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UCC 영상 콘텐츠 공모전 수요자 이해분석을 통한 공모지침 개선방안 연구

        하승용(Ha, Seungyong)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21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ol.23 No.-

        본 연구는 UCC 영상 콘텐츠 공모전 수요자의 이해분석을 통한 UCC 영상 콘텐츠 공모전의 공모지침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공모전 사이트를 통해 2020년 한 해 동안 국내에서 진행된 영상 콘텐츠 공모전 현황을 파악하고, 영상 전공 대학생 집단 및 비전공 대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UCC 영상 콘텐츠 공모전을 제작하였으며 UCC 영상콘텐츠에 대한 이해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공모 기간은 공모 주최기관의 상황 및 일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영상 길이에 따라서도 달라져야 한다. 영상길이에 따른 공모기간 설정은 수요자에게 질 높은 UCC 영상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또한 학년제 기준으로 초·중·고·대학생 및 일반인으로 연령을 구분하고 제한 경쟁방식 공모전을 시행하는 타 분야의 공모전처럼 전공자 집단과 비전공자 집단의 공모자격 분류하여 제시한다면 수요자의 참여도가 높아질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UCC 영상 콘텐츠의 이해 및 공모 참여 확대를 위해 영상 제작 교육이 필요시 되며 이는 공모전 경쟁력을 높이며 공모기획 및 취지를 널리 알릴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다수의 기관 및 단체에서 일관된 공모지침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는 없으나 공모전 시행담당자가 본 연구에 대한 공감과 수용적 자세가 전제된다면 보다 나은 공모지침으로 영상 콘텐츠 공모전의 기대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ims to present measures to improve the competition guidelines for UCC video content contest through analysis of the interests of the UCC video content contest consumers. Through the competition site, the status of the video content contest held in Korea in 2020, the UCC video content contest was produced for the video college student group and the non-major college student group, and the understanding of UCC video contents was investigated. As a result, the duration of the contest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situation and schedule of the host organization of the contest and should also vary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video. Setting a public offering period according to video length will provide consumers with the opportunity to produce high-quality UCC video content. In addition, consumers" participation is expected to increase if they classify and present qualifications for competition among major and non-major groups, such as contests in other fields that distinguish ages by elementary, middle, high, and university students and the general public. Finally, video production training is needed to understand UCC video content and expand participation in the contest, which will increase the competitiveness of the contest and promote the plan and purpose of the contest. Although consistent public offering guidelines cannot be applied equally by many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it is believed that if the competition"s implementers sympathize and acceptable attitude with this study, better public offering guidelines will achieve the expected effect of the video content contest.

      • KCI등재

        코로나19 이후 K-영상콘텐츠 소비량의 변화가 영상콘텐츠에 대한 태도, 제품구매, 방한 및 추천 의도에 미치는 영향: 중국 및 일본 MZ세대를 중심으로

