement of apartment district and the introduction of an areal center concept. 4) There are new attempts in order to make Jamsil as a sub-center by planning a large business district with the street pattern of radial-concentricity. That intended to reinforce functions through a street pattern. It was different from existing schemes concentrating on planning the grid street pattern and residential area. It especially placed emphasis on securing a large business function in central business area constructing a self-sufficient new town based on approaching jobs-to-work. Thanks to the Jamsil plan, Jamsil had been a sub-center from 1978 to 1990. 5) The percentage of public spaces in Jamsil was accounted for 41% of total area. That was very high in comparison with 20% to 30% accounted in existing districts because the area of public spaces was calculated by population density in the process of land use planning. There was a clear difference from existing schemes distributing a minimum of public spaces(i.e. school, park, market) not considering population density where they could secure easily. The ratio of public spaces in the 1970s was higher than that of public spaces in the 1960s. It was the time to change in qualitative development for an improvement of built-environment in the 1970s compared to quantitative development for the supply of housing land in the 1960s. Jamsil plan was meaningful as a leading case in the context of this change. 6) The image of the city was designed multi-dimensionally after the development by applying the design concept about building arrangement, form and scale. It was the planning to transform two-dimensional planning focusing on infrastructure and housing-site into multi-dimensional planning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built-environment. Master plan for Jamsil district was meaningful in that there weren't any cases approaching in terms of urban design before. The design standards was very progressive and urban planning gave body to the interest in qualitative built-environment in the 1970s. Urban design was already applied before being institutionalized.

      • 어린이집 원장의 코칭 리더십과 보육교사의 직무 스트레스가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진희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coaching leadership of the director of daycare centers and job stress of childcare teachers on the intention of childcare teachers to change jobs. The research issues for this are as follows. 1. Coaching leadership, job stress, etc. of the head of the daycare center recognized by the childcare teacher; What is the general trend of turnover intention? 2. Based on the general background of child care teachers,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aching leadership of the head of the daycare center and the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of child care teachers? 3.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aching leadership of the head of the daycare center and the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of the childcare teacher? 4. How is the coaching leadership of the head of the daycare center and the job stress of the childcare teacher affect the intention of the childcare teacher to change job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45 child care teachers working at national, corporate, workplace, and private daycare centers located in Gyeongsang-do and Gyeonggi-do. Research tools are used to measure the coaching leadership of the director. We used Ha Mi-sun (2015)'s research scale, which modified and supplemented the scale developed by Stowell (1986). To measure job stress, we used the Bae Gye-soon (2018) scale, which was developed by Clark1 and modified by D'Arienzo Moracco and Krajewski to modify and supplement the Modified Teacher Opportunistic Stress Factor Questionnaire. It was developed by Mcyer &Allen (1990) to measure the intention of childcare teachers to change jobs, and used the Ha Mi-sun (2014) scale, which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with suitable and appropriate sentences for childcare teachers. The data collected used the SPSS 26.0 Statistics Program. A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urnover intention levels according to the general background variables of child care teachers,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In addition, the effect of coaching leadership of the head of the daycare center and job stress of the childcare teacher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the childcare teacher was determined by conducting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deriv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aching leadership of daycare centers and the general tendency of childcare teachers to change jobs showed that the coaching leadership of daycare centers was high, and the job stress and turnover of childcare teachers were relatively low. Seco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director's coaching leadership and the intention of childcare teachers to change jobs according to the general