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영장신청권자 규정에 관한 헌법적 연구 - 영장주의의 본질 및 영장제도의 연혁을 중심으로 -

        김종현 법조협회 2019 法曹 Vol.68 No.4

        Our constitution provides that arrest, imprisonment, confiscation and search should present a warrant issued by a judge upon the request of a prosecutor. However, only few constitutions all over the world have provisions which expressly stipulate the subject of requesting writ. In this reason, there are confronting opinions concerning whether the provisions on the person who has the right to apply for a warrant are the essence of the warrant-requirement principle or the products of the people’s constitutional decision. Also, active discussions on the revision of the provisions concerned have been carried out. This study has drawn the following conclusions, comprehensively examining the history of the warrant-requirement principle, the major countries’ constitutional provisions related to the warrant system and our constitutional history. First, the essence of the warrant-requirement principle includes ① a third party who is neutral and detached and can make a judicial judgment ② controls the discretion of the law enforcement officer ③ by issuing a warrant particularly describing the people, things or places ④ based on a probable cause. The subject of requesting writ is not included in this. The fact that the major countries’ constitutions do not rule the person who has the right to apply for a warrant also supports this. Second, it is hard to agree that prosecutors' exclusive right to demand a warrant is the people’s constitutional decision to protect basic rights from other investigative agencies' infringement. This is because the provisions concerned were introduced by the leading of military power when democracy declined. Besides, several legislations against the warrant-requirement principle were passed since the May 16 military coup d'etat. Third, though the provisions concerned were introduced with the intention of strengthening prosecution power through an abnormal process when the democracy and protection of the fundamental human rights declined, it does not necessarily mean the provisions about the subject of requesting writ should be disparaged. However, the issue of whether provisions about the subject of requesting writ have gained normative authority from the people should be investigated carefully. 우리 헌법은 체포·구속·압수·수색을 하거나 주거에 대한 압수·수색을 할 때 ‘검사의 신청에 의하여’ 법관이 발부한 영장을 제시하도록 하고 있는데, 이처럼 헌법에 영장신청권자를 명문으로 규정한 사례는 세계적으로도 드물다. 학계에서는 영장신청권자 규정이 영장주의의 본질 내지 국민의 헌법적 결단인지의 여부에 관하여 견해가 대립하며, 동 조항에 관한 개정논의도 활발히 이루어져왔다. 이 글은 영장주의의 연혁, 주요 국가들의 영장제도 관련 헌법규정 및 우리의 헌정사를 종합적으로 검토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영장주의의 본질은 ① 중립적·독립적이며 사법적 판단이 가능한 제3자가 ② 상당한 이유에 근거하여 ③ 대상이 되는 사람과 사물, 장소를 특정한 영장을 발부함으로써 ④ 집행당국의 재량을 통제한다는 점에 있으며, 신청권자 규정은 여기에 포함되지 않는다. 주요 국가들의 헌법이 신청권자를 규정하고 있지 않다는 점도 이를 뒷받침한다. 둘째, 영장신청권자를 검사로 한정한 것이 다른 수사기관의 인권침해로부터 기본권을 보호하려는 국민의 헌법적 결단이라고 보기도 어렵다. 동 규정은 민주주의를 구현한 제2공화국 당시가 아니라, 5·16 쿠데타 이후 민주주의가 퇴보하고 영장주의의 본질에 반하는 입법이 양산된 시기에 군부세력의 주도 하에 도입되었기 때문이다. 셋째, 민주주의와 기본권보장이 후퇴한 시기에 비정상적인 과정을 거쳐 검찰권을 강화할 의도로 영장신청권자 규정이 도입되었다고 하더라도, 반드시 현행헌법상의 신청권자 규정을 폄하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신청권자 규정이 국민의 규범적 승인을 얻었을 가능성에 대하여는 신중한 검토를 요한다.

