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역사교과서에 서술된 한군현 내용의 변화과정 검토

        위가야 동북아역사재단 2023 東北亞歷史論叢 Vol.- No.79

        This article examines the change process of contents that describe Han Commanderies in history textbooks of Korean education field and summarizes the background and meaning of the change. The examination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contents of Han Commanderies in history textbooks show remarkable changes in both amount and content after the History textbook of third curriculum, when the publication system converted from authorized to government-designated system. This trend continued until the seventh curriculum textbook. It can be described in two major characteristics as follows. The first characteristic is that the contents of Han Commanderies reduced as the curriculum developed. The tendency to reduce is also confirmed in the Han Commanderies’ influence and meaning in Korean history. The next characteristic is the attitude of the author of the non-specific and ambiguous description. Such description causes learners’ confusion and violates the description principle of textbooks, which should lead to clear understanding with accurate description. External pressures, not internal changes within the history academia, have influenced this tendency. Problem-posing in the so-called pseudo-history based on the nationalistic perception of ancient history in the 1980s was relatively easy to exert influence on the description of contents of Han Commanderies under the background of government-designated system. Giving validity to this assumption is that the changes in the description of Han Commanderies, which were confirmed after the textbook publication system was converted to authorized system according to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7, returned to the tendency to reduce in the government-designated textbook published after the government-designated system was promoted again in 2015. 이 글은 한국의 교육현장에서 사용된 역사교과서의 한군현 관련 서술 내용의 변화과정을 검토하고 변화의 배경과 의미를 정리한 것이다. 검토한 내용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역사교과서의 한군현 관련 서술은 교과서 발행제도가 검인정에서 국정으로 전환된 3차 국사교과서부터 서술의 분량과 내용 면에서 큰 변화를 보였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의 경향성이 7차 교과서까지 지속되었다. 그 특징은 크게 다음의 두 가지이다. 먼저 차수가 진행될수록 한군현 관련 내용 서술이 축소되었다. 6차에서 이러한 추세가 역전되는 경향을 보이기도 했지만 대체적인 추세는 축소 일변도였다. 서술 분량뿐만 아니라 한군현이 한국사에서 가지는 영향력 및 의미에 대해서도 같은 경향성이 확인된다. 다음으로 구체적이지 않고 모호하게 서술하려는 집필자의 태도를 엿볼 수 있다. 그 결과 교과서의 본문 서술을 통해서 한군현의 존재를 발견하는 것이 불가능에 가깝다고 여겨지는 경우도 있었다. 이러한 서술이 초래할 결과는 학습자의 혼란이며, 이는 정확한 서술로 명확한 이해를 유도해야 하는 교과서의 서술 원칙에 위배되는 것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이상의 경향성에 영향을 끼친 것은 역사학계 내부의 변화가 아닌 외부의 압력이었다. 1980년대 국수적 고대사 인식에 기반한 이른바 재야사학계의 문제 제기는 국정화라는 배경하에 국사교과서의 한군현 관련 서술에 상대적으로 수월하게 영향력을 끼칠 수 있었다.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교과서 발행 제도가 검인정으로 전환된 이후 확인되는 한군현 관련 서술의 변화가 2015년 국정화가 재추진된 이후 발행된 국정교과서에서 다시 과거의 그것으로 회귀한 사실이 이러한 추정에 타당성을 부여한다.

      • KCI등재

        한군현(漢郡縣) 지배의 역사적 성격

        송호정(Song Ho-jung) 한국역사연구회 2010 역사와 현실 Vol.- No.78

        In 108 B.C., Han waged a war against Gojoseon so as to take away the interests Gojoseon was taking from relaying trades, and moreover, to sever the link between Gojoseon and the Huns. After destroying Gojoseon, Han established four provinces, in order to secure the economic benefits. The governors were dispatched from Han, but in a strict sense, the provinces were governed by native-born ruling powers. Among the four provinces, the Lerang Province in particular functioned as the capital of the region ruled by Wiman Joseon before it was destroyed by Han, and enabled the people to have trades with China s inland areas and surrounding countries including Dong Yi. The Lerang Province won over the native ruling powers and controlled them, but it could go only so far and no farther. The province governed people indirectly through the native ruling powers. The influence of such provinces lasted until the early 4th century, yet they were continuing to decline. The provinces were external factors that exerted pressure on the political growth of the Ye/Maek tribe and the Han tribe, but at the same time, the inflow of China s advanced civilization gave the two tribes a possibility for new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e Lerang Province was changed according to China s political situations. Lerang Province was under China s clout once, but it should not be overlooked that it has always been a part of the Korean history, even before it was existent.

