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바닥형과 현수형 환경 보조물이 육성돈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두완(Doo-Wan Kim),김영화(Young-Hwa Kim),민예진(Ye-Jin Min),유동조(Dong-Jo Yu),정용대(Yong-Dae Jeo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11

        경제동물에 대한 동물복지에 대한 관심은 전세계적으로 고조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국내 양돈농가는 경제성 등을 이유로 고려하지 않거나 미비한 도입으로 돼지 본연의 행동이 제한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적인 사육환경에 환경보조물의 제공이 육성돈의 행동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실험동물은 45두의 3원 교잡육성돈(요크셔×랜드레이스×두록; 평균체중, 33.35±5.5 kg)을 준비하였고, 완전임의배치법(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에 의해 3개 처리구(대조구; 현수형 환경보조물, T1; 바닥형 환경보조물, T2)에 처리구당 3반복, 반복당 5두씩 반슬러리 돈방에 배치하였다. 현수형 환경보조물은 돼지의 어깨 높이에 현수하였고, 바닥형은 돈방의 가운데에 고정시켰다. 시험기간은 14일 간 수행하였으며 시험종료일에 스트레스호르몬인 코티졸(cortisol) 농도를 분석하였고 행동특성은 1과 8일차에 촬영하였고 베가스 프로(Vegas Pro) 1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및 분석하였다. 체중 및 일당증체량은 대조구와 처리구들간 차이가 없었다. 코티졸호르몬은 T2(25.28 ng/mL)에서 대조구(46.75 ng/mL)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1일차 행동 유형별 지속시간은 움직임과 공격 항목에서 대조구에 비해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p<0.01). 8일차 놀이행동 지속시간에서 처리구2는 925.12초로 T1의 323.91초 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1). 반면에 처리구들에 비해 대조구는 움직이지 않는 시간이 많았다(p<0.01). 이러한 결과는 환경보조물 제공이 돼지간 공격성을 감소시키고 돼지의 행동을 활동적으로 만들어 돼지 본연의 행동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국내에서 환경보조물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므로 본 연구결과는 보조물을 이용한 동물복지에 대한 기초자료로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Animal Welfare is spreading throughout the world, but remains weak in Korean swine farms.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floor type and hanging type environmental enrichment on the behavior of growing pigs under the traditional feeding environment. A total of 45 crossbred pigs (Yorkshire×Landrace×Duroc; average weight, 33.35±5.5 kg) were assigned into three treatments consisting of control, hanging type(T1) and floor type(T2) with three replicates in semi-slurry pen. The hanging enrichment was suspended at shoulder height of the pigs, and the floor enrichment was fixed in the center of the pens. Growth and cortisol were estimated at the end of the experimental period. Behaviour patterns were analyzed on the first and eighth days after starting the experiment. Growth was not differed among control and treatments. However, cortisol was decreased in T2 compared to control(25.28 vs. 46.75 ng/mL; p<0.05). On the first day, movement and aggression were lower in both treatments than in control(p<0.01). On the eighth day, time and frequency of playing action were increased in T2 compared to T1(p<0.01) and both treatment groups showed more active behaviour than control(p<0.01).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enrichment may meet the natural action requirement of pigs. Therefore, our data can be utilized as basic information for welfare with environmental enrichments in farm animals.

      • KCI등재

        포유자돈의 합사가 모돈과 자돈의 체표면 온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김두완(Doo-Wan Kim),김영화(Young-Hwa Kim),김광식(Kwang-Sik Kim),김기현(Ki-Hyun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1