      • KCI등재

        현행 긴급체포제도의 합리적 입법방안 모색

        최용성,강동욱 대한범죄학회 2019 한국범죄학 Vol.13 No.2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harmonize investigation’s purposiveness and effectiveness and suspect’s human right protection which are declarative idea (proposition) in 「constitution」due to police’s right to investigate independently by examining specific problems with current arrest without warrant and presenting reasonable lawmaking method. In other words, provisions of ‘clause 2’ article 200-3 and ‘clause 4’ article 200-4 in current 「Criminal Procedure Act」is open to violation of the constitution considering ‘clause 3’ article 12 of 「constitution」 “in a case where a criminal suspect is an apprehended flagrante delicto, or where there is a danger that a person suspected of committing a crime punishable by imprisonment may escape or destroy evidence, investigative authorities may request an ex post facto warrant” that provides warrant requirement principle and ‘clause 6’ article 12 of 「constitution」 “any person who is arrested or detained, shall have the right to request the court to review the legality of the arrest or detention” that recognizes the right to request the court to review the legality of the arrest. In addition, with regard to ‘clause 2’ article 200-3 and ‘clause 4’ article 200-4 in current 「Criminal Procedure Act」, that ex post control system by arrest warrant may cause misuse and abuse of arrest without warrant that is exemption of preliminary warrant requirement principle. Recent crime analysis statistics shows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awareness that arrest warrant issuance(8,172 cases) leads to arrest warrant issuance(4,637 cases) and reality. All things considered,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Principle of Petition After Arrest’ such as articles 207 and 210 of 「Criminal Procedure Act」that can enhance strictness and prudence of detention in ‘duality’ of arrest without warrant and detention rather than unification of arrest without warrant and detention. Accordingly, by introducing Japan’s ‘Principle of Petition After Arrest’ which argues that arrest warrant must be requested after arrest without warrant, arrest without warrant under current 「Criminal Procedure Act」can ⒜ establish dual control system of arrest and detention(article §200-3②) and ⒝ secure effectiveness of detention and notification of release(article §200-4④) in narrow sense and ⒞ secure lawfulness of arrest warrant for custody (article §201-2②) and this thesis presents lawmaking methods based on them. 본고는 현행 긴급체포제도의 구체적 문제검토와 이에 기한 합리적 입법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경찰의 수사권독립으로 인한 수사의 합목적성 내지 효율성 그리고 피의자의 ‘인권보호’라는 「헌법」상의 선언적 이념(대명제)을 조화시키고자 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즉, 「헌법」제12조 ‘제3항’이현행범체포와 긴급체포의 경우에 “사후에 영장을 청구할 수 있다.” 고 하여 영장주의를 규정하고있을 뿐만 아니라, 동조 ‘제6항’이 누구든지 체포 또는 구속을 당한 때는 “적부의 심사를 법원에청구할 권리를 가진다.” 고 하여 체포적부심사청구권을 인정하고 있는 취지를 비추어 볼 때 법관의 사법적 통제를 배제하고 있는 현행 「형사소송법」제200조의3 ‘제2항’ 및 제200조의4 ‘제4항’의 규정은 위헌성의 소지가 다분하다고 하겠다. 더군다나, 「형사소송법」제200조의3 ‘제2항’ 및 제200조의4 ‘제4항’에 관하여, 체포영장에 의한 사후통제장치를 규정하지 않은 것은 사전영장주의예외인 긴급체포제도의 오용과 남용을 조장할 수 있으며, 또한 최근 범죄분석통계에서는 체포영장발부(8,172건)가 반드시 구속영장발부(4,637건)로 이어진다는 일반적인 인식과 현실이 상이함을나타내고 있었다. 이러한 점을 살펴봤을 때 긴급체포와 구속제도의 일원화 방안 보다는 긴급체포와 구속제도의 ‘이원화’에 있어서 인신구속심사의 엄격성과 신중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인 일본의현행 「형사소송법」제207조 및 제210조와 같은 ‘체포영장전치주의’가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따라서 긴급체포 후 체포영장을 필요적으로 청구하여야 한다는 일본의 체포영장전치주의 제도를 도입함으로써, 현행 「형사소송법」상의 긴급체포제도는 좁게는 ⒜ 체포와 구속의 이중통제장치 구축(§200조의3②) 그리고 ⒝ 신병구속 및 석방통지의 실효성확보(§200조의4④), 넓게는⒞ 구인을 위한 구속영장의 적법성 확보(§201조의2②) 등의 합리적 입법기대효과가 있을 것으로보이며, 또 이에 기한 입법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우수등재