        김준국,김도희 대한경영학회 2023 大韓經營學會誌 Vol.36 No.9

        코로나19의 장기화로 대부분의 산업은 위기에 처했지만 콘텐츠·미디어 분야는 전 세계적으로 글로벌 OTT 플랫폼을 중심으로 관련 산업이 급성장하면서 한류 소비자들의 K-콘텐츠 소비가 증가하였다. 기존의 한류 콘텐츠에대한 연구는 주로 K-pop과 드라마를 중심으로 한 연구에 치중되어 있거나 한류 콘텐츠 전체를 대상으로 하고있는 연구가 대부분으로 한국 영상매체만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중국과 일본의MZ세대를 대상으로 코로나19 발생 이전 대비 소비량이 증가한 상위 3개의 문화콘텐츠로 조사된 K-영상콘텐츠(드라마, 영화, 예능)의 소비량 변화가 영상콘텐츠에 대한 태도, 제품구매, 방한 및 추천의도에 어떠한 영향을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중국과 일본의 MZ세대는 코로나19 이후 K-영상콘텐츠(드라마와영화)의 소비량 변화가 영상콘텐츠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코로나19 이후의 K-영상콘텐츠소비량의 변화가 한국제품구매, 방한 및 추천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국과 일본의MZ세대 모두 한국제품 구매의도와 방한의도에 대해서는 예능, 드라마, 영화에 대한 태도 모두가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나타났고, 한국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추천의도에 대해서는 드라마와 예능에 대한 태도만이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중국 및 일본 MZ세대간 한류 영상콘텐츠에 대한 태도, 제품 구매의도, 방한의도및 추천의도 모두 중국 MZ세대가 일본 MZ세대보다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의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첫째, 전통적인 한류 핵심 시장인 중국과 일본에서 한류와K-영상콘텐츠의 수요가 꾸준하며, 이 시장을 적극적으로 유지·발전시킬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본연구결과는 중국과 일본에 새로운 한류 붐을 일으키기 위해서는 국가별로 비중을 두어야 할 영상콘텐츠에 차이를두어야 하며, 국가별 및 세대별로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해야 함을 시사한다. 셋째, 정치적 상황에 구애받지않으면서 SNS를 활용하여 한류를 적극적으로 즐기는 MZ세대의 소비패턴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고, 이들을 위한홍보 및 마케팅 접근 방법을 정비하고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이제는 코로나 19 이후를 위한 코로나엔데믹 한류마케팅 정책을 수립해야 할 시점이다. Most industries have been in crisis due to the prolonged impact of COVID-19, but in the content and media field, K-content consumption by Korean Wave (Hallyu) consumers increased as related industries grew rapidly around the global OTT (Over the Top) platform. According to the 2022 Global Hallyu Trend Data from the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KOFICE), content that requires face-to-face consumption, such as beauty, fashion, and food, has decreased as compared to the years prior to the COVID-19 outbreak in 2020, while consumption of non-face-to-face Hallyu video content has increased significantly. Although COVID-19 has had a negative impact on the consumption of some Hallyu content, it has had a positive effect on Korean video content such as dramas, movies, and entertainment, giving Hallyu content an opportunity to attract more attention than prior to COVID-19.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the impact of Korean Wave content on the image of Korea, product purchase intention, and intention to visit Korea. In addition, most of the existing studies on Korean Wave content have focused on K-pop and dramas or on the entire Korean Wave content, so studies that only target Korean video content (drama, movie, and entertainment) have been rarely conducted. To fill this research gap,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d the effects of changes in K-video content consumption after COVID-19 on attitudes toward K-video content, product purchase intentions, and intentions to visit Korea, as well as recommendation intentions, with a particular focus on the MZ generation in China and Japan. Based on an online survey conducted from November 5 to December 8, 2021, responses from MZ generation members in China (450 samples) and in Japan (375 samples) were analyzed. Four main empirical results emerged. First, among the MZ generation of China and Japan, changes in consumption of K-video content (drama and movie) after COVID-19 affected their attitudes about K-video content. Second, changes in K-video content consumption after COVID-19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urchase of Korean products, visits to Korea, and intentions to recommend Korean products and services. Third, in both the Chinese and Japanese MZ generations, attitudes toward entertainment, dramas, and movies have an effect on the intentions to purchase Korean products and visit Korea. Only attitudes toward dramas and entertainment were found to have an effect on the intentions to recommend Korean products or services. Finally, among the Chinese and Japanese MZ generations, the Chinese MZ generation had stronger propensity than the Japanese MZ generation in attitudes toward K-video content, product purchase intentions, and visiting Korea, as well as recommending Korean products and services. This study offers several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continuous and stable expansion of the Korean Wave. First, it shows that the demand for Korean Wave and K-video content is steady in China and Japan, which are traditional Korean Wave core markets, and that these markets need to be actively maintained and developed. Secon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 order to create a new Hallyu boom in China and Japan, it is necessary to differentiate K-video content for each market and that content should be weighted toward and supported by differentiated marketing strategies for each country and generation. Third,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consumption patterns of the MZ generation, who actively enjoy K-video content by using social media (SNS), regardless of the political situation, and to improve publicity and marketing approaches for them and build a system. Last, now is the time to establish a Hallyu marketing policy for the post-COVID-19 economy.

      • KCI등재

        케이팝(K-Pop) 영상콘텐츠 이미지의 기호학적 해석 방탄소년단(BTS) 뮤직비디오를 중심으로

        강정빈,이상원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9 애니메이션연구 Vol.15 No.3

