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프랑스 형사개혁의 특징과 시사점 - 2014년 Loi TAUBIRA 의 재범방지 대책을 중심으로 -

        김문귀 ( Kim Moon-kwi ),김영식 ( Kim Young-sik ) 한국프랑스학회 2015 한국프랑스학논집 Vol.92 No.-

        La loi TAUBIRA(Loi relative à l’individualisation des peines et renforçant l’efficacité des sanctions pénales) a été définitivement adoptée par le Parlement le 17 juillet 2014. L’objectif de cette réforme est de punir plus efficacement en adaptant la peine à chaque délinquant pour mieux prévenir la récidive, mais aussi de renforcer les droits et garanties des victimes notamment pendant l’exécution de la peine. Concrètement, la loi introduit dans le code pénal une nouvelle peine en milieu ouvert : la contrainte pénale. Il s’agit d’une peine autonome, hors les murs de la prison, qui permet un contrôle et un suivi renforcés. La contrainte pénale pourra seulement s’appliquer aux délits passibles de 5 ans de prison jusqu’au 1er janvier 2017. A compter de cette date, elle pourra concerner l’ensemble des délits. Les dispositions prévues par la loi permettront une meilleure prise en charge des victimes : information, accueil dans les tribunaux, indemnisation, soutien et accompagnement. L’existence des bureaux d’aide aux victimes et bureaux de l’exécution des peines est sanctuarisée en étant inscrite dans la loi. La justice restaurative est par ailleurs introduite dans le code de procédure pénale.

      • KCI등재

        회복적 경찰활동의 법제화 방안에 관한 연구

        김문귀(Kim, Moon-Kwi),임형진(Lim, Hyung-Jin) 한국법학회 2020 법학연구 Vol.78 No.-

        행위자에 대한 처벌과 교정에 초점을 맞춘 응보적 정의(사법)의 문제점과 한계에 대한 해결책으로 등장한 회복적 사법은 국제사회의 전폭적인 관심과 지지에 힘입어 전 세계적으로 수사, 기소, 재판, 형 집행, 교정 등 형사 절차의 다양한 단계에서 활용되고 있다. 회복적 사법이 발전한 주요 외국의 경우, 경찰단계에서의 다양한 회복적 사법 프로그램이 활용되고 있으며, 더 나아가 일부 국가에서는 회복적 사법 혹은 회복적 정의의 이념에 입각한 경찰활동의 새로운 패러다임 혹은 철학으로서 ‘회복적 경찰활동’을 설정하고 이에 기반한 다양한 제도 혹은 프로그램을 지역사회의 다양한 갈등 · 분쟁 및 형사사건에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국제사회의 움직임에 발맞추어 우리의 경우에도 검찰단계의 형사조정과 법원단계의 화해권고가 회복적 사법의 이념을 실현하는 제도로서 형사실무에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범죄 혹은 여타 갈등 · 분쟁의 최일선에 있는 경찰단계에서는 이와 같은 공식적인 제도는 존재하지 않았다. 이런 상황에서 경찰청에서는 2019년 회복적 정의(사법) 이념을 갈등 · 분쟁 해결과 관련한 경찰활동 전반에 적용하고자 하는 회복적 경찰활동 추진계획을 수립하고 구체적인 실천방안으로서 경찰단계의 회복적 사법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회복적 대화 프로그램’을 시범운영한 바 있으며, 2020년 상반기부터는 이 프로그램을 전국 경찰관서로 점진적으로 확대 실시하고 있다. 회복적 경찰활동은 향후 경찰단계에서의 지역사회의 대안적인 갈등 · 분쟁해결 패러다임이자 실천방식으로서 기능할 것으로 기대되지만 회복적 경찰활동의 성공적 도입 및 안착을 위해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회복적 경찰활동의 안정적 · 항구적 운영을 위한 법제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경찰청에서 추진 중인 회복적 경찰활동의 추진 경과 및 내용을 간략하게 살펴보고, 회복적 경찰활동의 법제화의 필요성 및 기본방향을 제시한 뒤, 형법, 형사소송법, 소년법, 범죄피해자보호법 등 개별법상 회복적 경찰활동의 법제화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Restorative justice, which is emerged as a solution to the problems and limitations of retributive justice focusing on punishment and correction of actors, has been used in various stages of criminal proceedings, including investigation, prosecution, trial, execution of punishment and correction, worldwide with the full attention and support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 major foreign countries where restorative justice has developed, a variety of restorative justice programs are being used at the police level. Furthermore, in some countries, restorative policing has been established as a new paradigm or philosophy of policing based on the ideologies of restorative justice, and various systems or programs based on it are established in various conflicts and disputes and in criminal cases in the community. In line with the movement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 South Korea, penal mediation at the prosecution level and recommendation for reconciliation at the court level are being used in criminal practice as a system to realize the ideologies of restorative justice. However, at the police level, at the forefront of crime or other conflicts and disputes, there was no such formal system. In this context, the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established in 2019 a plan for the restorative policing to apply the ideology of restorative justice to all police activities related to conflicts and disputes resolution. As a concrete action plan, a pilot operation of restorative dialogue program which is the restorative justice program at the police-level was conducted. Furthmore, From the first half of 2020, the restorative dialogue program will be gradually expanded to whole national police departments. Restorative policing are expected to function as an alternative paradigm and practical approach to various conflicts and disputes resolution in the community at the police level in the future. However, there are many tasks to be solved in order to successfully introduce and settle restorative policing in South Korea. This study proposed a legislation plan for the stable and permanent operation of restorative policing in South Korea. For this purpose, first, the progress and contents of the restorative policing being promoted by the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were briefly reviewed. Next, the necessity and basic direction of legislation of restorative policing were presented. Lastly, the legislative measures for restorative poling through the modification of laws such as the Criminal Act, Criminal Procedure Act, Juvenile Act, and Crime Victims Protection Act were specifically presented.