      • KCI등재

        3~7차 교육과정 국정 국사교과서의 고조선, 한군현 관련 서술의 변화

        임기환(Lim, Ki Hwan)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7 사회과교육 Vol.56 No.1

        고조선 역사는 한국 민족사의 기원으로 인식되어 역대 국정 교과서의 서술대로 민족의 자부심을 환기하는 역사주제이다. 그 결과 이른바‘고대사 파동’이 일어나 한국사 교과서 서술을 왜곡하는 사태가 벌어지곤 했다. 특히 국정발행체제의 교과서가 고대사 파동을 만나게 되면, 심각한 역사 왜곡이 일어날 가능성이 크다. 본 연구에서 검토한 3~7차 교육과정의 국정교과서가 좋은 예이다.‘고대사 파동’의 결과 3~7차 교육과정의 국정 국사교과서 편찬 과정에서 여러 차례 편찬준거안 등이 마련되었고, 이에 따른 고조선 역사 서술에서 오류가 나타나거나 과장된 역사상이 만들어졌다. 단군신화는 고조선의 건국신화보다는 민족의 시조 신화로 기술되었으며, 고조선은 만주와 한반도를 아우르는 광대한 영토를 갖는 국가라는 이미지로 구성되었다. 또한 한군현에 대한 역사 서술은 점점 축소되어 갔고 그 지리적 위치는 은폐되었다. 이처럼 국정 국사교과서에서 고조선 역사 서술은 역사학계의 연구성과와 무관하게 편향된 인식이 작용하여 일부 왜곡된 역사상이 지속적으로 만들어져 왔다. 그런데 검정교과서에서도 이런 서술들이 충분히 극복되지 못하였다. 앞으로 한국사 교과서 편찬 과정에서 한국고대사학계와 역사교육학계가 깊은 성찰을 통해 고조선의 역사상을 바로잡아야함을 제언한다. The history of Gojoseon is recognized as the origin of Korean history and is a historical theme reminding the national pride as described in the textbooks of previous textbooks. As a result, the so-called "Crisis of Ancient History" will arise and the explanation of Korean history textbooks will be distorted. Especially, if the textbook of the central government system meets the crisis of ancient history, there is a possibility of serious distortion of history. In this study ,the example shows that the main textbook from the 3rd to 7th curriculum reviewed. As a result of "Crisis of Ancient History", there were many criticisms about criticism in the process of writing domestic and foreign history in the textbooks from 3rd to 7th national curriculum. The Dangun myth was depicted as a myth, not the birth myth of a nation of Gojoseon, and depicted the state of Gojoseon, which has vast territory covering Manchuria and the Korean Peninsula. Also, the historical narrative of Han Commanderies was gradually reduced and its geographical position was concealed. Therefore, in the history of Chosun Dynasty and History, Chosun Dynasty has been produced constantly in distorted history and has biased perception regardless of historical research result. In authorized textbooks, however, such explanations could not be overcome. In the process of compiling Korean textbooks in the future, this research suggests that Korea "s ancient historians and historical education scholars correct the history of distortions through a deep reflection.

      • KCI등재

        한군현(漢郡縣) 시대의 경찰조직과 기능에 관한 연구

        김형중(Kim Heong Joong) 한국공안행정학회 2012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1 No.2

