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디지털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초등 영어 수업모형 개발 및 적용

        김소형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전통적 스토리텔링 학습은 교사가 이야기를 재구성하여 들려주는 형식으로 학습자의 능동적, 적극적인 수업 참여가 어렵다. 본 연구의 목적은 보다 다양하고 창의적인 방식의 스토리텔링 수업을 가능하게 하는 디지털스토리텔링 활용 초등영어 수업모형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디지털스토리텔링 관련 문헌과 선행 연구들을 참고하여 수업 모형의 이론적 바탕을 형성하고, 교사와 학생들을 대상으로 요구분석을 하여 그 결과를 모형 개발의 원리에 반영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기반과 요구조사를 토대로 6차시의 디지털스토리텔링 활용 초등 영어과 수업 모형을 개발, 부산 소재 D초등학교 4~6학년 세 개 학급에 6주 동안 적용하여 학생들의 영어능력과 정의적 영역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이후 영어능력과 정의적 영역 증진에 대한 검증을 위해 사전·사후에 영어성취도평가와 정의적 영역 검사 설문을 실시하였다. 또 수업 모형의 적합성과 효과성 평가를 위해 교사 수업 일지, 학생들의 자기평가, 학생 사후 설문 및 인터뷰, 전문가 설문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모형을 수정·보완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디지털스토리텔링 수업 모형을 적용한 결과, 사후 영어성취도 검사에서 학생들의 영어 학습 능력이 전반적으로 향상되었고 사후 정의적 영역 설문에서도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전 영역에 대한 학습 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이는 디지털스토리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의 영어 의사소통이 활발하게 일어났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또한 학습자의 흥미도, 동기, 참여도, 불안감의 정의적 영역에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는데, 특히 동기와 불안감 영역에서 큰 효과를 보였다. 둘째, 본 연구의 수업 모형, 지도안, 각종 수업 결과물 분석을 통해 초등 영어과 디지털스토리텔링 활용 수업을 시도해보고자 하는 교사들에게 방향을 제공하는 기회를 마련했다. 수업 모형에서는 차시별 내용이 상세하게 안내되어 있으며, 지도안을 통해 실제 적용 사례를 살펴볼 수 있다. 또 교사 수업일지, 학생 자기평가, 학생 사후 설문 및 인터뷰 등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디지털스토리텔링 활용 수업은 교사, 학생, 교실 환경 등의 제반 여건이 종합적으로 갖추어져야 성공할 수 있는 모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모형을 수업에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 교사는 교육과정, 학생들의 수준과 흥미, 수업 전략 등 다양한 교육적 상황을 고려하여 수업을 계획하고 준비해야 한다.

      • 과학자에 대한 초등학교 일반 학생과 과학 영재반 학생의 인식 조사

        김소형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과학자에 대한 초등학교 일반 학생과 과학 영재반 학생의 인식을 알아 보기 위하여, 초등학교 일반 학생 4, 5, 6학년 473명과 영재교육기관에서 교육을 받고 있는 과학 영재반 학생 40명을 대상으로 과학자에 대한 인식을 설문지와 면담을 통하여 알아 보았다. 연구 결과, 과학자에 대한 외형적 이미지에 대해서 일반 학생과 과학 영재반 학생이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정형적인 이미지를 4가지 정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자에 대한 내면적 이미지에 대해서는 과학 영재반 학생이 일반 학생보다 과학자를 좀 더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자에 대한 이미지는 일반 학생과 과학 영재반 학생 모두 인쇄매체와 학교밖 교육에서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과학자가 하는 일에 대해서는 주변의 자연 현상이나 법칙을 연구하는 사람보다는 생활에 이로운 것을 만들어내는 발명가로 인식하는 비율이 컸다. 그리고 초등 학생이 존경하는 과학자로 일반 학생과 과학 영재반 학생 모두 에디슨을 가장 높게 응답한 점은 같았으나, 일반 학생은 아인슈타인을 상대적으로 높게 응답한 반면 과학 영재반 학생은 퀴리부인과 장영실, 노벨을 상대적으로 좀더 높게 응답해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고, 과학자를 존경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배경이나 개인적인 특성 보다는 업적을 가장 높게 응답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 볼 때, 과학 교육 전문가와 학교, 그리고 영재교육원에서는 초등 학생이 과학자에 대한 정형화된 이미지를 탈피할 수 있는 수업 프로그램이나 특별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understanding of ordinar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about scientists. 473 fourth, fifth and sixth graders in ordinary elementary schools and 40 students attending scientific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the gifted were studied with the help of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The survey shows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subject groups in relation to the external images of scientists. The subjects turned out to have four fixed images. The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had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internal images of scientists than their counterparts. Both the subject groups turned out to be influenced by the press media and off-campus education, thinking that scientists served as inventors producing something useful in daily life rather than as researchers making study of natural phenomena or laws. Both the groups turned out to admire Edison. The ordinary students turned out to relatively respect Einstein whereas the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turned out to respect Curie, Jang Yeong-sil and Nobel. The subjects admired them because of their achievement instead of their background or individual characteristics. All in all, it is necessary that class programs or extracurricular programs should be ironed out by educational experts on science, schools,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the gifted to break away from the fixed images of scientists.