        헌법상 영장에 의해 신체ㆍ주거의 자유를 보장받을 권리

        문성도(Mun, Seong-Do) 한국형사법학회 2018 刑事法硏究 Vol.30 No.2

        시민의 신체 또는 주거에 대하여 체포, 구속, 수색 또는 압수를 하는 경우에는 적법절차에 따라 검사의 신청에 의하여 법관이 발부한 영장을 제시하여야 한다 (헌법 제12조 제3항, 제16조) . 이러한 영장주의만큼 공권력과 개인의 자유 사이의 균형에 대한 격렬한 논의를 야기한 문제는 거의 없을 것이다. 최근 영장주의와 관련하여 ‘검사의 신청에 의하여’라는 조항을 삭제할 것인지 격렬히 논의되고 있다. 2018년 3월 26일 문재인대통령은 ‘검사의 신청에 의하여’라는 조항을 삭제한 헌법개정안을 발의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개헌안이 영장주의에 관한 적절한 개정방안인지 법제사적ㆍ비교법적 고찰을 통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2018년대통령개헌안의 성립경위와 영장검사신청규정 삭제 이유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2018년대통령개헌안의 목표와 그 원취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나아가 1948년 제헌헌법에서 현재까지 영장조항이 어떻게 변화되어왔고 검사신청 조항의 문제점이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 장에서는 검사신청조항으로 인하여 지나치게 권력이 집중되는 문제, 공판상 강제처분과 행정상 강제처분에 헌법상 영장 조항이 적용되기 어려운 문제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아울러 영장주의에 대한 비교 법적 고찰을 통하여 개헌안이 영장주의에 대한 합리적인 개헌방안인지 검토하고자 한다. Warrants issued by a judge on request of a prosecutor in the due process of law shall be presented in case of arrest, custody, search or seizure against citizen s person or in his residence.(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12 ③, §16) Few legal problems evoke more passionate debate about the balance between prerogatives of the government and the liberty of the individual than this warrant-requirement-doctrine. Recently in Korea it is passionately disputed whether a clause of ‘on request of a prosecutor’ regarding warrant-requirement principle shall be crossed out or not. President Moon suggested a revised bill of the Korean Constitution in 2018, and crossed this clause of ‘on request of a prosecutor’ out. I will study this revised bill of the Korean Constitution in 2018 and issuing of warrants on request of a prosecutor from the viewpoint of comparative constitutional criminal procedure and the legal history. Following questions shall be raised and reviewed with regard to issuing of warrants only on request of a prosecutor. Firstly, how was this revised bill of the Korean Constitution in 2018 developed in Korea and why was ‘on request of a prosecutor’ deleted? This chapter reviews aims and original meaning of his revised bill of the Korean Constitution in 2018 and reasons why issuing of warrants only on request of a prosecutor was crossed out. Secondly, how was this warrant-requirement clause changed from 1948 to today and what is the problem of a clause of ‘on request of a prosecutor’. This chapter will examine the concentration of power in the hands of so few people and applicability of this warrant-requirement principle to judicial searches in trial proceedings or administrative searches notwithstanding a clause of ‘on request of a prosecutor’. Lastly it will be reviewed whether this revised bill regarding warrant-requirement-doctrine is reasonable through comparative constitutional criminal procedure.

      • KCI등재

        헌법상 영장 제시 조항의 문제점과 합리적 개헌방안

        문성도 ( Mun Seong-do ) 한국경찰법학회 2018 경찰법연구 Vol.16 No.1

        Warrants issued by a judge on request of a prosecutor in the due process of law shall be presented in case of arrest, custody, search or seizure against citizen's person or in his residence.(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12 ③, §16) Few legal problems evoke more passionate debate about the balance between prerogatives of the government and the liberty of the individual than this warrantrequirement- doctrine. Recently in Korea it is passionately disputed whether a clause of ‘on request of a prosecutor' regarding warrant-requirement principle shall be crossed out or not. President Moon suggested a revised bill of the Korean Constitution in 2018, and crossed this clause of 'on request of a prosecutor' out. But, there is no remarks about the problem and revised bill of Korean constitutional warrant-presentation-requirement. I will study this problem and suggest a revised bill of Korean constitutional warrant-presentation-requirement from the viewpoint of comparative constitutional criminal procedure and the legal history. Following questions shall be raised and reviewed with regard to constitutional warrant-presentation-requirement. Firstly, how was this constitutional warrant-presentation-requirement developed in Korea? This chapter reviews aims and original meaning of constitutional warrant-presentation-requirement clause. Secondly, what is the problem of this constitutional warrant-presentation-requirement clause. Lastly it will be reviewed what is a reasonable revised bill regarding constitutional warrant-presentation-requirement through comparative constitutional criminal procedure.

