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 도시재생정책의 추진배경과 구조에 관한 고찰

        김준환 한국집합건물법학회 2018 집합건물법학 Vol.25 No.-

        As of January 9th, 2016, Korea central government has enforced the "Special Act on Promotion of and Support for Urban Regeneration", which became the catalysis for proceeding the serious urban regeneration policies. Following such agenda, 'Mun Administration' established the 'New Deal Policy of Urban Regeneration" as one of the main national policy projects and has actively executed such urban regeneration policies. However, it seems that related experiences as well as related researches are judged to be still insufficient. In addition, the urban regeneration policy in Korea is still considered to be in rather beginning stage, and therefore, regulatory basis on such policy is still inadequate. Moreover, such policies are still directly focusing on metropolitan cities, including Seoul City, resulting in weak, misleading application on local small/medium cities. As with all aforementioned backgrounds, it may be concluded that the current Korean urban regeneration policies resemble the beginning stage of Japanese urban regeneration policies, in fact. Accordingly, it is very important to analyze how Japanese urban regeneration policies, which preceded those of Korea, have been proceeded, how such policies have been adjusted, and how the policy structure has been constructed. Thus, after identifying such research needs,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 implications on the modification or the development direction for urban regeneration policies of Korea by (1) investigating the background of Japanese urban regeneration policies, (2) analyzing the adjustment process of such policies, (3) and comprehending the policy structure of Japanese urban regeneration. 한국은 지난 2016년 1월 9일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이 시행되면서 본격적인 도시재생정책이 추진되고 있다. 특히 문재인 정부는 주요 정책 사업으로 도시재생뉴딜정책을 수립하고 도시재생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도시재생정책의 추진 경험도 부족하고, 이와 관련된 연구들도 부족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현재 국내의 도시재생정책은 아직 시작단계이며, 법∙제도적인 측면에서도 미흡하고, 정책의 대상도 서울 등 대도시에 집중되어 있어 지방중소도시에 대한 현실적인 정책을 추진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현재 국내 도시재생정책은 일본 도시재생정책 추진의 초기 단계와 다소 유사하다고 할 수 있으며, 따라서 한국보다 앞서 도시재생정책을 추진해온 일본의 도시재생정책은 어떻게 추진되었으며, 정책에는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 그리고 정책의 구조는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현 시점에서 매우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을 배경으로 첫째, 일본의 도시재생정책의 추진배경에 대해 고찰하고, 둘째, 도시재생 정책의 변화 과정을 분석하고, 셋째, 일본 도시재생정책의 구조를 파악하여, 국내 도시재생정책의 개선방안과 추진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제주특별자치도 차고지증명제와 도시재생에의 시사점

        최윤혁,손상훈 (사) 한국도시재생학회 2019 도시재생 Vol.5 No.2

        Many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re underway across the country, aiming to improve livability and quality of life as well as to revitalize local economy. Accordingly, urban regeneration research is largely conducted, mainly focusing on metropolitan cities. Recently, the importance of transportation is emphasized in several urban regeneration research; however, transit-oriented development, public transportation, and walkability are discussed to some extent. To fill these gaps in earlier studies of urban regeneration and transportation, this paper covers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a mid-size city, discussing residential parking from an urban transpiration policy perspective. As a case study,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nd its local parking policy, vehicle and garage joint registration policy, are examined to provide implications on urban regeneration. Vehicle and garage joint registration policy, also mentioned as levying garage option on car buyers or garage identification system, in earlier studies, has been implemented in Jeju provinces since 2007. Under this policy, an auto owner needs to prove a garage or parking space for his or her own vehicle; therefore, existence of parking space becomes important for a residential area. Since an old city center and/or residental area that suffer from lack of parking space are a typical site for urban regeneration projects, providing parking space at the appropriate level is particularly important for the success of the projects. Parking space demand forecast and parking space supply strategies are also needed in Jeju. For the success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urban transportation policy should be considered more carefully over the course of the projects.