        한사군은 한반도에 존재했을까? 하는 부분은 아직도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군현시대의 경찰조직과 기능에 대한 연구가 심층적으로 필요한 것은 경찰의 존재가치와 역사의 연속성을 확립하는데 그 당위성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사군 특히 낙랑군에 관한 경찰사적 연구가 미진한 이유는 문헌의 자료부족과 현존하는 문헌상에 극히 단편적이고도 평면적으로 산재(散在)되어 있어, 그것을 발굴ㆍ분석ㆍ평가하여 하나의 통일성을 기하기가 어렵다는 점도 하나의 원인이라고 생각된다. 이런 맥락에서 본 연구는 현존하는 중국의 사기(史記), 한서지리지, 후한서 등을 중심으로 분석과 비판을 통하여 낙랑군 시대의 경찰기능을 구조적 측면과 기능적 측면(경찰권 행사의 법적토대, 사법경찰적 기능, 행정경찰적 기능) 그리고 역기능적 측면에서 접근하여 살펴보았다. 특정시대의 역사의 연구는 기존의 연구결과물 위에 새로운 사실들이 추가ㆍ보완ㆍ수정되고 발전해가면서 역사는 다시 쓰일 수밖에 없기 때문에, 그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곳곳에 산재되어 있는 자료들을 전방위적으로 발굴하고 분석ㆍ평가하여 경찰조직과 기능을 새롭게 조명해 보았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부여하여야만 할 것 같다. It is still controversial issue that Hansagoon, the four administrative districts of Han dynasty was existent in Korean peninsular? Nevertheless, it is necessary to conduct thorough study about the police organization and function at the Hangoonhyun period in order to realize the value of police existence and establish historical continuity. But the study on the history of Hansagoon and Nangnang district police is not sufficient, because the contents of bibliographies related to them are fragmentary and distractive as well as there are not enough reference books about the history of Hansagoon and Nangnang district police. It makes a difficulty of drawing unified researches through discovering, analyzing and evaluating. In this context, this study reviewed the police functions at Nangnang district period through analyzing and criticizing the Chinese history books such as Saki, Hansugeerygy and whohansu. And also this study looked into the police function of the time with structural aspects, functional aspects, legal basis of the police authority, judicial police function, administrative police function, and adverse effect. It is true that the history must be continuously re-written by the new study on the specific era, because the studies add new facts, make up for the faults, and revise history. Therefore,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analyzed, evaluated, and newly reviewed the police organization and function as well as excavated a lot of scattered materials.

      • KCI등재

        위만조선의 영역구조와 漢郡縣의 재편

        박대재(Park, Dae-Jae) 고조선단군학회 2021 고조선단군학 Vol.46 No.-

        위만조선이 한에 의해 멸망한 후 설치된 낙랑·진번·임둔·현토 4군은 기원전 107년부터 82년까지 25년간 병립하였고 그 후에는 폐합과 이치를 반복하며 큰 변화를 겪었다. 기존까지는 위만조선과 한군현을 분리해 연구하는 경향이 강하였지만, 최근 알려진 낙랑군 호구부를 통해 위만조선과 낙랑군을 계기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한군현 설치 초기에 위만조선이 가지고 있던 중층적 영역구조를 고려하지 않은 채 한의 내지와 같은 중앙집권적인 군현체제를 일률적으로 적용한 결과 진번·임둔 2군의 폐합이 일어나게 되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기원전 75년 이후 임둔군의 고지에 東部都尉를 설치하고 진번군의 고지에 南部都尉를 설치하면서 위만조선 시기와 비슷한 중층적 지배체제를 갖추게 되었고 이른바 ‘大樂浪郡’ 체제가 성립할 수 있었다. The four commanderies of Lelang, Zhenfan, Lintun, and Xuantu, established by the Han Dynasty after conquering Wiman Chosŏn, coexisted for 25 years from 107 to 82 BC. Afterwards, these commanderies experienced drastic changes of being repetitively abolished, amalgamated and transferred. Previously, there had been a strong tendency in studies about Wiman Chosŏn and the Han Commanderies analyzing separately. Yet, through the recently known “Household Register of Lelang Commandery,” it became possible to understand Wiman Chosŏn and Lelang Commandery as a causal relationship. At the beginning of the establishment of Han commanderies, the centralized system for the commanderies in the interior region of the dynasty was uniformly applied without sufficiently considering the multilayered territorial structure of Wiman Chosŏn. As a result, Zhenfan and Lintun Commanderies were abolished, and some of their prefectures were incorporated to Lelang. To compensate for the instable governance, the commandery established the Eastern Section Commandant in the previous territory of Lintun(Yŏngdong Region) and Southern Section Commandant in Zhenfan(Daifang Region), a structure which was similar to the Wiman Chosŏn multi-layered ruling system.

