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 관계에 관한 문헌 연구

        권연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2005년에서 2019년 동안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 간의 관계와 관련된 국내학술지연구논문 28편을 대상으로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관련 변인 중 양육효능감과의 관계가 자녀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연구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이에 대한 대책의 필요성 및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분석 대상 논문을 연구주제, 연구방법, 연구내용, 연구효과 별로 나누어 동향을 분류하고, 연구동향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도 및 연구방법별 양육스트레스 관련 변인 연구 동향을 살펴본 결과, 2005년부터 2019년까지 연구된 총 8편의 분석 대상 논문 중, 동향 연구는 2편(25%), 메타 연구는 1편(12.5%), 양적 연구는 5편(62.5%)이었다. 맞벌이 가정의 증가, 자녀에 대한 높은 기대로 인한 어머니의 역할 변화 등 급변하는 현대 사회에서 양육스트레스 관련 변인은 과거에 비해 더욱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양육스트레스 관련 변인에 대한 연구는 양적 연구 뿐 아니라 질적 연구, 동향 연구, 메타 연구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둘째, 연구내용별 분석을 위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의 부적상관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어머니 개인 관련 변인, 자녀 관련 변인, 배우자 관련 변인, 환경 관련 변인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어머니의 개인 관련 변인을 연구한 논문이 4편(40%)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자녀의 기질, 자녀 발달 특성 및 정서성 등 자녀관련 변인을 연구한 논문은 2편(20%), 부부갈등, 부모공동양육과 같은 배우자관련 변인을 연구한 논문은 3편(30%), 사회적 지원 등 환경 관련 변인을 연구한 논문은 1편(10%)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효과별 분석으로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 관계가 자녀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동향을 분석 결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자녀의 내면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5편(55.6%),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자녀의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3편(33.3%),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아동학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1편(11.1%) 순으로 이루어 졌다. 본 연구를 통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 간의 관계와 관련된 국내학술지연구논문의 동향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자녀 양육을 하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양육스트레스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어머니의 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부모교육, 부모공동양육 증진을 위한 부부상담 프로그램, 자녀양육에 관한 지식교육 등 다양한 측면에서의 상담프로그램 연구 접근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 아동의 정서성과 대인간 문제 해결 전략 및 어머니 행동이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권연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내.외적 요인에 관심을 갖고, 먼저 개인내 요인으로서 아동의 정서성, 사회적 문제 해결 전략과 대 인간 요인으로서 모-자 상호작용시 어머니 행동이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남녀 집단별로 구분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이 변인들이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상대적 설명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에 위치한 유치원 6곳과 경기도 일산 신도시에 위치한 유치원 1곳에서 연구 참여에 동의한 만 5-6세 아동 102명(남아 60명, 여아 42명)과 그들의 어머니이었다.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교사 질문지(LaFreniere & Dumas, 1996)와 또래 평정을 사용하였다. 아동의 정서성을 측정하기 위해 Rothbart (1996)의 아동행동질문지 중 정서성 관련 문항을, 아동의 대 인간 문제해결 전략을 측정하기 위하여 Webster-Strattron 등(1997)의 WALLY 검사를 예비 조사를 통해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모-자 상호작용시 어머니 행동을 측정하기 위하여 협력 과제 상황에서 자녀와 상호작용하는 어머니 행동을 관찰하여 비디오 녹화한 뒤 Rubin(2000)의 ‘부모 온정과 통제 척도’에 따라 기록하였다.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각 변인에 대한 기술적 통계치와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고 t 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에 대한 어머니 행동, 아동의 정서성, 사회적 문제 해결 전략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 회귀 분석을, 각변인들의 상대적 설명력을 비교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 분석을 남녀 집단별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연구 문제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정서성은 사회적 유능성에 대해 유의한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남,여 아동 모두 긍정적 정서성이 높고 부정적 정서성이 낮을수록 교사에게 사회적으로 유능하다고 평가되었으며, 부정적 정서성이 낮은 남아와 긍정적 정서성이 높은여아가 또래 집단에 잘 수용되었다. 