        본 연구는 포유기간 중 이복자돈과의 합사가 모돈과 자돈의 체표면 온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임신모돈 12두를 공시하여 6두는 개별 분만펜에 위치시켜 분만 후 이유시까지 복당 사육을 유지하였으며(대조구), 6두는 중간 칸막이의 제거가 가능한 가변형 분만펜에서 3복이 한 펜이 되도록 분만 11일차에 칸막이를 제거하여 이유시까지 유지하였다(처리구). 합사 30분 후에 열화상카메라를 이용하여 모돈 및 자돈의 체표면 온도를 측정하였다. 분만 후 포유모돈의 평균 체표면 온도는 처리구에서 37.1°C로 대조구의 36.3°C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p<0.05), 최고온도에서는 두 처리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이와 대조적으로, 포유 자돈의 평균 체표면 온도는 포유기 합사에 의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대조구 37.5, 처리구 36.0°C; p<0.01). 최고온도에서 또한 대조구와 처리구에서 각각 39.4°C와 39.1°C로 유의적인 차이는 아니지만 대조구에서 낮은 경향으로 관찰되었다(p=0.079). 결론적으로 포유기간 중에 이복자돈과의 합사에 의해 모돈의 체표면 온도는 상승되지만, 자돈의 체표면 온도는 감소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더 나아가 체표면 온도와 심부온도와의 상관관계를 구명하고, 합사에 의한 모돈 및 자돈의 생리적 변화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ixing with unfamiliar piglets on changes in the body surface temperature of sows and piglets during the suckling period. A total of 123 pigs (12 sows and 111 piglets) were used for this study. A control group of piglets of the same litter was maintained in the farrowing pen and compared to a treatment group of piglets of three different litters mixed by removing the partition in the farrowing pen. In the treatment group, mixing of piglets was performed at 10:00 a.m. on day 11 after parturition, and the body surface temperature of sows and piglets was taken using a thermo-graphic camera at 30 minutes after mixing. In the case of sows, the average surface temperature of the treatment group (37.1°C)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36.3°C; p<0.05); however, the hot spot temperature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groups. In contrast, the average surface temperature of piglet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mixing (37.5 and 36.0°C in the control and treatment, respectively; p<0.01). Moreover, the hot spot temperature tended to be lower in the treatment (39.1°C) than the control (39.4°C),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p=0.079). These results suggest that mixing of unfamiliar piglets during the suckling period leads to changes in the body surface temperature of sows and piglets. In the future, the correlation between body surface temperature and body core temperature should be analyzed, and additional studies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mixing on the physiological changes in sows and piglets are required.

      • 두록과 교잡돈(두록×재래돼지)의 도체 및 육질 특성과 지방산 조성 비교

        김두완(Doo-Wan Kim),김기현(Ki-Hyun Kim),홍준기(Joon-Ki Hong),조규호(Kyu-Ho Cho),사수진(Soo-Jin Sa),김용민(Young-Min Kim),박준철(Jun-Cheol Park),설국환(Kuk-Hwan Seol)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2014 농업과학연구 Vol.41 No.4

        본 연구는 우리나라 재래돼지의 고유 특성을 살린 우수한 품종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하였으며, 도체특성은 DK1이, 육질특성과 지방산조성은 DK2가 두록과 비교하여 차이가 없거나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재래돼지를 활용한 우수한 육질의 돼지 품종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new crossbred pig using Korean native pig and Duroc. Fifteen pigs of pure Duroc (D) and 26 crossbred gilts (15 of DK1 and 11 of DK2) were reared until 195 ± 5 days old, then slaughtered at local slaughterhouse. Pork loin was gathered and vacuum packed from left carcass after 24 h of slaughter to analyze meat quality traits, such as color, pH, water holding capacity (WHC), cooking loss and shear force (SF), and free fatty acid composition. Live weight and carcass weight of Duroc and DK1 were 119.1±8.7 / 82.91±6.1kg and 116.3±6.3 / 80.91±4.4 kg, respectively, and i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DK2 (104.7±8.4 / 71.36±5.7 kg) (p<0.05).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ximate composition between animal groups, however DK2 showed significantly lower shear force (SF) and higher water holding capacity (WHC) than other groups (p<0.05). The redness of DK2 also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han Duroc (p<0.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ightness and yellowness (p>0.05). DK1 showed the highest monounsaturated fatty acids (MUFAs) contents of 51.45±2.0% and DK2 showed the highest 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s) contents of 8.98±1.4%,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ce in PUFA/SFA ratio between pig groups (p>0.05). Duroc and DK2 contain significantly higher amount of linoleic (7.99±1.2 and 8.11±1.3%, respectively) and linolenic acid (0.43±0.1 and 0.44±0.1%, respectively) than DK1, and DK1 contains significantly higher amount of oleic acid (47.32±1.8%) than others (p<0.05).

