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에코페미니즘의 비판과 변형 - 물질론적 에코페미니즘과 사회적 재생산 여성주의를 중심으로 -

        권정임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24 시대와 철학 Vol.35 No.1

        This paper critically examines ecofeminism, focusing on materialistic ecofeminism. Ecofeminism recognizes the internal and structural connection between social domination and natural domination and seeks to create an ecological society in which all socially vulnerable people, including women, are liberated. This paper shows that, for the achievement of this goal, above all, the dismantling and replacement of the Problematic of ecofeminism, i.e., ‘scientific revolution,’ is required. To this end, this paper first critically reconstructs materialistic ecofeminism focusing on its philosophical foundations. As a result, this paper shows that materialistic ecofeminism is unable to ‘break away’ from essentialism and even from the Problmatik of modern science that it criticizes. Additionally, this paper shows that this results in unique limitations and difficulties in terms of perception of reality and alternative prospects. Next, this paper examines intersectional ecofeminism as a trend within ecofeminism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of materialistic ecofeminism. Through this, this paper shows that the intersectionality perspective does not have a theoretical status that makes scientific revolution possible. Lastly, this article examines social reproduction feminism based on Marx’s Probelmatik. As a result, this paper argues, the ecofeminism project, i.e., the recognition of the internal and structural connection between social domination and the domination of nature and the creation of a liberating ecological society based on this, must be developed based on the Problemaitk and research programs of social reproduction feminism.

      • KCI등재

        표트르 콘찰롭스키의 정물(靜物)을 통한 작품세계 변전 연구: 목각인형-조스토보 쟁반-꽃-사냥물 정물

        권정임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022 슬라브학보 Vol.37 No.2

        20세기 초 러시아 은세기 화단에서 활동을 시작한 콘찰롭스키는 ‘다이아몬드 잭’ 화가가 되기 전, 자신의 중요한 조력자인 역사화가 수리코프를 통해 러시아 민중예술인 ‘목각인형’ 및 ‘점토인형’에 대한 관심을 증폭시켰다. 수리코프와 함께 한 스페인 여행은 콘차롭스키의 팔레트를 변화시켰다. 러시아 민예품인 목각인형이 지닌 거칠고 조악한 단순미에 야수주의적 색채를 가미한 화가의 새로운 방법론은, 콘찰롭스키를 아방가르드 화단의 최전선에 서도록 해주었다. 콘찰롭스키의 작품세계를 형성하는데 커다란 영향을 미친 두 번째 조력자는 프랑스 입체파의 선구자인 세잔이었다. 세잔이 설파한 자연의 보편적 형태들에 대한 회화적 추구를 콘찰롭스키는 자신의 정물화, 특히 러시아의 또 다른 민예품인 ‘조스토보 쟁반’이 있는 정물화 작품들에서 실현시켰다. 정물의 기본적인 조형언어로 선택된 기하학적 형태는 콘찰롭스키의 ‘조스토보 쟁반’ 정물화에서 러시아성을 겸비한 세잔주의로 거듭나게 된다. 러시아 혁명 이후 ‘세잔주의’를 버리고 ‘리얼리즘’으로 변신을 꾀한 콘찰롭스키의 최대 조력자는 루나차르스키였다. 사회주의 리얼리즘이라는 이념적 투쟁이 지배하던 소비에트 화단에서 콘찰롭스키는 루나차르스키라는 문화 권력이 베푼 신변보호를 통해, 순수화가로서 자신만의 회화적 소재와 주제들을 자유로이 선택해 작업할 수 있었다. 자신의 영지에서 삶의 아름다움과 기쁨의 만개를 노래하는 ‘꽃’ 정물화와, 소비에트 붉은 귀족으로서의 여유와 풍요를 드러내는 ‘사냥물’ 정물화를 통해 콘찰롭스키는 소비에트 ‘민중화가’라는 영예로운 위상을 얻게 된다. 콘찰롭스키 작품세계에서 혁명 이전의 아방가르드적 실험성과 창의성은 혁명 이후의 리얼리즘과 고전 작가들에 대한 흠모에 자리를 내주었지만, 화가의 이러한 급격한 변전은 화려하고 성공적이었다.