background of childcare teachers is as follows: First of all, teachers of state-run daycare centers significantly valued the coaching leadership of the director compared to teachers of private daycare centers and corporations and organizations. Nex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job stress levels depending on the teaching experience of childcare teachers, the current work experience, and the type of institution in office,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urnover intentions depending on the type of institution in office. Thir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aching leadership of daycare centers and the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of childcare teachers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coaching leadership and turnover intention of daycare centers showed a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between the job stress and turnover.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coaching leadership of the head of the daycare center, the less willing the nursery teacher is to switch jobs, and the higher the job stress of the nursery teacher, the higher the turnover intention. Fourth,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coaching leadership and job stress on the turnover of nursery teachers showed that coaching leadership and job stress of nursery teacher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turnover of nursery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coaching leadership by the head of the daycare center.It suggests that efforts should be made to promote relationships, including the development of child care teachers and support of interest through coaching leadership by the director, as In can predict the job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and their intention to change jobs. 국 문 초 록 어린이집 원장의 코칭 리더십과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 전공 김진희 지도교수 김은경 본 연구는 어린이집 원장의 코칭 리더십과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대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보육교사가 인지하는 어린이집 원장의 코칭리더십, 직무스트레스, 이 직의도의 일반적 경향을 어떠한가? 2. 보육교사의 일반적 배경에 따라 보육교사가 인지하는 어린이집 원장 의 코칭리더십과 보육교사 직무 스트레스 및 이직의도의 차이는 어떠 한가? 3. 어린이집 원장의 코칭리더십과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 및 이직의도 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4. 어린이집 원장의 코칭리더십과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가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상도, 경기도에 위치한 국공립, 법인, 직장, 민간어린이집에 재직하고 있는 보육교사 145명을 대상으로 하여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Stowell(1986)에 의한 개발된 척도를 수정 · 보완한 하미선(2015)의 연구척도를 사용하였다. 직무 스트레스를 측정은 Clark1이 개발하고 D'Arienzo Moracco와 Krajewski가 수정한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의 관한 요인 질문지(Modified Teacher Occupational Stress Factor Questionnaire를 수정 · 보완한 배계순(2018) 척도를 사용하였다. 보육교사의 이직의도 측정은 Mcyer&Allen(1990)이 개발한 것을 하미선(2015)이 보육교사용으로 수정 · 보완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은 SPSS 26.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먼저 보육교사의 일반적 배경 변인에 따른 이직의도 수준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t 검정과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변인 간 상관성 파악을 위해서는 Pearson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어린이집 원장의 코칭리더십과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원장의 코칭리더십과 보육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및 이직의도의 일반적 경향성을 살펴본 결과 보육교사가 지각한 어린이집 원장의 코칭리더십은 높은 편이었고, 보육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및 보육교사의 이직의도는 비교적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원장의 코칭리더십과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 이직의도에 대한 차이를 살펴 본 결과 먼저, 국공립 어린이집교사가 민간 어린이집과 법인 및 단체 어린이집 교사에 비해 원장의 코칭리더십을 유의미하게 높게 평가하였다. 다음으로, 보육교사의 교직경력, 현 기관 근무경력, 재직기관 유형에 따라 직무스트레스 수준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보육교사의 재직기관 유형에 따라 이직의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고 나타났다. 셋째, 어린이집 원장의 코칭리더십과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이직의도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어린이집 원장의 코칭리더십과 이직의도 간에는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 간에는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이는 어린이집 원장의 코칭리더십이 높을수록 보육교사의 이직의도가 낮은 것이며,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넷째, 어린이집 원장의 코칭리더십과 직무스트레스가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원장의 코칭리더십과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원장의 코칭리더십에 비해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이 큰 것으로 예측되었다.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근무환경과 관련된 연구에 있어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ICT를 활용한 가창 수업 지도 방안 연구

        김진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47