      • KCI등재

        자동혈구분석기 Hemavet 950FS를 이용한 돼지 혈액 내 혈구분석의 유효시간 평가

        김기현(Ki-Hyun Kim),김광식(Kwang-Sik Kim),김두완(Doo-Wan Kim),사수진(Soo-Jin Sa),김영화(Young-Hwa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1

        본 연구는 자동혈구분석기 Hemavet 950FS를 이용한 돼지 혈액 내 혈구분석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정확한 분석을 위한 유효시간을 결정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분석시료는 체중 60 kg (±3.5)의 Duroc 종 34두로부터 채취하였으며, 이들 중에서 분석치가 정상범위를 벗어나거나 용혈이 발견된 시료는 연구에서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10개의 시료를 본 연구에 이용하였다. 임의의 하나의 시료에 대해 10회 연속분석을 통하여 일내변동을 조사한 결과, leukocytes계 혈구들 중에서 백혈구, 호중구, 림프구에서는 낮은 일내변동으로 분석의 유효성이 인정되었으나, 단핵구, 호산구, 호염구에 있어서는 큰 변동을 나타내었다. 이와 반면에 erythrocytes 및 thrombocytes계 혈구들의 모든 지표들은 안정적인 일내변동이 관찰되었다. 채혈 후 시간경과에 따른 혈구변화를 분석한 결과 leukocytes계 혈구 및 thrombocytes계 혈구는 시간경과에 따라 검출농도가 유의적으로 감소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반면, erythrocytes계 혈구들은 채혈 후 120시간까지는 안정적으로 분석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Hemavet 950FS는 돼지의 혈액 내에서 단핵구, 호산구, 호염구를 제외하고 일반 혈구분석에 유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leukocytes 및 thrombocytes계 혈구들에 대한 정확한 분석을 위해서는 채혈 후 4시간 이내에 분석이 이루어져야하며, erythrocytes계 혈구들은 채혈 후 120시간까지는 안정적으로 검출이 가능한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valid time for accurate detection of complete blood cell count (CBC) in pig blood using an automatic blood corpuscle analyzer (Hemavet 950FS).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from 34 pigs (Duroc) with a 60 kg (±3.5) body weight. Ten specimens with CBC parameters in normal range and with no hemolysis were selected among 34 samples and used in this study. Regarding leukocytes parameters, white blood cell (WBC), neutrophil (NE), and lymphocyte (LY) counts showed a low daily variation (coefficient of variation, CV), whereas monocyte (MO), eosinophil (EO), and basophil (BA) CVs were significantly high (19.7, 56.9, and 53.3%,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all parameters of erythrocytes and thrombocytes showed stable daily variation. All parameters of leukocytes and thrombocytes were significantly reduced as storage time passed (P<0.01 or 0.001), except for lymphocytes (P=0.535).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parameters of erythrocytes from blood up to 120 hours. From above results, we assert that Hemavet 950FS is useful in analyzing CBC, except for MO, EO, and BA. For accurate detection of leukocyte and thrombocyte parameters, analysis should be performed within 4 hours after blood collection when using Hemavet 950FS. On the other hand, parameters of erythrocytes could be stably detected for at least 120 hours after blood collection.

      • KCI등재

        사료 내 비테인 첨가 급여가 비육돈의 영양소 소화율 및 생리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김기현(Ki-Hyn Kim),김광식(Kwang-Sik Kim),김두완(Doo-Wan Kim),사수진(Soo-Jin Sa),김영화(Young-Hwa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12