      • KCI등재

        도시재생 관련법제의 현황과 법적 과제

        김재광(Kim, Jae Kwang) 한국토지공법학회 2014 土地公法硏究 Vol.64 No.-

        In the meantime, "Urban Improvement Act" and "The Act of Accelerating Urban Renewal" were enacted for urban improvement, but they could not achieve own purpose. The physical improvement concentrating on redevelopment and re-building has fostered real estate speculation, built only an apartment ignoring the cultural and economic characteristic and base of local society, and brought collapse of community by evacuating natives and drawing outsiders. In short, there were laws related to urban regeneration, but never achieved the purpose. In other words, the redevelopment, reconstruction and newtown projects implemented in metropolitan area and capital region have not contributed to the resettlement of indigenous communities, and dismantled community, because these are promoted for profit-oriented, and physical maintenance generally. Urban regeneration has become an irreversible trend now. It is a part of a national strategy. They can't discuss the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ignoring reality of a local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which has been abandoned. Therefore, it needs interest and preparation for local area, and requires enormous exertion to raise the capacity of small and medium cities through the successful urban renewal projects. Large cities also require to adopt urban regeneration projects. Urban regeneration are political project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the alienated people left behind in high economic growth since Saemaul Movement, and to raise the competitiveness of the city by having infrastructure in undeveloped area. That should become a pan national movement which citizens, local governments and central government participate in the procedure. We can go further away with more people, and can increase competitiveness with more cooperation. Implications from British and Japanese urban regeneration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the complexation of use. Second, there is the role of the public. The early role of the public was a political form offering the direction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nd leading it. Today, the role of the public has changed leading projects with strong leadership into managing and adjusting those as a whole, establishing guidelines and making support system for urban regeneration instead of development work. Third, there is enhancing the publicity needed in the city. The urban regeneration has an intention of improving local environment physically and promoting the city vitalization and the public welfare through enhanced economic, socially, cultural and artistic activation. Fourth, there is reproduction of person-centered community. Fifth, there is the promotion of urban regeneration through partnership. Sixth, there is a ripple effect of the urban regeneration to the surrounding area. And, several factors such as green growth, program development, urban design, ongoing evaluation and management should be considered and studied in urban regeneration. Urban Regeneration is a extended concept including reconstruction and redevelopment under the "Urban Improvement Act", and newtown under the "The Act of Accelerating Urban Renewal". Recently enacted "Urban Renewal Act" should establish planed and cooperative promotion system of urban regeneration after examination and maintenance on "Urban Improvement Act" and "The Act of Accelerating Urban Renewal", and should be the cornerstone of substantial urban regeneration. 그 동안 도시정비를 위해 「도정법」과 「도촉법」이 제정되었지만 도시재생의 목적을 달성하지는 못하였다. 재개발ㆍ재건축 위주의 물리적 정비는 부동산투기를 부채질하였고, 해당 지역의 사회ㆍ경제ㆍ문화적 특성과 기반은 무시한 채 오로지 아파트만 건설하는데 그쳤으며, 원주민의 추방과 외지인의 입주로 인한 지역공동체의 붕괴를 초래하였다. 한마디로 도시재생 관련법제는 있으나 도시재생은 이루지 못하였다. 즉 수도권과 대도시에서 시행되고 있는 재개발ㆍ재건축ㆍ뉴타운사업은 수익성 위주, 물리적 정비 위주로 추진되고 있어서 원주민의 재정착에 기여하지 못하고 마을공동체를 해체시키는 등의 한계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작년에 제정된 「도시재생특별법」이 2013년 12월 5일부터 시행되고 있어 체계적인 도시재생이 기대된다. 이제 도시재생은 거스를 수 없는 시대적 요구이자 국가전략의 일환이다. 황폐해 지는 지방 중소도시의 현실을 내버려 두고 국가 균형발전을 이야기할 수 없다. 지역에 대한 관심과 준비가 필요하고, 도시재생사업의 성공적 추진을 통해 지방 중소도시의 역량을 키우는 노력을 시작해야 한다. 그리고 대도시의 도시재생사업도 필요하다. 도시재생사업은 새마을운동 이후 성취한 고도성장에서 소외된 계층의 삶의 질을 개선하고, 낙후지역의 인프라를 갖추어 도시경쟁력을 높이는 사업이다. 그 과정에서 시민과 지자체, 중앙정부가 함께 하는 범국민적 운동으로 전개해 나가야 할 것이다. 함께 가야 더 멀리 갈 수 있고, 힘을 합해야 강력한 경쟁력을 발휘할 수 있다. 비교법적으로 고찰한 영국과 일본의 도시재생이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용도의 복합화이다. 둘째, 공공의 역할이다. 초기의 공공의 역할은 도시재생사업의 방향을 제시하고 이를 이끌어가는 정책적인 형태였다. 오늘날에는 기존의 강력한 리더쉽보다는 사업을 전체적으로 조정ㆍ관리하는 차원에서 접근하게 되고 개발사업보다는 지역의 도시재생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수립하고 지원제도를 확보해 주는 방향으로 역할이 변하고 있다. 셋째, 도시 내 필요한 공공성의 확보이다. 도시재생은 물리적인 도시환경의 개선과 더불어 경제ㆍ사회ㆍ문화ㆍ예술적 활력의 제고를 통한 도시활성화와 공공복리 증진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넷째, 사람 중심의 커뮤니티 재현이다. 다섯째, 파트너쉽을 통한 도시재생의 추진이다. 여섯째, 도시재생의 주변지역으로의 파급효과이다. 그리고 도시재생에 있어서 녹색성장, 소프트웨어 측면의 프로그램 개발, 도시디자인, 지속적인 평가와 관리 등도 중요한 요소로 고려되고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이번에 제정된 「도시재생법특별」은 영국과 일본 등 도시재생 선진국들의 법제도적 경험들을 함축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의 「도정법」과 「도촉법」의 반성과 정비 위에서 계획적이고 협업적인 도시재생 추진체제를 구축하여 물리적ㆍ비물리적(문화적ㆍ경제적ㆍ사회적 등) 지원을 통해 경제ㆍ문화 활성화와 공동체 복원 등 도시재생이 실질화되는 초석이 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도시재생특별법」이 내포하고 있는 법적 과제들인 도시재생 계획체계문제, 기존 도시재생 관련조직과의 업무중복문제, 도시재생 지원기구의 차별성 확보문제, 도시재생 활성화 지원문제 등에 대해서는 보다 심층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 KCI등재