        ABSTRACT Research on Utilizing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n Developing Teaching Plans for Singing Classes Kim, Jin Hee Major: Music Education Kookm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Research Advisor: Kim, Hee Sun Through the medium of singing, our classes teach students to express music both through using human vocals and by conveying the emotions of the song. Using their voices, rather than conventional instruments, to express music, in our singing classes students allow their individuality to shine in their music. Utilizing a program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in singing classes helps create an environment where students can have rich musical experiences encouraging them to express their thoughts and emotions through music.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innovative teaching methods utilizing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to conduct a productive singing class. The study aims to synergize musicality and creativity in students by incorporating ICT in singing classes, while providing basic information to promote student participation during class. To conduct an effective singing class, three ICT tools were used in this research: First, usage of video clips and image files were made available through the Internet. It is crucial to provide educational resources that give students musical experience;such resources are imperative to enhance the regular lectures given by teachers. These image files and video clips obtained from the web motivate students to experience what they have learned. Second, the application of the Sibelius program was necessary. The Sibelius program enhances the musicality and creativity of students, and encourage s participation from students during singing classes. It allows students to score and play out the tunes they have created. Furthermore, asaneasy-to-use tool for students, the Sibelius program in duces interest in students for the singing class by allowing them to input notes and symbols. Third, the utilization of MS Powerpoint was pivotal. Teachers require tools that help organize and structure their lecture s in order for students to better understand the contents. Powerpoint served as an effective tool for summarizing and delivering important key points from the lecture to the students. Utilizing the three ICT tools mentioned above, this research examined teaching plans for singing classes focusing on the songs Goun kkum, Jeulgeoun Bom, Edelweiss, Junghaksaengui Kkum. The four songs were listed in the earlier chapters of the textbooks, wherein were chosen nine out of sixteen government-approved middle school music textbooks for first graders. As highlighted in this research, students are enabled to develop creativity by utilizing ICT in singing classes; by introducing musical experiences into teaching plans, music education becomes more interesting and engaging with active participation from students. 국문요약 ICT를 활용한 가창 수업 지도 방안 연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김진희 지도교수: 김희선 가창 수업은 인간의 목소리를 사용하여 음악의 느낌을 살려서 노래로 음악을 표현하는 수업이다. 가창 수업은 각 학생들의 목소리를 사용하여 음악을 표현하는 것으로써, 악기를 사용하는 것에 비해 학생 각자의 특징이 잘 나타나도록 음악을 표현할 수 있다. ICT를 활용한 가창 수업은 학생들이 풍부한 음악적 경험을 하도록 환경을 조성하고 학생들이 자신의 느낌과 생각을 음악으로 쉽게 표현할 수 있도록 독려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ICT를 활용하여 더 효과적인 가창 수업을 하기 위한 수업 방법을 모색한다. 가창 수업에서 ICT를 활용하여 학생들의 음악성과 창의성을 계발하고 가창 수업에 대한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수업 방법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효과적인 가창 수업을 위해 이 논문에서 활용한 ICT의 종류는 다음의 3가지가 있다. 첫째, 인터넷을 사용한 동영상 파일과 이미지 파일을 활용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음악 수업은 학생들의 실제적인 경험을 하도록 도와주는 자료가 필요하다. 교사들이 말로 설명하는 것을 제외하고 학생들이 실제로 체험하여 느낄 수 있는 자료가 필요하다. 인터넷을 사용하여 얻어진 이미지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은 학생들이 실제 경험을 하여 음악을 느낄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둘째, 시벨리우스 프로그램 활용의 필요성이 있다. 학생들의 음악성과 창의성을 계발하고 가창 수업에 대한 참여도를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시벨리우스 프로그램은 학생들이 스스로 생각한 음악을 직접 사보하고 자신이 사보한 음악을 들을 수 있다. 시벨리우스 프로그램은 사용 방법이 용이하여 학생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 학생이 직접 음표와 여러 가지 악상 기호를 입력할 수 있으므로 가창 수업에 대해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시벨리우스 프로그램의 장점들을 활용하여 효과적으로 가창 수업을 할 수 있다. 셋째, 파워포인트를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교사가 음악 수업의 내용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여 학생들에게 보여줄 수 있는 도구가 필요하다. 파워포인트는 수업의 중요한 학습 내용을 간략하게 정리하고 학생들에게 효과적으로 수업의 내용을 전달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위와 같은 3가지의 ICT 활용 방법을 사용한 가창 수업 지도 방안을 모색하는데, 중학교 1학년 16종의 교과서 중에 9종의 교과서에서 4종의 교과서에 수록된 중학생의 꿈, 즐거운 봄, 에델바이스, 고운 꿈을 중심으로 한다. 이와 같이 ICT를 활용한 가창 수업을 하여 학생들의 창의성을 계발하고 각 음악 활동을 통하여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체험적이고 재미있는 수업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 중학생의 성격유형(MMTIC)에 따른 학업성취도의 차이분석