        Recently, as the era of video is opened based on various platforms such as ‘YouTube’, video contents are attracting attention among the many ‘K-Pop’ culture related contents. In particular, ‘music video’ is the official video content created by the entertainment agency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its idol group, and has become the main content of the spread of K-pop culture. Meanwhile, the male idol group ‘BTS’ is a K-pop idol group that has been recognized worldwide and has formed a unique fandom. BTS is creating new cultural phenomena on the road to unprecedented success not only in Asia, but also in the US and Europe. One of their success factors is video content for fans. Especially, the music video that has made their image by conveying the meaning and philosophy contained in the lyrics is considered to be content that has value of research beyond mere promotion. Therefore, the research on music video of BTS can suggest the topic for the successful production and diffusion of K-pop video contents. This paper attempts to interpret the images expressed in BTS’s music video with semiotic view and approach. For this purpose, the images represented in the music video were analyzed through semiotic theory of Ferdinand de Saussure and Roland Barthes. As a result, binarity elements could be found in the expressions of space, figures, objects, and colors. And in terms of integration, the meaning of denotation and connotation could be extracted. As such, not limited to superficial images by considering the message embedded in the music video, it was possible to grasp which video contents could make the successful idol group. It is expected that analyzing the semiotic meaning of video contents that can be sympathized across borders will be the first step in planning and producing K-pop video contents in the future 최근 ‘유튜브(YouTube)’ 등 다양한 플랫폼을 바탕으로 상의 시대가 열리면서 ‘케이팝(K-Pop)’ 문화와 관 련된 콘텐츠 중에서도 상콘텐츠가 주목받고 있다. 특히 ‘뮤직비디오(music video)’는 연예기획사에서 자사의 아이돌을 홍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드는 공식적인 상콘텐츠로서, 케이팝 문화 확산의 중심 콘텐츠로 자 리 잡고 있다. 한편, 남성 아이돌 그룹 ‘방탄소년단(BTS)’은 세계적으로 실력을 인정받으며 독보적인 팬덤 (fandom)을 형성한 케이팝 아이돌 그룹이다. 아시아는 물론, 미국과 유럽에서도 전에 없던 성공 가도를 달리며 새로운 문화현상을 만들어 낸 방탄소년단의 성공요인 중 하나는 팬들을 위한 상콘텐츠라 할 수 있다. 특히 가사 에 내포된 의미와 철학을 전달하고 그들의 이미지를 만들어온 뮤직비디오는 단순한 홍보차원을 넘어 연구의 가치를 지닌 콘텐츠로 판단된다. 따라서 방탄소년단의 뮤직비디오에 대한 연구는 성공적인 케이팝 상콘텐츠의 생산 과 확산을 위한 화두를 제시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케이팝 상콘텐츠인 방탄소년단의 뮤직비디오에 표현된 이미 지를 기호학적 시각과 접근으로 해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소쉬르(Saussure)와 바르트(Barthes)의 기호학적 이론을 통하여 뮤직비디오의 상을 분석하다. 연구 결과, 공간·인물·오브제·컬러의 표현에서 이항대립적 요소들을 찾아볼 수 있었으며, 통합적인 측면에서 외시의미와 공시의미를 추출할 수 있었다. 표면적인 이미지에 국한된 연구가 아닌 뮤직비디오에 내포된 메시지를 고려한 본 연구를 통하여 성공적으로 케이팝 아이돌을 뒷받침한 상콘텐츠가 어떠한 모습인지 파악할 수 있었다. 국경을 뛰어넘어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상콘텐츠의 이미 지란 어떠한 기호학적 의미를 가지는지 분석한 본 연구가 향후 케이팝 상콘텐츠를 기획하고 제작하는 단계에서단초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 모바일 동영상 콘텐츠의 브랜드화 특성 연구

        신희연,정원식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15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ol.0 No.-