      • KCI등재

        漢書 의 古朝鮮·漢郡縣·箕子 자료에 대한 검토

        조원진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23 東洋學 Vol.- No.92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Joseonjeon」, one of Old Joseon’s materials appearing in Hanshu and another 「Joseonjeon」 in Shiji . In an article on the origin of Holy King(滿王), 「Joseonjeon」 in Shiji describes him as ‘Old Yeon person’, while 「Joseonjeon」 in Hanshu records him as ‘Yeon person’ by removing the word ‘Old’, as if he was a person from Yeon, a vassal state of Han. This shows Hanshu’s limited historical recognition. In addition, 「Joseonjeon」 in Hanshu definitely records Jinbeon, a neighboring state as the ‘state Chin (辰國)’ and the specific name of Hansagun(漢四郡), probably because new materials were introduced after Shiji . In addition, the content about Changhae-gun was complemented in Hanshu and various spells of Ye Mek appeared, probably because a variety of materials were used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commanderies. The 「geography section(地理志)」 was newly added to Hanshu , which provides the basic data of Yoseo-gun, Yodong-gun, Hyeondo-gun and Nakrang-gun. Moreover, the content about the fall of Wiman Joseon and the establishment of Han Commanderies can be found in many articles, but the number of established commanderies is different among them, and there are no materials about Jindun-gun and Imdun-gun in the 「geography section(地理志)」, suggesting the need to closely examine the situation in which Hand Commanderies were established. It is doubtful whether the article about the theory that Kija came to Korea, shown by 「Songmijasega」 in Shiji was created in the Samacheon’s lifetime. The 「geography section(地理志)」 in Hanshu seems to be the first Chinese authentic history in which the theory that Kija came to Korea is surely found, in that the article about the fact that Kija came to Joseon and enlightened Joseon residents. It can be, therefore, found that the record of Hanshu is the intermediate phase of Sanguozhi which extends the ambiguous theory that Kija came to Korea into the theory of Kija Joseon by recording that the successive generations of kings in Old Joseon might be the descendants of Kija. In the Han dynasty, the Joseon was perceived as the East or the North. Hanseo (漢書), like Sagi (史記), organized only Old Joseon as a chapter(傳). It is, however, found that Hanseo (漢 書) partly looks out for the growth of Buyeo and Goguryeo. The oral tradition that Kija went to Joseon seems to appear in the late period of the former Han dynasty(前漢末), after the fall of Wiman Joseon. Hanseo (漢書) 「Jiriji」(地理志) added an article about inhabitants enlightened by Kija to the other article about the customs of Joseon, which was not related with Kija. In fact, it is possible to regard Hanseo as the first Chinese authentic historiography in which the theory that Kija came to Korea. Hanseo (漢書) made the theory more definite, embellished and extended in the Chinese authentic historiography. 漢書 에 나타난 고조선 자료 중 「朝鮮傳」은 史記 「朝鮮列傳」과 비교하여 몇군데 차이가 나타난다. 먼저 滿王의 출자와 관련된 기사에서 史記 「朝鮮列傳」은 ‘故燕人’이라 했는데 漢書 「朝鮮傳」은 ‘故’자를 제거한 ‘燕人’이라 하여 漢의 제후국인 燕나라 사람처럼 기록하였다. 이것은 漢書 의 역사인식의 한계를 보여주는 것 이다. 또한 漢書 「朝鮮傳」에서 진번 주변국을 ‘辰國’이라 분명히 기록하고 漢四郡의 명칭을 기록한 것은 史 記 이후 새로운 자료가 유입된 결과로 볼 수 있다. 또한 漢書 에 창해군에 대한 내용이 보완되고 예·맥에 대한 표기가 다양하게 나타난 것도 군현 설치 이후 입수된 다양한 자료를 활용했기 때문일 것이다 . 漢書 에는 「地理志」가 새롭게 편성되어 요서군, 요동군, 현도군, 낙랑군에 대한 기본 자료를 제공한다. 또 한 위만조선의 멸망과 한군현 설치에 대한 내용이 여러 기사에서 확인되는데 설치된 군현 수가 서로 다르고 진번군·임둔군에 대한 자료가 「地理志」에는 없다. 이것은 한군현 설치 당시 상황을 정밀히 검토해야 할 필요 성을 말해준다. 漢代에는 조선 지역을 동방으로 보는 인식과 북방으로 보는 인식이 혼재되어 나타난다. 漢書 는 史記 와 마찬가지로 고조선만을 하나의 傳으로 편성하였다. 그럼에도 漢書 에는 단편적이지만 부여와 고구려의 성장 을 경계하는 인식도 확인된다. 箕子가 朝鮮으로 갔다는 전승은 위만조선이 멸망한 후 前漢末에 등장한 것으로 보인다. 漢書 「地理志」는 본래 기자와 무관한 조선의 풍속 기사에 기자의 현지 주민 교화 기사를 추가하였다. 漢書 는 사실상 기자동 래설이 확실히 확인되는 첫 중국정사로 볼 수도 있다. 특히 漢書 를 계기로 이후 중국정사에서는 기자동래설 이 확고해지고 더욱 기자 전승이 윤색되어 확장된다.

