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평화통일 지연에 따른 남북한 경제의 귀결

        한종수,최윤석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16 평화학연구 Vol.17 No.5

        As all socialist countries except North Korea transformed their socialist economic system into capitalist economic system since German Unification and collapse of USSR, it naturally followed that the competition concerning economic system turned out overwhelming victory of capitalist economic system. Namely the economic performances of the capitalist economy were roughly equal in equity but superior to the socialist economy in efficiency and stability. Therefore the socialist countries that acknowledged the inefficiency of the socialist economic system transformed their economic system into capitalist economic system and achieved very excellent economic performances. Until today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re the only divided country. South Korea and North Korea have performed their economy seeking capitalist market economic system and socialist planned economic system respectively. The outcome of these choices has been dramatic. South Korea has registered remarkable economic growth but North Korea has still remained subsistence economy. For example, per capita GNI of North Korea was 1.39 million won but per capita GNI of South Korea was 29.56 million won in 2014. The reason of this all the difference of these economic performances of the same people are given risen by the different economic system. In short, today’s North Korea’s economy boils down to the fact that North Korea has persisted in socialist centrally planned economic system from which USSR already escaped in 1991 and has emphasized on strengthening military power for the security of North Korea political regime itself. Under the circumstance that North Korea’s present economic system will persist in the future, the phenomena such as underdevelopment of North Korea’s economy, North Korea’s dependency on China, delay of Korea’s economic re-take-off and retardation of unification will also persist. Therefore it is very urgent that North Korea should transform its economic system into capitalist market economic system quickly as soon as possible and alleviate its dependency on China and make on effort to attain peaceful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Lastly it is necessary to reconstruct institutional contrivance between two Koreas to help North Korea’s economic system transformation and achieve peaceful unification from the standpoint of the principle of separation of political matters and economic matters. 독일통일과 소련의 붕괴를 신호로 과거 사회주의국가들은 모두 자본주의체제로 전환함으로써 경제문제에 관한 한 체제경쟁은 자본주의의 압도적 승리로 귀결되었다. 즉 경제의 형평성 측면에서만 자본주의 및 사회주의 양 체제가 비슷한 성과를 보인 것을 제외하고는 효율성, 안정성 측면에서는 자본주의가 사회주의에 대해 매우 양호하게 나타났다. 그리하여 사회주의 경제체제가 안고 있는 비효율성을 인식한 사회주의 국가들은 자본주의체제로 전환하기에 이르렀으며, 그 결과 사회주의국가들은 체제전환 이전에 비해 매우 양호한 경제성과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남한과 북한은 세계에서 유일한 분단국가로 남아있으며, 각각 자본주의 시장경제와 사회주의 계획경제에 입각하여 경제를 운용해 왔다. 그 결과 남한은 비약적인 경제성장을 이룩한 반면, 북한은 여전히 생존경제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2014년 기준 북한의 1인당GNI는 139만원, 남한의 1인당GNI는 2,956만원으로서 약 21배의 차이가 나고 있는 것이 이를 증명하고 있다. 동일한 민족의 경제운용 성과가 이처럼 크게 나타나는 것은 경제체제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일 수밖에 없다. 요컨대 소련조차도 폐기한 사회주의 중앙집권적 계획경제체제에서 탈피하지 못한 채, 더불어 체제존속을 위해 선군경제건설과 핵무력건설 병진과 같이 경제운용의 기본방향이 지나치게 군사력강화에 경도된 것이 북한경제의 오늘을 규정하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한반도의 평화통일이 지연되어 북한이 지속적으로 현 체제를 유지할 경우, 북한경제의 낙후성 지속과 대중국 종속 심화은 계속될 것이며, 한국경제의 재도약에도 크나 큰 장애요인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현 시점에서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북한이 하루라도 빨리 자본주의체제로 전환되어져야 하며, 경제개방을 통해 대중국 경제의존도를 완화시키고, 평화적인 남북통일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북한의 체제전환을 유도하고, 궁극적으로 평화통일을 이룩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남북당국이 정경분리 원칙에 입각해서 남북대화와 남북경제협력을 실현시킬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중국 경제체제의 개혁 발전단계에 관한연구