      • KCI등재

        경찰에 의한 회복적 사법의 실천사례와 의의 -강원지방경찰청의 “너와 함께(With You) 프로그램”-

        김문귀 ( Moonkwi Kim ) 경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法學硏究 Vol.23 No.4

        본 연구는 2014년 3월부터 강원지방경찰청에서 운영하고 있는 회복적 사법 프로그램인 ‘너와 함께(With You)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이 프로그램이 회복적 사법 프로그램으로서 갖는 일반적 의의 및 경찰에서의 회복적 사법의 실현과 관련해서 갖는 의의를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너와 함께 프로그램’은 학교폭력 등 소년을 둘러싼 다양한 갈등을 근원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경찰관이 진행자가 되어 가해자, 피해자, 그들의 부모, 지역사회 구성원이 함께 참여하는 회복적 대화모임을 운영함으로써 당사자들 간의 관계를 회복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프로그램의 목적, 특징, 실행절차, 2014년의 경우 화해성립율이 97%에 이르고 대다수의 사례에서 참여자들이 만족감을 표시하였다는 사실 등으로 비추어 볼 때, 이 프로그램은 회복적 사법의 이념을 충실하게 구현하고자 하는 경찰의 야심찬 시도이며, 다른 지역으로 확대 시행될 가치와 필요성이 충분하다고 평가할 수 있다. 다만, 이 프로그램의 발전과 확대시행을 위해서는 프로그램의 성과를 실증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는 후속연구가 필요하고, 운영상 개선해야 할 사항들과 인식론적·법적·제도적으로 정비해야 사항들도 적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가 한국에서 경찰단계의 혹은 경찰에 의한 회복적 사법 이념의 구현과 관련된 연구의 활성화와 이를 바탕으로 한 현장에서의 실천에 조금이나마 기여하기를 바란다.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with you program’ led by Kangwon Metropolitan Police since 2014 and examine its general implications as restorative justice program and those relating to the implementation of restorative justice by the police. This program focuses on the restoration of relations between the protagonists of conflict through restorative circles in which victims, offenders, their parents and community members participate in the presence of police officers as a facilitator to settle fundamentally conflicts around the young such as school violence, etc. This program is considered an ambitious attempt of the police to realize substantially the ideas of restorative justice, in the light of its objectives, its characteristics, its operation process, the fact that its success rate is 97% in 2014 and that, in most cases, participants express their satisfaction. Therefore, the implementation of this program deserve to be expanded to other regions. However, succeeding researches are required to support empirically the results of ‘with you program’ so that this program can be developed and it’s application are expanded. There are also a lot of things to be improved in terms of it’s operation and many things to be equipped on the epistemological, legal and institutional levels. Finally, we hope that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researches related to the realization of ideas of restorative justice in the stage of the police or by the police in south korea and to the restorative practices in the field.

