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독립국가연합 지역 한국학 진흥 방안 연구

        임영상(Yim Young-Sang),김현택(Kim Hyun-Taek),김게르만(Kim German)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001 슬라브학보 Vol.16 No.2

        This article purports to present a set of new strategic consider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studies in CIS area, based on the careful study of the history and the current situation of Korean studies in this area. As the second chapter of this article explicates, Korean studies in Imperial and Soviet Russia can be divided into four respective periods: 1) before the Bolshevik revolution, 2) after the Bolshevik revolution until the 1950's, 3) 1960's and 1970's, 4) after 1980's until now. And each period produced a specific trend of Korean studies, reflecting the political and ideological situation of the given times. The first period was characterized by its primary efforts on accumulating the basic information about Korea. During the second period Korean studies in Soviet Russia was placed under the strong influence of ideological bias. However, namely this period witnesse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Korean studies, especially, in the fields of language and literature. The third period is most interesting, since Korean studies experienced a time of prosperity in various fields. The last, fourth period is closely connected with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Republic of Korea and Soviet Union in 1990. The establishment of official relations between South Korea and Russia triggered among Russians great interest on Korean studies as a whole. And Korean language is now being taught at many educational institutions throughout the country. And thanks to the recent translations and monographs in Russian. Russian readers are now able to get familiar with, at least, major aspects of Korean history, literature, politics and economy. In spite of this recent positive development of Korean studies in CIS area, we are now faced with some new problems as well. It is quite encouraging that geographic map of Korean studies in CIS is expanding rapidly, reaching from major European cities to remote provincial centers. However, a close look at its current situation indicates that in fact Korean studies in CIS area, once recognized as one of the best examples abroad, is in desperate situation because of following problems: 1) the retirement of well qualified specialists and the lack of capable young teaching staff who can replace the old generation, 2) the gradual decrease of students studying Korean, with the exception of Far East and Central Asia, due to the difficulty of finding appropriate job with the knowledge of Korean language, 3) the absence of well organized curriculum for Korean studies and the urgent need in necessary textbooks and secondary materials, 4) the inappropriate procedures for selecting Korean teaching staff working abroad. In the light of above mentioned problems. we can make some suggestions, which might be useful in formulating the new strategy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studies in CIS area. First, in order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given material resources, it is necessary to divide educational institutions(which currently offer Korean studies program) into two categories: 1) an educational and research center with a differentiated field of concentration, 2) a strategic educational center for Korean immigrants, living compactly in a specific region. Second, we need to provide talented future scholars with corresponding financial support in order that they can devote themselves only to studies on Korea. The success of this program entirely depends on the objective procedures for defining and selecting the well-promising candidates. Third, new textbooks, adapted for the local needs, are essential for effective teaching. At the same time at the so-called educational and research centers we try to build a solid library, which are furnished with basic references and data base. Fourth, we need to pay close attention to who might be a best Korean candidate to teach abroad. A serious specialist in Korean linguistics without the minimum knowledge of Russian