      • KCI등재
      • KCI등재

        정의로운 민주주의 - 판 빠레이스의 ʻ정의로운 민주주의ʼ에 대한 비판적 변형 -

        권정임,강남훈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9 시대와 철학 Vol.30 No.1

        This article critically studies the project of 'Justice Democracy' of Van Parijs that will realize the real libertarian justice effectively and maximal. In this project, the primacy of justice over democracy is claimed. Democracy is presented as a form of collective decision-making for major political decision making and an instrument to realize justice effectively and maximal. By the way, Van Parijs does not suggest the reason of primacy of justice. He also does not suggest why major political decision-making should be democratic. This gap is explained in this article by explaining the connection between this project and constitutional liberalism. This article suggests that constitutional liberalism is roughly based on the following two assumptions. The first is the legitimacy of democracy that is based on the idea of popular sovereignty. The second is the assumption that justice as an equal guarantee of freedom is a constitutive supreme rule. The fact that justice is the supreme norm limits democracy. As a result, democracy is understood to be an instrument for equally securing freedom from arbitrary or despotic power. In conclusion,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constitutional liberalism is summarized by the primacy of justice, the instrumentation of democracy and the limitation of the fundamental idea of democracy, i.e. autonomy. Van Parijs goes beyond the limits of constitutional liberalism with his unique freedom and justice concepts. At the same time, he is constrained by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constitutional liberalism.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this article extends the understanding of democracy to autonomy. On the basis of this, this paper critically transforms his 'just democracy' project into 'just autonomy' project. Furthermore, this paper shows that this 'just autonomy' project is one kind of the constitutional democracy projects, i.e. a constitutional real democracy. 이 글에서는 판 빠레이스의 ʻ정의로운 민주주의ʼ 기획, 곧 실질적 자유지상주적 정의를 효율적으로 또한 최대한 실현하는 민주주의에 대한 기획을 비판적으로 연구한다. 이 기획에서는 민주주의에 비해 정의에 우선권이 부여된다. 민주주의는 주요한 정치적 의사결정을 위한 집단적 의사결정형태로, 정의를 최대한 또한 효율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도구로 제시된다. 그런데 이때 판 빠레이스는 정의의 우선성의 근거를 제시하지 않는다. 또한 주요한 정치적 의사결정형태가 민주주의적인 형태이어야 하는 근거도 제시하지 않는다. 이러한 공백은 이 글에서 이 기획과 헌정 자유주의의 연관성에 대한 해명을 통해 설명된다. 헌정 자유주의는 크게 다음의 두 가정에 기초하는 것으로 제시된다. 첫 번째는 인민주권 사상에 기초하는 민주주의의 정당성에 대한 가정이다. 두 번째는 자유의 평등한 보장으로서의 정의가 헌정적 최고 규범이라는 가정이다. 이때 정의가 최고 규범이라는 사실은 민주주의를 제한한다. 그 결과 민주주의는 주로 자의적⋅전제적 권력으로부터 정의를 보장하기 위한도구로 이해된다. 결국 헌정 자유주의의 이론적 틀은 정의의 우선권과 이를 위한 민주주의의 도구화 및 이에 따른 민주주의의 근본이념, 곧 자치의제한으로 요약된다. 판 빠레이스는 그의 고유한 자유개념과 정의개념을 통해 헌정 자유주의의 한계를 일정 정도 넘어선다. 그렇지만 헌정 자유주의의 이론적 틀에 의해 제약된다. 이러한 한계를 넘어서기 위해 이 글에서는 민주주의에대한 이해를 자치로 확장한다. 또한 이에 기초하여 그의 ʻ정의로운 민주주의ʼ 기획을 ʻ정의로운 자치ʼ에 대한 기획으로 비판적으로 변형한다. 나아가이 ʻ정의로운 자치ʼ 기획이 헌정 민주주의 기획의 한 유형, 곧 헌정 실질적민주주의 기획임을 보인다.