      • KCI등재후보

        프랑스의 회복적 소년사법제도에 관한 연구

        김문귀(Kim, Moon-Kwi) 한국법이론실무학회 2018 법률실무연구 Vol.6 No.1

        최근 우리사회에서 여중생 집단 폭행사건 등과 같은 심각한 소년범죄가 연이어 발생하자 이에 대한 대응방안으로 소년범에 대한 처벌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점점 커지고 있다. 반면, 이 같은 전통적인 응보주의적 대응방식이나 기존의 소년사법체계가 기본이념으로 삼고 있는 선도․보호 우선 원칙에 입각한 대응과는 다른 대안적 문제해결방안을 강구해야 한다는 주장 역시 제기되고 있다. 후자의 주장과 관련하여 소년범죄에 대한 대안적 조치로서 회복적 사법 이념에 입각한 소년사법정책이 전 세계적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으며, 그 유용성 및 효과성 역시 실증적으로 입증된 바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법원 심리단계에서 화해권고라는 제도가 법제화되어 형사실무에 적용되고 있지만, 법적토대, 적용범위, 당사자들의 절차 참여에의 자율성, 운영주체 등과 관련하여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안고있어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프랑스에서 실행되고 있는 회복적 소년사법제도를 다룬다. 그 중에서도 가장 활용도가 높고 회복적 사법의 관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갖고 있는 형사상 원상회복 제도를 중심으로 그 특징과 내용을 살펴보고 이 제도가 우리에게 갖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비록 프랑스의 형사상 원상회복 제도 역시 엄밀한 의미에서 불완전한 회복적사법 제도라고 할 수 있지만, 그 법적 토대, 적용범위, 당사자들의 절차 참여의 자율성, 운영주체의 측면에서 우리의 화해권고 제도의 발전에 대해 갖는 함의는 적지 않다. In South Korea, recently, serious crimes such as group school violence, committed by young has consecutively occurred. In response to this juvenile delinquency which is more and more being violent, intellectual and which is committed by the younger, the opinion that we must enforce the punitive measures based on the retribution against the young who committed the crimes is expanded, on one hand. Contrary to this opinion, the argument insisting on enforcement of existing measures focused on the guide and protection of young on which korean juvenile justice system or insisting on introduction of more alternative measures is presenting, on the other hand. Regarding the latter argument, the juvenile justice policies based on the ideas of restorative justice are applying over the world, and their usefulness and effectiveness has been proven in criminal practice. The South Korea is not the exception of this phenomenon. In South Korea, reconciliation recommendation at the stage of youth court is legislated and implemented as a altenative mechanism relating to juvenile delinquency. However, in spite of it’s potential restorative, this korean restorative juvenile justice system has many problems which is needed to be solved. This article treats the french restorative juvenile justice system, especially the penal reparation which is considered as the representative restorative justice measure in France and which is most used in youth crime ca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distinctive features and contents of the penal mediation applied to juvenile delinquency and to propose the improvement plan of the actual korean reconciliation recommendation system in drawing the lessons from this french restorative measure. It’s legal base, scope of application, autonomy of parties with regard to participation to process, central operating body, penal mediation give us many implications on the development of our reconciliation recommendation system, although this french restorative justice system can be considered as nothing but imperfect restorative justice measure in strict sense.