        한국적 도시재생의 개념과 유형, 정책방향에 관한 연구

        김혜천(Kim, Hyecheon) 한국도시행정학회 2013 도시 행정 학보 Vol.26 No.3

        본 논문은 최근 학계와 정책 당국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도시재생에 대한 학술적 논의와 연구결과가 과연 한국적 도시재생 환경에 적실한가 하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쇠퇴지역에 대한 종합적 처방으로서의 사회·경제·문화적 도시재생이라는 서구적 도시재생의 개념과 성공 사례가 한국적 도시재생 환경에 대한 진단과 추진과정의 성찰 없이 기계적으로 도입됨으로써 정책형성과 제도화의 실천적 과정에 상당한 혼란을 야기시키고 있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본 논문은 도시재생 환경의 한국적 상황을 이해하고,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그간 진행되어 온 도시재생 정책과 제도형성 과정을 비판적으로 고찰함으로써 한국적 도시재생정책의 실천성 제고를 위한 시사점과 정책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도시재생의 연구동향과 개념적 범위에 대하여 논의하고, 현실적으로 도시재생사업이 추진되거나 계획되고 있는 사업 현장의 한국적 토양과 시장구조를 검토하였다. 또 도시재생에 대한 정부 차원에서의 접근방법과 제도형성 과정을 검토하고, 마지막으로 한국적 시장구조와 현장 상황에 적실한 도시재생의 접근방법과 조건, 정책적 사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begins with having a critical mind of propriety in the Korean context of urban regeneration of which concept and meanings were recently introduced from advanced countries. In this con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nceptional framework and policy institution process in urban regeneration programme approprite for korean socio-economic circumstance, and to suggest some policy implications on urban regeneration. For this purpose, recent research trend and the state of the art in this field were reviewed. The market structure, laws and ordinances system, and the structure of interesting groups which characterize our regeneration circumstance were also analysed. And some arguements were made over the conceptual scope and actual meanings of the urban regeneration which approprite for korean socio-economic circumstance. Some policy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active investigation and self-examination on the past regeneration policy should be made before new regeneration policy formation. Second, It should be prerequisite the principal of sustainability in regeneration process. Third, different approach and methodology should be done according to project type of urban regeneration. Lastly, resident community should be restoration or newly formation for community regeneration.