        Mobile Video Contents Brand Strategy Shin, Hee-Yeun, Jung Won Sic The public get a better accessibility to the information and became friendlier with smart devices. Due to these reasons, the market of mobile video contents could grew rapidly. The concept of MCN can be an example which shows the market possibility of mobile video contents. Therefore, we tried to organize the characteristics of mobile contents brand strategy. Before that, we first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mobile contents and its industry. We conclude that mobile video contents have simultaneously the characteristics of a product and service. And we found out that mobile video contents act as an experience good, also. The characteristics of its industry was the cross-over phenomenon and the importance of mobile video contents itself. We suggested storytelling marketing (internal aspect) and IMC (external aspeact) as a tool of brand marketing of mobile video contents. We thought that storytelling marketing can establish a marketing strategy which take mobile video contents as search goods and make the content itself a brand. And we thought that IMC can be used to promote some interactive communication and differentiate the plaform of mobile video contents. <72sec. TV> is one of the most successful examples that we can apply our marketing suggestion. With our suggestion. this paper can be meaningful in the aspect of what it draw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mobile video contents brand strategy and its importance. 모바일 동영상 콘텐츠의 브랜드화 특성 연구신희연, 정원식정보의 접근성이 쉬워지고 스마트 기기가 대중화되면서 모바일 동영상콘텐츠에 대한 수요는 급증하였다. 모바일 동영상 콘텐츠 제작자를 대상으로 하는 MCN형 기업의 등장은 이러한 이들의 시장 가능성을 보여주는 단적인 예이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모바일 동영상 콘텐츠의 특성으로는 재화와 용역의 성질을 동시에 갖고 있다는 것과 경험재로써의 특성을 가진다고 정리하였다. 또, 그의 산업적 특성으로는 크로스 오버 현상을 바탕으로 콘텐츠자체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크다는 것으로 정리하였다. 본 고는 이러한 특성을 반영하여 모바일 동영상 콘텐츠의 브랜드화 전략으로 크게 내적인 측면에서 스토리텔링 마케팅과 외적인 측면에서 통합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을 방안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스토리텔링 마케팅에서는 탐색재로써의 마케팅 전략수립과 모바일 동영상 콘텐츠 자체의 브랜드화 도모라는 방향성을, 통합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에서는 쌍방향적 커뮤티케이션의 도모와 모바일 동영상 콘텐츠 플랫폼의 차별화라는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이를 적용시켜 모바일 동영상 콘텐츠의 브랜드화 전략의 성공사례로 <72초 TV>를 분석하였다. 본 고는 모바일 동영상 콘텐츠의 브랜드화 전략의 특성에 대한 선도적고찰과 함께 이에 대한 본격적인 도입의 필요성을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그의의를 가지고자 한다.

      • KCI등재

        모바일 동영상 콘텐츠의 브랜드화 특성 연구

        신희연(Shin, Hee-Yeun),정원식(Jung Won Sic)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15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ol.9 No.-

        정보의 접근성이 쉬워지고 스마트 기기가 대중화되면서 모바일 동영상콘텐츠에 대한 수요는 급증하였다. 모바일 동영상 콘텐츠 제작자를 대상으로 하는 MCN형 기업의 등장은 이러한 이들의 시장 가능성을 보여주는 단적인 예이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모바일 동영상 콘텐츠의 특성으로는 재화와 용역의 성질을 동시에 갖고 있다는 것과 경험재로써의 특성을 가진다고 정리하였다. 또, 그의 산업적 특성으로는 크로스 오버 현상을 바탕으로 콘텐츠 자체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크다는 것으로 정리하였다. 본 고는 이러한 특성을 반영하여 모바일 동영상 콘텐츠의 브랜드화 전략으로 크게 내적인 측면에서 스토리텔링 마케팅과 외적인 측면에서 통합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을 방안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스토리텔링 마케팅에서는 탐색재로써의 마케팅 전략수립과 모바일 동영상 콘텐츠 자체의 브랜드화 도모라는 방향성을, 통합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에서는 쌍방향적 커뮤티케이션의 도모와 모바일 동영상 콘텐츠 플랫폼의 차별화라는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이를 적용시켜 모바일 동영상 콘텐츠의 브랜드화 전략의 성공사례로 <72초 TV>를 분석하였다. 본 고는 모바일 동영상 콘텐츠의 브랜드화 전략의 특성에 대한 선도적 고찰과 함께 이에 대한 본격적인 도입의 필요성을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가지고자 한다. The public get a better accessibility to the information and became friendlier with smart devices. Due to these reasons, the market of mobile video contents could grew rapidly. The concept of MCN can be an example which shows the market possibility of mobile video contents. Therefore, we tried to organize the characteristics of mobile contents brand strategy. Before that, we first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mobile contents and its industry. We conclude that mobile video contents have simultaneously the characteristics of a product and service. And we found out that mobile video contents act as an experience good, also. The characteristics of its industry was the cross-over phenomenon and the importance of mobile video contents itself. We suggested storytelling marketing (internal aspect) and IMC (external aspeact) as a tool of brand marketing of mobile video contents. We thought that storytelling marketing can establish a marketing strategy which take mobile video contents as search goods and make the content itself a brand. And we thought that IMC can be used to promote some interactive communication and differentiate the plaform of mobile video contents. 〈72sec. TV〉 is one of the most successful examples that we can apply our marketing suggestion. With our suggestion. this paper can be meaningful in the aspect of what it draw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mobile video contents brand strategy and its importance.