      • KCI등재

        불구속수사·재판의 원칙의 발전과 정체, 인신구속제도의 재편(再編) 방안

        정영훈 대한변호사협회 2019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485

        The principle of investigation and trial without detention developed rapidly from 1997 to 2009 due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arrest warrant review(of the suspect's face-to-face with the judge) system in 1997 and is now close to the level of advanced countries. However, considering the ratio of detention warrants in investigation and detention defendant in a first trial over the past eight years from 2010 to 2017, it is feared that the current personal detention system may have reached a limit that can no longer be developed due to the stagnant of the principle of investigation and trial without detention. The author proposes a measure to reorganize the personal detention system in order to further develop the principle of investigation and trial without detention. First, detention reasons should be interpreted strictly as a means to prevent thepossibility of escape and destruction of evidence, and specific criteria should be set as necessary reasons for consideration, such as the gravity of the crime, or as independent detention reasons. Second, the law should be revised to recognize in principle the bail of suspects by introducing a conditional release system during the stage of detention warrants. Third, the party should be allowed to appeal a warrant for the detention warrant decision so as to establish objective and uniform criteria for detention. Fourth, the court should ensure that the defense rights of the suspect are fully guaranteed, and the judge in charge of the warrant should include specific reasons in the detention warrant decision, and the detention warrant decision should be given to the suspect as well as to the prosecutor. Fifth, since most of the suspects in the detention warrant trial are assisted by public defenders, the public defender’s assistance should be made available. Sixth, a court that reviews the detention decision shall take charge of not only the suspect’s bail, but also the defendant’s bail. The current bail regulations should be revised to ensure that necessary bail becomes a principle, and working-level operations should also be flexible. Finally, the court should not make it a rule the detention in the first trial sentence and determine whether the accused is detained or not by reviewing the reasons for his detention, such as the possibility of running away and destroying evidence, based on the principle of investigation and trial without detention. 불구속수사·재판의 원칙은 1997년 구속영장실질심사제도의 시행 등으로 1997년부터 2009년까지 비약적으로 발전하여 현재는 선진국 수준에 근접하였다. 하지만, 2010년부터 2017년까지 최근 8년간의 구속영장발부율과 1심 구속인원의 비율을 보면 불구속수사·재판의 원칙이 정체되고 있어 현행 인신구속제도로는 더 이상 발전하기 어려운 한계에 봉착한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가 든다. 불구속수사·재판의 원칙을 현 수준에서 한 단계 더 발전시키기 위해 인신구속제도의 재편(再編) 방안을 제시해 본다. 첫째, 구속사유는 도망과 증거인멸의 우려 등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엄격하게 해석해야 하고 범죄의 중대성 등 필요적 고려사유는 삭제하던지 아니면 독립된 구속사유로 구체적 기준을 설정해야 할 것이다. 둘째, 구속영장단계에서 조건부 석방제도를 도입하여 피의자 보석을 원칙적으로 인정하는 방향으로 법 개정을 하여야 한다. 셋째, 구속영장결정에 대해 영장항고를 할 수 있도록 하여 객관적이고 통일적인 구속기준을 정립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넷째, 구속영장재판에서 피의자의 방어권이 충분히 보장될 수 있도록 해야 하고 구속영장결정문에 구체적 이유를 기재하도록 해야 하며 구속영장결정문은 피의자에게도 교부해 주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구속영장재판을 받는 피의자의 대부분이 국선변호인의 조력을 받고 있으므로 국선변호인의 조력이 실질화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여섯째, 구속적부심사법원에서 피의자 보석뿐만 아니라 피고인 보석도 담당하도록 하고 필요적 보석이 원칙이 될 수 있도록 현행 보석규정을 전면 개정하며 실무 운용도 탄력적으로 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법원은 1심 실형선고 시에도 법정구속을 원칙으로 하여서는 아니 되고 불구속수사·재판의 원칙에 입각하여 도망과 증거인멸의 우려 등 구속사유를 심사해서 구속여부를 판단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통신비밀보호법과 테러방지법상 영장주의 강화를 위한 법제정비 방안

        한웅재(Han, Woongjae),김일환(Kim, Ilhwan)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원 2021 성균관법학 Vol.33 No.2

        전통적으로 통신의 자유에 있어 영장주의와 연관되어 문제가 되는 사안은, 신체의 자유를 중심으로 도청 및 감청과 관련된 부분이었다. 그러나 현대에는 정보 수집을 위해서는 이보다 다양한 방법이 이용된다. 더구나 다수의 대량 데이터를 교환하고 연결해주는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민간기업을 이용하면 더 심층적이고 더 내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통신기기의 압수를 통해서 국가가 얻어 낼 수 있는 정보는 필연적으로 개인의 사생활에 대한 침해로 이어지는데, 이에 대한 절차적 정교함은 부족해 보인다. 영장주의하에서 이러한 논의들을 배경으로 실제 운용은 어떠한지 세밀한 논의가 필요하다. 영장주의는 독립된 법관에 의해 체포·구속뿐만 아니라 압수·수색·검증과 같은 다양한 기본권 침해에 개인이 방어할 수 있는 절차적 의의가 있다. 영장주의가 통신비밀보호라는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정보수사기관의 재량에 대한 통제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면, 국가는 국민에 대한 개인정보를 바탕으로 이른바 ‘감시사회’를 만들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감시사회는 헌법이 추구하는 인간 존엄, 사상과 양심, 영업, 학문, 종교, 정치활동 전반에 대한 통제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지능정보사회에서 통신 비밀보호를 위해서는 영장주의가 강화되어야 한다는 문제의식 하에 통신기기는 물론 범죄수사, 국가안보 전반에 대해 대안을 제안하고자 노력하였다. 특히 영장을 통한 통신제한조치의 기한 및 통지를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의 입장에서 검토하고 「테러방지법」에 대해서는 영장주의를 보강하고자 피의자별 통신제한조치를 제안하고, 본 법을 통한 통신제한조치의 통제를 위한 위원회 및 국회통제 방안을 간략하게 제시하였다. Traditionally, the issue associated with Warrant Requirement Principle in the freedom of communication has been related to eavesdropping and interception, centering on the freedom of the body. However, in modern times, various methods are used to collect information. Moreover, private companies that provide communication services that exchange and connect large volumes of data can be used to collect deeper and more intimate information. In addition, the information that the state can obtain through the seizure of communication devices inevitably leads to infringement on the privacy of individuals, but the procedural sophistication seems to be insufficient. It is necessary to discuss in detail how the actual operation is based on these discussions under Warrant Requirement Principle. Warrant Requirement Principle has procedural significance that allows individuals to defend against various infringements of basic rights such as seizure, search, and verification, as well as arrest and detention by independent judges. If Warrant Requirement Principle does not properly play the role of protecting communications secrets and the discretionary control of intelligence agencies does not work properly, the state can create a so-called “monitoring society” based on personal information about the people. And this surveillance society is likely to lead to the control of human dignity, ideology and conscience, business, academic, religious, and political activities as pursued by the Constitution. In an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under the awareness that Warrant Requirement Principle should be strengthened for the protection of communications secrets, efforts have been made to propose alternatives not only for communications devices, but also for criminal investigations and national security in general. In particular, review the time limit and notification of communication restriction measures through warrants from the standpoint of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and propose communication restriction measures for each suspect to reinforce Warrant Requirement Principle for the 「Terrorism Prevention Act」, and control the communication restriction measures through this act and the committee and the National Assembly control plan were briefly presented.