      • KCI등재

        Problems of Urban Decline and Urban Cultural Policy: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 Regeneration and Urban Cultural Policy

        Joon Kyo Seo 한국지역학회 2002 지역연구 Vol.18 No.3

        Many old industrial cities in the US and Europe have faced problems of massive population and industrial losses which resulted in urban decline. The problems of old industrial cities are also as a result of their industrial structure- over-concentration on out-dated industries using outmoded production process. In order to minimise the effects of urban decline, old industrial cities have used culture-related initiatives to promote their citys new image which aimed to solve their urban problems. Although this new urban development policy seems to be an effective method for urban regeneration, it constitutes some problematic issues too. This article attempts to examine the process of urban decline and the viability of urban cultural policy in terms of urban regeneration.

      • KCI등재후보

        도시정비정책 시스템 평가 연구

        이진경(Lee, Jin Kyung) 한국부동산학회 2014 不動産學報 Vol.56 No.-

        1. CONTENTS (1) RESEARCH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a urban redevelopment and reconstruction policy of Korea using a summative evaluation. (2) RESEARCH METHOD This study develops a summative evaluation model for policy system of a urban redevelopment and reconstruction. The model is consisted of 7 assessment items and 11 assessment indexes' Also the paper evaluates those items and indexes. (3) RESEARCH FINDINGS There are some findings. l) a justification of government intervention item shows that urban redevelopment and reconstruction projects have weak characteristics as projects of public sector. 2) a government failure item indicates that the development of reconstruction projects in Seoul has quickly increased the demolition of small low-priced housing units and has deprived additional relatively low-income households of the opportunity to dwell in affordable house, because in 98 percent of the projects only one type of apartment is currently being developed to replace such units. 3) a feasibility of policy programs shows that a government has to contribute to improving infrastructures and housing level but a government has wanted to ride on private sector through a management and disposal plan method and a disposal of replotting land method. 4) a fairness item, a policy impact item, and a policy sustainability item appear concern about unexpected negative effects. 2. RESULTS This study proposes three challenges to set successfully a new urban regeneration policy. l) the policy makes a budget plan and a role as project operator unlike the urban redevelopment and reconstruction policy to establish an original purpose of the policy and to set aside justification of government intervention. 2) the policy needs supports and strategies to promote a lot of community spirit. 3) the policy sets a monitoring and evaluation system which assesment of project process, policy effect evaluation, and policy impact evaluation can be fed back to the project purpose and programs.