      • KCI등재

        문학사 기술과 이념성: 한국적 맥락에서 읽는 신간 옥스퍼드 러시아문학사

        김진영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019 슬라브학보 Vol.34 No.1

        The article has two objectives: first, to review the recent publication of A History of Russian Literature(A. Kahn et als., Oxford University Press, 2018); second, to summarize the meta-history of Russian literature in Korea in comparison. The history of Russian literature as a subject of writing does not have a long record outside Russia. The first English book written by English with a historical frame dates back to 1910(M. Baring, Landmarks in Russian Literature); before that there was Kropotkin’s Russian Literature(1905), and after – Mirsky’s A History of Russian Literature which laid an essential foundation for later studies. The changes in political as well as intellectual scenes such as the dissolution of the Soviet Empire and the advent of post-modern perspectives(new historicism, postcolonialism etc.) brought in new historiographic approaches to Russian literature. The question, for example, of how to absorb the cultural borders of Russian/Soviet, dissident/official dichotomy within one history was, and is, a central issue among scholars of the former Soviet Union. In the Western camp of Russian Studies, with its root originating from the émigré academy, the issue is focussed on how to identify Russian literature per se and how to position it in this information-filled, seemingly anti-narrative globalized world. How can a history of Russian literature be written, when the “facts” seem no longer absolute, when the very concept of a “national literature” is being marginalized vis-à-vis “world literature”; how can a national literature be taught, when the defining borders among nations, academic disciplines, and any given systems seem self-effacing; how can a historical narrative, equipped with what kind of strategies and devices, confront the challenges of the new era? The new Oxford history of Russian literature, quite successfully, provides an answer. Aside from the concerns common to any students of Russian literature today, there is one more factor, i.e., ideological inner-polarization, that has been shadowing the course of Russian Studies in Korea. The nation’s socio-political specifics from the colonial through the present period of division has influenced, and left vivid marks on the historiography of Russian literature. Therefore reading Korean histories of Russian literature is yet another way of reading the modern history of Korea itself. 논문의 목표는 최근 발간된 옥스퍼드 러시아문학사(A History of Russian Literature, A. Kahn et als.)에 관한 서평을 겸해 한국 러시아문학사의 역사를 비교 조망하는 것이다. 러시아 밖에서 러시아문학사가 기술된 역사는 그리 길지 않다. 문학사적 틀을 갖춘 영어권 러시아문학사는 1910년으로 거슬러 올라가고(M. Baring, Landmarks in Russian Literature), 그 전에 크로포트킨의 러시아문학소개서(Russian Literature, 1905)가, 그리고 그 후에 향후 러시아문학사의 결정적 기초를 마련한 미르스키 문학사(A History of Russian Literature)가 있다. 소련 붕괴와 포스트모던 관점(신역사주의, 포스트콜로니얼리즘 등)의 부상과 같은 정치적이고 문화적인 지각 변동은 러시아문학사의 기술에 있어서도 새로운 접근을 요구하게 되었다. 가령, 러시아/소비에트, 체제/반체제와 같은 이분화 된 문화의 역사를 어떻게 단일 서사로 융합할 것인가의 문제는 구소련 학자들에게 절실할 수밖에 없다. 한편, 망명 아카데미즘의 뿌리를 지닌 서구 학계는 ‘러시아문학’ 자체를 어떻게 규정할 것인가, 파편적 정보로 가득 차고 서술에는 관심 없어 보이는 글로벌 세계 안에 어떻게 위치시킬 것인가와 같은 문제에 보다 골몰해 있는 편이다. ‘사실’의 절대성은 사라지고 개별국가문학의 개념 자체가 세계문학 앞에서 밀려나고 있는 상황에서 러시아문학사는 어떻게 기술되어야 하는가, 국가와 학문 영역과 제도들 사이의 경계가 스스로 무너져 내리는 현실에서 개별국가문학은 어떻게 계속 교육될 수 있는가, 역사 서술은 과연 어떤 전략과 도구로써 새 시대의 도전에 맞서야 하는가? 새 옥스퍼드 러시아문학사는 그 질문들에 대한 성공적인 대답을 제시한다. 오늘의 전세계 러시아문학 연구자들이 직면한 이 같은 공통의 문제점 외에도 한국의 러시아학에는 그 흐름을 좌우해온 또 하나 요소가 있다. 민족 내에서의 이념 분극 현상이 바로 그것이다. 일제강점기에서 분단기로 이어지는 현대 한국의 사회정치적 특수 상황은 러시아문학사 기술에 있어서도 영향을 미치면서 내용과 형식 모두의 측면에서 뚜렷한 흔적을 남겼다. 그러므로 한국의(한국에서의) 러시아문학사를 읽는다는 것은 현대 한국의 역사를 읽는 또 다른 방법에 다름 아니다.