      • 한국신문의 인터뷰기사 도입과 변천에 관한 연구 : 1890년대-1990년대

        김소형 이화여자대학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에서는 한국신문에서 인터뷰 기사가 어떻게 도입되었으며, 현재에 이르는 그 변화의 흐름은 어떠한지를 역사연구의 형식으로 접근했다. 언론보도형식으로서의 인터뷰에 주목하여, 한국신문에서 인터뷰 기사의 등장과 지난 100년여에 걸친 발전과정을 살펴보았다. ‘초기 한국신문에서 인터뷰 기사의 성격과 그 도입 배경은 어떠한가’와 ‘한국신문에서 인터뷰 기사는 역사적으로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가’라는 두 가지 연구문제를 중점적으로 분석했다. 이를 위해 초기 한국 신문의 인터뷰 형식에 대해서는 일정 기간 표집을 통한 사례연구 방법을 택했고 인터뷰 기사의 역사적 변천에 대해서는 1920년대부터 현재까지의 일간지를 대상으로 인터뷰 기사의 주제별·형식별 분류에 따라 내용분석을 실시했다. 연구결과, 초기 신문의 인터뷰 기사는 정형화된 틀이 성립되지 않았었고, 당시 신문의 성격상 사실의 전달보다는 계몽적인 성격을 강하게 나타내는 주관적인 어휘들이 빈번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비교적 다양한 기사형식의 시도에도 불구하고 매우 드물게 나타났다는 점에서, 이로부터 인터뷰 기사가 관행으로 확립되기까지는 상당한 시일이 걸린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초기 인터뷰 기사의 도입 과정에는 독립신문의 발행인이었던 서재필의 역량이 상당 부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민간신문의 도입을 통해 관급보도의 한계를 넘어설 현장취재의 보편화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 미국 유학당시의 새로운 저널리즘 사조를 독립신문에 적용했다는 점, 영자신문 The Independent의 도입을 통한 영문 기사형식의 도입, 신문의 한글전용으로 언문일치를 시도해서 인용의 사실성을 강화했다는 점 등이 인터뷰 기사도입에 결정적 역할을 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초기 인터뷰 기사형식은 1920년대에도 이어지는데, 1950년대까지는 구한 말 신문의 인터뷰 기사 유형들과 많은 특징을 공유했다. 일단 인터뷰 기사가 정례적인 관행으로 정착되지 않았고, 기사형식 변에서 상당부분에 개화기 기사형식이 남아 있었다. 그러나, 현장취재의 보편화 움직임과 함께, 인터뷰를 통한 확인과정에 대한 인식은 진전된 모습을 보였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과도기격인 1960년대를 지나 1970년대 이후로는 인터뷰 기사의 정착과 확산과정이 뒤따른다. 그리고 1990년대에 이르면 인터뷰 기사가 양적으로 급속한 증가를 보이며 그 위치를 공고화한다. 이러한 인터뷰 기사의 변천과정은 ‘인터뷰 기사의 표준화된 관례화’와 ‘인터뷰 기사의 다양화 및 용도확장’, ‘인터뷰 기사에서의 기자 역할 변화’ 등으로 요약된다. 양적으로는 증면, 내용 면에서는 인터뷰 대상자와 주제의 확장과 인물 보도의 감소, 성격 면에서 의견보도의 감소 등으로 대표되는 이러한 변화의 원인들은 한국 신문 언론관행의 일면을 대변한다. 이러한 변천양상은 인터뷰 기사가 기본적인 읽을거리(Feature)의 틀을 유지하면서도, 보다 공식적이고 신뢰도를 높이는 방향으로 움직여 왔음을 시사한다. 즉 정치적 압력과 상업화 등으로 인한 한국언론의 성격변화와 함께, 기사쓰기가 객관적인 방향으로 전환되고, 다양한 취재방식과 기사틀의 확립을 통해 독자의 이해와 동의를 얻는 방향으로 진전된다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한국 신문의 인터뷰 기사는 독립신문의 기본적인 틀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고, 기사쓰기 형식면에서는 획기적인 전환을 보이지는 않았다. 그러나 양적으로 엄청난 증가를 보이며 정착과 확산의 과정을 거쳤고, 인터뷰와 인터뷰 기사에 대한 시각에서도 많은 변화를 보였다. 개화기에 계몽적인 성격의 기사 일변도였던 인터뷰 기사는, 1920년대를 거쳐 읽을거리(Feature)로서의 성향을 강하게 나타내게 되고 1960년대를 기점으로 보다 확장된 사용영역을 가지게 된다. 아울러 현장취재관행의 확립과 언론규제 완화 둥으로 인해 인터뷰 기사는 확고부동한 보도양식으로 자리잡았다. 결국 시대적인 언론상황의 맥락과 그 영향을 고려해 볼 때 인터뷰 기사는 한국 언론사의 흐름에서 대표적인 하나의 관행으로 굳어져 왔음을 알 수 있었다. 즉 언론에 대한 정치권의 통제와 이에 적응 혹은 대응하기 위한 언론의 취재보도 방식이 인터뷰 기사에 반영되어 나타났다. 따라서 인터뷰 기사의 변천은 관제화 및 기업화의 과정을 거치는 언론의 변화와 그 맥락을 함께 한다. 일제 시대 이후 지속되어 온 언론에 대한 탄압과 회유정책의 변천사는 물론, 거시적인 매체변화와 사회변화를 엿볼 수 있는 하나의 지표로써 인식될 수 있다는 것이다. This study is about the history of 'Korean interview story'. It is focused on the interview story as reporting convention which has been changed over the century, from 1896 to 1996.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cess of introduction and the alteration of the interview story in Korean press, then to clarify the factors that affected these changes. In this study, 'news as a cultural product' must be preconceived. It is based on Michael Schudson's notion. He noted that press conventions of narration and form are changed since the politics and press practice have modified. This point of view is adopted to this study for the contextualization of the interview story which is related to the Korean press circumstance. The interview story must be conceived as a kind of news format, here. Therefore two methodologies were set up. First, 'Case study' was selected from the early stage of Korean press. The interview stories were sampled from The Independent and The Korea Daily Mail. Second, 'Content analysis' were done on the stories written after the period of 1920s. In this section of the study, interview stories from Chosun-Ilbo and Donga-Ilbo were sampled, which were coded according to some categories that conta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view story. Although writing interview stories were not widely practiced in the early stage, there were various formats of the articles. It is an outstanding improvement in Korean press history that news coverage could be done from the field instead of reporting rumor. In that process, Seo, Jae Phil who was the publisher of The Independent seems to be the contributor of the introduction to interview stories. Regarding his background, it was possible to infer that he contributed to introduce American new journalism, the penny press style. The trial of publishing bilingual paper and newspaper written in Korean language only could be another contribution. From 1920s, interview