둘째, 아동의 대인간 문제 해결 전략은 사회적 유능성에 유의한 설명력을 보여주었는데, 긍정적 해결 전략이 많고 부정적 해결 전략이 적을수록 남아는 교사에게,여아는 또래에게 사회적으로 유능하다고 평가되었다. 또한 부정적 해결 전략을 많이 가지고 있는 여아는 교사에게 사회적으로 유능하지 못하다고 평가되었다. 셋째, 모-자 상호작용시 어머니 행동은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에 유의한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남아는 어머니가 부정적 정서를 표현하지 않을수록 교사에게 사회적으로 유능하다고 평가되었으며, 어머니가 부정적 통제 행동을 하지 않을수록 또래 집단에 잘 수용되었다. 반면, 여아는 어머니가 민감하고 긍정적인 지도를 많이 할수록 교사에게 사회적으로 유능하다고 평가되었다. 넷째, 아동의 대인간 문제 해결 전략은 정서성을 통제하고도 교사가 평정한 남녀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과 여아의 또래 평정에 고유한 추가 설명력을 나타내었으나, 이들 변인을 통제한 뒤 모-자 상호작용시 어머니 행동은 더 이상 유의한 추가 설명력을 가지지 못하였다. 반면, 어머니의 부정적 통제는 남아의 정서성의 영향을 제외하고도 남아의 또래 평정에서 유의한 추가 설명력을 가지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은 평가 방식과 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나,전반적으로 아동 개인의 특성이 상대적으로 더 중요하였다. 교사에게 사회적으로 유능하다고 평가되는 남아는 부정적 정서성이 낮고 부정적 문제 해결 전략이 적으며, 어머니의 부정적 통제가 적을 때 또래 수용도가 높다. 반면, 교사 평가와 또래 평정에서 유능한 여아는 긍정적 정서성이 높고 부정적 문제 해결 전략을 적게 가지고 있다. This study examined effects of children's emotionality,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strategies, and maternal behaviors during mother-child interaction o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These effects were analyzed separately by boys and girls. One hundred-two children(60 boys, 42girls; aged 5-6) and their mothers were studied. Social competence was assessed by a teacher's questionnaire (SCBE: LaFreniere & Dumas, 1996) and the Peer Rating Scale(Asher,Singleton, Tinsely, & Hymel, 1979). Children's emotionality was rated by a mother's questionnaire(CBQ: Rothbart, 1996), and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strategies were measured by the WALLY test (Webster-Strattron & Hammond, 1997). Maternal behaviors were observed during mother-child interaction at home and analyzed using the Parental Warmth and Control Scale(Rubin, 2000).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s, t-tests, multiple linear regressions, and hierarchical regressions were performed. Children's emotionality significantly explained children's social competence.Specifically, positive emotionality was positively related to boys' and girls'social competence as reported by teachers and girls' peer acceptance. In addition, negative emotionality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boys' and girls' social competence as rated by their teachers and boy's peer acceptance. Children's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strategies significantly explaine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Particularly, positive solving strategies were positively related to boy's social competence rated by teachers and girls' peer acceptance. Negative solving strategies had negative relations to boys' and girl's social competence rated by their teachers and girls' peer acceptance. Maternal behaviors during mother-child interaction significantly explaine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Specifically, mother's negative affect was negatively related to boy's social competence as reported by teachers, and mother's negative control was inversely related to boy's peer acceptance. Mother's sensitivity/guidance had positive relations to girl's social competence as provided by their teachers. Maternal behaviors during mother-child interaction did not contribute to children's social competence, when children's emotionality and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strategies were controlled. In conclusio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was related to children's emotionality and negative problem solving strategies than maternal behaviors during mother-child interaction.