      • KCI등재

        Korean-Russian Economic Relations in the 21st Century

        Sang Joon Lee(이상준)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004 슬라브학보 Vol.19 No.2

        본 논문은 21세기에 들어서면서 한국과 러시아간 경제협력에 있어서 고려되어야 하는 분야와 각 분야별 이슈를 파악하여 그에 따라 각 분야의 협력을 달성함에 있어서 러시아 극동지역이 가지는 의미와 역할을 살펴보고 그 한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1990년대 한국과 러시아간 경제협력은 무역과 투자를 중심으로 이루어 졌다. 비록 1997년 금융위기로 양국간 교역이 감소하는 어려움이 존재하기도 하였으나, 이러한 경제협력의 성과와 상호이해를 바탕으로 21세기에 들어서면서 한국과 러시아는 무역과 투자뿐 아니라 철도연결, 송유관 및 가스관 연결, 전력연결 등 네트워크 형태의 협력으로 한걸음 더 나가고 있다. 더욱이 21세기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하여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는 환경 분야에서 협력 가능성도 고려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양국간 협력 분야의 다양화는 동북아 지역전체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하여 매우 중요하다. 이는 21세기에 들어서면서 다양한 연결과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국가와 국가간 협력이 발전할 가능성이 높다는 추세와 더불어 국제협력에 있어서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는 것이 근접한 이웃국가들과의 협력이란 점을 고려할 때 러시아 극동지역은 한국과 러시아를 연결하는 중요한 연결고리이면서 한국과 러시아간 포괄적 협력을 실현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진 중요한 지역이다. 물론 러시아 극동지역이 한국과 러시아간 경제협력에 있어 보다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걸림돌이 없는 것은 아니다. 경제협력을 제약하는 요인들을 살펴보면, 먼저 연방차원에서는 연방정부와 지방정부간 재정연방관계, 연방정부와 지방정부간 제도적 불일치 등의 해결해야 하는 문제가 존재하고, 극동지방차원에서도 인구감소, 산업구조 등 사회경제적 요인들도 있다. 이러한 제약 요인들은 체제전환이 진행되면서 줄어들 것이고 따라서 러시아 극동지역은 21세기 한국과 러시아간, 나가서 동북아 협력에 있어 중요한 지역으로 부상할 것이다.

      • KCI등재

        Преподавание русского яэыка в Южной Корее - ВЧЕРА - СЕГОДНЯ - ЗАВТРА

        Ким Се Иль(김세일)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003 슬라브학보 Vol.18 No.2

        19세기 말 한국과 러시아가 첫 외교적 접촉을 가진 이래로 한국에서 러시아어와 관련한 교육 문제는 주로 한반도의 대내외적 정치상황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왔다. 사실 한국동란 이전 시기에 한국에서 공식적인 러시아어 교육은 없었으며, 1920년대를 중심으로 러시아문학이 일본의 영향을 받으면서 전달되어진 과정만을 볼 수 있을 뿐이다. 한국동란이 끝난 1954년에 이르러서야 한국외국어대학교에 러시아학과가 설립되었으며, 이때 러시아어문학을 연구한 자들이 한국에서 러시아어 교육의 ‘제 1세대’로 성장하게 된다. 이후 냉전시기에 세계 열강 중 하나로서 소련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1970년대와 80년대에 고려대학교, 서울대학교, 조선대학교 등에 노어학과가 서립되었으며, 1988년 서울올림픽의 성공적 개최와 고르바쵸프의 ‘페레스트로이카’, ‘글라스노스치’등의 개방정책으로 인해 더욱 그 관심이 촉발되면서 연세대학교, 중앙대학교 등 매년 4-5개 대학교에서 노어학 관련 학과들이 개설되었다. 이와 더불어 독일, 미국, 프랑스, 러시아 등 외국에서 노어노문학을 전공하는 연구자들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는 노어노문학의 르네상스 시대가 1990년대 초까지 이어지게 된다. 현재 한구에는 36개 대학에 노어노문학 관련 학과들이 있고, 14개 고등학교(특목고 5개, 일반고 9개)에 제2외국어로서 러시아어가 개서되어 있다. 그러나 한국에서 ‘새로운 희망의 땅’으로서 증가되었던 러시아어에 대한 관심은 1990년대 중반 이후 급속히 가라않게 되었으며, 전공 학생 수가 절반 이하로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 대외적인 원인은 한국과 러시아의 경제적 위기 (한국의 외환위기로 인한 IMF 관리, 러시아의 모라토리움)를 들 수 있으며, 대내적으로는 국내 대학들의 구조조정의 영향과 새로운 시대에 부합하는 러시아어 교육방법론의 개발 소홀 등을 들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대학 구조조정 중에서 학과제 학생선발에서 학부제로의 전환은 러시아어 교육에 가장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또한 타 외국어와 비교할 때 러시아어 교육 방법 및 교재 개발의 부실은 해당 교육자들이 해결해야 할 당면 문제이다. 현재 한국에서 외국어는 영어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최근에는 중국어가 새로운 관심의 대상으로 떠오르고 있다. 반면 러시아어 교육의 위기적 상황은 앞으로도 일정기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남북한 종단철도와 시베리아 횡단철도의 연결로 인한 새로운 물류 유통 구조 형성 및 인공위성과 관련한 한국과 러시아의 과학 기술 협력 체결 등은 장기적으로 러시아를 한국의 새로운 파트너로 성장시킬 원인이 될 것이다. 한편, 한국에서뿐만 아니라 세계 여러 나라에서 겪고 있는 러시아어 교육의 위기적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서 특히 러시아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절실히 요구된다. 한 국가의 무화 전파는 언어로부터 출발된다는 점에서 러시아 정부의 ‘해외 러시아어 교육 정책 활성화’는 문제 해결의 첫번째 단추가 될 것이다.