        김진희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성격을 전체적인 심리적 역동성의 측면에서 고려한 Jung의 심리유형론을 근거로 성격과 학업성취에 관한 연구이다. MMTIC 성격유형에 따른 학업성취와의 차이를 연구하여 학생들의 잠재력을 계발하고 학습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된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Ⅰ. 중학생의 학업성취도는 성격의 네 가지 선호지표 ( E-I, S-N, T-F, J-P)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Ⅰ- 1. 중학생의 학업성취도는 외향형과 내향형(E - I)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Ⅰ- 2. 중학생의 학업성취도는 감각형과 직관형(S - N)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Ⅰ- 3. 중학생의 학업성취도는 사고형과 감정형(T - F)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Ⅰ- 4. 중학생의 학업성취도는 판단형과 인식형(J - P)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Ⅱ. 중학생의 학업성취도는 성격의 4가지 기질 ( SJ, SP, NT, NF )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Ⅲ. 중학생의 학업성취도는 성격의 4가지 기능 (ST, SF, NT, NF)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강원도 내 중학생 남녀 242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측정 도구로는 어린이 및 청소년용 심리유형 검사지인 MMTIC을 사용하였으며, 학업성취도 측정은 1학기 기말고사 종합성적을 활용하였다. 자료의 처리는 SPSS WIN 11.5 프로그램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Ⅰ. MMTIC에 의한 성격유형지표에 따른 학업성취도의 차이를 살펴보면 외향형·내향형( E-I ) 집단에서와 감각형·직관형( S-N ) 집단의 경우에는 학업성취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사고형·감정형( T-F ) 집단과 판단형·인식형( J-P ) 집단에서는 학업성취도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4가지 척도 중에서 사고형(T)과 판단형(J)이 높을수록 유의미하게 높은 학업성취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Ⅱ. 성격의 각 기질유형에 따른 학업성취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SJ집단, NT집단, SP집단, NF집단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이들의 차이도 서로 유의미하여 MMTIC의 네 가지 심리 기질유형은 학업성취와 관련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Ⅲ. 성격의 각 기능유형에 따른 학업성취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NT집단, ST집단, SF집단, NF집단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이들의 차이도 서로 유의미하여 MMTIC의 네 가지 심리 기능유형은 학업성취와 관련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모든 성격유형에 따라 선호하는 학습 방법이 다르듯 학업성취 결과도 달라질 수 있다. 각기 다른 특성을 갖는 학습자들을 위해서 학업성취를 평가하는 방법 그리고 교사와 학생 모두에게 바람직한 교수-학습 방법의 연구 및 학습자의 성격유형을 고려한 교육 여건 조성으로 교사와 학생간의 신뢰는 물론 학습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성격유형에 따른 학업성취분야의 연구는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difference of academic achievement due to MMTIC's personality types. It uses the psychological typology of Jung by considering characters inside of general psychological dynamic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students' potential and to promote the efficiency of learning through the study of the difference of academic achievement due to MMTIC's personality types The hypothese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Ⅰ. There are going to be meaningful difference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depending on MMTIC's 4 kinds of standards.( E-I, S-N, T-F, J-P) Ⅰ- 1. There are going to be meaningful difference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between the Extroversion group and Introversion group.( E-I ) Ⅰ- 2. There are going to be meaningful difference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between the Sensing group and Intuition group.( S-N ) Ⅰ- 3. There are going to be meaningful difference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between the Thinking group and Feeling group.( T-F ) Ⅰ- 4. There are going to be meaningful difference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between the Judging group and Perceiving group.( J-P ) Ⅱ. There are going to be meaningful difference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depending on MMTIC's 4 kinds of temperamental types.( SJ, SP, NT, NF ) Ⅲ. There are going to be meaningful difference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depending on MMTIC's 4 kinds of functional types.(ST, SF, NT, NF) To verify this theory, we chose 242 boys and girls in middle school in kangwondo. For the research instruments, the MMTIC results for primary school were used. For the measurements of academic achievement we referred to the scores of the final test of the first semester. The scores were analyzed by SPSS WIN 11.5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Ⅰ. In analysis of the academic achievement with MMTIC's 4 kinds of standards (E - I) and (S - N) were not shown to have a meaningful difference. However (T - F) and (J - P) were shown to have a meaningful difference on academic achievement. Generally, when T preference and J preference personalities were higher, there was a high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Ⅱ. Academic achievement analysized by MMTIC's 4 kinds of temperamental types was shown to have meaningful differences. SJ, NT, SP and NF are easily shown and their differences are also meaningful. MMTIC's 4 kinds of temperamental types are directly related to academic achievement. Ⅲ. Academic achievement analysized by MMTIC's 4 kinds of functional types was shown to have meaningful differences. ST, NT, SF and NF are easily shown and their differences are also meaningful. MMTIC's 4 kinds of functional types are directly related to academic achievement. Every learner has the original personality type. As every personality type prefer different ways of study, the result of academic achievement can be different. For the sake of the learners developing a way of evaluating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by personality types would be beneficial for both teacher and student. Modifying the educational environment for the personality type of learner should be considered. Further study about academic achievement in accordance with personality type should be pursued to improve the efficiency and confidence between a teacher and students.