      • KCI등재

        종괴 병변에 의한 척골신경병증의 초음파검사

        권정임,박민수,Kwon, Jungim,Park, Min Su 대한임상신경생리학회 2016 Annals of Clinical Neurophysiology Vol.18 No.1

        Ulnar neuropathy at the elbow (UNE) may seem easy to diagnose when the characteristic clinical manifestations are present, and electrodiagnostic studies have high sensitivity, although they are non-localizing in some cases and unable to reveal structural lesions. Ultrasonography is noninvasive and able to find the exact location of the lesion and visualize perineural structures. We present two cases of UNE in which we found hypoechoic mass lesions near medial epicondyle with ultrasonography and discuss its usefulness in diagnosis of UNE.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숭고 이미지의 예술철학적 의미

        권정임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1 인문학연구 Vol.0 No.41

        오늘날 숭고는 J.-F. 리오타르가 주장하는 바와 같이 “표현할 수 없는 것(ein Nicht-Darstellbares)를 가시적인 표현으로 가리키는 것”이라는 의미로 대변되며, 후기구조주의의 기호이론을 기초로 한 현대문화와 예술의 규정에서 주된 개념이 되고 있다. 후기구조주의의 기호론적 이해에서 볼 때 현대 문화와 예술에 있어서 그 내용이자 지시의미는 기의로서 영원히 그 자체로 드러날 수 없는 무엇이다. 다시 말해 기의는 어떠한 기표로도 ‘표현할 수 없는 것’이 된다. 따라서 이러한 기의를 표현하고자 하는 모든 시도는 ‘숭고’의 개념으로써 포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보드리야르가 후기자본주의 시대 문화, 예술(디자인, 광고포함)에서 다뤄지는 이미지 일반을 원본(기의, 지시대상) 없는 기표로 규정하고,우리 시대를 ‘이미지의 폭력의 시대’라고 규정하는 것에서 우리는 두 가지 의미를찾을 수 있다. 하나는, 기의가 기표를 통해 표현될 수 없는 양자의 비동일적인 기호의 특성을 극단적으로 보여줌으로써 현대 문화와 예술에서 다뤄지는 이미지를 ‘숭고’의 범주로 이해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보드리야르가 강조하는점으로, 허위적 이데올로기의 생산과 의식의 조작을 초래하는 이미지의 부정적인효과이다. 보드리야르의 관점에서 보면 오늘날 ‘숭고’와 ‘이미지’, 또는 나아가 ‘숭고 이미지’는 대상에 대한 우리의 이성적 인식의 한계나 단편성만을 시사하며, 정치와 소비사회의 대중에게 충격만을 주는 부정적인 것으로 여겨진다. 하지만 리오타르가자본주의 체재가 주체를 압도하는 포스트모던 사회, 문화의 특성을 숭고로 규정하면서 ‘숭고’ 현상의 부정적 측면을 드러내면서도 이를 다양한 사회계층과 다양한목소리를 교차시키고 연결하는 통로로 파악했듯이, 본 연구는 ‘숭고 이미지가 과연 우리에게 폭력적이고 부정적인 결과만 낳는가’라는 물음에서 출발하며, 일차적으로는 감각적 및 인식적으로 충격과 고통을 수반하지만 이와 더불어 고유한 미적체험을 가능하게 하는 숭고 이미지의 작용과 의미를 찾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숭고에 대한 특정인의 정의나 이론에만 의존하지 않고 그간 각기 널리 연구된 다양한 입장들(롱기누스, 버크, 칸트, 아도르노, 리오타르,들뢰즈 등)을 포괄하여 ‘숭고 이미지’의 특성과 의미 분석의 논증적 기초로 삼으며, ‘숭고 이미지’를 시각 예술에 한정하되 현대의 탈구상적(추상적) 이미지에 한하지 않고 19세기말, 20세기 초의 낭만주의 회화에서 볼 수 있는 구상적 숭고 이미지를 함께 분석의 대상으로 하여 ‘숭고 이미지’의 예술철학적 의미를 보다 넓은범위에서 도출해 내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본 연구에서 밝히고자 하는 바는 ‘숭고 이미지’에 의해 우리는 기존의 앎에 대한 혼란과 한계의식을 가지게 되지만 이를 통해 마침내 자기성찰과 존재에 대한 인식을 꾀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자기성찰은 나아가 나와‘다른’, ‘차이’를 이루는 타자에 대한 성찰과 배려, 공존의 의식으로 확산될 수 있다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표현될 수 없는 것들의 의미를 생각하게 한다는 데 숭고이미지의 진정한 의미가 있다고 할 것이다. Heutzutage wird das Erhabene, wie J.-F. Lyotard behauptet, im Sinne des Anspielens auf ein Nicht-Darstellbaren durch die sichtbare Darstellung verstanden und bezeichnet sich als ein Kernbegriff für die Bestimmung der gegenwärtigen Kultur und Kunst, die auf der Zeichentheorie des Poststrukturalismus gründen. In Hinsicht des zeichentheoretischen Verständnisses des Poststrukturalismus ist der Inhalt sowie die angewiesene Bedeutung in der Kunst und Kultur als ein Gezeichnetes etwas, das ewig nicht als solches enthüllt werden kann. Anders gesagt, ist das Gezeichnete dasjenige, das ein durch nirgendein Zeichen Darzustellendes ist. Es