      • KCI우수등재

        중국 짧은 동영상 스토리텔링에 관한 고찰: PGC형 짧은 동영상 제작사 이티아오(一条) 중심으로

        이동배(Li, Dong-Bei) 인문콘텐츠학회 2021 인문콘텐츠 Vol.- No.63

        현재 짧은 동영상 산업을 선도하는 나라는 중국이다. 짧은 동영상은 바쁜 현대인들의 엔터테인먼트 수요를 만족시키는 동시에, 소통과 공감을 바탕으로 소비자들에게 동영상 메시지의 적극적 수용과 자발적인 확산을 유도하고 있다. 그러나 짧은 동영상은 제한된 시간 내에 수요자들의 이목을 받기 위해 왜곡 또는 과장된 내용이나 저속한 표현, 악의적 페러디 등을 사용하여 보는 이들에게 거부감을 주기도 한다. 중국에서는 짧은 동영상을 제작 유형에 따라 UGC(User Generated Content), PUGC(Professional User Generated Content), PGC(Partner Generated Content) 등으로 나누고 있으며 이중 전문 업체가 제작하는 PGC형 콘텐츠가 최근 주목을 받고 있다. 고품질의 콘텐츠를 다루면서 많은 이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는 점에서 연구적 가치가 높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짧은 동영상을 더 깊이 이해하기 위해, 본 논문은 중국 내에 가장 대표적인 콘텐츠 제작사인 이티아오(一条)가 만든 영상들을 중심으로 스토리텔링 분석을 진행하였다. 패션잡지 스타일을 사용하고 생활의 미학을 강조하며 다큐멘터리 형식으로 제작하는 이티아오만의 짧은 동영상의 소재 선택, 스토리 전개, 영상 언어 등의 특징에 대해서 자세히 분석하였다. 대량으로 생산되는 다양한 콘텐츠들과 경쟁하면서 대중들의 이목을 받으면서도 내적 가치를 지닌 고품질의 콘텐츠를 생산해내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이런 점에서 볼 때 중국의 짧은 동영상 중 전문 업체가 제작하는 PGC형 콘텐츠를 분석해보는 것은 의의가 크다고 보며 향후에도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China. is the one of the leading countries of the short video industry. Short videos can make the busy people Satisfied in modern world, with communication and sympathy. However, to receive the consumer"s attention in a limited time, there are many vulgar short videos content are found, and It is also true that are still a lot copyright issues. In China, a short video is divided into UGC (Professional User Generated Content), Professional User Generated Content (PUGC), PUGC (Partner Generated Content), and Partner Generated Content (PGC). In this paper, we focused on PGC-type content produced by a professional company in accordance with the demand for high quality content in China. High quality content is important to keep video consumption continuously. Therefore, PGC type content produced by a professional company can present one important solution to this. To understand this type of the short video, this paper conducted a storytelling analysis of the images made by yitiao, the most representative content producer in China. they use documentary genre and produced in fashion magazine styles for consumers over the middle class. Looking at the material selection, there is no difficult or heavy topics, mainly dealing with the materials related to daily life. When you deploy the story, there are only one person or perspective on a video, forms a story with a simple plot, and finish it with an open end. we emphasize the energy of color, various shots, delicate screens, and the monologue of the person, and make the background music to match the content.