      • KCI등재

        Тенденция к экономии языковых средств в русской разговорной речи

        Кулькова Р.А.(꿀꼬바 P.A.),Хан Ман Чун(한만춘)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008 슬라브학보 Vol.23 No.2

        상이한 제 민족의 구어에는 보편적인 특성이 있으며 또한, 고유한 특성도 있다.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언어들 속에서 고유하다는 것이 반드시 다른 언어들에는 존재하지 않는 독특한 그 무엇이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즉, 독특하다는 것은 해당 언어를 다른 언어들과 비교할 때 다른 언어들에서도 나타날 수 있는 어떤 언어적 현상의 많고, 적음이라는 확산의 정도를 뜻한다는 것이다. [Брызгунова 1998]. 본 고에서는 한국어와 러시아어에서 비교적 폭넓게 나타나는 언어소통의 경제적 가능성이라는 관점에서 러시아어와 한국어의 고유한 특징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문장의 구조는 경제성의 논리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대담자들 간에 서로 이해할 수 있는 문장 내용(의미)의 일부분은 생략으로 실현된다. 이러한 견지에서 볼 때 한국어와 러시아어는 적지 않은 입장 차이를 보인다. 러시아어는 한국어와 달리 상대적으로 언어 소통의 경제적 어형의 폭이 넓은 편이다. 이는 무엇보다도 한국어와 비교해 볼 때 술어 생략의 자유로움에 기인한 것이다. 러시아어는 담화상에서 자주 동사가 생략된다. 예를 들면, Дайте мне!=Дайте мне сказать!, Простите, что мы на такие неприятные темы=Простите, что мы говорим на такие неприятные темы. 러시아어에서 보여지는 담화 표현의 경제성의 또 다른 방법은 억양의 사용이다. 이는 러시아어가 어떤 어휘?통사적 도움 없이 의미적 강조를 목적으로 ИК-2나 ИК-3에 의한 되묻기(переспрос)등과 같은 음성학적 방법으로 내용(의미)을 전달해주는 것이 한국어와 다른 점이다. 그러나 한국어에서 억양은 러시아어 억양과는 다른 구조적 특징을 드러낸다. 즉, 러시아어에서 억양이 어휘?통사적 도움 없이 담화 표현의 경제성의 방법으로 기능하는 반면, 한국어에서의 억양은 담화상에서 어휘?통사적인 방법에 의한 밀접한 상호작용으로 인해서 발현 되어진다는 점이다. [Мун, Сун Вон 1994]. 한국어에는 러시아어의 통사적 관용구 (синтаксическая фразеология : 예를 들면, не о чем-нибудь, а.... / Уж на что школьники, и те... 등) 와 같은 언어 현상이 적극적으로 나타나지 않는다. 러시아어의 통사적 관용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한국어의 담화상에서 나타나는 명확한 어휘와 통사적인 표현으로 살펴보아야만 올바른 내용(의미)을 파악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논문에서는 러시아어로부터 한국어로의 구어에서 보여지는 담화 표현의 경제성 고찰이 행해졌다. 이상에서 살펴본 일련의 담화 표현의 경제적 방법들은 화자가 신속한 대화 양상을 효과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일종의 언어적 책략이다. 이러한 연구가 한국인 학습자들을 위한 러시아어 교육에서 실제발화의 능동적 활용에 도움을 줄 수 있기를 기대하며 한국어로부터 러시아어로의 구어에서 보여지는 담화 표현의 언어 경제성의 또 다른 동향은 차후의 연구과제로 남겨두기로 한다.