      •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권연희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유아 교육에 있어서 교사의 역할은 다른 시기의 교육에 있어서 보다 중요하며 결정적이다. 그 가운데 교사의 사기는 유아에게 전달되며 결국에는 유아 교육의 질적 향상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 있어서 연구되어야 할 문제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유아교육의 질적 향상은 교사가 자신의 직업에 대해 얼마나 만족하고 있는지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에서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들이 자신의 직업에 대해 어느 정도 만족하고 있는지를 조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 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1. 현직 유치원 교사는 자신의 직무에 대해 얼마나 만족하고 있는가? 2. 유치원 교사의 직무 만족도는 소속 유치원, 연령, 경력, 학력, 결혼여부, 유치원 규모, 담당 학급의 유아수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이를 위해 용인 시내 사립유치원 및 공립유치원 중 60개의 유치원에서 총 168명의 교사가 대상이 되었으며, 회수된 질문지는 총 121부로 약 82%의 회수율을 나타냈다. 직무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질문지로 Paula Jorde-Bloom의 구성요인 만을 송유진(1993)이 번안한 설문지를 보고 최은희(1997)가 유치원 교사에게 적합하게 수정, 보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직무 만족도 구성 요인은 5가지 하위요인으로 이루어지며 동료와의 관계, 원장과의 관계, 직무 관계, 근무환경, 보수와 승진기회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5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5단계 정책으로하여 1∼5점으로 배정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모두 전산 처리하여 통계적 분석방법을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와 백분위로 계산하고 SPSS Package를 이용하여 ANOVA를 통한 분석 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체 연구 대상은 직무 만족도 점수에 있어서 총점 250점 만점에 대해 평균치 이상 점수인 182.6점의 평균치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유치원 교사들은 자신의 직무에 대해 보통 이상의 만족도를 보이고 있다. 2. 유치원 종류별로 보면 직무 만족도 체제와 직무 만족도 하위요인 중 동료와의 관계, 원장과의 관계, 근무환경에 있어서 공립유치원 교사가 사립유치원 교사보다 높은 직무 만족도를 보여주고 있다. 3. 유치원 교사의 연령으로 보면 직무 만족도 전체 요인에 있어서 연령이 높을수록 높은 만족도를 보여주고 있다. 4. 유치원 교사의 결혼 여부에 따라 직무 만족도 전체 요인에 있어서 미혼인 교사보다 기혼인 교사가 높은 직무 만족도를 보여주고 있다. 5. 유치원 교사의 학력에 따른 직무 만족도를 보면 학력이 높을수록 높은 만족도를 보여주고 있다. 6. 유치원 교사의 경력에 따른 직무 만족도에서는 경력이 적은 교사보다 경력이 많은 교사들이 높은 만족도를 보여주고 있다. 7. 유치원 교사의 학급수에 따른 직무 만족도에 있어서는 학급수가 1∼6학급인 경우 다른 경우보다 직무 만족도가 높았으나 7학급이상일 경우에 있어서는 낮은 직무 만족도를 보여주고 있다. 8. 유치원 교사의 담당학급의 원아수가 적으면 적을수록 직무 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보여주고 있다.

      • 초등학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권연희 충북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job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research questions posed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job stress according to gender and duty position, school size, age, teaching experience? 2. Are there any relationships between job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76 teachers in the 11 elementary schools in Chung-buk. The questionnaires to measure job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ere administred to the teachers. The data obtained were analyzed by t-tests and ANOVA using the SA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job stress according to gender, school size and age : 1)The females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males in job stress. ; 2)The schools which have more than 18 classes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schools which have 17 classes or less in job stress. ; 3)Teachers of 20~30 age scored significantly higher 50 age in job stres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job stress according to duty position and teaching experience. 