      • KCI등재

        영상콘텐츠 스토리텔링 기반 문화코드 분석 연구

        이찬욱(Lee Chan Wook),이채영(Lee Chae Young) 인문콘텐츠학회 2011 인문콘텐츠 Vol.0 No.23

        문화콘텐츠 개별 작품에 대한 대중의 흥미와 관심은 단순하게 수치화된 산업계의 수익 결과만으로는 온전한 파악이 불가능하며, 그 결과에 내재된 심층적인 부분을 고려할 때에야 가능하다. 이러한 심층적인 부분은 곧 한 국가의 문화적 무의식 ― 생활습관, 행위의 규범, 판단의 기준, 느낌, 직관, 가치관 등 여러 문화적 요소들의 상호 작용 ― 이라 할 수 있는 문화코드(Culture Code)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처럼 문화콘텐츠 산업 연구는 문화코드 분석과 필연적으로 결부될 수밖에 없으며, 이는 한국이라는 지역에만 국한되어서는 안 된다. 특히 21세기는 글로벌, 글로컬 시대라고 일컬어지고 있는 만큼 문화콘텐츠 제작ㆍ유통ㆍ판매ㆍ소비의 과정이 국경을 넘어 다양한 국가로 이어지고 있으며, 앞으로 이러한 세계 시장 진출은 더욱 확대될 것이다. 이러한 추세를 고려할 때에, 한국의 문화코드 분석뿐만이 아니라, 세계 각국의 문화코드를 파악하는 작업은 한국 문화콘텐츠 기획ㆍ제작ㆍ유통과 관련된 전 산업에서 반드시 필요하며 이는 무궁무진하게 활용될 수 있다. 그런데 기존의 연구에서 개별 문화콘텐츠 작품을 기반으로 한 문화코드 분석에 대한 논의는 있어 왔으나, 이를 일반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법론과 관련된 논의는 찾아보기 힘들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논의의 대상을 영상콘텐츠로 한정하고, 먼저 문화코드를 어떠한 방식으로 파악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의 서사 이론을 비판적으로 수용하여 독자적인 분석 체계를 수립하고자 하였고, 이러한 분석 방식을 한국의 영상콘텐츠, 그리고 문화 산업 교류가 활발한 미국ㆍ일본ㆍ중국의 영상콘텐츠에 대입하여 문화코드 분석 과정의 실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어 이러한 분석 방식이 적용된 문화코드 분석ㆍ추출 시스템 설계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영상콘텐츠 기반 문화코드 분석ㆍ추출 시스템을 통해 도출된 결과는 문화콘텐츠 산업 전반에서 활용될 필요가 있다. 문화코드 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지역에 따른 개별 영상콘텐츠 작품의 수요도를 고려하는 것은, 앞으로의 영상콘텐츠 제작과 해외 시장 진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 및 실패를 최소화하는 것에 기여할 수 있다. It is impossible to understand the public interests on individual cultural contents solely by looking at revenues or other figures provided by the industry. A deeper understanding could be achieved only when the underlying factors of cultural contents are taken into consideration. These underlying factors are closely related to “Culture Code”, which refers to an interaction of a range of behaviors, lifestyles, evaluation standards, emotions, instincts, values and other cultural elements that naturally define a nation’s culture. Research on cultural contents is closely linked with cultural code analysis, and the focus of this field of research should not be limited to Korea. The 21st century is known as a global and “glocal” era in which production, distribution, sales and consumption of cultural contents are expanding beyond national boundaries. Likewise, market penetration of cultural contents is likely to broaden even more in the future. Considering this global trend, analyzing both Korean and other nations’ culture codes is critical in the process of planning, producing and distributing Korean contents. Moreover, this method of analysis can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ways. Although discussions regarding culture code analysis based on individual cultural contents have been common, discussions regarding the general application of the analysis is not the case. This study focuses on i) setting video contents as the main subject of discussion, and ii) the methods by which culture codes can be analyzed. Thus, traditional narrative theories were critically examined and an independent system of analysis was developed. This method was applied to Korean video contents and those of the United States, Japan and China where cultural exchanges are actively taking place. The purpose of applying such method was to understand each country’s processes of culture code analysis. A system of analysis and extraction was developed to analyze cultural contents on which the previously mentioned method was applied.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ystem need to be utilized in the cultural content industry. In addition to this process, considering the consumer demand on video contents in various areas will minimize errors and fallibilities that can occur in content production and overseas market penetration.

      • KCI등재

        숏폼 동영상 콘텐츠 표현 전략 연구 : 국내외 SPA 브랜드를 중심으로

        서보윤(Boyun Seo),정은경(Eunkyung Chung)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21 글로벌문화콘텐츠 Vol.- No.49

