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설주(雪舟) 송운회(宋運會)의 차시(茶詩)에 나타난 보성의 차풍속(茶風俗) 연구(硏究)

        정서경 ( Seok Yeong Jung ) 남도민속학회 2010 남도민속연구 Vol.20 No.-

        보성의 민속은 이 지역의 자연적 여건과 역사적 요인, 그리고 사회성에 의해서 지연의 공감대를 가지고 형성되어 변형·발전되어 왔다. 그러므로 전승 되어온 민속에는 보성인의 감정과 정신이 깃들어 있을 뿐 아니라 생활의 소중한 지혜와 삶의 방법과 그 질서가 제시되어 있다. 보성군은 山紫水明하고 기후가 온화하여 명승고적과 유람지가 많다. 예부터 자라고 있는 차나무가 많은 만큼 전남의 선조들은 茶와 더불어 살아왔던 터였음으로 차생활에 얽힌 기록과 그 흔적도 많다. 하지만 1950년대를 중심으로 차나무가 심어져 재배차라는 굴레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예부터 보성은 고려시대의 대표적 飮茶 지역으로 熊岾茶所(웅치면)와 乫坪茶所(회천면)는 장흥도호부에 속한 때도 차를 貢茶하던 곳으로, 조선왕조실록 지리지의 세종 15년(1433)의 기록에서는 오곡, 봉, 왕골, 표고, 茶, 매화 등등이 난다고 발견할 수 있다. 고려시대 이후 부흥했던 18~19세기의 차문화는 일본의 식민지배 36년 동안 남부지역의 사찰지역으로 공간이 축소되면서 명맥을 유지하였다. 그러나 한국 차의 보고라 할 수 있는 보성 차에 대한 그 역사성과 근원을 뒷받침 할 사료가 부족하여 역사적 고증이 필요한 때, 최근 녹차 수도 보성이라고 타이틀을 내걸은 보성이라는 공간적 배경에서 평생을 글을 쓰면서 차인으로 산 雪舟 宋運會 선생이 남긴 『雪舟遺稿』가 국역으로 발간되었다. 이 글은 한국의 차문화 역사를 체계적인 조사와 자료를 통하여 그 근간을 확립하고자 하는 의지에 의한 것으로, 『雪舟遺稿』에 실린 漢詩 중에서 차를 마시며 남긴 茶詩를 통해 근대 19세기 이후라는 시간적 배경하의 보성의 차문화의 전반적 흐름과 양상, 차풍속의 시기별, 분야별 특징, 그리고 그 안에서 보이는 차정신을 一瞥하고자 한다. 보성 지방을 중심으로 한 차문화와 일상의 차생활을 즐긴 정서가 여과 없이 투영되어 있는 『雪舟遺稿』를 통해 보성 지방을 중심으로 한 남도의 차풍속과 더불어 향유되어 온 차생활의 추이를 이해할 수 있는 연구 자료가 되기를 희망한다. The custom of Boseong has been changed and developed with territorial sympathy according to the natural condition, the historical factor, and the sociality of this area. Therefore, in the traditional custom, there are not only the emotion and the mind of the Boseong residents but also there are the valuable life wisdom, life means, and the order. Boseong has scenic beauty and there are a lot of scenic spots and places of history and the sightseeing places because of the mild temperature. There have been lots of tea trees from old times in Jeonnam, so the ancestors of this area have lived with the tea, and there are many stories about tea lives and the traces. However, the most tea trees were planted sometime in 1950s, so they are called the cultivation tea, and they are not free from it. Boseong was the major tea drinking area in the Goryeo Dynasty, and Ungjeomdaso(Unchimyon) and Galpyungdaso(Hoeichonmyon) served the tea even when they were parts of a Jangheung government office. According to the record of Sejong15(1433) in the true record of the Joseon Dynasty geography book, it was said that there were the five grains, money, bulrush, mushroom, tea, apricot, etc. After the Goryeo Dynasty, the revived tea culture of the 18~19 century remained in existence while Korea was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for 36years, and it was downsized to a Buddhist temple area of southern regions. I catch a glimpse of overall flowing and an aspect of Boseong tea culture under the late 19th century, the characteristic of time and field of the tea custom and tea mind which was showed in it through the tea poems in 『Seoljuyugo』 left by Seolju Song, Un-hoe who lived as a tea man and wrote all his life in Boseong where it has lately made the name the capital of Green tea Boseong. Also I hope that this becomes the study which can understand the trend of the tea life enjoyed with tea culture of Namdo with Boseong as the center which works for the brand of Korean green tea production market. It intends to establish the source through the organized research and materials of Korean tea custom history, because there weren’t enough materials to support the historicity and the origin of Boseong tea. It also reflects the emotions enjoyed the tea culture and daily tea life with Boseong as the center.