stories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have been changed. This alterati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 First, including interview stories in the paper became a convention. Second, The range of interviewees, themes, and usages were expanded. Third, the reporters' point of view were changed. They tried to write objectively. Most of them appeared during 1960s-1970s. Due to Government pressure, the genuine characteristics of the press have been changed. It has become passive and commercialized. Control against news sources, interference of editing, limitation of publishing newspapers, and increasing tendency of sensationalism of the press were major factors. In conclusion, there was just little improvement in the writing formats of interview. But the perspective for the interview story has been changed with the gradual transformation of the Korean press.

      • 플라톤 형상의 의미론적 탐구에 관한 연구 : 파르메니데스편과 테아이테토스편을 중심으로

        김소형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Plato's theory of form has traditionally been interpreted metaphysically. But in the later stages, dialogues that are difficult to substitute for this interpretation are emerging. The dialogues are Parmenides and Theaitetos. Plato takes a different attitude from the previous dialogue, such as criticizing or not commenting on the theory of form in each dialogue. In the twentieth century, scholars attempt to interpret the theory of form semantically based on the change of attitude of Plato. These are merely conceptual forms, and argue that propositions, or logos, are essential to recognize them. After the semantics are presented, there is an eclectic interpretation method among the scholars who recognize the limit of the traditional interpretation and the limit of the semantic interpretation. The eclecticists stand on a traditional line of analysis, but present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the phenomena. However, the researcher believes that it is necessary to adhere to the traditional method of reading Plato's two dialogues, the Parmenides and Theaitetos. Unlike the phenomenon of the present world, it has been argued that the unchanging and perfect form theory is to prove truth and existence, not because of the claim of form theory for logical reasoning. Therefore, the researcher criticizes the semantic and eclectic interpretations in this paper, but also presents a new tradition theory that can be interpreted entirely with the other dialogues in the Parmenides and Theaitetos. Plato argued that for real knowledge of the phenomenon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form and that it can only be achieved by intellectual intuition (noēsis) of shape after a sensory object recognition and logical judgment.

      • 수학적 확률과 통계적 확률에 관한 초·중·고 교과서 분석 및 개선 가능성 고찰

        김소형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the adequacy of curriculum contents, and to contrive the measure of curriculum improvement by analyzing the structure and the composition of units on mathematical probability and statistical probability in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The study is based on the hypothesis of developmental process of child’s concept of probability, which presumes that the child’s concept of probability starts to develop right after birth, by the experiences the child encounters, gradually forms a pattern based on the frequency distribution, goes through the stage of statistical probability, then develop into the concept of mathematical probability. The issues focus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Does the concept of probability, covered in the 7thcurriculums of elementary, middle, andhighschools, organized systematicall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al probability and statistical probability in the balanced manner, not being inclined toward either side? How about the order of introducing the concept of mathematical probability and statistical probability? 