      • KCI등재

        무죄추정의 원칙과 공판전 인신구속 - 영장실질심사를 중심으로 -

        박봉균(Park, Bong-Kyun),김문귀(Kim, Moon-Kwi) 한국법학회 2019 법학연구 Vol.74 No.-

        무죄추정의 원칙은 유죄의 판결이 확정되기 전까지 피고인을 죄 없는 자에 준하여 취급함으로써 법률적·사실적 불이익을 주지 않는 것을 말한다. 이 원칙은 1980년부터 한국의 헌법과 형사소송법에서 명시적으로 규정된 후 형사소송의 공판단계 뿐만 아니라 다른 영역으로 적용범위가 확대되었다. 현재의 통설과 판례는 입증책임의 분배, 불이익 처우 금지, 인신구속의 제한원리를 무죄추정의 원칙 내용으로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특히, 불구속 수사의 원칙은 무죄추정의 원칙에서 도출된다는 판례를 반영하여 2008년 형사소송법에 규정되었다. 그러나, 수사단계에서 구속은 유죄의 확정 효력과 무관하고 형사 절차를 확보하기 위한 구속을 불이익처분이라 볼 수 없다. 따라서, 무죄추정의 원칙은 수사기관에게 훈시적인 의미가 있고, 인신구속의 제한은 적정절차의 원칙, 비례성의 원칙으로 규율할 수 있다. 무죄추정의 원칙에 관한 그동안 연구성과는 피의자의 인권보장에 중점을 두고 고찰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수사단계에서 무죄추정의 원칙을 수범자의 관점에서 재조명하고, 실천적 가치를 탐색함으로써, 무죄추정의 원칙 이외의 절차적 대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구속영장이 명령장 또는 허가장의 성격, 영장실질심사에서 구인영장의 직권발부에 대한 권력분립의 문제점, 미체포 피의자에 대한 영장실질심사 기간의 구속기간 산입배제 방식에 대한 검찰 실무의 문제점을 각각 다루었다. 특히, 경찰의 법정 구속 기간이 단 하루가 지났다는 이유로 구속영장이 발부된 피의자를 석방하는 등 인권보장에 있어서 최일선 기관임을 스스로 자처하는 검찰이 토·일요일 및 공휴일은 근무시간이 아니라는 이유로 구속의 필요성이 없는 피의자의 송치를 거부하는 이율배반적인 태도에 대하여 비판하였다. 우리나라는 피의자의 구속기간에 대하여 엄격한 제한을 가하고 있으나 미국, 일본, 독일에서는 피의자의 구속기간에 대한 일반적인 제한은 없다. 이러한 국가들이 무죄추정의 원칙이나 인권보장이 우리나라보다 미흡하지 않다면 구속기간의 제한을 두지 않는 이유에 관하여 향후 연구를 통하여 고찰해야 할 필요가 있다. The principle of presumption of innocence is to not give legal or real disadvantage by treating the defendant in the manner of an innocent until the conviction of the conviction is finalized. This principle has been extended to other areas as well as the stage of trial of the post - criminal proceedings explicitly stipulated in the Constitution and Criminal Procedure Act of South Korea since 1980. The current law and precedents are generally accepted as the principle of innocence in the distribution of burden of proof, prohibition of disadvantage treatment, and restraint principle. In particular, the principle of non-detention investigation is defined in the 2008 Criminal Procedure Law reflecting the case that the principle of innocence is derived from the principle of innocence. However, in the investigation stage, redemption is irrelevant to the ascertaining effect of guilt and can not be regarded as disadvantageous detention for securing criminal proceedings. Therefore, the guilty presumption principle has a meaningful meaning to the investigative institution, and the restraint of human restraint can be governed by the principles of proper procedure and proportionality principle.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principle of innocence presumption have focused on the guarantee of the human rights of susp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procedural alternatives other than the principle of innocence by reexamining the principle of innocence in the investigation stag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ractitioner and searching for practical value. In order to do this, the issue of the arrest warrant has the problem of the nature of the command or the license, the problem of separation of powers for issuing the warrant in the real examination of the warrant, the problem of the prosecution practice about the exclusion period of the arresting period Respectively. In particular, the prosecution, which prosecutes itself as the premier organization for guaranteeing human rights, including release of the suspects who have been issued arrest warrants for a single day, And to reject the prosecution of the accused. In South Korea, there are strict restrictions on the arrest period of suspects, but in the US, Japan and Germany there is no general restriction on the period of arrest of suspects. If these countries are not guilty of presumption of innocence or guarantee of human rights is less than that of Korea,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reason why they do not limit the period of restraint through future research.