      • KCI등재

        문화전략이론 관점에서 본 도시재생 유형분석에 관한 연구

        이운정,김상봉 한국도시행정학회 2023 도시 행정 학보 Vol.36 No.3

        본 연구는 문화적 도시재생의 범위를 도시문화전략이론인 장소마케팅과 창조도시론 두 이론의 관점에 기초하여 도시문화정책의 전략적 방식을 도시재생 사례도시별로 유형화하여 도시의 역사, 문화, 환경, 공동체, 경제 등의 도시생활여건을 조성하는 방법과 도시의 문화적 도시재생의 진행결과를 분석하였다. 도시문화전략요소는 기존연구에서 제시된 요소 및 지표들을 추출, 분류하여 모형화했으며, 이를 토대로 국내외 도시재생사업에 문화전략요소들이 활용 및 적용되는 지표를 도출하였다. 이에, 도시문화전략 요소가 도시재생에 미치는 영향과 각 도시별 도시재생 과정과 결과에 어떠한 문화요소가 적용되었는지를 유형화하고, 이를 토대로 문화적 도시재생의 적합한 모델과 방법론적 문화요소의 효용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는 문화도시재생사업의 발전적인 도시전략 모색과 문화적 도시재생사업의 모형을 구축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써 그 주요 의의가 있다. This study bases the scope of cultural urban regeneration on the perspectives of two theories: urban cultural strategy theory, place marketing and creative urban theory. In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the strategic method of urban cultural policy was typified, and the urban living conditions such as the history, culture, environment, community, and economy of the city and the results of cultural urban regeneration were analyzed. The urban cultural strategy element was modeled by extracting, classifying, and classifying the elements and indicators presented in the previous study. Based on this modeling, indicators of the utilization of cultural strategic elements of domestic and foreig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were derived. Accordingly, the impact of urban cultural strategy elements on urban regeneration and what cultural elements were applied to the urban regeneration process and results of each city were typified. And based on this, the appropriate model of cultural urban regeneration and the utility of methodological cultural elements were evaluated. This study is great significance as a basic research to explore a progressive urban strategy for cultural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nd to build a model for cultural urban regeneration.

      • KCI등재

        도시재생사업의 활성화를 위한 법제 개선방안

        임윤수(YoonSoo Yim),최완호(WanHo Choi) 한국법학회 2014 법학연구 Vol.54 No.-

        본 연구는 도시재생사업의 공공성을 회복하고, 현재 중단된 사업의 정상화를 통하여 도시경쟁력을 확보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도시재생사업의 본질과 관련 이론을 검토하고, 관련 법률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현재의 법 체제는 공공성의 확보와 도시기능의 회복이라는 도시재생 본연의 목적 달성에 부합하지 못한다고 판단하였다. 또한, 대부분의 도시재생사업이 주로 주거환경개선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는 점, 구체적 시행방법으로서 전면철거 후 개발을 택하고 있다는 점, 기존 건축물의 노후화나 주거환경의 열악성과는 상관없이 수익성만을 근거로 정비사업이 시행된다는 점 등의 도시재생사업에 대한 반성과 문제제기는 결국 기존 도시재생 관련 법률의 정비 필요성을 야기하였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도시재생의 개념을 기반으로 관련 법률들을 통합하고 도시재생 관련 법체계를 정립함은 물론 관련 법률간 충돌, 법률 내용상 상이, 법률과 하위 법령 또는 자치법규상 충돌 등도 해결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도시재생 관련 법률은 ?도시재생 기본법?을 상위법으로 하고, ?도시 및 주거환경법비법?을 사업법으로,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을 지원법으로 하는 체계를 갖추어 여러 법률에 흩어져 있는 도시재생 관련 법률을 체계화함은 물론 각 부처별로 무계획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도시재생사업을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그리고 민간이 상호 협력하여 진행할 수 있도록 예산과 조직, 그리고 정보를 효율적으로 운영하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eek a method to procure city competitiveness through normalization of currently suspended businesses and to restore the public character of the urban regeneration business that had been distorted in the past. In order to achieve such objective, this research reviewed the essence of urban regeneration and change of related law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has been determined that the current legal system does not conform to the achievement of the natural objective of urban regeneration, which is the restoration of urban function and procurement of public character. In addition, the problems raised and self-reflection on urban regeneration, such as the fact that most urban regeneration businesses have its objective to improve residential environment, development is selected as the specific implementation method after total demolishment, and maintenance business is implemented based only on profitability irrelevant to the coarseness of residential environment or deterioration of existing buildings, gave rise to the necessity of finally organizing existing laws related to urban regeneration. Thus, laws relating to urban regeneration should be equipped with a system, having the Urban Regeneration Framework Act as the higher law, the Urban and Living Environment Improvement Act as the business law, and the Act on the Promotion and Support of Urban Regeneration as the assisting law, in order to systemize laws relating to urban regeneration that are scattered through several laws and also to efficiently operate budget, organization, and information so that the national government, local government, and private sector may mutually cooperate to conduct the urban regeneration business, which is currently being implemented by each division in an unplanned manner.