      • KCI등재

        성인사건의 처리에 있어 경찰단계에서의형사상 조정제도에 관한 연구

        김문귀(Kim, Moon-kwi) 한국법학회 2017 법학연구 Vol.67 No.-

        1970년대 등장한 회복적 사법은 전 세계적으로 핵심적인 형사정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예외는 아니다. 검찰 단계에서의 형사조정, 법원 단계에서의 화해권고제도를 통해 회복적 사법이 법제화되어 한국의 형사사법시스템 내에서 형사적 갈등해결의 메커니즘으로서 작동하고 있다. 경찰단계에서도 소년사건의 처리와 관련하여 회복적 사법 프로그램 중 하나인 회합 프로그램에 대한 실험적 시도가 이루어졌지만, 아직까지 법제화되거나 제도적으로 정착하지는 못했다. 더욱이, 성인 사건처리와 관련해서는 실천적 노력은 고사하고 아직 학계에서의 논의조차 부족한 실정이다. 반면에, 외국의 경우, 경찰단계에서는 주로 회복적 사법 실천모델중 하나인 회합모델에 속하는 가족회합 프로그램이 소년사건에 적용되고 있지만, 독일, 프랑스, 벨기에, 네덜란드 등 유럽에서는 성인 사건에 대해서도 경찰단계에서 조정 제도가 적용되고 있으며, 그 효과성도 입증된 바 있다. 회복적 사법은 형사절차의 각 단계에서 실현될 수 있고, 형사적 갈등발생 초기단계인 경찰단 계에서 회복적 사법이 성공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감안할 때 이는 매우 안타까운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성인 형사사건 처리와 관련하여 경찰단계에서 도입 가능한 회복적 사법 제도로서 조정 제도의 방식 및 실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한국에서 성인사건 처리에 있어 경찰단계에서 조정 제도를 구현하는 방식으로 경찰단계 형사조정 제도 (재)도입, 경미범죄심사위원회와 조정 제도와의 연계, 이웃 간 조정제도 도입 세 가지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가 경찰단계에서의 회복적 사법의 구현에 관한 논의의 활성화 및 정책적으로 실무현장에서 관련 정책을 도입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기여하기를 희망한다. Emerged in 1970s, the restorative justice became the major criminal policy in all around the world. The South Korea is not the exception of this phenomenon. In South Korea, the criminal mediation at the stage of prosecution and recommendation of reconciliation at the stage of court is legislated and implemented as a mechanism of solution of criminal conflicts in the criminal justice system. At the police stage, pilot program of family group conferences which is applied to the juvenile delinquency is accomplished, but this restorative justice program in not yet institutionalized in field. Moreover, the academic discussions about the application of restorative justice in the treatment of adult cases is not sufficient and the practical efforts related is not yet tried. But in several european countries such as the Germany, the France, the Belgium and the Netherlands, mediation programs in treating adult cases are applied in the police stage. This situation is very tantalizing because the restorative justice can be implemented in every stage of criminal procedure and possibilities of his success is more higher in tha police stage than other stage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ropose the schemes of introduction of mediation models applicable to adult cases at the police stages. these schemes are three. First, we propose the application of the existent criminal mediation implemented in stage of pre-prosecution at the police level. Secondly, we propose the connection of methods of mediation and the system of committee of examination of minor offences administrated by police. Finally, we propose the introduction neighbourhood mediation to troubles between neighbourhood which can be aggravated to grave crimes at the police level. And we suggest the legislative and systemic plans of amelioration to introduce and implement effectively these mediation methods we proposed. We hope that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activate the academic discussions about the realization of restorative justice at the police level and to introduce the concerned programs in practice.