      • KCI우수등재

        긴급체포제도와 예외적인 사후영장원칙

        문성도 한국형사법학회 2019 刑事法硏究 Vol.31 No.2

        Few legal problems evoke more passionate debate about the balance between prerogatives of the government and the liberty of the individual than the warrant-requirement principle and exigent arrest system in Korea. The Korean Constitution says that warrants shall be issued in case of arrest, custody, search or seizure, but in case a criminal suspect is apprehended flagrante delicto, or where there is danger that a person suspected of committing crime punishable by imprisonment of three years or more may escape or destroy evidence, investigative authorities may request an ex post facto warrant.(ROK. Const. XII ③) The principle that a warrant should be issued before searches and seizures are made, but that a warrant should be issued even after searches and seizures are exceptionally made without a warrant is called an exceptional ex post facto warrant principle. Nevertheless the korean Criminal Procedure Act says that where there is no time that arrest warrant can be issued by a judge and danger that a person suspected of committing crime punishable by imprisonment of three years or more may escape or destroy evidence, investigative authorities may make an exigent arrest and request an ex post facto custody warrant. Investigative authorities don't request an ex post facto arrest warrant, much less an ex post facto custody warrant where they release arrestee within 48 hours. Many people have insisted that this exigent arrest system violate the Constitution since this system was established newly in 1995. Many people have insisted and rebuked that investigative authorities was making an improper use of their exigent arrest power. With a view to solving these problem, Criminal Procedure Act 2007 provided that investigative authorities shall request an ex post facto custody warrant without delay within 48 hours where they make an exigent arrest, and notify the court of the time and place of release and reasons for release in writing within thirty days from the date of release when they released an exigent arrestee without requesting a warrant of detention. This review looked at what was discussed during introduction and reform of the exigent arrest system, and examined whether this revised exigent arrest system violate exceptional ex post facto warrant requirement doctrine and whether current exigent arrest system has solved the problem of abuse of exigent arrest by comparing the ratios of the types of physical detention such as the ratio of exigent arrests, the rate of flagrant offender arrests, the ratio of arrests with a warrant, and the rate of detentions with a warrant. 대한민국 헌법은 체포․구속․수색․압수를 할 때에는 법관이 발부한 영장을 제시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다만, 현행범이나 긴급체포의 경우에는 사후에 영장을 청구할 수 있다. 원칙적으로 강제처분을 하기 이전에 영장을 발부받아야 하지만 일정한 경우 영장없이 강제처분을 하고 난 후에 사후적으로라도 영장을 발부받아야 한다는 원칙을 예외적인 사후영장원칙이라고 한다. 그럼에도 우리 형사소송법은 긴급체포 후에 체포영장이 아니라 구속영장을 청구하도록 하고 있고, 게다가 긴급체포한 피의자를 48시간이내에 석방한 경우에는 영장을 청구하지 않아도 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긴급체포제도가 위헌이 아닌가 하는 문제가 1995년 형사소송법 개정이후 지속적으로 문제되어 왔다. 즉, 긴급체포후 체포영장을 청구하지 아니하는 문제, 구속영장청구기간이 지나치게 장기간이 아닌가 하는 문제, 그리고 긴급체포 남용문제가 계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현행 형사소송법은 종래 문제되어 왔던 긴급체포제도의 사후영장원칙 위반이라는 헌법적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논의 결과를 담고 있다. 즉, 긴급체포제도와 관련하여 현행 형사소송법은 긴급체포한 후 지체없이 구속영장을 청구하도록 하고 있고 구속영장을 청구하지 아니하고 석방한 경우 법원에 사후 통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 글은 긴급체포 조항이 어떠한 관점에서 문제되었고, 어떠한 논의과정을 거쳤는지를 살펴보고, 신체구속유형별 비율을 살펴봄으로써 개정 조항이 처음에 제기되었던 사후영장원칙 위반과 긴급체포 남용의 문제를 어느 정도 해결한 것인지를 고찰하였다.