      • KCI등재

        마산 도시재생과 연계된 ‘조형문화정책’ 연구

        민병권(Min, Byoung-Gwon) 동서미술문화학회 2020 미술문화연구 Vol.18 No.18

        본 연구는 마산 도시재생에 있어 그동안의 조형문화정책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도시에 활력을 불어넣어줄 수 있는 새로운 예술적 감성으로서의 도시환경을 창출 할 수 있는 정책 마련을 위한 것이다. 오늘날 도시재생에 있어 ‘조형문화정책’이 중요한 화두로 떠오르는 현상은 결국 도시재생이라는 것이 도시공학적 측면에 있어 기술적인 것을 넘어 문화의 다양한 컨텐츠가 더욱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Ⅰ장에서는 원도심과 구도심이 갖는 문화적 특성을 상호 연계적으로 이어줌으로써 도시주민들의 삶의 질을 높여줌으로써 지역 상권의 시너지를 향상시킬 수 있는 ‘조형문화’에 대한 정의를 내려 보았으며, Ⅱ장에서는 그동안의 도시재생 사업에 있어 조형문화 정책의 공과를 살펴봄과 동시에 성공적 사례들을 알아봄으로써 이를 비교 분석하여 보다 나은 정책이 수립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Ⅲ장에서는 마산의 권역별 조형문화의 실태를 조사하고 원도심과 구도심의 조형문화를 통해서 얻을 수 있는 체계적 경제 활성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마산의 문화적 가치가 있는 조형유산에 대하여 살펴보고 중앙정부 및 지자체에서 재정지원을 통한 다양한 정책의 수립과 동시에 이를 효과적으로 이끌어 낼 수 있는 문화컨텐츠 개발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아울러 마산 전 지역을 문화적으로 연계할 수 있는 거시적 시각으로서의 도시재생사업을 구체화 할 수 있도록 거버넌스 구성과 운영방안에 대하여 알아봄으로써 정책의 수립부터 완수까지 보다 다양한 의견수렴을 할 수 있는 효과적인 장치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결론에서는 새로운 조형 문화 정책 수립이 가져올 효과를 다각적으로 분석하고 예측해봄으로써 보다 거시적인 시각으로서의 도시재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이처럼 도시재생의 관점을 ‘조형문화’라는 예술적 시각으로 바라봄으로써 새로운 컨텐츠 개발을 함과 동시에 보다 생동감 있는 정책을 마련을 통하여 정부와 민간의 화합된 장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하였다는데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is aimed at diagnosing problems in the sculpture culture policy in Masan"s urban regeneration and to come up with policies that can create a future urban environment with new artistic sensibilities that can revitalize the city. Today, the "forming culture policy" is an important topic in urban regeneration because urban regeneration is an important issue in terms of urban engineering, rather than technical aspects. Therefore, Chapter I defined the "forming culture" that can improve the synergy of local commercial districts by enhancing the quality of life of urban residents by connecting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old and old cities, and Chapter II sought to provide a basis for better policies by examining the merits and demerits of the mold culture policy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nd by comparing and analyzing successful cases. Chapter III investigated the status of the sculpture culture in Masan and studied the economic revitalization measures that can be obtained through the sculpture culture of the old and old cities. For this purpose, we examined the cultural value of Masan and the development of contents that can effectively lead to the development of various policies through financial support from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In addition, it was intended to prepare effective devices by collecting diverse opinions from policy-making to completion by learning about the composition and operation of governance that could materializ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conclusion, urban regeneration as a macroscopic perspective was achieved by analyzing and predicting the effects of the new shaping culture policy in various way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view of urban regeneration from the artistic perspective of "forming culture" has enabled the development of new contents to be actively carried out and to be reborn as a harmonious place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private sector through more lively policies.