      • KCI등재

        한사군은 어떻게 갈석에서 대동강까지 왔나? - 한사군인식2 -

        복기대 ( Bok Gi-dae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18 선도문화 Vol.25 No.-

        동북아시아 학계 고대사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접점은 단연 낙랑군의 위치이다. 이 낙랑군의 위치가 어디냐에 따라 그 당시의 역사해석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 문제는 매우 첨예하게 대립한 것이 사실이다. 필자는 이런 기본입장에서 한군현 설치 당시부터 시작하여 근대에 이르기까지 한군현 관련 문헌을 검토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게 되었다. 사료를 근거로 하여 한군현 관련 문제를 종합적으로 정리해보면 한군현의 설치 초기에는 당시 패수가 있었던 현재 중국의 동북지역인 하북성 지역에 위치하고 있다가 차이나계의 세력이 점점 커지면서 한군현 역시 점점 커지는 것을 볼 수 있다. 특히 패수의 위치가 바뀌면서 한군현의 위치도 바뀌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즉 현재 난하는 고대의 패수였고 북위시기에 이 패수라는 강 이름이 없어졌는데 6세기경 당시 지리학자였던 북위의 역도원이 고구려 평양성이 패수의 북쪽에 있다는 말을 듣고 이 패수를 근거로 하여 낙랑군을 현재 중국 요녕성 요양지역으로 이동시켰다. 이때 낙랑군과 평양의 등치관계가 설정되었으며, 그 후 명나라시기에 현재 한반도에 평양이라는 지명이 보편화되면서 낙랑군도 이 지역으로 옮겨온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런 변화는 원래 한군현이 설치된 지역에서 시작하여 강 이름과 지명을 따라 오늘날 한반도 평양에 이르게 된 것이다. 이런 것을 증명하듯이 『삼국사기』의 기록을 보면 한반도 어디에도 한군현이 있었다는 기록은 없는 것으로 확인이 된다. 그러므로 현재 한반도에 한군현이 있었다는 것은 14세기 이후부터 시작된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런 변화과정을 알려주는 사료들은 매우 많은데 그동안 학계에서 이를 주도면밀하게 분석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물론 학계에서 현재 한반도 평양지역에 한군현이 있었다는 단선적인 주장만이 있었던 것은 아니다. 그러나 다양한 의견들은 1920년대 단선적으로 한반도로 고정되면서 오늘날까지 이른 것이다. 그러므로 향후 학계에서 더욱더 치밀한 보완 연구를 통하여 한군현을 제자리에 놓고 한국 고대사를 연구해야 할 것이다. The primary hotspot in ancient history research of Northeastern Asian academia is the location of Lelang Commandery. This is due to the differentiation in historic interpretation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it. It is very natural to see heated discussions about this problem. After many analysis on literatures and documents related to four commanderies of Han from its birth to modern era, author have earned the following results. If we organize the problems related to four commanderies of Han based on artifacts, we can find out that at its power widening by growth of Chinese region powers from its previous location in Hebei Sheng of northeast China. Especially on relocation of Paesu, we could also see the change in location of four commanderies of Han. Current Luán he was ancient Paesu, and on time of Northern Wei, the river name Paesu disappeared. By 6 century, a geographer named Li Daoyuan heard that Pyeongyangseong of Goguryeo was north of Paesu and shifted Lelanggun to current China Liáoníng Sheng Liaoyang region, and this is when the equal state of Lelanggun and Pyeongyang was set, and afterwards, the region name of Pyeongyang in Korean Peninsula became commonly known to people, and this is why Lelanggun moved here as well. This difference started from original location of four commanderies of Han, following the names of rivers and regions, all the way down to current Pyeongyang of Korean Peninsula. No records of four commanderies of Han in Korean Peninsula in the book of 『Samguksagi』 proves it. So saying that four commanderies of Han being in Korean Peninsula starts after 14th century. There are plenty of artifacts telling these process of change, but the history academia did not take close observation on them. There must have been other calls than this simple insistence of four commanderies of Han being in Pyeongyang of Korean Peninsula. However, these various opinions were standardized into Korean Peninsula on 1920s, and is continued until today. Therefore, more elaborate research will have to be done by history academia to put four commanderies of Han in its original location and to study ancient history of Korea.