können daher alle Versuche zur Darstellung solcher Gezeichnete in das Erhabene umgefasst werden. Es lassen sich aus der Baudrillardschen Bestimmung der Image, die in der Kultur und Kunst im Zeitalter des Postkapitalismus behandelt wird,als Simulakre ohne den originalen Gegenstand und seiner Bestimmung unseres Zeitalters als eines 'Zeitalters des Gewaltes' zwei Bedeutungen herausziehen. Zum einen ist, dass diese Bestimmung durch den Charakter des Zeichens, d. h. die Nicht-Identizifierbarkeit von Zeichendem und Gezeichnetem, die Image in der gegenwärtigen Kultur und Kunst als ein solches Zeichen mit der Kategorie des Erhabenen verstehen läßt. Zum anderen liegt die Bedeutung dieser Bestimmung, worauf Baudrillard eigentlich hinweist, darin, dass die negative Wirkung der Image, nämlich die Produzierung der falschen Ideologie und die Manifulation des Bewußtseins, aufgezeigt wird. Im Standpunkt von Baudrillard gesehen, spielen heutzutage das Erhabene und die Image bwz. die erhabene Image bloß auf die Grenze der vernünftigen Erkenntnis oder ihrer Partialität an und gelten als etwas Negatives, das den Leuten der politischen und konsumierenden Gesellschaft nur einen schrecklichen Anstoß gibt. Aber, wie Lyotard zwar die postmoderne Gesellschaft und Kultur, in der das kapitalistische System das einzelne Subjekt unterdruckt, als das Erhabene charakterisiert und dabei die negativen Seiten des Phänomens des Erhabenen aufzeigt, dennoch dies Phänomen als einen Durchgang auffaßt, der die verschidenen sozialen Stufen und unterschiedlichen Stimmen kreuzt und vermittelt, so geht die vorliegende Arbeit auch von der Frage aus, 'ob die erhabene Image uns überhaupt nur einen gewaltigen, negativen Einfluß gibt?' und versucht, die Wirkung und Bedeutung der erhabenen Image, die im ersten Blick Anstoß und Schmerzen begleitet, aber dabei ein eigenes ästhetisches Erlebnis ermöglicht, zu suchen. Dafür beschränkt sich die vorliegende Arbeit nicht auf eine Definition des Erhabenen von einem bestimmten Theoretiker, sondern faßt die verschiednen Standpunkte und Ergebnisse der einzelnen Forschungen zum Erhabenen wie die von Longinus, Burke, Kant, Adorno, Lyotard, Deleuze u.a. als die Grundlagen für die Analyse des Charakters sowie der Bedeutung der erhabenen Image um. Und zwar wird hier die erhhabene Image, obwohl auf die bildende Kunst (Malerei) eingeschränkt, nicht nur in den gegenwärtigen abstrakten Kunstwerken, sondern auch in den gegenständlichen Kunstwerken vom Ende des 19. Jahrhunderts bzw. vom Anfang des 20. Jahrhunderts analysiert und wird ihre kunstphilosophische Bedeutung im breiteren Bereich untersucht. Was in der vorliegenden Arbeit schließlich resultiert wird, ist also,dass man durch die erhabene Image, genauer die Verwirrung und Grenzebewußtsein aus ihr, die Selbstreflektion und das Erkennen zum Sein machen würde. Die wesentliche Bedeutung der erhabenen Image findet sich aber noch darin, dass diese Selbstreflektion weiterhin bis zur Reflektion und Berücksichtigung auf den Anderen, der vom mir unterschieden ist und daher eine Differenz macht, und zum Bewußtsein des Mitlebens mit ihm erweitert werden kann, und dass man durch die erhabene Image den Sinn des Unzusehenden und des Nicht-Darstellbaren überlegen würde.