        숏폼 동영상 콘텐츠는 짧은 길이로 한정된 시간 동안 주목을 끌고 확실한 내용을 전달해야 하므로 어떻게 메시지를 표현할 것인가가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SNS 플랫폼상의 숏폼 동영상 콘텐츠의 메시지와 표현요소의 특성과 그에 따른 콘텐츠 반응성 분석을 통해 향후 SPA 브랜드의 브랜드 콘텐츠로서 숏폼 동영상 사용 전략을 제시하고자 국내외 SPA 브랜드의 인스타그램, 틱톡의 숏폼 동영상을 분석대상으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SPA 브랜드의 숏폼 동영상 콘텐츠의 영상 길이는 다양하다. SPA 브랜드는 모델로 전문모델을 주로 사용하며, 제품이나 스타일을 콘텐츠의 주요 내용으로 하여 감성전달적 관점으로 시각적 표현을 가미한 감각적 표현을 위주로 사용하고 있다. 콘텐츠 반응성은 시각적, 청각적 표현에 따라 차이가 존재한다. 인스타그램의 경우 제품과 서비스에 초점을 둔 시각적 수행 제작을 했을 때, 틱톡은 영상보다 청각적 수행 제작을 했을 때 더 높은 반응성을 보였다. 크리에이티브에 따라서 인스타그램에서는 극적 표현이 상당히 높은 반응성을 보이고, 틱톡에서는 유머 표현이 높은 반응성을 보였다. 브랜드 콘텐츠로서 숏폼 동영상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짧은 시간 내에 소비자의 반응을 얻을 수 있는 콘텐츠의 개발에 중점을 두고 플랫폼별 특성에 맞는 표현전략을 활용해 나가야 할 것이다. Short-form video contents have to attract consumer’s attention for a limited time due to their short length and deliver clear content, so how to express the message and creative elements are important. This study aims to suggest strategies for using short-form videos as brand content for SPA brands in the future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short-form videos on SNS platforms, such as messages and expression elements, focusing on SPA brands, which are fast fashion brands. For this purpose,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hort-form videos of Instagram and TikTok, which are SNS platforms of domestic and foreign SPA brand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video length of the short-form content of the SPA brand varies. It can be seen that the SPA brands mainly use professional models as models, and present products or styles as the main component of the content. The reactivities to the contents differ depending on visual and auditory expression. Especially, in the case of Instagram, the short-form videos with high visual performance focused on products and services get high reactivities to the contents. Also in the case of TikTok, the short-form videos with high audio performance production get high reactivities than others. Depending on the creative strategy, dramatic expressions got the higher reactivities on Instagram and humorous expressions got the higher reactivities on TikTok. In order to effectively use short-form videos as brand contents, SPA brands should focus on the creation of content that can get consumer responses within a short time, and use it as a brand marketing tool through an expression strategies customized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NS platform.

      • KCI등재

        비디오 스트리밍 플랫폼의 독점 콘텐츠 경쟁 전략

        유은솔,김기훈 한국생산관리학회 2023 한국생산관리학회지 Vol.34 No.-

        비디오 스트리밍 플랫폼 간의 치열한 경쟁 속에서, 주문형 비디오(Video-On-Demand) 업체들은 텔레비전 쇼와 영화 콘텐츠를 위한 다양한 전략을 채택하고 있다. 이들 중 일부는 다른 플랫폼으로부터 콘텐츠를 대여하는 전략을, 또 다른 일부는 자신들의 독점 콘텐츠 양을 증가시키는 전략을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가입형 주문형 비디오(Subscription Video On Demand)에 초점을 맞춰 온라인 스트리밍 플랫폼을 위한 최적의 콘텐츠 공유 전략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플랫폼 기업들이 적합한 수익모델 전략을 선택하는 데 계약금 수익과 구독자 수 사이의 이율배반적 요소들을 고려하여 독점 콘텐츠를 공유할 경우, 어느 정도의 공유가 가입형 주문형 비디오 플랫폼의 수익을 극대화하는지에 대한 분석을 수행한다. 본 연구를 통해, 여러 플랫폼을 구독하는 소비자(Multi-homing user)가 존재한다면, 경쟁하는 두 플랫폼이 독점 콘텐츠 공유 전략을 선택하지 않는 것이 이상적인 선택임을 발견하였다. 이는 다중 플랫폼 구독자의 존재가 플랫폼 간의 경쟁 전략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시사한다. 더 나아가, 경쟁하는 두 플랫폼 중 한 플랫폼만이 대여 전략을 선택한다면, 이 전략은 소비자들의 콘텐츠 소비 정도에 따라 결정되어야 한다는 점을 밝혔다. 이는 플랫폼이 소비자의 콘텐츠 소비 패턴을 고려하여 전략을 수립해야 함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시장에 싱글 호밍 소비자(Single homing user)만 존재하는 경우, 콘텐츠 대여 전략의 최적 대여 정도를 제시하였다. Many subscription-based video-on-demand (SVOD) platforms are currently focusing on creating exclusive content to attract more subscribers. However, it is not clear that an exclusive-content strategy will eventually increase the platforms' profits and/or the number of the platforms' subscribers. This research models two competing platforms' choices between leasing and not leasing exclusive content, investigating the impact of their choices on the subscription-based video-on-demand market size and the competition results. Specifically, this research examines the extent to which leasing exclusive content can maximize revenues for subscription-based video-on-demand platforms, taking into account the trade-off between revenue from leasing out exclusive content and subscriber numbers in the selection of suitable revenue model strategies. We show that when multi-homing users exist, it is ideal for competing platforms not to choose exclusive content sharing strategies. This indicates that the presence of multi-platform subscribers significantly influences the competitive strategies between platforms. Furthermore, if only one of the competing platforms opts for a lease strategy, platforms need to develop strategies considering consumer content consumption levels. Lastly, for markets with only single-homing users, the study presents the optimal extent of content rental strategy.