2. In terms of learner’s developmental process of concept of probability, is it possible to improve curriculum in order to secure the linkage to the new developmental process (frequency distribution => statistical probability => mathematical probability)? As the result of textbook analysis, it has been found that the concept of mathematical probability is covered in 6-Na and 8-Na. The concept of statistical probability is mainly introduced in Math I, and mathematical probability and statistical probability are both covered in Math I. And it was also found tha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re all cover the units of the number of cases, or the permutations and combinations prior to the introduction of combinational probability. The problems related to mathematical probability and statistical probability are approached in different mechanisms. Statistical probability problems were given in the real settings of practical statistics, while mathematical probability problems were given in artificial settings manipulating typical subjects such as dice, coins, and beads. Regarding the portion of statistical probability problems and mathematical probability problems, mathematical probability problems were overwhelmingly outnumbered in 6-Na, 8-Na, and Math I. Based on the hypothesis of developmental process of concept of probability, which presumes that the concept of probability starts from the concept of distribution, goes through the concept of statistical probability, and reaches to the concept of mathematical probability, a measure of curriculums composition, which efficiently links the resource oriented prospect to the combinational approach, is contrived. According to the measure, mathematical probability can briefly be introduced in 6-Na, and statistical probability can be introduced utilizing frequency distribution chart, in 8-Na, where the concept of probability is mainly covered. And Math I can cover both of mathematical probability and statistical probability together. This study was to contrive the possibility of curriculum improvement, under the hypothesis of developmental process of concept of probability, which presumes that the concept of probability starts from the concept of distribution, goes through the concept of statistical probability, and reaches to the concept of mathematical probability. It would be necessary that this study to be followed by the case study, in which these mechanisms are applied to students in school setting, and its effects are analyzed. 본 연구는 초·중·고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 수학적 확률과 통계적 확률을 어떤 방법과 순서로 조직하여 구성하였는지 분석하여 그 타당성을 알아보고 교육과정 개선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때, 아동의 확률 개념의 발달 과정이 태어나자 마자 경험으로부터 서서히 형성되는 경험적 빈도의 도수적 분포개념에서 점진적으로 형식화되어 통계적 확률을 거쳐 수학적 확률로 발전한다는 가정을 토대로 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7차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확률의 개념은 수학적 확률과 통계적 확률의 특성을 반영하여 치우침 없이 조화롭게 조직되었는 가? 수학적 확률과 통계적 확률의 도입 순서는 어떠한가? 둘째, 학습자의 확률 개념 발달에 있어서 새로운 발달 순서(도수적 분포개념=>통계적 확률=>수학적 확률)에 따른 연계성 확보를 위한 교육과정의 개선은 가능한가? 교과서 분석 결과 6-나와 8-나에서 주로 수학적 확률의 의미를 다루며, 수학Ⅰ에서 본격적으로 통계적 확률의 의미가 나오고 수학적 확률과 통계적 확률을 함께 다루었다. 이러한 순서에 의해서 학생들은 확률의 의미를 전체 경우의 수에 대한 특정 사건의 경우의 수인 수학적 확률 위주로 학습하게 되며, 결국 경우의 수 자체를 헤아리는데 집중하게 된다. 8-나에서 통계적 확률이 처음에 잠시 등장하긴 하지만 동등 가능성에 대한 적절한 설명 없이 바로 수학적 확률로 확률의 뜻을 정의하여 학생에게 혼란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었다. 그리고 초·중·고 모두 확률 단원 전에 경우의 수나 순열 조합을 먼저 다루면서 조합론적으로 확률을 도입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교과서에서 수학적 확률에 관한 문제와 통계적 확률에 관한 문제는 성격이 달랐는데, 통계적 확률에 관한 문제는 실제적인 통계자료를 통해 그 확률을 구하는 반면, 수학적 확률의 문제는 대칭성을 갖는 소재로 제시해야 하는 특성 때문에 주사위, 동전, 구슬 같은 전형적인 소재를 통한 인위적인 문제가 대부분이었다. 그리고 6-나, 8-나, 수학Ⅰ 모두 통계적 확률에 관한 문제와 수학적 확률에 관한 문제 중 압도적으로 수학적 확률에 관한 문제가 많았다. 현재의 교육과정이 수학적 확률을 강조하면서, 자연히 전형적인 소재에 의한 문제가 대부분이었고, 실제적인 자료를 이용한 자료 분석 능력이 요구되는 문제는 적었다. 확률 개념의 발달 과정이 분포개념에서 출발하여 통계적 확률을 거쳐 수학적 확률에 이른다는 필자의 가정 아래 자료 중심적 관점과 조합론적 접근을 효과적으로 연결 짓는 교육과정 구성 방안을 생각해 보았다. 6-나에서 간단히 수학적 확률을 다루고 확률 개념 형성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지는 8-나에서 도수적 분포개념을 이용하여 통계적 확률을 다루고 수학Ⅰ에서 수학적 확률과 통계적 확률을 함께 지도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었다. 이러한 순서는 이론적 배경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확률의 역사 발생적으로도 타당하고, 자료중심적인 접근 방식에도 바람직한 순서라고 볼 수 있다. 본격적으로 확률의 의미를 다루는 중학교에서 도수적 분포 개념을 이용하여 통계적 확률을 도입할 때 7-나에서 배우는 도수분포와 관련시켜 지도하면 이후에 고등학교에서의 확률분포로 연결 될 수 있다. 이 과정을 통해 자연히 학생들은 상대도수의 개념을 떠올리게 되고, 자신의 경험 속에서 잠재적으로 형성한 사건의 빈도에 대한 개념이 확률이라는 수학적 도구에 의해 형식화되는 과정으로서의 교수학적 중재의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고등학교에서는 조합론적 접근이 시도되면서 이항 분포와 같은 연역적인 확률 계산이 시도되고, 가설 검정의 토대가 되는 표집분포를 유도하거나, 또는 결과만 소개할 수 있다. 통계적 확률은 경험적인 것이기 때문에 어느 단계에서나 확인 가능한 것이 많다. 따라서 이항분포 역시 조합론적으로 얻을 수 있지만, 도수분포를 통해 통계적 확률로 살펴볼 수도 있다. 즉 이론과 실제를 비교해 볼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은 이어지는 통계적 추정 검정에서 자료(도수분포)를 이론적 분포(확률분포)와 비교하여 검정하고 추정하는 통계적 방법의 기본 틀을 이해하는 과정으로 이어지게 된다. 이것은 현재 고등학교 모평균에 관한 신뢰구간을 단순 암기 대신 이해의 과정으로 바꿀 수 있으며 나아가 통계적 방법을 이해하고 통계적으로 사고하는 방법을 익히는 과정이 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본 연구는 확률 개념의 발달 과정이 분포개념에서 출발하여 통계적 확률을 거쳐 수학적 확률에 이른다는 가정 아래 교육과정 개선 가능성을 알아보았는데, 후속 연구에서 이러한 방법을 실제로 학생들에게 적용시켜 보고 그 효과를 분석할 필요가 있으리라 생각된다.