      • KCI등재

        Russian Studies in Korea since the Mid-1990s

        Duck Joon Chang(장덕준)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007 슬라브학보 Vol.22 No.1

        한국과 러시아가 국교가 수립되고 냉전이 종식되면서 한국에서는 러시아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대하였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에 대응해 국내의 러시아학 연구도 질적, 양적으로 발전해왔다. 본 연구는 서유럽, 미국, 그리고 국내에서 훈련 받은 학자들 뿐만 아니라 러시아 현지에서 공부한 소장학자들이 국내에 돌아와 본격적으로 활동하기 시작한 1990년대 중반이후부터 2006년까지 주로 사회과학분야에서 수행된 러시아학의 연구성과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이전시기에 러시아 연구자들이 주로 관심을 가졌던 정치, 외교, 경제의 일반적인 분석 이외에도 다음의 몇 가지 새로운 경향성을 발견하였다. 첫째, 러시아 체제전환의 문제점, 국가의 성격 및 역할, 사회경제적 이슈 등을 서구와 러시아에서 발전된 이론적인 틀로 설명하려는 연구들이 수행되었다는 사실이다. 둘째, 중앙에 집중되어 왔던 연구의 공간적 영역이 러시아의 지방으로 확대되었다는 점이다. 셋째, 이전에는 연구대상으로서 다소 소홀히 취급되었던 사회계층, 주택문제, 비공식 관계, 여성문제, 환경문제 등이 새로운 조명을 받게 되었다. 넷째, 교통과 에너지 문제를 중심으로 한 한러협력 이슈에 대한 연구가 활기를 띠어왔다. 다섯째, 정치문화, 민속학, 다차문화 등 문화와 인류학적인 연구가 활성화되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성과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러시아 연구는 제도적, 재정적인 기반이 아직도 취약하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한, 연구자들 사이에 정보의 공유와 연구성과에 대한 상호토론의 문화가 빈약하다는 점도 문제점으로 꼽힌다. 그 밖에도 한국의 러시아연구 공동체는 해외의 저명한 러시아 및 슬라브권 지역연구 관련기관과 학자들과의 교류를 활성화해야 하는 과제도 안고 있다.

      • KCI등재

        중앙아시아 지역에서 유라시아개발은행(EDB)의 활동에 대한 연구

        조영관(Jo Young Kwan)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016 슬라브학보 Vol.31 No.3