      • KCI등재후보

        감찰의 한계에 관한 소고

        정승윤(Chung, Seung yun)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圓光法學 Vol.36 No.4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that have arisen in connection with the recent Inspection, the limits of Inspection have been considered from the constitutional perspective of guaranteeing the human rights of the people. First, the Inspection does not stipulate its subject in the Constitution and the Act, but only stipulates it as illegal or unfair acts of public officials in the Rules of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This method and content of regulation is unconstitutional in Principle of Legality and Void for Vagueness. Second, the Inspection of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is based on the Constitution and the Act of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but the Self-Inspection is not based on Act on Public Sector Audits, but on the supervisory authority and administrative rules of senior management. Therefore, Self-Inspection is permitted within the scope of the authority to direct and supervise work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Statutory Reservation, and the concept of inspection also means voluntary, non-powerful investigation, unlike the Inspection under Article 97 of the Constitution. Third, Due Process of Law apply to the Inspection like the investigation. Therefore, the Inspection should have regulations and devices to protect the rights and interests of those surveyed. According to Supreme Court precedents, Doctrine of Warrants does not apply to the Inspection unlike the investigation, but different views exist. If arrest・restraint is introduced in the Inspection, Doctrine of Warrants is of course applied, but arrest・restraint for the purpose of Inspection is not not allowed to violate Principle of Legality and Anti-Overrestriction Principle. There is a controversy over whether the Inspection can exercise direct or physical coercion without a warrant or without the consent of the parties, where the investigation method corresponding to seizure or search by the prosecution is prescribed by law. If the investigation method is subject to compulsory disposal, in principle, Doctrine of Warrants is applied, so direct or physical coercion cannot be exercised without a warrant or consent of the parties. However, it is possible in areas where the exception of warrantism is applied, and the criterion is whether there is a legitimate right to expect privacy. Therefore, it is not possible to investigate the judge s computer for work without a warrant or without the consent of the parties. Fourth, in the inspection, the request for submission of individual mobile phones of public officials is not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data submission request stipulated in the current law. Because that orders or requests violate the Privilege Against Self-Incrimination. The regulation that requires disadvantageous disposition for failing to cooperate with the Inspection and the disposition of disadvantages based on it are also unconstitutional because it violates the Privilege Against Self-Incrimination. Furthermore, voluntary submission of individual mobile phones is not allowed, this is based on the recent U.S. Supreme Court precedent that it cannot be investigated by a method other than a strict prior warrant in consideration of the specificity of mobile phones, and in reality, the randomness of the subject s consent cannot be recognized. 최근 감찰과 관련해서 발생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민의 인권 보장이라는 헌법적 관점에서 감찰의 한계를 고찰하였다. 첫째. 감찰은 헌법과 법률에서 그 대상을 규정하지 않고, 감사원규칙으로 공무원의 위법・부당행위로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규정 방식과 내용은 죄형법정주의와 명확성원칙 위반으로 위헌이다. 둘째, 감사원의 감찰은 헌법과 감사원법에 근거를 두고 있지만, 자체감찰은 공공감사에 관한 법률이 아닌 상급관리의 업무지휘감독권과 행정규칙에 근거를 두고 있다. 따라서 자체감찰은 법률유보의 원칙에 따라 업무지휘감독권의 범위 내에서 허용되고 감찰의 개념도 감사원의 감찰과 달리 임의적 비권력적 조사를 의미한다. 셋째, 감찰도 수사와 마찬가지로 적법절차의 원칙이 적용된다. 따라서 감찰은 조사대상자의 권익을 보호하기 위한 규정과 장치를 갖춰야 한다. 대법원 판례에 따르면 감찰은 수사와 달리 영장주의가 적용되지 않는데, 이와 다른 견해들이 존재한다. 감찰에 체포・구속이 도입되는 경우라면 영장주의가 당연히 적용되지만, 감찰 목적의 체포・구속은 죄형법정주의와 과잉금지의 원칙 위반으로 허용되지 않는다. 감찰에서 압수・수색에 해당되는 조사방법이 법령에 규정된 경우 영장 없이 또는 당사자의 동의 없이 직접적・물리적 강제력을 행사할 수 있는지 여부에 논란이 있다. 조사방법이 강제처분에 해당되면 원칙적으로 영장주의가 적용되기 때문에 영장 없이 또는 당사자 동의 없이 직접적・물리적 강제력을 행사할 수 없다. 다만 영장주의의 예외가 적용되는 영역에서 가능한데, 그 기준은 프라이버시에 대한 정당한 기대권이 존재하는지 여부이다. 따라서 판사의 업무용 컴퓨터에 대하여 영장 없이 또는 당사자의 동의 없이 조사할 수 없다. 넷째, 감찰에서 공무원 개인 휴대폰은 현행법상 제출을 요구할 수 있는 자료의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다. 자기부죄거부의 특권을 침해하는 공무원 개인 휴대폰에 대한 제출명령 내지 제출요구는 허용되지 않기 때문이다. 감찰 비협조를 이유로 한 불이익처분 규정과 불이익처분은 자기부죄거부의 특권을 침해하기 때문에 위헌이다. 나아가 개인 휴대폰의 임의제출도 허용되지 않는데, 이는 휴대폰의 특수성을 감안해서 엄격한 사전영장 이외 방법으로 조사할 수 없다는 최근 미국 연방대법원 판례 및 현실적으로 조사대상자 동의의 임의성이 인정될 수 없다는 점에 근거한다.