      • Development of liposomal drug carrier for effective treatment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김진희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염증성 장 질환은 위 장관에서 나타나는 대표적 만성 염증질환으로 복통, 혈변, 설사 등의 증상을 동반한다. 현재 염증성 장 질환의 원인이 명확히 밝혀지지 않아서 근본적인 원인 치료보다는 증상완화 목적의 치료제가 주로 사용된다. 대표적인 것이 면역반응을 억제하는 corticoid 계열의 약물인 부데소니드(budesonide; BDS)이다. 그러나, 심각한 수 난용성을 나타내고 전신 흡수될 경우 스테로이드 특유의 부작용을 나타낼 우려가 있어 염증성 장 질환 치료를 위해서는 상부 위장관에서 흡수 및 석출되지 않은 상태로 병변 부위에 도달하는 것이 유리하다. 한편 리포좀은 포스파티딜콜린(phosphatidylcholine; PC)등 인지질 이중 층이 수상을 둘러싼 전달체이며, 인공세포막이라고도 불린다. 인지질 분자 사이에 소수성 약물을 봉입하면 약물의 가용화와 생체 내 약물동태학적 분포 등의 효과가 있어서 여러 약물의 전달체로 연구 개발되어 왔으며 현재 15종이 임상 사용 중이다. 염증성 장 질환 환자의 장 점막부위는 장 점막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PC의 양이 현저히 감소하는 등 과도한 염증반응으로 인해 손상되어 있다. 최근의 연구에서는 PC를 경구투여로 보충해주었을 때 염증성 장 질환의 치료효과가 있었음이 규명되어 현재 임상시험 중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데소니드의 수 난용성을 해결하기 위하여 리포좀에 봉입하였고, 또 항염증효과가 있는 오메가3지방산을 함께 봉입해 항염증 효과와 리포좀을 구성하는 PC의 점막 보호효과를 얻어 전달체 자체의 추가적인 효과를 얻고자 하였다. 오메가3지방산을 함께 봉입했을 때는 리포좀이 불안정하였지만 오메가3지방산을 다량으로 함유한 크릴 오일을 첨가시는 리포좀이 안정하게 약물의 용해도를 43배 증가시켰다. 오일(-) 리포좀 만으로도 손상된 장 점막을 회복했고, 특히 오일(+) 리포좀은 망가진 장 점막을 더욱 회복했다. 이는 오일의 물리적인 특성이 자체로, 또는 PC사이를 메워 망가진 장 점막을 메워주는 것으로 예상된다. 또, 대식세포에 LPS로 염증반응을 유도했을 때, 리포좀을 전처리한 군에서 전염증성 cytokine (IL-6, TNF-α)의 생성량이 현저히 감소했다. 약물을 봉입하지 않은 크릴(+) 리포좀 자체만으로도 항염증 효과를 나타냈고, 약물과 함께 한 결과 동반상승 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실험 결과들을 종합하면, 고안한 크릴 오일이 함유된 리포좀 시스템이 약물의 용해도를 현저히 증진시켰고, in vitro 연구에서 과도한 염증반응으로 인해 망가진 장점막을 회복하고, 유발된 염증반응에 대한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는 등 이 시스템이 염증성 장 질환 환자의 치료제로서 all in one 전달체가 될 수 있는 유망한 시스템임을 보여주었다. Inflammatory bowel diseases (IBD) are typical chronic inflammatory diseases on the gastrointestinal (GI) tract that have symptoms of pain, bleeding and diarrhea. Currently, the pathology of IBD is unclear, so therapy aims to relieve symptoms rather than the underlying therapeutic goal. Budesonide (BDS) is an anti-inflammatory corticosteroid drug for treatment of IBD. However, because BDS is a streroidal drug, it is highly water-insoluble and can cause steroid-specific side effects when taken systemically. Therefore, in the case of IBD treatment, it is advantageous to go to the IBD site without absorption and precipitation of the drug in the upper GI tract. To overcome poor water solubility, BDS was encapsulated in a liposome system. Because the intestinal surface of an IBD patient is disrupted, bacterial penetration is increased and inflammation reaction becomes more active. In current research of Stremmel, W., localized substitution of PCs would improve or, at least, normalize the mucus PC content and re-establish the mucosal barrier. Clinical trial is ongoing to evaluate the effects of PC in IBD patients. Liposomes are spherical vesicles, like cell membrane, have bi-layers that almost consist of phospholipid, especially PC, and also other lipids. In addition to the effect of enhancing solubility of BDS, the mucosal protection effect of PC is expected as an additional therapeutic effect of the liposome system. We also added krill oil extracted from Antarctic Krill (Euphausia Superba), which is known to have an anti-inflammatory effect, to our liposome system. Krill oil contains a large amount of omega-3 fatty acids which bind to PC so omega-3s of krill oil more easily introduced into the cell membrane. Krill oil also contains antioxidant carotenoid astaxantin, vitamins A and E. As results, we found the optimal liposome composition in terms of BDS drug loading efficiency and liposome stability, and determined the amount of krill oil to prevent liposomal damage and have anti-inflammatory effects; DOPC: Cholesterol: Tocopherol (35:3:2 molar latio) and addition krill oil~27mg. To test anti-inflammatory effects can be obtained by treatment with the designed liposome and, especially, BDS(-) liposomes, in vitro tests were performed. Treatment of LPS to RAW264.7, a murine macrophage cell line, mediates LPS the inflammatory response. Pretreatment of BDS(+/-)/krill(+) liposomes significantly reduced the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L-6, TNF-α) while the BDS(-)/krill(-) liposome-treated group did not. The krill(+) liposome exhibited anti-inflammatory effects and synergic effects with the drug. As another effect of this system, we conducted an in vitro model in which human Caco-2 cells were differentiated on transwell in order to confirm that they recover the damaged intestinal mucosa of IBD patients. The krill(-) liposome also recovered damaged intestinal membrane. However, the krill(+) liposome exhibited the highest efficacy. Collectively, we designed and developed krill oil-embedded liposome system has shown potential as a therapeutic agent for patients with IBD, such as resolving the poor water solubility of the drug, exhibiting anti-inflammatory effects on induced inflammatory responses and recovering the disrupted intestinal membrane. We are still conducting in vivo tests and expecting positive results.