        Multilateral development banks help emerging countries developing their societies and economies as well as infrastructure. In Central Asia, multilateral development banks are also playing a important role in economic growth of the region by mobilizing development finance directed to various sectors. In particular, the EBRD – established by the EU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former Soviet Union countries – and the ADB – a significant proportion of its shares are held by Japan and the U.S. – have actively provided financing for development across the region. With respect to infrastructure investment, the EBRD initiated the “TRACECA” project while the ADB launched the “CAREC” program. In the meantime, recently established development banks plan to fund new development programs targeting emerging countries. For instance, the AIIB and the NDB – both with an initial capitalization of a staggering $100 billion – are projected to greatly contribute to developing infrastructure in emerging countries in partnership with existing development banks, and reinvent themselves as major international development banks. Especially, the AIIB would invest hugely in infrastructure development projects in Central Asia. Besides this, the EDB led by Central Asian countries such as Russia and Kazakhstan has been implementing development financing projects. The EDB funds infrastructure development projects just like other development banks. In addition to this, the EDB is making an effort to facilitate economic cooperation in the Central Asian region. The EDB currently functions as a financial institution under the EAEU. The the EDB will play an even bigger role, as the size of the EAEU becomes larger in the future.

      • KCI등재

        Краткое причастие действительного залога в древнерусском языке

        Й. Ф. Ким(김용화)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002 슬라브학보 Vol.17 No.2

        본 논문에서는 교회슬라브어(문어)와 동슬라브 구어의 상호 연관성 관점에서 고대러시아 단어미 능동 분사의 통사-의미적 기능이 연구된다. 교회슬라브어 문헌으로는 13-14세기에 필사된 제1 노브고로드 연대기(시노달 필사본)가, 구어체 문헌으로는 주로 11-14세기에 작성된 고대노브고로드 자작나무 문헌이 분석된다. 필사본은 필사 사기뿐만 아니라 전 시기의 언어적 규범 역시 반영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 두 문헌은 동시대적 작품으로 간주될 수 있다. 작성 시기와 장소(고대노브고로드)가 일치하는 이 사료에는 고대러시아에 공존하는 교회슬라브어와 동슬라브 구어체계가 구현되어 있기 때문에 이것들의 비교, 분석은 본 논문의 연구목적에 부합된다. 두 문헌에 나타난 단어미 능동 분사의 일차적 통사-의미적 기능은 일치한다: 통사적 주 기능은 종속 복문 부문의 술어적 기능이고, 이것은 주문과의 관계에서 시간, 양보, 목적, 원인, 조건, 비교 등과 같은 의미를 표현한다. 교회슬라브어와 구어에서 분사의 일차적 통사-의미적 기능의 일치성은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본래 동슬라브어와 교회슬라브어 단어미 능동분사는 -예를 들어, 동사과거시제 체계와는 달리- 그 기본 체계에서 일치하며, 이 때문에 이른 시기부터 밀도 높은 상호 침투가 가능했다. 따라서 문헌가가 교회슬라브어 텍스트에 술어적 기능으로 단어미 능동분사를 사용할 때, 그는 인위적으로 습득된 문어적 언어의식이 아니라 분사의 이 기능을 담지하고 있는 자신의 구어적 언어의식에 의거한다. 독립여격, 제2 대격 분사, 단문의 술어로 기능하는 분사, 합성술어의 명사류 부분, 그리고 명사화한 분사는 제1 노브고로드 연대기에서만 사용된다. 이 기능들의 사용 빈도나 특성상 독립여격과 제2 대격 분사는 문어적 규범의 확고한 문법적 특징이라는 주지의 사실은 본 논문에서도 재차 입증되었다. 반면 단문의 술어로 기능하는 분사, 합성술어의 명사류 부분, 그리고 명사화한 분사는 매우 이른 시기의 문법적 현상의 흔적으로 규정되어야 할 듯 싶다. “단어미 능동 분사 ..., 명령형 ...” 구조는 자작나무 문서에서 빈번히 장하며, 제1 노브고로드 연대기에서는 문헌가의 자연적 언어의식이 작용할 수 있는 직접문에서만 산발적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이 구조는 구어의 특징으로 간주한다. 분사 “хотя”는 두 문헌에서 빈번히 등장하는 형태이지만, 제1 노브고로드 연대기에서는 예증된 모든 경우에 고대러시아 분사 본래의 기능으로, 자작나무 문헌에서는 초기부터 양보적 의미의 접속사, 즉 현대러시아어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처럼 두 문헌에서 분사와 일차적 가능이 일치함에도 불구하고 일련의 기능은 상호 영향과 침투를 허용하지 않고 자신의 고유 기능을 전 텍스트에서 유지하고 있다. 이것은 고대러시아 문어와 구어의 독자적 발전 공간이 기존 연구들에서 주장하는 것 보다 더 넓었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이 두 언어 체계는 수세기 동안의 부단한 상호 영향하에서도 상호 간섭이 용이하지 않았고, 자신의 견고한 체계 안에서 고유한 언어적 특징들을 보존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고 있었다. 이것은 또한 구어가 고대러시아 문어의 문법적 규범 변화의 일차적 원천이라는 기존 가설을 재고할 필연성을 제공한다.