      •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개발 : 전통 조각보의 이미지를 중심으로

        김소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글로벌 시대를 맞이하여 오늘날 세계는 각 나라가 국경의 개념 없이 자유롭게 교류하고 있다. 문화선진국들은 자국의 고유한 문화와 전통을 바탕으로 한 상품을 개발하여 세계시장을 장악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첨단제품과 문화적 가치를 담은 문화상품에 대한 선호도 또한 증가추세이다.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게 된 배경은 정보화 사회의 진전으로 인해 각 나라의 국민들의 문화 감수성이 높아지고, 문화적 가치에 대한 욕구가 증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우리나라는 2002년 한·일 월드컵의 성공적인 개최와 현재 한류열풍으로 인해 세계의 관심과 주목을 받고 있어 이에 즈음하여 우리나라만의 장점을 널리 알릴 수 있는 문화상품의 개발이 더욱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시대적 추세에 부응하여 문화상품이 국가적 이미지 상승과 경제적 부를 창출시키는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라 보고, 우리의 전통 요소 중 조각보의 조형성을 바탕으로 패션문화상품 디자인을 개발하고 국내외 문화상품시장에서 경쟁력을 높이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문헌 조사 및 국내외 패션문화상품의 현황조사를 통해 조각보의 조형적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의류와 액세서리를 매치시키는 토털 코디네이션 개념을 염두에 두고 총 5점의 상품 군을 디자인하고 제작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문화상품의 종류 중 특히 패션문화상품 분야는 무궁한 발전 가능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우리나라도 우수한 전통과 문화를 발굴·연구한 밑바탕위에 새로운 패션문화상품을 디자인하고 제작하여 미래지향적인 국가의 이미지를 적극적으로 창출하여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둘째, 국내외 패션문화상품의 사례와 현황조사를 토대로 비교·분석해본 결과, 주요 문화 선진국들은 자국의 전통과 문화를 이용한 다양한 문화상품들을 개발하여 여러 취향을 가진 관광객과 소비자들의 요구에 대처하고 있는 반면, 아직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일부에서만 유물이나 문화재의 문양을 활용한 상품판매만 이루어지고 있을 뿐, 디자인과 소재개발, 마케팅, 판매 등에 있어서도 많은 문제점들이 노출되었다. 이에 문화상품의 개발에 대한 새로운 인식개편과 시급한 대응의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셋째, 우리나라 패션문화상품의 여러 문제점에 대한 발전방안으로서 한국적 색채를 가미한 현대적이고 대중적인 고유한 상품 개발과 유통 시스템 개편을 통한 대량생산 체제로의 전환, 그리고 판매자에게 판매할 상품에 대해 정확히 인지해줄 것이며 해외 각국에 문화상품의 전시 및 판매관을 설치하여 한국문화를 알리는 홍보 활동 등이 필요하다. 넷째, 우리나라 전통 조각보는 그 면 구성 자체에서 보여주는 전통미와 더불어 느껴지는 현대적인 곡선과 직선, 그리고 다채로운 색감의 조화가 주목할만한 점이며 우리나라의 문화를 알리고 더불어 수익성까지 연결시키려는 노력과 시도를 구체화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조각보 모티브는 현대 디자인 개발에 적용하여 재창조될 수 있기에 이에 패션문화상품으로써 무한한 가능성과 충분한 상품가치가 있다. 다섯째, 실제 조각보를 모티브로 한 패션문화상품제작을 통해서 대중적이며 현대적인 문화상품의 활성화를 추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조각보 모티브 사용과는 달리 DTP(Digital Textile Printing) 나염 방식과 패치워크 방식 등 면구성의 표현에 차별화를 두고 고부가가치의 토털 코디네이션 개념의 패션문화상품을 제작해보았다. 이 과정에서 21세기의 디지털 시대에 부합하는 새로운 디자인 개발 방향도 제시할 수 있었다. 위와 같은 결론을 통해 세계에 우리나라를 널리 알릴 수 있는 고부가가치의 패션문화상품 디자인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우리 고유의 전통요소를 바탕으로 새로운 시각에서 현대에 맞게 대중적으로 발전시켜야 함을 알 수 있었으며, 비단 디자인 측면만이 아니라 정부차원에서의 문화상품에 대한 지원과 대책마련, 유통과정의 개선, 새로운 마케팅 방식 등도 모두 갖추어져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보다 나은 패션문화상품의 개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분야에서 노력하고, 세계 속에서 인지되는 우리만의 문화상품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By meeting global period, each nation of the world of today is exchanging freely without the concept of border. Cultural advanced nations are grasping world market by developing the commodity to be based on the native culture and tradition of their own country. In accordance with this, preference degree on ultramodern product and on cultural commodity to include cultural value tends to increase. As for the background that this phenomenon gets to appear, because the cultural sensitivity of people of each nation gets to be high and the desire for cultural value is increasing because of the progress of information-oriented society. Especially, our country is arousing the interest of world and drawing attention owing to the successful holding of world cup and the hot wind of Korea stream. So, at this time, it is the point of time that the development of cultural commodity to be able to inform our own merit widely is necessary all the more.