      • KCI등재

        AHP분석을 통한 문화·예술 기반도시재생 중요요인 도출에 관한 연구

        최금화,권혁인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19 인천학연구 Vol.31 No.-

        Today, it has been said that arts and culture are major factors for successful urban regeneration. Actually, a long list of successful cases around the world, the main driving force of which was based on arts and culture, proves the conventional wisdom. However, Korean cities are unique in their social and cultural aspects, distinct from overseas cities. It implies that the imitation strategy cannot guarantee the success of the enterprise. So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major and decisive factors considered important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based on arts and culture by comparing the perception of civilian experts group with that of public official group. For the study, a broad review of literature was conducted as part of finding factors necessary for urban regeneration. In addition, a session of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experts in the field of arts and culture-based urban regeneration. The data were all transcribed and theme-analyzed to elicit major factors and components. Lastly, a hierarchical model was set to measure and order the importance of arts and culture-related components that can contribute to success of urban regeneration by comparing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to the major factors and components between civilian expert group and public official group. For this,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was used for the model. The outcomes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total of 10 major factors and 43 components were elicited. Second, the AHP analysis shows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perception of what is important for arts and culture-based urban regeneration between the civilian expert group and the public official group. More specifically, the civilian experts group put participation・networking as the first priority but the public official group did not take it seriously. Similarly, the public official group regarded cultural heritage as the pivotal core, putting it as the first priority, while the civilian experts group considered it less important. Such discrepancy means that we can ferret out various differentiated strategies based on the gap in perception of arts and culture-based urban regeneration priorities between the two expert groups. In sum, this study shows that we should take into account the historical, social, cultural and economic uniqueness of the city as far as urban regeneration is concerned. In the same vein, the study recommends that urban regeneration strategies tailored closely to the target city need to be suggested for successful urban regeneration. 오늘날 도시재생에 있어서 문화・예술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고 해외 성공사례를 살펴보아도 문화・예술을 기반으로 한 성공사례가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도시는 유기적이며 진화하는 생명체와 같아서 단순 모방만으로 도시재생에 있어 지속가능한 성공을 보장할 수 없다. 이에 본 논문은 문화・예술을 기반으로 하는 도시재생 사업에서 중요하게 고려하는 주요 속성을 제시하고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분석을 위해 문화・예술 기반 도시재생 관련 주요 속성 및 세부 항목에 대한 검증 과정을 마쳤으며 계층 모형 설정을 통해 민간전문가 집단과 공무원담당자 집단을 대상으로 주요 속성 및 세부 항목에 대해서 인식하고 있는 중요도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연구와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최종적으로 10개의 주요 속성과 43개의 세부항목을 도출하였다. 둘째,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를 통한 분석결과, 민간전문가 및 공무원담당자 집단별로 중요하게 인식하는 주요 속성 및 세부항목 간 차이가 존재하였다. 특히 참여・네트워킹에 대해서는 민간전문가 집단에서는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는 속성인데 비해 공무원담당자 집단은 비교적 중요하지 않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문화유산자원에 대해서는 공무원담당자는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는 속성인데 비해 민간전문가 집단은 별로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 속성으로 나타나 두 집단 간의 인식차이가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민간전문가 측면에서 중요하게 인식하는 내용과 실제로 공무원담당자들이 도시재생 사업을 추진함에 있어서 인식하는 정도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는 중요한 상황이므로 두 집단이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주요 속성들과 세부 항목들을 기반으로 차별화된 전략을 펼칠 수 있는 기회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각 나라와 도시마다 서로 다른 역사적・사회적・문화적・경제적 환경을 갖고 있어 각 도시의 특성 및 환경조건을 고려한 차별화된 전략을 도출하기 위한 철저한 사전조사와 함께 그 지역에 특화된 전략 제시가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