      • KCI등재

        신거대게임으로 본 유라시아 지역질서의 변동과 전망

        신범식(Shin Beomshik)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008 슬라브학보 Vol.23 No.2

        After the collapse of Soviet Union, the Eurasian region, i.e. the post-Soviet space has experienced drastic geopolitical changes. The U.S. as the world hegemonic state has been trying to expand its hegemony throughout this region, stimulating Russia to defend its influence in this region and China to explore ways toward the regional great power status. This competition among these Eurasian troika can be called as 'New Great Game,' which defines the fundamental structure of Eurasian regional order at this time. The Eurasian regional order has evolved through three stages: transformation of regional order through U.S. hegemony expansion; U.S.-leading regional great powers' concert system for combating terrorism after 9.11 event; Russia-China alliance's balancing against the U.S. trial for unilateral dominance of Eurasia. For the future prospect of Eurasian regional order, it is required to pay attention to three factors: the changing balance of power point among the U.S., Russia and China in this region; the evolution of the numerous regional multilateral cooperative mechanisms; the direction of state-building process of the regional newly independent states. The first factor will regulate the short-term regional order, the second will influence the mid-term future of regional order, and the third will decide the long-term regional development. In this regard, the model of democratization and marketization process of the regional states will be the determining factor of the future Eurasian regional order. This study shows that the Eurasian regional order will be characterized by the balance between the two camps: U.S. vs. Russia-China alliance in the short term, while it is more likely to be evolved into a more divided multi-polar power balance system in the long-term process.

      • KCI등재

        ROK’s Middle Power Diplomacy and Baltic 3 States

        Suh, Dong Joo(서동주),Kim, Jung Gi(김정기)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018 슬라브학보 Vol.33 No.3

        본 연구는 최근 한반도·동북아 국제환경의 변화와 문재인 정부의 대외정책 기조와 방향에 주목하면서 한국의 중견국 외교의 특징을 살펴보고, 향후 한국과 발트 3국 간 관계 발전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과 협력 방안을 탐구한 것이다. 한국은 국제무대에서 국력과 국제적 위상 측면에서 소위 중견국(middle power state)에 해당되며, 국제사회에 기여하는 중견국 외교를 실천에 옮기고자 하고 있다. 한국의 중견국 외교에서 가장 두드러진 것은 믹타(MIKTA) 체제를 형성하고, 중견국 협의체를 발전시켜 나가고 있는 점이다. 최근에는 중유럽의 비세그라드(Visegrad) 그룹 4개국(체코, 헝가리, 폴란드, 슬로바키아)들과 정상회담을 개최하는 등 외교적 지평을 넓혀가고 있다. 한국과 발트 3국 역시 2018년 2월 정상회담을 개최하고 ‘한-발트 3국 경제공동위원회’를 출범시키기로 합의하는 등 새로운 관계 도약의 계기를 맞이하고 있다. 향후 한-발트 3국은 체제전환의 경험과 한반도 통일에의 시사점 제공, 공공외교(public diplomacy), 사이버 안보, 전자정부 부문에서의 협력, 스타트 업과 ICT분야 협력과 한류를 포함해 문화적 정서 공감대 형성 가능성 등 상호 윈-윈할 수 있는 미래지향적 공동이해를 잘 가꾸어 가는 것이 중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