2.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job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 프란시스코 고야의 회화에 나타난 에스파냐 계몽절대군주의 통치이념 : 엘 에스코리알의 '집무실 연작'을 중심으로

        권연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카를로스 4세 (Carlos IV, wodnl 1788-1808)의 집무실을 장식하기 위한 프란시스코 고야 (Fransicso Goya, 1746-4828)의 태피스트리 디자인 (1791-1792, 이하 '집무실 연작')은 동시대 에스파냐 대중의 삶과 여가 활동을 생생하게 묘사하고 잇다. 본 논문은 개별 작품의 도상 연구에 머물러 있는 이 밑그림 (cartoon) 연작 전체의 주제를 명확히 파악하여, 군주의 집무실을 위한 장식에 반영되어 잇는 주문자의 의도와 그의 정치적 이상을 새로이 밝혀내고자 한 것이다. '집무실 연작'은 네 벽면을 장식하기 위한 <죽마놀이>, <결혼식>, <물동이를 인 처녀들>, <지푸라기 인형>과 문 윗부분을 위한 <나무타기>, <거인놀이>, <시소놀이>로 구성된다. 시골 하층민의 유쾌한 일상과 행사 및 여가의 극적인 순간을 포착한 네 장면은 오만함, 탐욕과 정욕, 무지, 괴롭힘 등과 같은 하층 사회의 악덕과 그로 인한 위험을 암시하고 있따. 반면 문 윗부분을 위한 디자인은 고야의 병환으로 전부 완성되지 않았지만, 아이들의 놀이장면을 통해 인간의 어리석음을 알레고리적으로 표현하고 있으며, 이 연작 전체의 주제를 보완하고 요약해 준다. 한마디로 '집무실 연작'은 에스파냐 민중의 어리석음과 그로 인한 위태로움을 전달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잇따. 고야가 왕의 집무실을 위한 장식에 독특하게 당대 시골 하층민의 모습을 담아낸 것은 "재미있는 시골풍의" 디자인을 주문했던 카를로스 4세의 요구와 연관된다. 대중적인 소재를 선호해 왔떤 그의 취향은 당시 사회와 예술 전반에서 점차 고조되는 민족주의와 더불어, 노동자 계층의 멋쟁이인 마호 (majo), 마하 (maja)의 문화가 유행했던 현상을 배경으로 한다. 고양의 이전 디자인이 도시나 전원을 배경으로 이상화된 대중의 삶과 여가를 보여준다면, '집무실 연작'에 등장하는 시골 하층민의 모습은 당대 현실에 보다 가깝게 사실적으로 재현되었다. 이는 하층민의 삶을 노골적으로 그려내 당대에 큰 인기를 끌었던 단막극과 유사하며, 또한 당시 선구적인 취향으로 칭송 받았떤 벨라스케스(Diego Vela'zquez, 1599-1660)의 자연주의를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궁극적으로 에스파냐 민중의 어리석음을 주제로 한 '집무실 연작'은 국민에 대한 카를로스 4세의 입장과 시각에서 파악할 수 있다. 18세기에 들어 '어리석음'의 개념은 여러 매체에서 이처럼 일반 대중과 연관되었으며, 인간의 이성을 신뢰했던 당대의 철학자들은 교육을 통해 인간의 무지와 미개함이 개선될 수 있다고 보았다. 카를로스 4세와 그가 절대 권력의 기반으로 삼았던 개화파 엘리트들 역시, 에스파냐에 만연한 편견과 폐습을 개혁하고 인구의 대다수를 차지한 하층민을 교화하고자 했다. 1780년대부터 이들 관료는 물론 고위 귀족과 학자 등을 후원자로 두고 교류했던 고야는 그들의 관심과 취향을 작품에 반영해 나갔으며, 특히 말년에는 당대의 악습과 인간의 어리석음을 자주 다루었다. 고야는 집무실을 장식할 각 장면에도 왕의 정책이나 관료들의 논고 혹은 당대의 계몽문학에서 종종 다루어지던 대중의 의상, 놀이와 여가 문화, 결혼 풍습의 문제점과 하층민의 빈곤 등, 인민 (人民)에 대한 왕과 지배층의 계몽적 관심사를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연작의 내용은 고야의 디자인으로 장식될 예정이었떤 공간의 기능이나 출입자와도 밀접하게 연관된다. 당시 집무실은 왕이 홀로 혹은 방문객과 함께 국정업무를 보는 공식적인 공간으로, 주로 고위 관료나 외교관 등이 이곳에 드나들 수 있었다. 미완성된 고야의 디자인은 결국 집무실을 장식하지 못했지만, 각 장면은 순수하게 왕과 그의 측근들에게 시골의 하층민 사회를 엿볼 수 잇는 시각적인 즐거움을 선사하는 것은 물론, 그들이 교화시켜야 할 가난하고 무지몽매한 에스파냐의 대중에 대해 상기시켜 주려는 의도를 지녔을 것이다. 무엇보다 고야는 군주를 대표하는 공간의 장식에 왕의 정체성과 그가 추구하는 정치적 이상을 반영하고자 했을 것으로 보인다. 카를로스 4세는 선왕인 카를로스 3세를 따라 대중의 복지와 교육에 깊은 관심을 보이는 계몽적인 군주제를 추구했다. 특히 프랑스혁명 (1789)의 영향으로 정치적으로 불안정한 상황에서, 지배층은 부국강병의 기반으로 사회의 위계질서와 함께 군주의 절대적 권력과 지혜를 더욱 강조하였다. 이러한 문맥에서 에스파냐 민중의 어리석음과 위태로움을 전달하는 '집무실 연작'은 이러한 국민을 위해 군주로서 수행해야 할 의무를 지속적으로 상기시켜 주는 동시에, 집무슬일 출입하던 관료들에게도 왕의 정치 이상을 각인시켜 주는 기능을 내표하였을 것이다. 그러므로 고야는 집무실의 장식을 통해 자애로운 '신민 (臣民)의 아버지'이자 무지한 다수의 에스파냐 대중을 이끌어야 할 '지혜로운 지도자'라는 카를로스 4세의 절대군주 이데올로기를 시각화시켰다고 할 수 있다.