      • KCI등재

        雪舟 宋運會의 茶詩에 나타난 보성의 茶風俗 硏究

        정서경 남도민속학회 2010 남도민속연구 Vol.20 No.-

        The custom of Boseong has been changed and developed with territorial sympathy according to the natural condition, the historical factor, and the sociality of this area. Therefore, in the traditional custom, there are not only the emotion and the mind of the Boseong residents but also there are the valuable life wisdom, life means, and the order. Boseong has scenic beauty and there are a lot of scenic spots and places of history and the sightseeing places because of the mild temperature. There have been lots of tea trees from old times in Jeonnam, so the ancestors of this area have lived with the tea, and there are many stories about tea lives and the traces. However, the most tea trees were planted sometime in 1950s, so they are called the cultivation tea, and they are not free from it. Boseong was the major tea drinking area in the Goryeo Dynasty, and Ungjeomdaso(Unchimyon) and Galpyungdaso(Hoeichonmyon) served the tea even when they were parts of a Jangheung government office. According to the record of Sejong15(1433) in the true record of the Joseon Dynasty geography book, it was said that there were the five grains, money, bulrush, mushroom, tea, apricot, etc. After the Goryeo Dynasty, the revived tea culture of the 18~19 century remained in existence while Korea was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for 36years, and it was downsized to a Buddhist temple area of southern regions. I catch a glimpse of overall flowing and an aspect of Boseong tea culture under the late 19th century, the characteristic of time and field of the tea custom and tea mind which was showed in it through the tea poems in 『Seoljuyugo』 left by Seolju Song, Un-hoe who lived as a tea man and wrote all his life in Boseong where it has lately made the name the capital of Green tea Boseong. Also I hope that this becomes the study which can understand the trend of the tea life enjoyed with tea culture of Namdo with Boseong as the center which works for the brand of Korean green tea production market. It intends to establish the source through the organized research and materials of Korean tea custom history, because there weren’t enough materials to support the historicity and the origin of Boseong tea. It also reflects the emotions enjoyed the tea culture and daily tea life with Boseong as the center. 보성의 민속은 이 지역의 자연적 여건과 역사적 요인, 그리고 사회성에 의해서 지연의 공감대를 가지고 형성되어 변형․발전되어 왔다. 그러므로 전승 되어온 민속에는 보성인의 감정과 정신이 깃들어 있을 뿐 아니라 생활의 소중한 지혜와 삶의 방법과 그 질서가 제시되어 있다. 보성군은 山紫水明하고 기후가 온화하여 명승고적과 유람지가 많다. 예부터 자라고 있는 차나무가 많은 만큼 전남의 선조들은 茶와 더불어 살아왔던 터였음으로 차생활에 얽힌 기록과 그 흔적도 많다. 하지만 1950년대를 중심으로 차나무가 심어져 재배차라는 굴레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예부터 보성은 고려시대의 대표적 飮茶 지역으로 熊岾茶所(웅치면)와 乫坪茶所(회천면)는 장흥도호부에 속한 때도 차를 貢茶하던 곳으로, 조선왕조실록 지리지의 세종 15년(1433)의 기록에서는 오곡, 봉, 왕골, 표고, 茶, 매화 등등이 난다고 발견할 수 있다. 고려시대 이후 부흥했던 18~19세기의 차문화는 일본의 식민지배 36년 동안 남부지역의 사찰지역으로 공간이 축소되면서 명맥을 유지하였다. 그러나 한국 차의 보고라 할 수 있는 보성 차에 대한 그 역사성과 근원을 뒷받침 할 사료가 부족하여 역사적 고증이 필요한 때, 최근 녹차 수도 보성이라고 타이틀을 내걸은 보성이라는 공간적 배경에서 평생을 글을 쓰면서 차인으로 산 雪舟 宋運會 선생이 남긴 『雪舟遺稿』가 국역으로 발간되었다. 이 글은 한국의 차문화 역사를 체계적인 조사와 자료를 통하여 그 근간을 확립하고자 하는 의지에 의한 것으로, 『雪舟遺稿』에 실린 漢詩 중에서 차를 마시며 남긴 茶詩를 통해 근대 19세기 이후라는 시간적 배경하의 보성의 차문화의 전반적 흐름과 양상, 차풍속의 시기별, 분야별 특징, 그리고 그 안에서 보이는 차정신을 一瞥하고자 한다. 보성 지방을 중심으로 한 차문화와 일상의 차생활을 즐긴 정서가 여과 없이 투영되어 있는 『雪舟遺稿』를 통해 보성 지방을 중심으로 한 남도의 차풍속과 더불어 향유되어 온 차생활의 추이를 이해할 수 있는 연구 자료가 되기를 희망한다.