      • KCI등재

        Etude sur la justice restaurative en France

        Kim Moonkwi(김문귀) 한국법학회 2016 법학연구 Vol.63 No.-

        이 연구는 형사조정 처분을 중심으로 프랑스의 회복적 사법을 비판적인 관점에서 다루고 있다. 형사조정의 현 실무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이 연구는 프랑스의 회복적 사법의 문제점과 회복적 사법 분야와 관련해서 프랑스가 보여주고 있는 불완전성과 유보의 원인을 밝히고, 프랑스 형사체계내에 회복적 사법이 성공적으로 자리를 잡고 통합될 수 있도록 해주는 바람직한 일반적 지향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회복적 사법이 프랑스에 존재하고 있음은 의문의 여지가 없고 발전될 가능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회복적 사법은 아직 프랑스 형사체계에 진정으로 스며들어 있지 않다. 이러한 진단은 무엇보다도 프랑스에서 적어도 이론상으로는 회복적 사법 모델과 가장 근접한 회복적 사법 처분으로 제시되는 형사조정의 잘못되고 불완전한 적용에 의해 증명된다. 이 연구는 국가/사법 주도의 회복적 사법이 초래할 수 있는 악영향과 위험을 명백하게 보여주고 있다. 사법기관(검찰)에 의해 도구화됨으로써, 형사조정은 본연의 회복적 지향점과 목표를 잃어버리게 되고, 조정자와 조정기관 등 형사조정을 실행하는 사람들은 사법기관의 그늘 하에서 자율성을 거의 갖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형사적 분위기 속에서, 새로운 법을 만들거나 새로운 처분을 도입하는 것만으로는 회복적 사법이 프랑스 형사체계 내에 진정으로 자리를 잡고 발전되기에는 불충분할 것이다. 중요한 것은 형사사법의 전문가들의 사고방식의 변화를 통해 그들이 갖고 있는 회복적 사법에 대한 주저함이나 저항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또한, 현 시점에서 중요한 것은 회복적 사법의 철학을 재고하고 실행중인 회복적 처분들이 진정한 회복적 처분으로 다시 태어나게 하게끔 그것들을 회복적 이념에 맞게 올바르게 적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근본적인 변화 혹은 혁신 없이는 프랑스에서의 회복적 사법은 매우 오랫동안 지배적 형사체계의 주변에서 실험적인 것 혹은 부가적인 것으로서만 작동할 것이다. 놀랍게도, 프랑스의 형사조정이 갖고 있는 문제점들은 2007년 말부터 한국에서 전국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검찰 단계의 형사조정실무가 갖고 있는 문제점들과 매우 흡사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제시된 프랑스의 형사조정, 더 나아가 회복적 사법의 발전을 위한 개선방안들은 한국에서의 형사조정 그리고 회복적 사법의 발전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다. This recherch treat, in the critical point of view, restorative justice in France by focusing on the measure of penal medi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urrent practice of penal mediation, this study aims to address problems of the French restorative justice and reasons of french imperfection and reserve in matter of restorative justice, and provide general and relevant guidance for the restorative to be successfully implanted and integrated in the criminal justice system in place. Despite its indisputable presence and development opportunity in France, restorative justice has not truly permeated its penal system. This diagnosis is evidenced, among other things, by the misguided and flawed implementation of penal mediation, presented in France, at least in theory, as a measure of restorative justice most closer to the restorative justice models. Thus, this research clearly shows the harmful effects and dangers that restorative justice dominated by the state and judicial institution could result. Instrumentalised by the judicial institution(prosecutors), penal mediation measure loses its specific restorative aims and objectives. And, in the shadow of the judicial institution, the actors who implement dont have any autonomy in relation to the institution. In this criminal climate, make a new law or introduce a new measures can not be sufficient for restorative justice to be truly implanted and developed within the French penal system. The mentality change among criminal justice professionals in place is critical to minimize a great reluctance and resistance against the restorative justice. In addition, the important thing to do at this time, is to rethink the philosophy of restorative justice, to apply properly restorative measures for them to be reborn as the authentic restorative measures. Without these fundamental changes or reforms, restorative justice would be condemned in France more or less for a long time to serve as a reservoir for experiments or accessories of the dominant criminal justice system. Very surprisingly, most of the problems of the French penal mediation identified in this research are common to the South Korean penal mediation which is at work since 2007. Therefore, all findings and/or recommendations on restorative justice in France mentioned in this research are instructive for the desirable development of penal mediation and restorative justice in South Korea.