      • KCI등재

        형사소송법 제218조의 유류물 또는 임의제출물의 압수에 대한 소고

        신이철 대검찰청 2020 형사법의 신동향 Vol.0 No.67

        An investigative agency’s search and confiscation are legal disposition that require warrants in principle (Article 215 of the Criminal Prosecution Act). However, search and confiscations that are not based on warrants are permitted as an exception in consideration of urgency, etc. (Articles 216 to 218). Among which, any confiscation of lost articles or voluntary submissions in Article 218 do not require a pre-warrant nor a post-warrant, and thus, are used the most frequently in practice. However, a strict determination must be made because of the possibility that a manipulation of the law may occur regarding the warrant. First, with respect to the confiscation of lost articles in Article 218, there are views that consider impression evidence, such as finger prints, and biological samples, such as blood stains, are applicable for confiscation of lost articles. However, it is determined that it would suffice for them to be understood as a series of authentication for investigation, which is considered free investigation. Nonetheless, confiscation without warrants may be made if abandoned waste is transferred to a public sector, such as a depository, and ownership is abandoned, whereas if an individual submits lost articles abandoned by a criminal to an investigative agency, it should be confiscated by being issued a pre-warrant or a voluntary submission from the owner, etc. Meanwhile, voluntary submissions are sufficient as long as they are submitted by a party with the right to do so (owner, holder or storer), and thus, there is no need for the consent of the owner or a suitable right, and in the event of a holder or storer, the court has held that there must be no ‘special circumstances, such as the invasion of the owner’s privacy or other personal benefit.’ Furthermore, even if there is reason to believe that there is legitimate authority in appearance, it would be difficult to always acknowledge the right of voluntary submission unless post-remedying acknowledges it. Any other determination of the voluntariness of a voluntary submission must be made by integrated consideration based on the specific situations, even at the request of a voluntary submission by an investigative agency or when the rejection of a voluntary submission is not issued by the investigative agency. Furthermore, although the confiscation of voluntary submissions is permitted at the site of arrest or the scene of the crime, strict determination must be made due to the risk of evading the warrant. Furthermore, the confiscation of voluntary submissions has the same effect as the confiscation based on a warrant. In this regard, it would be difficult for the voluntariness to be acknowledged if a voluntary submission is made immediately after an illegal confiscation. If so, in the event that the illegally confiscated article is returned and immediately confiscated thereafter as voluntary submission, the validity of evidence may be acknowledged by assessing that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initial violation of the procedure of confiscating the evidence and the final collection of evidence, however, if substantially forceful confiscation has been made in the process, the validity of evidence may not be acknowledged. 수사기관의 압수수색은 원칙적으로 영장을 요하지만(형사소송법 제215조) 예외적으로 영장에 의하지 않는 압수수색이 허용되고 있다(제216조 내지 제218조). 그 중에서도 특히, 제218조의 유류물 또는 임의제출물의 압수는 사전영장은 물론, 사후 영장조차도 요구되지 않아 실무상 가장 많이 활용되지만, 영장주의에 대한 탈법행위가 이루어질 가능성 때문에 매우 엄격히 판단해야 한다. 먼저 제218조의 ‘유류물’압수와 관련하여, 지문 등 압력증거와 혈흔 등 인체시료에 대하여 유류물의 압수로 보려는 견해가 있으나, 임의수사로 이해되는 수사상 감정행위의 일환으로 이해하면 족하다고 본다. 다만, 버려진 쓰레기가 집하장 등 공개영역으로 옮겨져 소유권이 포기된 것이라면 영장 없는 압수가 가능한 반면에, 현행범이 버리고 간 유류물건을 사인이 주워 수사기관에 제출한다면 소유자 등에게 임의제출을 받거나 사전영장으로 압수를 해야 할 것이다. 한편, ‘임의제출물’은 제출권한 있는 자(소유자, 소지자 또는 보관자)가 제출하면 충분하며 반드시 적법한 권원이나 소유자의 동의가 필요하지는 않고, 다만 소지자・보관자의 경우에는 판례가 ‘소유자의 사생활의 비밀 기타 인격적 법익이 침해되는 등의 특별한 사정’이 없어야 한다는 제한을 가하고 있다. 또한, 외관상 적법한 권한이 있다고 믿을 만한 사정이 있는 경우에도 사후치유가 인정되지 않는다고 보는 이상 언제나 임의제출권을 인정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본다. 그 외에도 임의제출의 임의성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 수사기관의 임의제출 요구에 의한 경우나 수사기관이 임의제출 거부권을 고지하지 않은 경우라도 구체적 상황에 따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하여야 한다. 그리고 체포현장이나 범죄장소에서도 임의제출물 압수가 허용될 수 있지만, 영장주의를 잠탈할 위험성 때문에 매우 엄격하게 판단해야 한다. 임의제출물 압수의 효력은 영장에 의한 압수와 동일한 효력을 가져온다. 이와 관련하여 위법한 압수직후에 임의제출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임의성이 인정되기 어려울 것이지만, 위법한 압수물을 일단 환부하고 곧바로 임의제출을 받는 형식으로 다시 압수하는 경우에는 증거를 압수한 최초의 절차위반행위와 최종적인 증거 수집사이의 인과관계가 단절되었다고 평가되어 증거능력을 인정할 수는 있다. 다만, 그 과정에서 실질상 강제적인 압수가 행해진 경우라면 증거능력을 인정할 수 없다. 입법론적으로는 임의제출 거부권의 고지를 명문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