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the design of fashionable culture commodity on the basis of the plastic nature of patchwork out of our traditional elements and increasing competitive power in internal and external cultural commodity market. For this, this researcher this researcher analyzed the plastic feature of patchwork cloth through literature survey and the present situation survey of internal and external fashionable cultural commodity. And, on the basis of it, by bearing total coordination concept to match clothing and accessory in mind, this researcher designed and manufactured total 5 pieces of commodity group. Conclusion obtained through study is as follows: First, out of the diverse kinds of culture commodity, the field of fashionable cultural commodity has infinite development possibility. So, our country should make efforts, so that we may secure competitive power in world market through creating the image of future-oriented nation positively by designing and manufacturing new fashionable cultural commodity on the basis of excavating and studying excellent tradition and culture. Second, as the result that this researcher compared and analyzed on the basis of case and present situation of internal and external fashionable cultural commodity, main cultural advanced nations are coping with the demand of tourists and consumers to have various tastes by developing diverse cultural commodities that the tradition and culture of their own countries are used, whereas only the sales of commodity to utilize the pattern of relic or cultural assets is being made only in a part in case of our country. Thus, many points at issues were exposed in design, material development, marketing, and sales etc. So, this researcher recognized the necessity of new recognition reorganization for the development of cultural commodity and urgent confrontation for it. Third, as the development scheme for various points at issues of fashionable cultural commodity of our country, development of modern and popular native commodity that Korean color is added, conversion into mass production system through the reorganization of circulation system, recognizing salesmen for the commodity to be sold exactly, and publicity activity to let oversea each nation know Korean culture by installing pavilion and sales hall of cultural commodity etc. are necessary. Fourth, as for the traditional patchwork cloth of our country, traditional beauty that the side constitution shows, modern curve and straight line to be felt with it, and the harmony of colorful color sense are worth notice. Patchwork motive may be recreated by applying to modern design development in that it may inform of the culture of our country and may embody efforts and trial to link profitability. So, it has infinite possibility and complete commodity value as fashionable cultural commodity. Fifth, this researcher sought the activation of popular and modern cultural commodity through the manufacture of fashionable cultural commodity to make real patchwork of motive. In this thesis, unlike the use of existing patchwork motive, this researcher differentiated the expression of side constitution such as DTP(Digital Textile Printing), printing method and patchwork method etc. and manufactured the fashionable cultural commodity of high value added total coordination concept. In this course, the direction of new design development which meets the digital period of the 21st century could be presented. Through above conclusion, so as to develop high value added fashionable cultural commodity which may let world know our country widely, it could be seen that it should be developed popularly suitably for modern time from new viewpoint on the basis of our native traditional elements, and it could be understood that suppoprt and countermeasure preparation for cultural commodity in the dimension of government, improvement of circulation course, new marketing method as well as design side should be equipped keenly. This researcher expects that our own cultural commodity that efforts is made in each field and that recognition is made in the world may develop, so that better fashionable cultural commodity may develop on the basis of this study.