      • KCI등재후보

        회복적 사법과 변호인의 역할

        김문귀(Kim, Moon-Kwi) 한국법이론실무학회 2018 법률실무연구 Vol.6 No.3

        회복적 사법은 전통 형사사법시스템의 문제점․부작용 등에 대한 대안으로 등장하였으며, 40여 년 전부터 전 세계 형사사법개혁의 원동력이 되어 왔다. 회복적 사법 절차에는 범죄피해자, 가해자, 이들의 가족, 조정자 혹은 진행자, 지역사회 구성원, 경찰, 검찰, 변호사, 판사, 교정공무원 등 다양한 사람들이 참여한다. 참여자들의 범위와 절차에서 차지하는 위치 및 역할은 회복적 사법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특정한 상황에 따라 그리고 회복적 사법의 특정한 모델에 따라 상이하지만 모든 참여자들은 새로운 프로그램을 기획하거나 기존 프로그램의 실행에서 회복적 사법의 요소를 증대시키거나 강화하는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들에서 다루고 있지 않은 회복적 사법의 실행에 있어 변호사가 차지해야 되는 위치 및 수행해야 하는 역할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회복적 사법 실천 프로그램에 내재되어 있는 위험 및 문제점을 논의하면서 이에 따른 변호사의 참여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다음으로 원론적 차원에서 회복적 사법 프로그램의 실행에서 변호사가 언제 개입해야 하고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현재 한국의 대표적인 회복적 사법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는 제도인 형사조정과 화해권고와 관련하여 변호인의 개입 방식 및 시기 그리고 변호인 참여의 제도화 수준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회복적 사법이 갖고 있는 잠재적인 위험, 즉 피해자와 관련된 위험, 정형성을 결여한 절차가 갖는 문제점 그리고 힘의 불균형의 문제 등을 해소하기 위하여 변호인이 할 수 있는 역할은 크다고 할 수 있다. 변호인 개입의 방식과 관련해서는, 변호인들은 사건 당사자들의 대리인으로서 회복적 절차에 관여해서는 안된다. 대신에 변호인들은 법적인 측면에 대해 당사자들에게 상담을 해 줄 수 있는 조력인 혹은 관찰자로서 참여해야 한다. 개입의 시점과 관련해서는, 변호인은 회복적 절차의 전 과정에 존재해야만 할 필요는 없고, 당사자들 간의 만남 이전과 이후에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회복적 사법 절차에서의 변호인의 역할을 입법화할 필요까지는 없으며 실무적인 수준에서 프로그램 수행 기관 내부 지침 등을 통해 변호인이 어떤 자격으로 어떤 시점에 어떤 방식으로 회복적 사법 절차에 개입할 수 있을 것인지를 규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Restorative justice has emerged as an alternative to the problems and side effects of the traditional criminal justice system and has been the driving force of criminal justice reform around the world for over 40 years. The process of restorative justice involve a variety of people including victims of crime, perpetrators, their respective families, mediators or facilitators, community members, police, prosecutors, lawyers, judges and officials of correctional services. The scope and role of the participants in the process depend on the specific situation in which the restorative justice program is implemented and on the specific model of restorative justice. But, all participants should play a role in planning new restorative programs, or in augmenting or strengthening restorative justice elem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position and role of lawyers in the implementation of restorative justice, which is not covered in previous studies. In this study, first, the potential risks and problems inherent in restorative justice practices were discussed and the relevant necessity of lawyers was examined. Next, we talked about when lawyers should intervene and what role they should play in the implementation of restorative justice programs. Finally, we discussed the extent to which the lawyers` participation would be acknowledged in relation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south korean restorative justice systems, and discussed how to institutionalize lawyers’ participation. As a result, the role of lawyers in resolving the potential risks of restorative justice, ie, the risks associated with the victim, the problems of process lacking formalism, and the problem of power balance, can be said to be large. With regard to the manner of lawyers’ intervention, they should not be involved in the restorative process as representatives of the parties in stake. Instead, they should participate as an assistant or observer who consult the parties on the legal side. With respect to the timing of their intervention, the lawyers does not have to be present throughout the restorative process, but rather should be done before and after the restorative meeting between the parties. In regard to such involvement of lawyers in restorative justice process, there is no need to legislate the role of lawyers in South Korea. In stead of legislation, the qualification of lawyers and their intervention timing in restorative justice process should be discussed in the practical level.

      • KCI등재

        A Study on Measures for Prevention of Shoplifting from a Point of View of Criminal Justice Theories