      • Membrane fabrication via non-solvent induced phase separation for ultrafiltration and forward osmosis

        김진희 高麗大學校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Demand for fresh water has risen consistently over the years, lead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water treatment and membrane industry. In the membrane industry, reverse osmosis (RO) makes up the largest portion, while ultrafiltration (UF) and microfiltration (MF) membranes also make up a considerable portion for waste water treatment or pretreatment for RO. In the first topic, we introduce polyacrylonitrile (PAN) based amphiphilic block copolymer. In the membrane industry, pressure-driven processes suffer from fouling and chemical resistance. Commercial membrane materials such as polysulfone (PSf) and polyethersulfone (PES) are hydrophobic, making them susceptible to fouling and thus in need of chemical cleaning. In this process, chemical cleaning agents like NaOCl shorten the life expectancy of the membrane. Thus, research for hydrophilic materials for membrane materials is in progress. PAN is a widely used membrane material known for its relative hydrophilicity. We used PAN and a hydrophilic block or etchable polymer, synthesized block copolymer and fabricated hydrophilic UF membrane. PAN is soluble in only a few solvents, so the synthesized block copolymer has broad polydispersity. In the second topic, we introduce “self-assembly and non-solvent induced phase separation” (SNIPS) membrane for FO support to reduce internal concentration polarization (ICP) effect. RO consumes a large amount of energy, so FO has attracted much attention because it uses osmotic pressure as driving force. However, due to the ICP effect, FO process has not been commercialized yet. Therefore, much research is focused on reducing ICP. The ideal FO support is thin, hydrophilic, and has high porosity and tortuosity. We use PS-b-P4VP SNIPS support as the FO support. Block copolymer was used because of its ability to self-assemble. Block copolymers are widely used in fabricating membranes with regular pores for size-sieving processes. A combination of SNIPS and conventional NIPS is used to fabricate UF membranes which have regular structures on the membrane surface. We fabricated PS-b-P4VP support with controlled polymer solution concentration, good solvent composition, and relative humidity. These are important parameters to form regular structures on the surface. Finally, we tested the performance of FO membranes.

      • 중학교 2학년 영어 학습활동책 쓰기 과제 분석

        김진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2010년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2학년의 학습활동 책을 분석 대상으로 삼아, 각 교과서에 나타난 쓰기 활동들이 각각의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쓰기 관련 목표를 어느 정도 반영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쓰기 활동 유형과 과정 중심 접근법에 따른 쓰기 세부 항목별 비율을 분석하였다. 또한 쓰기 영역이 다른 언어 기능과 결합되어 영어 학습 활동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유도하였는지 알아보기 위해 언어의 네 가지 기능의 통합 정도를 비교 ·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 대상은 중학교 2학년의 개정된 영어 학습활동 책을 임의로 10권 선정하여, 다음의 네 가지 기준에 따라 쓰기 과업을 분석하였다. 첫째, 영어 학습활동책의 쓰기 활동유형을 분석하였다. 학습활동책에서 쓰기 활동이 유형별로 어느 정도의 비율로 구성되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함이다. 둘째, 과정 중심 접근 방식에 따른 분석을 하였다. 선행 연구에서 많은 연구자들이 제언한 과정 중심 접근 방식의 쓰기 지도의 필요성을 강조한 바, 이번 새로 개정된 영어 학습활동책을 중심으로 어느 정도의 비율로 교과서에 제시되어있는지 분석하였다. 셋째, 쓰기 기능별 통합 정도를 분석하여 언어 기능 간 연계 정도를 조사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활동 책 10종의 쓰기 활동유형을 분석해 본 결과, 통제 작문 > 유도 작문 > 자유 작문 순으로 활동 수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각 쓰기 지도 단계별 분석에서는 3단계 재배열, 4단계 유도 작문, 5단계 자유 작문에 대한 활동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 있었다. 자유 작문에서는 ‘설명적 글쓰기’에 대한 활동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엽서 쓰기, 편지 쓰기’에 대한 활동의 비율이 가장 낮았다. 따라서 학습활동 책이 쓰기 활동유형의 세부 항목에 대한 다양한 형식의 활동들을 제시하여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활동 책 10종의 자유 작문에 대해서 과정 중심 접근법에 의한 쓰기 단계별 활동의 비율을 조사 하였는데, 그 결과로 쓰기 전 단계와 쓰기 단계의 활동이 비슷한 비율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쓰기 후 단계에 대한 활동은 몇몇 학습활동책을 제외하고 거의 제시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활동 책 10종에서 다른 기능과 연계된 쓰기 활동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읽기+쓰기’와 ‘듣기+쓰기’에 대한 활동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고, ‘듣기+말하기+읽기+쓰기’에 대한 활동의 비율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학습활동책은 개정 교육과정의 쓰기의 목적에 따른 다양한 활동을 고르게 제시해야 하고, 자유 작문을 위한 활동을 많이 제시함과 동시에 쓰기 전 단계와 쓰기 단계 그리고 쓰기 후 단계의 연계성 있는 학습이 되도록 구성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듣기+말하기+읽기+쓰기’가 통합된 활동을 많이 제시함으로써 종합적인 언어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하며, 자기 주도적 학습을 통해서 내적 동기유발을 시킬 수 있어야 하겠다.