      • KCI등재

        고려시대 제도권 차문화의 의례적 기능

        정서경 ( Seo Kyung Jung ) 남도민속학회 2012 남도민속연구 Vol.25 No.-

        한국의 차문화가 고대를 거쳐 고려시대에 다층적으로 발달하게 된 배경에는 민중층의 약용과 제도적 차문화의 의례적 기능이 수반(隨伴)되었기 때문이다. 가장 화려했던 차문화의 역사는 다양한 계층이 차를 즐기고 민중 삶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였다는 점이다. 그러나 차문화의 주 향유계층은 대체로 권력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 이러한 전승 맥락은 문헌자료로 남아 있는 차시 저자들의 신분 분석으로 파악할 수 있다. 그러므로 차 모임을 빙자한 권력의 세력형성 또는 고려말기에는 소위 왕조체제를 무너뜨리려는 모략모임으로 간주하는 경향이 심해졌다. 그리하여 차문화의 확산을 금지하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차문화의 정치적 기능을 약화시키는 제도적 방해가 있었다는 맥락으로 해석된다. 여러 문헌을 종합적으로 고찰해 보면, 고려에서 조선으로 왕조가 바뀌면서 차문화에서도 그 주체와 차의 형태, 음차생활 등에서 문화의 형성루트가 달라지는 반전 현상이 나타난다. 소위 고려시대 지배층이었던 은사들이 재야에서 이전 왕조에 대한 우국충정과 자신의 아픔을 달래며 풍류 했던 훈습(薰習)이 차차 귀족문화에서 서민문화로 일반화 되었다. 다례(茶禮)라는 명절의례와 풍류차로 변모하는 양상을 보인다. 다시 말하면 고려의 지배층이었던 권문세족들이 조선시대에는 숨어 사는 권력의 변방인(은사)이 되는 역사적 사회 상황으로 인해 고려의 잔존문화로서 민중들의 차문화로 점차 일반화되어 갔다고 분석된다. 예컨대 차문화를 형성한다는 큰 틀에서 보면 음차(飮茶)라고 하는 것은 하나의 일면일 뿐이다. 음차문화가 형성되기까지 많은 과정의 절차가 있었을 것이고 그러한 절차가 차문화사회의 기본적인 틀을 갖춘 것이라고 보았다. 여러 단계를 거쳐 형성된 편린들이 차를 둘러싼 문화의 큰 틀을 형성하였기 때문이다. 차문화의 풍부한 자료들의 분석을 통해 문화적 기능이 시대에 따라 변형 생성되면서 전승되는 전승주체와 맥락에 주목하여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 필자의 견해이다. 이 글에서는 고려시대를 중심으로 차의 기능을 중점적으로 살펴보고, 그 기능의 분류와 전승맥락을 밝히고자 한다. 단절된 시대의 재조명을 통해서 한국 차문화 전체 맥락의 흐름을 단편적으로 규정해볼 수 있을 것이다. The institutional tea culture and medicinal utilization of the citizens was accompanied by a background in Korea tea culture``s development through the Goryeo dynasty as a multi-layered. The most impressive tea culture is various classes enjoying the tea and taking a important part of peoples lives. However the main class enjoying the tea culture was closely connected with the ruling classes. This tradition can grasp analyzing the authors identity of tea poem which remains in its literature. Therefore it was worse in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the tendency to regard as the formation of power pretending of meeting for enjoying the tea and the plot meeting to distribute the dynasty. Thus, it is considered to prohibit the spread of tea culture. These are interpreted as a existence of institutional interference to weaken the tea culture. Comprehensively investigating various literatures, change of dynasty from Goryeo dynasty to Chosun dynasty makes differences of subject, form, lifes in the tea culture. So called hierarchy appreciated for the arts perfuming appeasing their pain for the previous dynasty and patriotic sentiment, and these were generalized into the culture of ordinary people gradually. It transform into tea ceremony as tasteful tea and holiday rituals. Because of historical society condition, the hierarchy of Goryeo dynasty should conceal, the tea entered into general use to people. For example, when looking at the big picture forming tea culture, drinking the tea is just one aspect. There are many courses of the procedure, it needed to form the culture drinking the tea made basic framework of society of tea culture. Because of many fragments formed through different stages made a larger framework of the culture surrounding the tea. In this paper, I emphasize to be conducted noting to subject and context of tradition through analyzing materials. Also, I would search the function of tea in priority and that of classification and context of the tradition.

      • KCI등재후보

        민간신앙으로서의 茶의 기능 연구

        정서경(Seo-Kyeong Jeong) 한국차학회 2010 한국차학회지 Vol.16 No.2

        Ever since prehistoric ages, tea has been thought of as a precious present. As such, it was often given to valuable guests of the royal court or royal family as a cultural present. For the public, due in part to a folk belief from the Samhan period, tea served as a typical gift, tribute and offering throughout the ancient, Goryeo, Joseon and modern periods. Further, tea was a very important symbol. Folk beliefs posited that one should hold sacred natural inanimate objects such as mountains, trees, rocks, rivers and the sea, as well as animals such as the serpent, tiger, horse, bear and magpie. Such deification customs involved worshiping the mountains, the river or sea, or praying to the trees or rocks. There are a variety of examples in which tea was used as the function of folk beliefs. Regarding the tea culture of the public, the symbol of the tea spirit was considered more important than the tea of Paengda, the manners of Hangda or the taste of Eumda, because of mysteriousness and acquirement of the wisdom of the ancestors. Tea was a valuable offering and was the first tribute performed when presenting the six offerings to Buddha. In the cultural history of Korea, the tea ceremony and tea offering were performed to search for the nature and truth of life, and they demonstrated manners representing respect and sincerity. The ideal foundation of the tea ceremony was religion, though at the same time it transcended religion and was a philosophy of life.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