      • 무용요법을 통한 학대아동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 증진효과

        권연희 숙명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부모에게 학대받아 아동보호 전문기관에 신고 된 아동4, 5, 6학년을 대상으로 무용요법을 실시하여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 증진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학대 아동들은 자신에 대한 인식이 낮고, 공격성을 표출하는 가운데, 대인관계에서 어려움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또래와의 관계형성 능력이 낮아 학교생활에서도 어려움을 겪는 등의 정서 및 사회성에 문제를 수반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몸의 동작을 통해 정신과 육체를 활성화하는 무용요법을 이용하여 아동의 건강하고 긍정적인 자아인식과 대인관계의 증진을 위해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기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학대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 증진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자아존중감 척도와 대인관계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또한 사전사후검사 실험설계이며, 연구대상은 실험집단 6명과 통제집단 6명, 총 12명의 학대아동으로 구성하였고, 총 12회기의 무용요법을 실시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 및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서 집단 간 t-test를 실시하였다. 또한 사후검사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공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와 논의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요법이 학대아동의 자아존중감을 증진시킬 것인가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자아존중감 사전-사후 점수를 비교한 결과, 두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무용요법이 학대아동의 대인관계 증진에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한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대인관계의 하위요인 중 지배-우월적, 독립-책임감적, 동정-수용적, 사교-우호적, 경쟁-공격적, 과시-자기도취적, 반항-불신적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방임 대상을 임의적으로 선택함에 있어 신뢰도가 낮을 수 있다는 제한점이 있으며 앞으로 학대유형에 따른 무용요법의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이 되어 적용되어 학대 아동들의 심리적인 치료에 도움을 주었으면 한다. This research executed 4, 5, 6-year mistreated child's by their parents in childcare professtional institution and researched that interpersonal relationships promotion and self respect feelings through dancing remedy. Mistreated children having low awareness about themselves and express their aggressive and difficulty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lso, mistreated children are accompanying problem of emotional and social difficulty because they are having low relation formation ability with their age etc... Therefore, this research is intend to compose and verity the program for promo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ith healthy and affirmative self awareness of child and useing the dancing method of treatment to activate psychiatry body through action of body. This research used a personal relationships examination tool with self respect measure to verify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promotion effect and mistreated child's self respect. Also, this research is pre to post examination experiment and research target which is 6 experiment groups and 6 control groups was composed of mistreatment child , and researched with 12 times of dancing remedy. Data analysis method was executed with t-test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experiment group to examine and homogeneity and effect. Also, executed a covariates analysises to analyze the before and after difference. Through this study finding and discussion of conclusion are as following. First, To verity if dancing remedy is going to encourage mistreatment child'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comparison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experiment group's self respect feelings pre to post examination experiment report has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according to verification result that whether dancing method of treatment is effect in mistreatment child'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promotion, between control group with experiment group has significant difference. Specially, low elemen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control - superiority, independence - responsibility, sympathy - receptiveness, social intercourse - neighborliness, competition - aggression, ostentation - narcissism, resistance - disbelief are appeared. In this study, it might be restriction to apply because it can be lack of reliability due to the selection of noninterference group at discretion. In the future, I hope that various programs will be developed and applied to abused children and it can be helpful for them to heal their mental state.

      • 시각장애학생의 통신언어 사용 실태

        권연희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atus using communication language of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ccording to sex, grade, the degree of visual impairment, the onset of visual impairment, and the residence. The subjects were 355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12 schools for the blind. The questionnaire was modified from three questionnaires which were made for investigation using communication language. The data were processed by SPS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emale students used communication language more frequently than male students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high school students used communication language more frequently than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low vision students used communication language more frequently than blind students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Fourth, congenitally blind students used communication language more frequently than adventitiously blind student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ifth, residential students used communication language more frequently than day school student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