      • 장애유아 어머니의 우울에 미치는 장애유아, 장애유아 어머니 및 가족특성의 영향

        권정임,양연숙 대전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2011 自然科學 Vol.2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 study of affecting depression of the mothers of disabled child with the disabled child character, mother's personal character and families characte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0 mothers who take care of disabled children. The children's ages were from 3 to 6 yea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disabled child character and mother's personal character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ffecting depression of the mothers of disabled child. Families character of family monthly income, marital satisfaction, and family support was the significant correlation of the mother depressed. Disabled children impact on the mother's depression-related variables of the influence of parenting stress appeared a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s.

      • KCI등재

        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 과제난이도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권정임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2018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Vol.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 과제난이도 프로그램이 자기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보는 것이다. 이 연구는 초등학교 5.6 학년을 대상으로 실험 집단 10명과 통제 집단 10명으 로 나누어 총 10 회의 프로그램을 실시했으며, 그 결과는 실험집단에 긍정적인 변화를 보여, 학습에 대해 소극적이고 부정적인 학생들에게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게 하고, 자기목표에 따라서 자신의 행동을 조정하고 개선하려는 자기 조절효능감 요인도 향상되었으며, 과제난이도 선호는 과제 수준을 도전적이고 구체적으로 선택하여 회피하려고만 하던 기존의 모습과는 다른 모습을 보여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e the self-efficacy. This study selected 5th-6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then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of 10 students and a control group of 10 students and a total of 10 sessions were given to the experimental group only. These results showed positive change in subordinate variable such as preference level to subjects and self-control efficacy.