      • 중등 가정과 수업의 WBI 적용에 관한 연구

        김소형 이화여자대학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의 교육적 적용. 특히 web을 기반으로 하는 교육프로그램인 WBI(Web- Based Instruction)에 대해 살펴보고 가정과 교육에 대한 적용가능성을 타진해보기 위해, 중둥 가정과 교육에 적용한 프로그램을 구성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우선 문헌 고찰을 통해 WBI의 정의와 특성 그리고 교육적 효과 및 적용사례를 살펴보고, 문제점을 파악하기로 하였다. 그리고, 가정과 교육의 선행 연구들을 통해 연구사례를 살펴보고 가정과 교육에 적용하기 위한 이론적 고찰을 시도하였다. 인터넷의 기능 중에 하나였던 web을 위한 브라우저가 사용자들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되면서 인터넷의 확산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졌다. 결국 교육계에도 이용하기에 이르렀고 이요사례중 하나가 바로 WBI이다. 그리고 WBI에 대해서는 web이 가진 장점을 그대로 흡수하면서 교육적인 효과를 누리기 위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WBI를 적용한 수업을 전통적 교육방법과 비교하면, 다음과 같은 교육적 가치를 지닌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첫째, 학습 환경의 경계를 확대하여 시간이나 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학습자원에 접근하고 지속적인 학습이 일어날 수 있게 해준다는 점. 둘째, 웹사이트 상에서의 학습과정은 참여자들간의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경험학습을 증진시킬 수 있고, 세째, 인터넷 상에 존재하는 모든 수업과의 연결이 가능하여 특수 영역에 전문지식을 갖고 있는 전문가, 교수, 동료, 학생 등 다양한 사람들과 함께 학습에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고 질문할 기회를 가짐으로써 새로운 사회적 상호작용을 형성하게 되며 효과적인 협동학습이 가능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네째, 정적인 텍스트 위주의 교과서가 아닌 다양하고 역동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학습자가 다양한 형태로 자신의 학습 결과를 표현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웹 상의 학습내용, 학습시간, 자원, 피드백, 미디어의 형태를 학습자가 스스로 선택할 수 있어 다양한 학습활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교육적 효과를 지니는 WE!의 가정과 교육의 적용가능성에 대한 이론적 배경은 세가지 측면에서 정리할 수 있다. 우선 정보화 시대화 시대가 요구하는 교육체계에서 가정과 교육의 가치와 존재 가능성을 찾을 수 있었다. 그리고, 둘째, 정보기술의 발달단계에 따라 추구하고 있는 가치가 가정과 교육의 목표와 일치하는 부분들이 많았다. 셋째, WEI 수업특성 및 추구하는 목표와 가정과 교육이 추구해야 할 교육과정 모형에서 제시하고 있는 목표간에는 일맥 상통하는 부분들을 발견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청소년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대중매체에 있어서도 인터넷이 이미 단단히 자리잡고 있음이 알 수 있었다. 이는 WEI가 현대 청소년들에게 쉽게 다가갈 수 있는 교수방법으로서 교육적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WEI를 가정과 교육에 적용하기에 앞서 적용주제를 선정하기 위해 교육적 효과 측면, 청소년들의 요구측면, WEI 교수방법을 적용 가능성 측면에서 적당한 주제에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중등교육의 대상인 청소년들은 특성과 청소년들이 가정과 교육에서 관심이 많고 타 교과에 비하여 가정과 교육의 특성을 잘 살릴 수 있는 효과적인 주제를 선돼해야 했다. 문헌 고찰과 실태조사에 의하면, 중, 고등학교 학생들은 가정과에 대해 상당한 흥미를 느끼고, 있었으며, 특히 ‘청소년과 성단원’에서 이성교제에 관심이 많았다. 또한 청소년들에게 가깝게 다가갈 수 있는 교육매체로 인터넷을 선정하였다. 수업에 쓸 이성교제 관련 척도는 기존의 Sternberg의 사랑의 삼각형 척도를 사용하였다. 그 이유는 Sternberg의 삼각형 이론은 시각적으로 잘 구현되어 있으며, 학생들로 하여금 서로간의 사랑유형을 대비하여 쉽게 비교할 수 있는장점이 있다. 그러므로 web상에서의 시각적 효과를 잘 살릴 수 있다. 물론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문항들은 예비조사의 과정에서 청소년에게 알맞은 수준으로 수정하여 사용하였고 청소년에게서 나타나는 사랑유형을 간단히 분류하여 학습자료로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그리고 본 수업의 4차시의 내용 구성을 위하여 교실내에서의 예비수업을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WBI의 교수설계와 web자료를 설계하는데 필요한 지침을 바탕으로 4차시분량의 수업지도안과 web자료를 구성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ossiblity of the implementation of WBI(Web-Based Instruction) in Home Economics Education of Middle School, and to design the Web-Based Instruction program that is applicable to Home Economics Education. To do this, first, I examined the definition, charicteristics, and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Web-Based Instruction through literature reviews and case studies. To design Web-Based Instruction program in Home Economics Education of Middle School, I select "the dating" as an educational subject. "The dating" is the subject considering the developmental charicteristics of leaners, especially adolescents. And this subject is chosen based upon middle school students needs in Home Economics Education. Prior to constructing the contents of web page, I examined the love theories, because the adolescents think that lov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their dating. Sternberg's theory is one of love theories focusing on Triangular Love Scale. I tried to reconstruct the Love Scale for adolescents, based on Sternberg's Triangular Love Scale. In next step, I made the web-page by using this Love Scale. This web page is design for the dating education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using some useful computer software tools such as web-editor, Video tool, sound editor, Graphic tool, etc. But I couldn't use this program in Authentic place whether it was school or not. So, I hope this program will work in real class. For future study, I suggest that an advanced study on the dating education program of WBI for male middle school students be performed. And I also think an evaluating method for WBI should be developed.