        Kim, Moonkwi(김문귀),Lee, Bonghang(이봉행) 한국법학회 2017 법학연구 Vol.65 No.-

        상점절도란 ‘고객이나 고객으로 가장한 사람에 의해 상점에서 영업시간에 발생하는 절도’를 의미하며, 상점절도에 의한 피해는 상품의 도난에 국한되지 않고, 소매상들(retailers)은 범죄예방에 많은 비용을 지불해야하며, 일반소비자는 피해금액이 반영된 높은 상품가격을 지불해야 하며, 국가의 형사사법체계에도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 이처럼 상점절도 문제가 심각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경미하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고, 상점절도에 대한 대응은 거의 민간영역에서만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민간기업의 조치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범죄학 이론을 적용하여 상점절도의 원인을 규명하고, 이를 통해 도출된 시사점을 상점절도 예방책에 반영할 필요가 있으며, 그것이 바로 이 연구의 목표이다. 이 연구에서는 범죄학 이론의 근간인 고전주의와 실증주의를 통해 상점절도 행위의 원인을 규명하고, 고전주의와 실증주의를 통해 도출한 시사점을 상점절도 예방에 적용하는 방안을 고찰할 것이며,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회 안에서의 미시적, 거시적 차원의 상점절도 예방을 위한 범죄학적 해결책을 제시할 것이다. 미시적 차원에서의 상점절도 예방책은 상점 내에서의 예방을 의미하며, 고전주의의 선택의 관점에서는 목표물 강화: 보안시설물 설치 및 직원의 경각심 강화, 실증주의 중 내부원인의 관점에서는 보호관찰기관과의 협조 및 치료 과정 운영: 범죄자가 문제를 확인하고 통제할 수 있도록 지원, 실증주의 중 외부원인의 관점에서는 지역사회 개선에 기여: 사회에 되돌려 주기이다. 거시적 차원에서의 상점절도 예방은 고전주의의 선택의 관점에서는 다른 상점주들과의 교류: 범죄자 프로파일 및 효과적인 범죄예방책 수립, 실증주의 중 내부원인의 관점에서는 범죄성 관념의 재정립: 범죄자 처벌보다 범죄를 위협, 형사사법제도의 개혁, 실증주의 중외부원인의 관점에서는 기존의 사회적 가치 및 목표의 재정립: 사회의 재설계, 개인으로부터 사회경제적 압력의 제거이다. Shoplifting is defined as “an activity of theft in shops during business hours by customers or those who pretend to be customers,” and the loss by shoplifting is not limited to theft of goods. Retailers should spend heavy cost on prevention of the crime and common consumers should purchase goods of higher price in which the cost is reflected. Also, shoplifting imposes burden of solving crimes on the national criminal justice system. However, South Korea has not considered the problem of shoplifting significantly, and responses to shoplifting have been performed almost by private sector. In order to secure the efficiency of the measures of private sector, it is important to apply criminological theories to establish causes of shoplifting and to reflect the consequent implications in prevention of shoplifting, which 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n this study, the causes of shoplifting are identified via classicism and positivism, the two bases of criminological theories, measures for the implications from classicism to be applied to prevention of shoplifting are considered, and lastly, criminological solutions to the problem of shoplifting at micro and macro levels in society are presente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the micro level, prevention of shoplifting may indicate crime prevention in the retail environment, and the solutions may include 1) target hardening such as install security measures and heighten staff awareness from the choice of classicism, 2) liaise with probation services and run therapy sessions: help offender identify and control problem from the internal cause of positivism, and 3) contributing towards community improvement such as putting something back into society from the external cause of positivism. In the macro level, prevention of shoplifting may indicate crime prevention in social level, and the solutions may include 1) liaise with other retailers such as establishing offender profiles and most effective methods of crime prevention from the choice of classicism, 2) reestablishment of the notion of criminality such as threatening crime rather than punishing the criminal & reforming the criminal justice system from the internal cause of positivism, and 3) deconstruction of the existing social values and goals such as reformulating society and removing socio-economic pressure from the individual from the external cause of positivism.

      • KCI등재후보

        회복적 경찰활동에 관한 연구 - 회복적 경찰활동 관련 위법성 및 책임 문제를 중심으로 -

        김문귀(Kim, Moon-Kwi) 한국법이론실무학회 2020 법률실무연구 Vol.8 No.3

        2019년 경찰청에서는 회복적 경찰활동 추진계획을 수립하고 구체적인 실천 프로그램으로서 ‘회복적 대화’를 시범운영한 데 이어, 2020년 상반기부터는 이 프로그램을 전국 경찰관서로 점진적으로 확대 실시하고 있는 등 회복적 경찰활동의 안착 및 제도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회복적 경찰활동이 성공적으로 실무에 안착되고 제도화된다면 향후 경찰단계에서의 지역사회의 대안적인 갈등․분쟁 해결 패러다임이자 실천방식으로서 작동할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 성공적인 회복적 경찰활동의 도입 및 제도화를 위해서는 해결되어야 할 과제들이 산적하다. 응보와 처벌 중심의 전통적 경찰활동에 입각한 경찰관들의 인식전환, 제도 운영에 필요한 인력 및 재원 확보, 경찰 대내외적 공감대 형성, 다른 사법·행정기관의 협조, 법제화 등이 그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해결과제 중에서 회복적 경찰활동에 대한 경찰 대내외적 공감대 형성과 관련된 문제로서 현재 추진 중인 회복적 경찰활동을 둘러싸고 제기되고 있거나 제기될 수 있는 법적 논란에 대해서 다루고자 한다. 이러한 논란은 주로 회복적 경찰활동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형사사건 및 갈등에 대한 경찰관의 중재 노력의 위법성 및 그에 따른 경찰관 등의 책임문제와 관련되어 있다. 즉, 경찰의 회복적 개입이 직무유기나 직권남용에 해당한다거나, 민사관계불간섭 원칙에 위배된다거나 변호사법 위반에 해당한다는 논란이 그것이다. 현장경찰관들 사이에는 이러한 법적 논란으로 인한 형사·징계책임에 대한 우려로 인해 제도 운영에 소극적인 태도를 취할 수 있어 회복적 경찰활동의 안정적 도입·발전을 가로막는 장애물이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법적 논란들의 내용을 검토하고 이에 대한 대응논리를 제시한다. In 2019, the South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established a plan to promote restorative policing. And, as a concrete action program, ‘restorative dialogue was piloted. From the first half of 2020, the program has been gradually expanded to national police departments, accelerating the establishment and institutionalization of restorative policing. If restorative policing in South Korea are successfully settled and institutionalized, it is expected to act as an alternative conflict resolution paradigm and practice in the community at the police level in the future. However, there are many challenges to be solved in order to successfully introduce and institutionalize restorative policing in South Korea. These include changing the perceptions of police officers based on traditional police activities centered on retribution and punishment, securing manpower and resources necessary for operating the system, forming consensus inside and outside the police, cooperating with other judicial and administrative agencies, and enacting legislation. This study aims to address the legal controversy that may or may not have been raised around the current restorative policing as a problem related to the formation of consensus inside and outside the police regarding restorative policing. This controversy is mainly related to the illegality of police officers mediation efforts in criminal cases and conflicts through restorative policing, and thus the responsibility of police officers. That is, controversy is that the restorative intervention of the police is a violation of the principle of non-interference in civil relations, or violation of Attorneys-at-Law Act. Due to concerns about criminal and disciplinary responsibilities due to such legal controversy among field police officers, they can take a passive attitude toward the operation of the system, which can be a barrier to the stable introduction and development of restorative police activities. In this study the content of these legal controversies will be reviewed and a response logic will be presented.