      • 출소자의 심리요인이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

        권정임 한국법무보호복지학회 2020 법무보호연구 Vol.6 No.1

        As prisoners have long been isolated from society, lack of knowledge and psychological retardation of the real world make it difficult to adapt to socie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impact of these psychological factors on social adaptation of prisoners and help facilitate social adaptation after they are released from prison. Therefore, the study seeks to find out what the personal psychological factors of the prisoners have on social adaptation, what are the positive factors that enable them to adapt to society healthily, and what are the negative factors that make it difficult to adapt to society, to devise countermeasures to reduce recidivism through social adaptation,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preventive measures against factors that interfere with social adaptation. In this respect, the study would like to report: First, examine the positive and negative psychological factors of the prisoner. Second, consider the factors that affect the social adaptation of the prisoner. Third, the impact of the prisoner's psychological factors on social adaptation is considered. This study aims to derive the results of the study through a literature study based on previous prior studies. If you look at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of all, there are the negative factors that cause prisoners to have difficulties in adapting to society after being released from prison, such as stigma, depression, impulse, anger, and aggression. The stigmatizing factor is that the more people who are released from prison, the less trust they have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the more likely they are to fail to adaptations to society. The higher the depression, the more depressed the feeling of sadness and loss, and the higher the frustration of failure, the more difficult it is to adapt to society. Impulsive factors have been shown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social adaptation, as they continue to conflict with others due to their tendency to act thoughtlessly, and to act abruptly on internal impulses with little regard to the consequences of their actions, and often more radical and extreme than the general public for triggering stimuli above a certain level. The anger factor is caused by a sense of subjectivity and the activation of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and it can be seen that the anger-induced violence and crimes are actually the most important sentiment among prison inmates, which is a negative factor for social adaptation. Aggressive factors have shown that the risk of recidivism as well as considerable difficulty in adapting to society is high due to all kinds of destructive actions, especially those intended to injure or injure others with physical blows or malicious comments, and any form of behavior intended to inflict injury or injury on or injury on them as a desire to do so. Representative factors are social support, self-respect, and control as positive factors for prisoners to adapt well to society after being released from prison. Social support factors have been shown to lead individuals socially by reducing negative emotions and promoting positive emotions by playing a role of psychological protection and buffering in stress situations and defending against problems in adapting to crises or changes. Self-respecting factors have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and social adaptation, as positive self-respecting factors overcome negative psychological health risk factors and smooth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hich can play an important role as a crime prevention factor, affect the reduction or suppression of violence and criminal behavior. Controlling factors help social adaptation by experiencing less stress and being active, social, patient, pro-social behavior, cooperative, and emotional control because people with high internal control believe in their solubility, but those with high external control may shift the blame to others and cause adverse attack tendencies. The above research suggests that a step-by-step approach to the process of social adaptation to the psychological factors of the prisoners is needed, and that a professional and systematic psychological treatment program should be developed and operated in connection with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prisoners by actively utilizing the psychotherapy department in the correctional headquarters. 출소자들이 오랫동안 사회로부터 격리되어 있었기 때문에 현실세계에 대한 지식부족과 심리학적인 어려움으로 인해 사회적응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출소자 들의 이러한 심리요인이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출소후의 사회적응 이 용이하게 도와주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출소자의 개인적인 심 리적 요인이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이 무엇이고, 사회에 건강하게 적응할 수 있게 하는 긍정적 요인과는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 또 사회적응을 어렵게 하는 부정적 요인에는 무엇이 있는지를 알아보아, 연관성이 있다면 사회적응을 통한 재범률을 낮추게 하는 대처방안을 강구하고, 사회적응을 방해하는 요인들에 대한 예방대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가 보고자 하는 내용은 아래와 같다. 첫째, 출소자의 긍정적 심리요인과 부정적 심리요인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고찰한다. 둘째, 출소자의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고찰한다. 셋째, 출소자의 심리요인이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고찰한다. 본 연구는 위와같은 내용으로 기존에 연구된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한 문헌연 구를 통해 연구결과를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출소자의 심 리요인중 부정적 요인이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출소자들이 출소후 사회에 잘 적응하지 못하고 어려움을 겪게 하는 부정적 요인으로 대표적인 요인들로 낙 인, 우울, 충동성, 분노, 공격성 등이 있다. 낙인 요인은 자기낙인이 심화된 출소자일수록 대인관계에서 신뢰가 감소하고, 사회적응에 실패할 가능성이 높았다. 우울 요인은 우울감이 높을수록 슬픔과 상 실감으로 인하여 침체된 기분이 지속되며, 실패에 대한 좌절감이 더 높아 괴로워 하여, 사회적응이 어려운 것을 알수 있었다. 충동성 요인은 일정 수준 이상의 촉 발 자극에 대해 일반인보다 과격하고 극단적인 행동하는 경우가 많아, 사회적응 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을 알수 있었다. 분노 요인은 격하게 분개하고, 화 를 내고, 긴장하거나, 자율신경계가 활성화 되어 나타나거나, 실제로 분노로 인 한 폭력과 범죄를 반복하게 되어 사회적응에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함을 알수 있었다. 공격성 요인은 적의와 증오와 관계가 있는 모든 종류의 파괴하고자 하는 행위로 상대에게 손해나 상처를 가게하는 행동과 신체적인 타격이나 악한 마음 을 품는 언어등이 이에 해당되는 욕구경향으로써 상해를 입히거나 상처를 줄 목 적을 가지고 행하는 어떤 형태의 행동으로 인해, 사회적응에 상당한 어려움뿐 아 니라 재범의 위험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출소자가 출소후 사회에 잘 적응할 수 있는 긍정적 요인으로 대표적 요인은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 통제성이 있다. 사회적지지 요인은 적응하는데 있어 어 려운 환경이나 상황일때 느끼게 되는 심리적, 신체적 긴장 상태에서 심적으로 안 전하게 보호해주고, 어려움을 완화하게 하고, 위험이나 변화에 대해 문제가 되지 않게 잘 적응하게 하는 역할로 나쁜정서를 줄이고 좋은정서를 증가하여 사회적 응적으로 이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자아존중감 요인은 긍정적인 자아존중감 은 부정적인 심리건강 위험요인을 극복하고 대인관계를 원만하게 하여, 범죄 예 방적 요인으로 중요하게 작용하고, 폭행이나 범법행위를 줄이거나 중단하게 하는데 영향을 끼치며, 심리적 및 사회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통제성 요인은 내적인 통제 력이 높은 개인은 스스로가 해결할수 있다고 신뢰하기에 정서조절성, 협력성, 친 사회적성, 참을성이 높고, 스트레스에 대해서도 적게 경험하여 사회적응에 도움 을 주지만, 외적인 통제력이 높은 개인은 어려움과 불편함의 이유와 결과를 외부 에 전가하거나, 공격적이고, 반항성이 높아서 적응하지 못하는 행동을 유발할 수 도 있다. 위 연구의 제언으로는 출소자의 심리적 요인에 대한 사회적응 과정의 단계적 접근 필요하며, 교정본부내 심리치료과를 적극 활용하여, 출소자들의 심리특성과 연관하여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심리치료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