      • 한국 전통 문양을 이용한 장신구 조형 연구 : 아르누보 양식과 전통 문양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소형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예술은 고도의 정신적 창조 활동의 산물로서 그 사회와 시대상을 필연적으로 반영한다. 산업혁명 이후 근대에서 현대로 접어들면서 인간 사회가 겪은 변화의 양상은 과거 어느 시기보다도 역동적인 것이었다. 그런 격변기의 시대상을 토대로 이전 사회의 역사적, 전통적 예술 양식으로부터의 차별과 새로운 모티브를 배경으로 유럽에서 태동한 예술 양식이 아르누보(Art Nouveau)이다. 따라서 아르누보의 본질은 바로 변화와 자유로운 예술적 창조정신에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변화에의 욕구와 탈 역사주의적 사회 분위기는 유럽인의 시각에서 완전히 새로운 양식의 소재를 필요로 했다. 동 시대에 형성된 자본주의적 경제체제는 상업주의와 제국주의적 기초를 강화하면서 유럽의 활발한 세계 진출의 동력이 되었으며, 다양한 이국주의(Exoticism)적 소재가 예술적 모티브와 결합하는 계기가 되었다. 특히 19세기말 파리 만국박람회는 다양한 양식의 교류를 가능케 한 촉매 역할을 하였고, 이를 통하여 당시 적극적으로 문호를 개방해 왔던 일본의 많은 문물들이 대거 유럽에 소개될 수 있었다. 즉, 새로운 소재에 대한 유럽인의 욕구가 일본을 중심으로 한 동양적 예술 양식과 만나면서 아르누보는 이전의 예술 양식과 구분되는 본격적인 독창성을 견지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와 같이 아르누보의 태생은 포괄적 동양 예술에서 '기원, 한다고 할 수 있으므로, 그 속에서 한국 전통 예술과 유사한 요소를 발견해 내는 것은 결코 무리가 아니다. 당초를 포함한 여러 식물과 꽃, 구름, 물결, 태극, 격자 등 문양의 유사성과 금, 은, 진주, 오팔, 터키석, 칠보(에나멜) 등 소재의 공통성은 유럽과 한국이라는 이질적인 두 문화의 물리적, 시간적 장벽을 뛰어넘는 경이로운 우연이자 필연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위와 같은 대상물을 예술적으로 형상화함에 있어, 아르누보 양식 가운데에서 발견되는 한국적 문양과 소재의 특징적 요소를 포착하고, 본질적으로 소원한 두 예술 사조 간에 공존하는 상사(相似)의 원형을 찾아 장신구 디자인 속에 표현해 보고자 하였다. 또한 나아가 아르누보와 한국 전통 문화적 요소가 현대 장신구 디자인의 경향 속에서 세련되고 자연스럽게 융화되어 재창조될 수 있도록 의도하였다. 아르누보의 예술사적 위상과 현대 예술에 미친 파급력을 감안해 볼 때, 한국적 문화 요소가 그 안에 내재한다는 것은 우리가 향유해 온 전통 예술에 대한 가치의 재평가와 자긍심을 촉발하게 한다. 다양성이 강조되는 현대 예술의 조류 속에서도 면면히 계승되어 내려오는 아르누보의 광범위한 영향은, 바로 우리 전통 예술의 통시적 우수성과 이를 시대에 맞게 계승해야 할 이유가 됨에 충분할 것이다. Art reflects inevitably the image of a society and an age, being the product of a highly spiritual activity of creation. Since the Industrial Revolution, the wave of changes in human society has never been more progressive and radical from the modern to the contemporary age than in any other period in human history. Art Nouveau, born in Europe, was the artistic trend that was based on the projection of such transitions and a novel motif with the interruption from the historical and traditional art from the previous society. The essence of Art Nouveau, therefore, could be referred to the change and the freedom in artistic creativity. Such desire for changes and the societal circumstances that derailed from the traditional history led European artists to seeking new materials for their expression. The capitalistic economic structure that was developed within the same period reinforced the basis for mercantilism and imperialism that propelled Europe an aggressive domination over the world. This expansion brought Europe a cultural mixture and it allowed various novel materials to be introduced to European art in the form of the exoticism. Especially, the Paris International Expo in the late 19_(th) century contributed to brisk interchanges of the various cultures and this opportunity helped Japan which had held a positive open-door policy toward the western countries, became widely known to the Europeans. At this point, the Art Nouveau turned characterized and differentiated from the previous styles of art when the desires of European artists for new subjects met with the Eastern cultures that were mainly focused on Japan's. Since the birth of Art Nouveau can be traced back to the collective Eastern arts, we can discover similarity in Korean traditional styles from the Art Nouveau expressions. It is a wonderful fortuity and an inevitable causality beyond space and time that between these two different cultures from Korea and Europe, there have been existing similarity in patterns of flowers, clouds, waves, Tae-geuk, lattice, and various plants particularly in cirrus and community of materials, such as gold, silver, pearl , opal, turquoise and enamels. The research primarily intended to present, through jewelry designs, this essential similarity that is coexistent in the fundamentally different cultures, comparing the Art Nouveau styles with the characteristic patterns and materials found in Korean traditional arts. Furthermore, this research tried to recreate the essence of Korean traditional arts and Art Nouveau, harmonized in a natural and fashionable way with modern jewelry design trends. In consideration of the influence of Art Nouveau on modern arts and the importance in global artistic genealogy, the fact that Korean artistic styles inhere in Art Nouveau provides us an opportunity to reevaluate the Korean traditional arts that we have appreciated for a long time and to understand our heritage once more. It is certainly a delightful discovery that the artistic foundation of Western society which has leading the initiatives of today's civilization, could be based on the Oriental and Korean motives. The great impact of Art Nouveau that has lasted in the flow of contemporary arts that appreciates the pluralism, is sufficient to reveal the excellence of Korean traditional arts and to make them flourish in this modern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