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북한 국방비 지출 변동요인에 관한 연구

        Yongdo Shin,Kyeongho Son 한국테러학회 2019 한국테러학회보 Vol.12 No.1

        본 연구는 리차드슨의 작용-반작용모형을 기반으로 남한과 북한의 국방비 지출에 대한 충격이 상대방의 국방비 지출 변화에 동태적으로 어떤 영향을 각각 주고 있으며, 특히 각국의 국방비 지출 변화가 상대방의 국방비 지출에 대한 충격에 의해서 어느 정도 설명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데 연구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방법론으로서 본 연구에서는 남북한 실질 국방지출액 으로 구성된 시계열분석방법인 벡터자귀회귀(SVAR: Structural Vector Autoregression)모 형을 활용하여 남북한 군비지출의 구조적 충격들이 각각 상대국의 군비지출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SVAR모형에서 구조적 충격들이 모형변수들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먼저 구조적 충격을 모형에서 식별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남북한간 군비경쟁에 대한 역사적 분석을 통해 남북한 군비지출에 대한 구조적 충격을 식별하기 위한 제약조건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 국방비 지출 충격이 북한 국방비흐름을 주도하고 있는 것에 반하여 남한 국방비 지출충격은 북한 국방비 변동에 거의 기여를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한 국방비 지출충격은 남한 국방비 변동의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지만, 북한 국방비 충격 또한 남한 국방비 변동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충격반응함수, 예측오차분산 및 역사적 분해 등 북한 국방비 지출에 대한 실증 분석결과는 북한 국방비 지출이 랜덤워크(random walk) 움직임을 따른 다는 선행연구들의 결과를 지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North and South Korean cases of military build-up show that while North Korea has pursued its armament not in response to South Korea, but by its own initiative, South Korea has continued to strengthen its arms based on North Korea’s military threat. It is interesting to see how North Korea has followed its own military strategy and historical experience to strengthen its military, while South Korea has set North Korean military power as the major target for its military buildup. Using the SVAR model,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dynamic effects of structural disturbances on South and North Korea’s military expenditures. To identify two such disturbances, South and North Korea’s military expenditure shocks, an historical analysis of North and South Korean cases of military build-up has been used to derive the identification restriction. The empirical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empirical results show that NK shocks dominate the movement of North Korea’s military expenditures, while SK shocks have an negligible effect, the latter’s contributions being statistically insignificant. Secondly, while SK shocks are the main source behind South Korea’s military expenditure fluctuations, NK shocks also play a significant role here. It is interesting to note that the empirical evidence about the impulse response, forecasting the variance and historical decompositions of North Korea’s military expenditures, seems to support previous studies that propose North Korea’s military expenditures follow a random walk process.

      • KCI등재

        주식시장 뉴스의 비교 연구

        고광수(Kwangsoo Ko) 한국자료분석학회 2021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3 No.1

        본 연구는 Campbell, Shiller(1988)가 개발한 로그-선형 모형의 실증 방법론에 따른 뉴스들의 상관계수를 분석하여 그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기존 연구 결과들과의 정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한 세 가지 방법론은 Campbell(1991), Chen, Zhao(2009, CZ), Wu et al.(2019a)의 연구를 기초로 하였다. 실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로그-선형 SVAR 방법은 시장의 센티먼트인 비기본적 뉴스가 시장 초과 수익률 분산의 많은 부분을 설명함을 보여준다. 비기본적 뉴스는 그동안의 로그-선형 모형에서 고려하지 않았던 센티먼트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Campbell(1991)과 CZ(2009)는 현금흐름과 할인율 뉴스는 상관관계로 볼 때 비슷한 성향을 가지지만, 노이즈 뉴스의 존재는 Campbell(1991) 방법을 왜곡할 가능성을 가진다. 셋째, 로그-선형 SVAR의 할인율 뉴스는 Campbell(1991)의 현금흐름 뉴스 및 CZ(2009)의 노이즈 뉴스와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며, 비기본적 뉴스도 Campbell(1991)의 할인율 뉴스와 매우 높은 음(-)의 상관 관계를 가진다. 이러한 관계는 현금흐름 뉴스의 직접적인 추정이 어려웠던 초기 로그-선형 모형의 한계로부터 발생하였다. 로그-선형 SVAR 방법론은 그런 어려움을 해결하는 동시에 비기본적 요인을 추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다. Using correlation coefficients, this study compares various types of news from three estimation methods, and find that our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ose of previous studies. Empirical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log-linear SVAR methodology reveals that non-fundamental news (i.e., stock market sentiment) explains extensively the variance of market excess return. Non-fundamental news can be interpreted as a sentiment that has not been considered in the previous research. Second, while the two methodologies of Campbell(1991) and Chen, Zhao(2009) have very similar characteristics when we compare cash-flow news and discount-rate news, the existence of noise news may distort the Campbell(1991)’s results. Third, discount rate news of log-linear SVAR has very high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cash-flow news of Campbell(1991) and the discount–rate news of Chen, Zhao(2009), and non-fundamental news has a very high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discount-rate news of Campbell(1991). These relationships arise from the limitations of the log-linear model, where direct estimation of cash-flow news is difficult. The log-linear SVAR methodology has an advantage in that it can solve such difficulties while estimating non-fundamental news.