      • KCI등재

        호남지역 마한성립기 대외교류

        김규정 한국문화유산협회 2017 야외고고학 Vol.0 No.29

        호남지역 마한성립기 대외교류는 지역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금강ㆍ만경강유역은 기원전 4세기 고조선계 주민의 이주로 발전된 청동기문화가 유입되고, 기원전 2세기에 준왕의 남하로 본격적인 철기문화가 유입된다. 하지만 기원전 1세기를 전후하여 더 이상 대외교류의 흔적이 확인되지 않고 유적도 급격하게 감소한다. 이에 반해 영산강ㆍ서남해안지역은 기원전 3세기까지의 유적은 간헐적으로 확인되다가 기원전 2세기 이후의 유적은 급증한다. 기원전 1세기에는 중국-한반도-일본열도를 연결하는 해상 교역로를 통한 활발한 대외교류가 이루어지며, 유적의 분포도 해상과 내륙 수로교통이 편리한 지역에 집중된다. 섬진강ㆍ동남해안지역은 조사된 유적이 많지 않아 속단하기에 이르지만 거문도 출토 오수전을 통해 볼 때 해상 교역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을 것으로 추정한다. 당시 중국-한반도-일본열도를 연결하는 교역로가 남해 연안과 도서지역에 집중된 것으로 보아 교역로 상에 위치한 섬진강ㆍ동남해안지역에서도 앞으로 많은 유적이 조사될 것으로 보인다. 호남지역 마한성립기 대외교류는 출토유물을 통해 볼 때 크게 3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1단계는 燕나라 장수 진개(秦開)의 동방경략으로 고조선 유민이 한반도에 대거 유입되는 시기로써 연대는 기원전 4세기~기원전 3세기에 해당된다. 2단계는 위만에게 패한 준왕이 금강ㆍ만경강유역으로 남하하면서 중국 연나라 철기가 본격적으로 유입되며 대규모 군집묘(群集墓)가 축조되고, 부장품도 철기와 유리옥 등 주로 외래계 유물이 부장된다. 연대는 기원전 2세기~기원전 1세기에 해당된다. 3단계는 기원전 108년 고조선 멸망과 한군현(漢郡縣)의 설치로 마한의 정치적 성장이 억제되면서 금강ㆍ만경강유역은 한군현과의 교섭이 어려워진다. 하지만 영산강ㆍ서남해안은 중국-한반도-일본열도를 연결하는 해상 교역로를 통해 활발한 교류가 이루어진다. 연대는 기원전 1세기~기원후 2세기에 해당된다. There is a difference in external exchanges during the emerging period of Mahan in Honam region depending on its districts. The Bronze Age culture having flourished thanks to immigration of the Old Joseon inhabitants in the 4th century B.C. flowed in the area over the basin of Geum and Mangyeong Rivers, together with the Iron Age culture that came in full scale following the southward advance of the King Jun in the 2nd century B.C. At about the 1st century B.C., however, no more marks of external exchanges could be traced up along with the drastic decrease in number of relics. On the contrary, the relics of the age upto the 3rd century B.C. have been confirmed periodically in the area of Yeongsan River and southwestern coastal area, with those of the 2nd century onward increasing particularly swiftly. In the 1st century B.C., exchanges with foreign countries were actively performed via the maritime trade routes connecting China-Korean Peninsular-Japan and relics have been excavated extensively centering around the area where maritime and inland waterways were connected conveniently. Although it may be too hasty to conclude since there are few relics having been investigated in the area of Seomjin River and southeastern coastal area, the maritime trade seemed to have been made actively in the area judging from the ancient Chinese coins unearthed on Geomun Island. Since the trade routes connecting China-Korean Peninsular-Japanese Chains of Islands were centralized around the coast and isles in the southern sea, lots of relics are expected to be unearthed in the future from the areas of Seomjin River and southeastern coast which were situated along the then trade routes. The external exchanges performed during the emerging period of Mahan in Honam region could be divided roughly into 3 stages in terms of the relics excavated. The 1st stage would stand for the period ranging from the 4th to the 3rd century B.C. when the migrants of Old Joseon made influx into the Korean Peninsula in large numbers following the eastward invasion ventured by Gen. Qin Kai (秦開) of Yan Dynasty (燕) in China. The 2nd stage would correspond to the period from the 2nd to the 1st century B.C. when the King Jun, after the defeat by Wiman, moved southward to the basin of Geum and Mangyeong Rivers, the ironware of Yan Dynasty came in full scale, clusters of large-sized tombs were constructed and relics including ironware and glass beads made mainly in the foreign countries were buried as accessories. In the 3rd stage, it became difficult to make negotiations with Hangunhyun administrative areas since Mahan wasn't able to grow politically in the basin of Geum and Mangyeong Rivers following the fall of Old Joseon and subsequent establishment of Hangunhyun administration (漢郡縣). However, the basin of Yeongsan River and the southwestern coastal area succeeded in making active external exchanges through the maritime trade routes connecting China-Korean Peninsular-Japanese Chains of Islands during the period ranging from the 1st century B.C. to the 2nd century A.D.