        본 연구는 사료 내 비테인의 첨가 급여 시 비육돈의 영양소 소화율 및 생리학적 반응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평균 체중 80.1±3.7 kg의 거세 숫퇘지 12두를 개별 대사케이지에 공시하였다. 시험사료는 비육돈의 영양소 요구량을 충족하는 시판사료를 기초 대조구 시험사료로 하였으며, 기초사료에 0.5%의 비테인을 첨가한 사료를 처리구 사료로 이용하였다. 시험디자인은 2×2 Latin square 법으로 설계하여 각 Phase 당 7일간 순치기간과 7일간의 시험기간을 두었다. 분석에서 얻어진 결과들에 대하여 처리구간의 통계적 유의성은 student’ t-test을 이용하여 검정하였다. 영양소 소화율을 조사한 결과, 비테인 첨가 급여에 의해 건물 및 단백질의 외관상 소화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각각 1%와 1.3%가 개선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p<0.05). 에너지 이용율을 조사한 결과에서도 에너지의 외관상 소화율이 82.3%에서 83.7%로 비테인 급여에 의해 증가되었으며(p<0.05), 이로 인하여 체내 에너지 retention도 약 6% 이상 (대조구 4,057 vs 처리구 4,314 kcal; p<0.01) 유의하게 증가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혈중 생화학 성분 및 스트레스 호르몬, 면역단백질,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비테인 급여에 의한 유의한 영향은 관찰되지 않았다. 요약하자면, 육성돈 사료 내 비테인의 첨가급여는 생리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없이 영양소 소화율 및 에너지 이용성 개선에 유의한 효과를 가지며, 이것은 증체량 및 사료효율을 개선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upplementation of dietary betaine on nutrient digestibility and physiological responses in finishing pigs. A total of twelve pigs with a body weight of 80.1±3.7 kg were individually caged, and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e two experimental diets containing 0 (control) or 5 g/kg (treatment) of the betaine in a 2 × 2 Latin square design. The experimental period was 14 days-7 days adaptation and 7 days trial period-per phase. All data for the difference between control and treatment group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student"s t-test. Dry matter and crude protein digestibility in the treatment group were significantly improved by 1% and 1.3%, respectively, as compared with those in the control (p<0.05). The apparent absorption of dietary energy was increased from 82.3% to 83.7% by dietary betaine supplementation. Thus, the retention of energy was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to above 6% in the treatment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control 4,057 vs treatment 4,314 kcal; p<0.01). The physiological parameters indicating serum biochemical contents and stress-, immune-, and inflammatory- responses were not changed by the supplementation of dietary betaine. In conclusion, dietary betaine improves the nutrient digestibility without any negative effects in terms of physiology in finishing pigs. It suggests that the supplementation of dietary betaine may increase the productivity through the improvement of weight gain and feeding efficiency.

      • 한국 재래돼지, 중국 메산돈, 유럽돼지간의 OGT 유전자 길이 다형성 연구

        남윤석 ( Yoon Seok Nam ),김두완 ( Doo Wan Kim ),김명직 ( Myoung Jik Kim ),조규호 ( Kyu Ho Cho ),김종국 ( Jong Gug Kim ) 한국동물자원과학회(구 한국축산학회) 2015 축산기술과 산업 Vol.6 No.2

        한국 재래돼지는 일반적으로 약 2000년 전 중국 북부지방을 거쳐 한반도로 유래 되었다고 생각된다. 재래돼지는 그 수가 급격히 감소하여, 1980년대에는 멸종의 위기에 처하기도 하였다 복원을 위한 노력으로 재래돼지는 2008년에 품 종으로 등록되었다. 돼지에서 품종특이적 마커를 추가로 발견하기 위하여 O-linked N-acetylglucosarnine transferase (00η 유전자의 변이를 연구하였다. OGT 유전자는 X 크로모좀에 위하고 있으며, OOT는 표적 단백질에 0-1 inked-β -N-acetylglucosamine을 추가히는데 촉매 역할을 수행하는 효소이다.OGT 유전자의 20번 Lntron에서 돼지의 품종간 에 길이의 다형성 (length polymorphism)이 확인되었다 Duroc, Landrace, Yorkshire 품종(BB 유전자형)에서는 재래 돼지나 중국 메산돈(AA 유전자형)에 비해 20번 IIIπon 이 281-bp 더 길었다 유럽종 돼지에서 281-bp의 insertion이 일어난 것으로 사료된다. 추가 분석결과 재래돼지는 OGT 유전자의 AA, AB, BB 유전자형을 포함하여, 이 좌위가 고 정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재래돼지의 OGT 유전자형을 확인한 후에 유럽종과의 교잡종을 생산하면, 자손들의 OGT 유전자형에 따라서 X 크로모좀이 어느 품종에서 기원하는지를 확인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환경보조물이 임신모돈의 생산성 및 행동특성에 미치는 영향