      • KCI등재

        인터넷 동영상 인게이지먼트가 인스트림 광고회피에 미치는 영향: 콘텐츠 유형에 따른 효과차이를 중심으로

        정원식,윤성준,담약용 한국고객만족경영학회 2019 고객만족경영연구 Vol.2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hinese Internet video users about their attitudes toward and their impact on in-stream advertising in Internet video. In addition, the effect difference between the Internet video interface and the in-stream advertising attitude and ad-hiding was identified depending on the type of content. According to the research, Hypothesis 1 defines how the degree of Internet video information in which users use Internet video affects the attitude of the in-stream advertisement in that Internet video.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p value was .133 and the variable was not significant at the significant level. Hypothesis 2's in-stream advertising attitud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an in-stream advertising hedg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stream advertising attitude has a significant negative (-) effect on the in-stream advertising hedging. In cases where users have a good attitude toward in-stream advertising from Internet video clips, less ad-hiding behavior has occurred for in-stream advertising has occurred. Therefore, Hypothesis 2 was adopted. Hypothesis 2a confirmed that the degree of in-stream advertising to skip from the in-stream advertising attitude to the extent of the in-stream ad-happiness is different from those to the extent of which the in-stream advertising And we found that in the case of in-stream ads that could skip over in-stream ads that could not be skipped, there were more actions of in-stream ad hedging. Thus, Hypothesis 2a was adopted. Whether the Internet video of Hypothesis 3 has a significant effect on an in-stream advertising hedge has been identified. The results showed that Internet video content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ad hedging. It is said that when the user has a higher level of interest in the Internet video, he or she is more likely to avoid the in-stream ads from the video. Therefore, Hypothesis 3 was adopted. Hypothesis 4 validated the medium effect of the in-stream advertising attitud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net video audience and the in-stream advertising hedging. As a result of the Sobel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the in-stream advertising attitud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net video audience and the in-stream advertising hedge was 4.7473, which was greater than 1.96,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under the significant level of 0.05 . Therefore, Hypothesis 4 was adopted. Hypothesis 5 identified how Internet video aggregations for seven types of movies, genre drawings, news, education, physical education, dramas, and other types of content affect the attitude of the in-stream advertising. As a result, there is only one significant variable in physical education and cannot be compared between variables. Internet video content for six types of content, including movies, genre drawings, news, education, drama, and other types of content,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mainstream advertising attitude. Hypothesis 6 identified how Internet video aggregations for seven types of movies, genre drawings, news, education, physical education, dramas and other types of content affect in-stream ad-happines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variables for the final four types of content were not significant. And three variables - movie, physical education and drama - were found to have had a significant impact. Looking at the order of influence, it appeared in the order of physical education, drama, and film. In other words, it was confirmed that the impact of Internet video content on an in-stream ad hedging will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content. And among the types of content, Internet video on physical education has a greater impact on the in-stream ad-happiness. Thus, Hypothesis 5 was adopted. 본 연구는 중국 인터넷 동영상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인터넷 동영상에 선제적으로 등장하는 인스트림 광고에 대한 태도 및 인스트림 광고회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할 목적을 가진다. 또한 콘텐츠 유형에 따른 인터넷 동영상 인게이지먼트와 인스트림 광고태도 및 광고회피의 관계에 있어서의 효과차이를 규명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인스트림 광고태도는 인스트림 광고회피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스트림 광고태도는 건너뛸 수 없는 광고와 건너뛸 수 있는 광고는 인스트림 광고회피 정도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인터넷 동영상 인게이지먼트가 광고회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인터넷 동영상 인게이지먼트가 인스트림 광고회피에 미치는 영향은 콘텐츠 유형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