      • KCI등재

        왜계유물을 통해 본 금관가야 세력의 동향

        井上主稅 한국고고학회 2005 한국고고학보 Vol.57 No.-

        김해 및 부산지역에서 출토되는 倭系遺物은 당시 일본열도 고분시대의 정치적 동향뿐만 아니라 한반도 남부에서의 정치적 동향을 엿볼 수 있는 자료이다. 본고는 이러한 왜계 유물을 통해 금관가야 내 정치집단의 동향을 주로 대외교섭면에서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는 금관가야 중심고분군인 福泉洞·大成洞·良洞里古墳群을 대상으로 각 고분군에서 출토된 왜계유물에 대한 검토를 통해 대왜교섭의 형태와 그 차이 등을 추적하였다. 그 결과 복천동고분군에서는 漢郡縣이나 왜와의 대외교역을 통해 유입된 유물은 거의 확인되지 않으며 대외교역에 정치적 기반을 둔 김해지역 정치집단과는 다른 성격을 가진다. 또한 다른 고분군과 달리 4세기 이후 마구나 갑주 등 북방계 문물을 위세품으로서 다량 부장하는 점도 이를 뒷받침한다. 이와 달리 김해지역의 양동리고분군에서는 2세기 후반에서 3세기에 걸쳐 한군현과의 교섭을 통해 유입된 중국 또는 북방계 유물이 많이 확인됨과 더불어 彌生時代 後期의 왜계유물도 출토되고 있어 구야국 단계에 한군현 및 왜와의 대외교역을 주도한 세력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반면에 대성동고분군에서는 이 시기 동안에 한군현을 통해 유입된 중국 또는 북방계 유물이 거의 보이지 않으며 4세기대의 외래계유물은 畿內地域과 관련되는 것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 4세기 초에 한군현이 멸망하면서 기존의 교역체계에 커다란 변화가 일어나 대성동집단을 중심으로 하는 금관가야와 왜의 정치적인 관계가 급속히 확대되었음을 나타낸다. 또한 이러한 왜계유물은 4세기 말부터 대형분에 부장되지 않으며, 그 배경은 백제와 왜의 관계, 고구려를 포함하는 당시 국제정세의 변화와 연관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3~5세기 韓·中·日 연안항로의 운용과 변동