        정용대(Yong-Dae Jeong),김두완(Doo-Wan Kim),민예진(Ye-Jin Min),정현정(Hyun-Jung Jung),조은석(Eun-Seok Cho),김영화(Young-Hwa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4

        동물복지의 관심고조는 전세계적인 동향이며 최근 국내소비자들의 복지는 반려동물에서 경제동물인 가축으로 확산되고 있다. 환경보조물은 동물복지수준 강화에 유용한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으나 임신돈에서는 관련 연구는 제한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환경보조물이 임신모돈의 생산성 및 행동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시험동물은 30두의 임신돈(랜드레이스)를 준비하였고, 완전임의배치법에 의거하여 3개 처리구(대조구; T1, 플라스틱 소재 놀이기구; T2, 볏짚)에 처리구당 10두씩 배치하였다. 사양시험은 임신 28-105일령동안이며 볏짚과 놀이기구는 시험돈방(11.6×6.0m) 중앙에 배치하였다. 시험 종료일에 체중 및 등지방두께를 측정하였으며 혈중 코티졸 농도를 분석하였다. 행동특성 분석을 위해 임신 91일령에 행동패턴을 24시간 촬영하였고 행동특성을 분석하였다. 시작 및 종료체중은 대조구 및 처리구간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등지방두께는 대조구보다 T2에서 감소하였다(C, 16.56mm vs. T2, 15.73mm; p>0.05). 총산자수, 실산자수는 처리구간 차이가 없다. 사산수는 T1 및 T2에서 대조구보다 감소하였다(1.00 and 0.63 vs. 1.50두; p>0.05). 분만폐사율은 사산수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C, 8.68%; T1, 6.86%; T2, 3.40%). 혈중 코티졸은 대조구 및 처리구간 차이가 없다. 섭취행동은 T2에서 대조구 및 T1 처리구보다 감소하였다(1.81 vs. 9.68 and 6.99%; p<0.05). 놀이 및 파헤치기 행동은 각각 T1와 T2 처리구에서만 확인되었다(p<0.05). 반면에 사육시설에 문지르기 행동은 대조구에서만 관촬되었다(p<0.05). 이러한 결과는 환경보조물 제공이 임신돈의 생산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돼지의 행동특성은 복지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Many countries have interested animal welfare. Similarly, domestic people have concern for the welfare from companion animals to livestock. Environmental enrichments (EE) are tool to enforce the welfare, however, research with sows is limited. Therefore, this study was investigate to effects of environmental enrichments on performance and behavior properties of gestating sows. A total of 30 pregnant sows (Landrace) were assigned into three treatments that control, T1 (plastic device) and T2 (Rice straw). Period of trial was from Mar. 03. 18. to Mary 19. 18. The EE were allotted to center of experimental pen (11.6×6.0 m). Body weight (BW), backfat thickness (BF) and cortisol were identified at experimental initial or end date. Behavior was recorded during 24 hours on days 91 of gestation, and then analyzed the patterns. BF was reduced (15.73 vs. 16.56 mm; p>0.05) in T1 than control, but Ending BW, total litter size and alive piglets did not differ. Born dead piglets showed lower tendency (1.00 and 0.63 vs. 1.50 heads; p>0.05) in T1 and T2 than control. Similarly, the enrichments declined farrowing mortality (C, 8.68%; T1, 6.86%; T2, 3.40%; p>0.05). Cortisol was not differed among treatments. In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eating showed lower (1.81 vs. 9.68 and 6.99%; p<0.05) in T2 than control and T1. Furthermore, playing or digging were only observed (0.33 and 2.10%; p<0.05) in T1 and T2, respectively, whereas rubbing (0.91%, p<0.05) only showed in the control.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rovision of EE would be not negatively affected the performance of the gestating sows and could be led to improvement of the livestock welfare.