      • KCI등재후보

        회복적 경찰활동의 올바른 방향성 정립

        김문귀(Kim, Moon-Kwi) 한국법이론실무학회 2021 법률실무연구 Vol.9 No.2

        본 연구에서는 최근 경찰청에서 추진 중인 회복적 경찰활동의 추진 내용 및 체계를 검토하고, 한국형 회복적 경찰활동이 효과적인 갈등해결 접근법으로 자리매김 하기 위해 견지해야 할 이념적․실천적 지향점을 제시하고자 했다. 이념적 측면에서, 회복적 경찰활동은 회복적 사법의 이념과 원리에 충실한 접근법이어야 하고, 경찰활동의 새로운 철학․패러다임으로 자리매김해야 하며, 전통적 경찰활동 또는 기존 형사사법절차를 보완하는 수단으로 활용되어야 한다. 실천적 측면에서, 회복적 경찰활동은 주체, 목적, 대상, 수단․방식에 있어 다음과 같이 설정되어야 한다. 주체의 측면에서, 회복적 경찰활동은 사건 당사자가 주체가 되는 방식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목적과 관련해서 회복적 경찰활동은 인본주의적 대화중심 접근법을 추구해야 한다. 대상의 측면에서 회복적 경찰활동은 범죄에 대한 사후처리뿐만 아니라 범죄예방 목적으로도 활용되어야 하며 경찰활동의 全단계에 걸쳐서 중한 범죄에도 적용하는 등 그 적용범위를 확장시키고 다양화해야 한다. 수단․방식과 관련해서는 회복적 경찰활동은 쉽고 탄력적인 접근방식이어야 하고, 경찰에 의해 주도되어서는 안되며, 프로그램의 작동방식을 다양화해야 하며, 성과위주의 제도운영방식에서 탈피해야 한다. This study attempted to review the contents and system of the recently promoted restorative policing undertaken by the South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and to present the ideological and practical directions that should be maintained in order to establish the South Korean-style restorative policingas an effective conflict resolution approach. In terms of ideology, restorative policing should be an approach that is faithful to the ideologies and principles of restorative justice, and should be positioned as a new philosophy and paradigm for policing, and used as a means to complement traditional policing or criminal justice procedures. In practical terms, restorative policing should be set as follows in terms of subject, purpose, object, means and method. On the subjects side, restorative policing should be operated in such a way that the party to the case is the subject. Regarding the purpose, restorative policing should pursue a humanist dialogue-centered approach. In terms of targets, restorative policing should be used not only for the post-treatment of crimes, but also for crime prevention purposes, and the scope of application should be expanded and diversified by applying them to serious crimes throughout all stages of policing. Regarding the means and methods, restorative policing should be an easy and flexible approach, should not be led by the police, diversified the way programs operate, and should break away from the performance-oriented system ope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