      • 공공건축설계발주 및 관리제도 개선방안연구

        김진희 서울시립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공공건축이 국민의 다양한 문화 공간으로 활용되고 도시경쟁력 시대의 문화콘텐츠로 부상되며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였다. 이에 문화 관광부는‘공공건축을 도시의 집합적 환경수준과 질을 좌우하고 한 나라의 건축문화수준을 결정하는 시설로 규정’하였으며 그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공공건축물은 단순히 필요한 기능을 제공하는 건물로서의 기능이 아닌 국민의 문화와 삶을 풍요롭게 하는 문화공간으로 전환되었다. 국가정책위원회에서는 공공건축의 문화 컨텐츠화 및 건축서비스산업의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의 시대적 흐름을 반영하기 위해 2013년「건축서비스산업 진흥법」을 제정하고 2014년 6월부터 시행에 들어갔다. 건축서비스산업 진흥법을 기반으로 공공건축 디자인 향상을 위해 공공건축발주 제도를 현상설계 위주로 전환하였으며 건축서비스사업의 해외진출 지원, 건축 산업 전반에 걸친 연구 및 정보체계구성, 공공건축물의 발주 및 설계, 시공유지관리를 총괄하는 민간 전문가로 구성된 공공건축지원센터를 설립하였다. 그러나 공공건축설계 발주 및 관리제도에 있어 발주의 공정성 문제, 실질적인 관리 감독 주체의 모호성, 건축가의 업무범위 증가에 따른 업무대가기준 부재 등 운영상의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축서비스산업 진흥법에 따른 공공건축설계발주 및 관리제도의 실효성 및 문제점에 대해 공공건축설계 참여자의 의견을 수렴하고 개선방안에 대해 논의함으로서 공공건축설계발주자와 참여자의 의견을 조율하여 보다 선진국형 공공건축설계발주 및 관리제도 정착에 이바지 하고자 한다. A public building is utilized in a variety of national and cultural space and become the cultural content of urban competitiveness.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describe it as the public building collectively influence the level and quality of the urban environment and architectural culture defined as a facility to determine the level of a country. Public buildings were converted into a cultural space that is simply to enrich the cultural life of the people and not the function of a building to provide the required functionality. National Policy Committee is established in 2013, "Architecure Services Industry Promotion Regulation " to reflect the contemporary flow of cultural content in high value-added industries and building services industry and went to the enforcement of a public building in June 2014. Architectural Services Industry Promotion Regulation was mainly converted to a public building phenomenon to improve public architectural design and service industry. The regulation include overseas business support services, research and information system configuration across the building industry, public buildings code system and establishment of a Public Architecture Support Center consist of experts. However, public building design regulation have issues like in fairness of management system, ambiguity of the work scope , cost increase due to the scope of work of the architect. In this study, as discuss with the participants for improvement of the public building design regulation, contribute to settle of Architecture Design Procurement system and management system

      • 신표현주의 미술의 형상성에 대한 연구 : 독일 1세대 작가를 중심으로

        김진희 호남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Modernism and relationships, but we called modern translation to modern art sector contemporaries in which we live, which means using more words rather seems Their lives era or any era Sarim for modern thought. This concept is used like the word classic, depending on the context, there is to be interpreted broadly or narrowly as. Therefore, in this paper, is limited by the concept of modern art as "contemporary art" you want to use. Contemporary art four trillion in the most recent trends in the so-called post-modernism, was shown to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process art, painting patterns, decorative art, black art movement, women's art movement. New Image Painting was creatively formed by each region's unique history of culture, rather than formed one single aspect. New Image painting is referred to 'Neo expressionismus' in Germany, as in Italy, 'Trans avant-garde', in the United States' New Painting', in France, under the name of 'Figuration Livre'. There are no other form or formal framework in art history, New Image painting was called differently country to country to fit there way. Just common, now had a predominance of painting abstract art on inner and overly intellectual, which was premiered and has blossomed into a reactionary, a new painting since World War II began in Europe was the focus of attention. German neo-expressionismus was shown from the first generation of artist in the 1960s, starting to quicken dragged into a huge canvas painting roughness unpaired