      •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퍼지-신경망을 이용한 장치구성 방안

        노은영(Eun-Young Roh),김두완(Doo-Wan Kim),정환묵(Hwan-Mook Chung)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05 한국지능시스템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Vol.15 No.1

        최근 컴퓨터의 소형화와 인터넷의 대중화로 유비쿼터스 컴퓨팅이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사용자는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정보 서비스를 제한 없이 받을 수 있다. 인터넷의 대중화로 유비쿼터스 시대가 도래 하면서 유비쿼터스 환경을 어떻게 제시할 것인지와 어떤 서비스와 이용 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것인지가 중요해 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사용자의 목적에 가장 적합한 장치가 자동으로 선택되는 방안을 제안한다. 일반 사용자들가 작업에 필요한 장치를 간단한 언어항으로 입력하면 퍼지 신경망을 이용하여 최적의 장치를 선택하고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장치를 구성한다. 간단한 환경을 구성하여 실험해 보았다.

      • KCI등재

        미경산 모돈의 임신기 사육형태가 파행, 피부손상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

        민예진(Ye Jin Min),김조은(Jo Eun Kim),김두완(Doo Wan Kim),정용대(Yong Dae Jeong),조은석(Eun Seok Cho),사수진(Soo Jin Sa),정현정(Hyun Jung Jung),진현주(Hyun Ju Jin),최요한(Yo Han Choi)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9

        본 연구는 미경산 모돈의 임신기 사육형태가 파행, 피부손상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본 연구 수행을 위해 미경산돈(Landrace×Yorkshire; 210.67±2.22 ㎏) 40두를 공시하였으며, 4처리 10반복, 반복당 1두씩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처리구는 일반스톨(IS, Individual Stall; 0.65×2.3 ㎡)과 군사사육 형태인 반스톨(SS, Short Stall; 0.65×3.7 ㎡), 자유출입스톨(FAS, Free Access Stall; 3.2×7.7 ㎡) 및 전자식 모돈 급이기(ESF, Electronic Sow Feeder; 4.6×6.0 ㎡)로 총 4처리구로 수행되었다. 시험기간은 임신 56일령부터 110일령까지 수행되었으며, 110일령에 분만틀로 이동하였다. 임신돈 파행과 혈액성상은 전 기간에 걸쳐 처리구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피부손상은 1, 5 및 7주차에서 SS, FAS, ESF가 IS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 <0.05). 또한 3주차와 5주차에서 FAS가 SS보다 피부손상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 <0.05).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미경산 모돈의 임신기 군사사육(SS, FAS, ESF)은 IS에 비해 높은 피부손상을 보이며, 향후 임신돈 군사사육 시 피부손상을 저감할 수 있는 다양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ifferent gestation housing systems on lameness, skin injuries, and blood constituents in primiparous sows. A total of 40 primiparous sows (Landrace × Yorkshire; average initial body weights, 210.67±2.22 ㎏) were randomly assigned to four treatments. The treatments were individual stalls (IS; 0.65×2.3 ㎡), short stalls (SS; 0.65×3.7 ㎡), free access stalls (FAS; 3.2×7.7 ㎡), and electronic sow feeders (ESF; 4.6×6.0 ㎡). The experiment duration was around 54 days, ranging from 56 days after artificial insemination to 5 days before parturition. The sows were transferred to farrowing facilities at 110 days of gestation.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sow lameness and blood constituents between the IS and group housing systems and between the group housing systems. However, the skin injuries at 1, 5, and 7 weeks of the sows in the group housing treatment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sows in IS. In addition, the sows in FAS showed higher skin injuries than those in SS at 3 and 5 weeks. As a result, it was concluded that the group housing systems did not negatively affect lameness and blood constituents but may have resulted in an increase in skin injuries. Therefore, additional research is necessary to reduce skin injuries of sows in group hous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