      • KCI등재

        한국 재정정책의 유효성에 관한 논의 : SVAR 추정법을 중심으로

        김태봉,허석균 한국경제의 분석패널 2017 韓國經濟의 分析 Vol.23 No.3

        본 연구는 우리나라 재정정책의 유효성을 다루었던 다양한 실증분석 사례들을 종합․정리하고자 하는 시도의 일환이다. 이를 위해 우선 구조적 벡터자기회귀모형(SVAR)를 사용한 문헌들을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에서 재정정책의 유효성은 강하게지지되지 않거나 재정승수의 크기가 다른 나라에 비하여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관련 문헌에서 지금까지 보편적으로 사용된 다양한 SVAR 기법을 최근까지의 한국 거시 재정자료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사용된 식별조건과 변수, 추정방식에 따라 재정정책의 유효성 및 재정승수의 크기는 다르게 추정되었다. 특히 선형추세를 포함한 수준VAR를 이용한 추정의 경우 재정정책의 유효성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누적 재정승수가 그리 크지 않아 재정정책의 정책시차가 길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를 재정정책의 유효성을 지지하지 않는 다른 추정결과들과 종합해보면, 우리나라의 재정정책은 유의하지 않거나 재정승수가 크지 않거나 혹은 정책시차가 긴 편인 것으로 판단된다. This paper attempts quantitative assessments on the efficacy of fiscal policies in Korea with a particular focus on Structural Vector Autoregressive models. First, based on the literature survey, we find that the fiscal multipliers in Korea are either not significant or relatively smaller than any other developed countries. Next, we estimate fiscal multipliers of Korea using diverse identification schemes commonly adopted in the SVAR literature. Collective comparison of those estimates demonstrates that the significance and magnitude of fiscal multipliers vary depending on the identification schemes, scope of fiscal data, treatment of time series data and VAR specifications. For example, the significance of fiscal multiplier is most pronounced in level VAR including the linear time trend. However, the magnitudes of fiscal multipliers are still relatively small even in the case. Such a result is not much distant from those of other specifications as well as tthe existing literature confirming that the fiscal multipliers in Korea are either small or not significant.

      • KCI우수등재

        석유시장 요인별 충격에 따른 천연가스시장 반응

        윤원철 한국자원공학회 2022 한국자원공학회지 Vol.59 No.5

        In this study, natural gas price responses to different factors of the oil market were analyzed. A structural VAR model was developed to include crude oil supply, global economic indicators, crude oil price, and natural gas price as endogenous variables. Sample monthly data from January 1992 to September 2021 were used. The results obtained using the historical decomposition method indicated that the contribution of crude oil supply decreased, whereas that of global demand factor increased. In addition, the unique crude oil market factor was also an important influence. 본 연구에서는 석유시장에서의 요인별 충격에 따른 천연가스가격의 반응을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이를 위해, 원유공급량, 글로벌 경기지수, 원유가격, 천연가스가격 등을 내생변수로 설정하고SVAR 모형을 추정하였다. 표본자료로서 1992년 1월부터 2021년 9월까지 월간자료를 사용한다. 역사적 요인분해 기법을 활용한 실증분석 결과에 따르면, 최근 들어 천연가스가격 변동에 있어 석유 공급요인의 중요도는 상대적으로 감소한 반면 글로벌 수요요인의 상대적 중요도가 높아졌다. 또한 석유시장 고유 요인은 여전히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ICT 산업의 국민경제 및 타 산업 파급효과 분석

        현준석(Jun Seog Hyun),김원중(Won Joong Kim) 한국경제연구학회 2015 한국경제연구 Vol.33 No.1

        ICT 산업은 중간재, 자본재 혹은 업무 프로세스 개선 등의 다양한 용도로 타산업의 생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블록 외생성(block exogeneity) 및 독립성(diagonality)을 가정한 구조적 벡터자기회귀모형(SVAR)을 이용하여 ICT 산업이 국민경제 및 타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1997년 1월부터 2013년 8월까지의 월별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ICT 생산충격은 산업생산 및 수출 등의 국민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크기의 차이는 있으나 ICT 생산충격은 전반적으로 개별 제조업 생산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분산 분해 분석결과 ICT 생산충격은 ICT 밀접산업뿐만 아니라 일반 전통산업의 생산 변동성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Using a structural vector autoregression model with block exogeneity and diagonality assumptions, this study identifies exogenous ICT productivity shocks and estimates the effects of those shocks both on the national income and on other manufacturing industries. The results show that ICT shock has positive effects on national income as well as on the productions in most of manufacturing industries. The variance decomposition results reveal that ICT shock explains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volatilities in the productions of ‘medical/precision product’, ‘other machinery’. ‘rubber and plastic product’. ‘basic metal product’ and ‘fabricated metal product.’ The results confirm that ICT has important impacts on other industries either as intermediate goods, capital goods or as tools for improving business efficiency.

      • KCI등재
      • KCI등재

        Examining the Sources of Fluctuation in South and North Korea’s Military Expenditures

        신용도,손경호 한국테러학회 2019 한국테러학회보 Vol.12 No.1

        North and South Korean cases of military build-up show that while North Korea has pursued its armament not in response to South Korea, but by its own initiative, South Korea has continued to strengthen its arms based on North Korea’s military threat. It is interesting to see how North Korea has followed its own military strategy and historical experience to strengthen its military, while South Korea has set North Korean military power as the major target for its military build-up. Using the SVAR model,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dynamic effects of structural disturbances on South and North Korea’s military expenditures. To identify two such disturbances, South and North Korea’s military expenditure shocks, an historical analysis of North and South Korean cases of military build-up has been used to derive the identification restriction. The empirical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empirical results show that NK shocks dominate the movement of North Korea’s military expenditures, while SK shocks have an negligible effect, the latter’s contributions being statistically insignificant. Secondly, while SK shocks are the main source behind South Korea’s military expenditure fluctuations, NK shocks also play a significant role here. It is interesting to note that the empirical evidence about the impulse response, forecasting the variance and historical decompositions of North Korea’s military expenditures, seems to support previous studies that propose North Korea’s military expenditures follow a random walk pro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