it's brushstrokes and primary colors mixed with intense color and contrast rather than concentrate on the content type, with violence, death, sex, myths and iconography of the image showed. New Expressionist works are so diverse that, on the surface, but have common characteristics. New Expressionist rejects the traditional standards and something in the configuration, Compose message, yet the ambiguity is not particularly noticeable, with the framework of the ideals and norms, in order to deny and to build a symbol system of the private liberal tries. So, we called it as neo-Expressionism, but there are no exact art historical norms and collectively established as the embodiment. But nothing can Expressionist artist Shin Germany reproduce the shape under the influence of the expressionist artist formerly jeopardy, and brought back the target material had to have been behind the era of iconic figure in the pure pleasure of painting came back. With this as a momentum, German neo-Expressionist art increased global attention as a representational painting and gave an opportunity to overcome the historical complex of German art, of which the loss of contemporary mind in the world of art raised by late apply. Beselitz, the leader of German neo-expressionism, descript the contemporary situation of Germany to "isoloation in Berlin.", this shows German neo-expressionism's art trend along with his creative activities. Compared to the German city of Düsseldorf provide a creative space, including the United States of Pop, group of zero to born in Germany, Berlin appears to confuse the post-war generation made their absurd appearance of a living, with showing revival art and tradition of expressionism. In these isolated situations, an effort to find Germany to German materialized neo-Expressionism. In these creative efforts, with the worldwide trend of counteract the tendency of modernism, the art in Germany realized variously there contemporary trend, becoming conscious of there life in the world.    In this paper want to research and leave a evaluation semantics of the painting in the neo-expressionism, through the study of their development process and the analysis of representative works of first generation artist. 1960년대에 접어들면서 금욕적이고 관념적인 모더니즘의 가치를 부인하며, 모더니즘 이전의 모든 형식과 기법을 활용하는 새롭고 다양한 형식의 작품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는데, 이것이 독일, 이탈리아 그리고 미국을 중심으로 하여 번창하였던 신표현주의이다. 형상성과 예술성에 대한 회복을 추구한 신표현주의는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모더니즘 형식의 틀을 벗어나 개인의 자유로운 상징체계를 형성하는가 하면 누구나 보편적으로 공유할 수 있는 소통의 미술을 지향하였다. 특히 1980년대 미술은 모더니즘의 금욕적이고 관념적인 양상들을 거부한 이른바 포스트모더니즘적 경향을 보이며, 패턴 페인팅, 프로세스 아트, 장식미술, 흑인미술운동, 여성미술운동, 뉴 이미지페인팅 등의 다양한 양식으로 구체화되어 나타났다. 이 중에서 뉴 이미지페인팅은 하나의 단일한 양상을 형성한 것이 아니라, 각 지역의 고유한 문화의 역사적인 맥락에 의해 독자적이고 자발적으로 형성되었는데 독일에서는 ‘신표현주의’로 이탈리아에서는 ‘트랜스 아방가르도’, 미국에서는 ‘뉴 페인팅’, 프랑스에서는 ’자유 구상‘이라는 이름으로 불리어진다. 뉴 이미지 페인팅은 미술사의 다른 양식이나 형식적 틀이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국가마다 그 방식에 맞게 불리게 된 것이다. 다만 공통점은 지금까지 회화의 주류를 이루었던 초월적이고 내적이며 지나치게 지적이던 추상미술에 대한 반동으로 생겨났으며, 이 새로운 회화는 2차 세계대전 이후 유럽에서 시작되어 더욱 관심의 초점이 되었다. 독일은 1960년대부터 1세대 작가들이 중심이 되어 신표현주의가 태동되기 시작하는데, 회화를 거대한 캔버스로 끌고 와 거칠기 짝이 없는 붓 터치와 원색을 섞은 격렬한 색의 대비를 사용하고, 형식보다 내용에 집중해 폭력, 죽음, 성, 신화 등의 도상이 갖는 여러 이미지를 보여주었다. 신표현주의 작품은 표면상으로는 무척 다양하면서도 공통된 특성을 갖고 있다. 구성․구도에 있어서 전통적 기준을 거부하고 무언가 메시지가 있는 것 같으나 딱히 알아차릴 수 없는 애매모호함과 함께, 이상과 규범, 질서의 틀을 거부하고 자유스러운 개인의 상징체계를 구축하려 애쓴다. 따라서 신표현주의라 통칭하지만 정확한 미술사적 규범과 양태로서 확립된 것은 없다고도 할 수 있다. 그러나 독일 신표현주의 작가들은 이전의 표현주의 작가들의 영향을 받아 재현적인 형상을 기용했고, 시대에 뒤떨어졌다고 했던 재료들과 인습적인 대상들을 작품 속으로 들여와 다시 회화를 순수한 즐거움의 세계로 이끌었다. 이를 계기로 독일 신표현주의 미술은 구상회화로서 세계적 이목을 드높이면서 역사적으로 독일 미술의 콤플렉스라 할 수 있었던 파시스트 지배 이후 뒤늦은 미술이념의 채용으로 인한 세계화단에서의 동시대성 상실을 극복하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독일 신표현주의의 선두주자였던 바젤리츠는 당대의 독일적 상황을 “베를린에 있는 하나의 고립이다‘라는 말로 표현했는데, 이것은 그의 창작활동과 더불어 독일 신표현주의의 작품성향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바로 이러한 고립된 상황 속에서 독일적인 것을 찾으려는 노력이 독일 신표현주의로 구체화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창작노력은 모더니즘의 경향에 반발하는 세계적 추세와 맞물리며, 독일 미술이 세계 속에서 그들의 삶을 자각하면서 동시대성을 획득해 나가는 모습을 다양하게 보여주었다. 본 논문에서는 현대미술의 영역 가운데 큰 획을 긋고 있는 독일 신표현주의 특성과 형성과정 그리고 1세대 대표적 작가의 작품 분석을 통해 신표현주의의 미술에 대한 개략적인 연구와 평가에 그 의미를 두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