        유호균 한국상고사학회 2020 한국상고사학보 Vol.110 No.110

        아직 육상교통의 어려움으로 인해 해상 교통이 상대적으로 중요했던 고대, 한반도 서남해안 일대를 통과하여 쓰시마-일본열도로 이어지는 연안항로는 한·중·일을 잇는 유일한 국제 교통로였다. 여러 기록으로 볼 때, 적어도 3세기 무렵에는 서남해안을 통해 한·중·일 사이 국제교류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그러나 교류에 이용되는 서남해안을 통과하는 연안항로는 조수간만의 차와 복잡한 지형, 이로 인한 강한 조류와 같은 자연환경으로 인해 안전한 길이라고 할 수는 없었다. 따라서 서남해안 일대를 통과하기 위해서는 각 지역의 항로에 대해 잘 알고 있고 안전한 기항지를 제공할 수 있는현지 세력의 도움이 필요했다. 3세기 한반도 서남해안 일대는 마한·변한 등의 제국(諸國)들로 나뉘어 있던 상태로, 이들을 통합하여 아우를 수 있는 세력이 없었다. 때문에 연안항로 전체를 이용할 수 있었던 것은 중국의 선진 문물을 매개로 각 항·포구 세력의 협조를 얻어낼 수 있었던 한군현 뿐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이시기는 한군현과 중국 문물을 바탕으로 한 서남해안 연안항로를 통한 국제 교류의 성립기라고 볼 수 있다. 한군현과 중국 문물을 중심으로 교류가 이루어지던 서남해안 연안항로는 4세기 무렵, 한군현이 한반도에서 축출당하면서 변화를 겪는다. 교류의 매개체 역할을 하던 한군현이 사라지면서 국제교류가 쇠퇴하고 각지의 세력 사이에 분란이 발생하였다. 이 시기는 서남해안 연안항로의 쇠퇴기라고 할 수 있다. 한군현의 축출 이후 수십여 년간 이어진 서남해안 연안항로의 쇠퇴기를 끝낸 것은 백제세력이었다. 4세기 중반 무렵 백제는 북방의 고구려와 충돌하면서 후방을 안정화시킬 필요가 있었다. 이때 백제가 활용한 수단이 바로 중국의 선진 문물과 서남해안 연한항로였다. 『일본서기』(『日本書紀』) 등의 기록과 고고학 자료 등으로 볼 때 백제는 4세기 중반~후반쇠퇴했던 서남해안 일대의 연안항로의 복원을 통해 서남해안 일대의 항·포구 세력 및 왜와의 교류를 시도한 것으로 보인다. 백제가 이처럼 서남해안 연안항로의 복원을 시도할 수 있었던 것은 한군현의 축출 당시 흡수한 중국 계통의 유이민과 이들이 향유했던 선진 문물 덕분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백제의 주도하에 복원된 서남해안 연안항로는 단순히 그대로 유지된 것이 아니라 이후변화를 거듭했다. 5~6세기, 백제는 고구려와의 대립 구도에서 열세에 처하는 한편, 왜와적대 관계였던 신라가 남해안 일대에서 세력을 확장하는 등 동북아 국제정세는 큰 변화를겪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5세기 이후에는 서남해안 연안항로를 보다 유연하게 활용할 수있게 되면서 백제와 항·포구 세력들의 교섭이 확대되었다. 이를 통하여 국제정세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서남해안 연안항로는 변동을 통해 국제 교통로로써 생명을 이어갈 수 있었다. 4세기 중반 이후는 서남해안 연안항로의 복원·변동기라고 할 수 있다. In ancient times, when land transportation was weak, the coastal route that passed through the southwest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to Tsushima-Japan Islands was the only international transportation route linking Korea, China and Japan. The history of sea-based exchanges on the southwestern coast dates back to prehistoric times. However, China's Han(漢) Dynasty and its stem force, Han Provinces(漢 郡縣), are the first to use the sea as an international transportation route and record it. This information can be found in the 『Three Kingdoms』(三國志) and 『Huhanseo』(後漢書), which recorded the situation around the third century. Based on records, it is estimated that international exchanges between Korea, China and Japan were taking place on the southwest coast at least in the third century. However, the coastal route passing through the southwestern coast was not a safe route due to natural conditions such as the complicated terrain, tide and strong currents. Therefore, it would have been necessary for local forces to be well aware of the routes of each region and to provide a safe port of call. In the third century, however, there was no unified force that could cover the southwest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Therefore, it seems that Han Provinces was the only one who was able to use the entire coastal route through China's advanced culture to gain cooperation from the port and port forces. Until the third century, it is believed to be the period of the establishment of a coastal route on the southwest coast based on Han Provinces and Chinese culture. The southwestern coastal route, which used to be centered on Han Provinces and Chinese culture, underwent a change around the 4th century when Han Provinces was ousted from the Korean Peninsula. As Han Provinces, who used to serve as a medium for exchanges, disappeared, international exchanges declined and conflicts began to arise among forces in various regions. This situation seems to have lasted for about half a century since the ousting of Han Provinces in A.D. 314, which is the period of decline of the coastal route along the southwestern coast. It was the Baekje ended the decline of the Southwest Coast route that had lasted for decades following the ouster of Han Provinces. Baekje was one of Mahan's many small kingdoms, but it continued to develop, and in the middle of the 4th century, it was necessary to stabilize the rear as it collided with Goguryeo in the north. At this time, the means utilized by Baekje were the advanced civilizations of China and the Southwest Coast Route. According to records such as 『NihonShoki』(日本書紀) and archaeological data, Baekje seems to have attempted to interact with port forces of the Southwest Coast and Japan through restoration of the coastal route around the Southwest Coast, which declined in the middle to late 4th century. It seems that Baekje was able to attempt to restore the southwestern coastal route thanks to the advanced culture possessed by Chinese-affiliated displaced people who absorbed it at the time of Han Provinces. Restored under the leadership of Baekje, the southwestern coastal route was not simply kept intact, but underwent changes afterwards. In the 5th and 6th centuries, Baekje was inferior in its confrontation with Goguryeo, while Silla, which had hostile relations with Japan, expanded its power along the southern coast. However, the post-fifth century appearance was different from the past when international exchanges declined at the same time as the ousting of Han Provinces. With the development of navigation technology, the southwestern coastal route was more flexible and Baekje's negotiations with port forces were expanded. Through this, despite the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situation, the southwestern coastal route was able to continue its life as an international transportation route through fluctuations. In this regard, after the mid-4th century, it was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