        김정식 한국동북아학회 2011 한국동북아논총 Vol.16 No.1

        1978년 중국은 생산력과 생산관계의 모순을 극복할 필요에서 개혁개방을 선언했다. 그리고 벌써 32년이 되었다. 중국의 경제체제는 개혁개방이전 전통적 중앙계획경제체제에서 개혁 후 중국 사회주의시장경제체제로 전환되어 왔다. 그 동안 중국사회주의 시장경제체제로의 전환의 주된 특징은 폐쇄․반(半)폐쇄형 경제로부터 개방형 경제로의 개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경제체제 개혁의 발전과정을 분석하여 중국경제체제 개혁의 발전단계를 폐쇄․반(半)폐쇄형 경제발전단계와 개방형경제 발전단계로 대분하여 각 시기를 구분하였다. 생산력 정체의 모순을 극복하기 위하여 폐쇄․반(半)폐쇄형 경제로부터 개방형 경제로의 개혁은 필수였다. 유물사관(唯物史觀)에 입각한 치열한 논전과 분석을 거쳐 개혁개방을 선언하고 계획조절과 시장기제가 결합된 계획경제인 중국 사회주의 시장경제체제 모델로 성공적으로 전환해 온 중국의 생산력은 눈부시게 발전하였고 생산관계는 변화하였으며, 세계는 지금 경제 대국 중국의 부활을 숨죽여 지켜보고 있다. It has been 32 years since China announced reform and openness to overcome the contradiction between productive capacity and productive relation that has existed inside and outside of the Chinese economy in 1978. The Chinese economic system has changed from The Centrally Planned Economy to The Socialist Market Economy in China after reform. The major trait of the transition to The Socialist Market Economy in China is that it is the reform from closed economic type to open economic type.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development process for the reform of Chinese economic system focusing on the reform issues from closed economy to open economy that were the concrete figures of Chinese economic system. Also, this study classifies each period by dividing development stages for reform of Chinese economic system into closed economic development steps and open economic development. It was necessary to reform Chinese economic system from closed economy to open economy in order to overcome the contradiction of a stagnation of productive capacity. The productive capacity of China has developed brilliantly and the productive relation changed while China announced reform open fiercely based on the materialistic view of history and Chinese economic system changed to The Socialist Market Economy in China that is The planned Economy Organically Combining Regulation by Plans the Market Mechanism. Now the world is watching the revival of an economic power of China silently.

      • KCI등재후보

        북한 민사법제의 최근 동향 - 경제체제의 변화를 중심으로 -

        이은정 법무부 2021 統一과 法律 Vol. No.

        This paper examines how changes in North Korea's economic system are being applied in civil law through an analysis of recent legal literature. The North Korean economy is departing from the traditional planned economy system, and these changes have also affected civil law. As a result, new concepts such as “Mul-juck property right” and “order contract” that could not be seen in the Civil Code and conventional literature have appeared in recent literature. However, North Korean scholars argue that such concepts arise from the transitional nature of socialism and are different from those in capitalism. “Mul-juck property right” is based on socialistic ownership of the means of production and is different from “property right” that represents private ownership. Similarly, the order contract is a part of the planned contract. As such, these changes are still explained within the framework of the “planned economic system”. On the other hand, South Korean scholars evaluate such a phenomenon as changes in the economic system and explain North Korean economic system as a “market-oriented economy” or “coexistence of a planned economy and a market economy.” It is undeniable that there are many changes from the conventional system even under the framework of the “planned economy” as claimed by North Korean schola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legal system in line with these changes. Therefore, the type and content of “Mul-juck property rights” should be stated in the Civil Code, and the registration system for “Mul-juck property rights” should be added to the Real Estate Management Law. Also, the new concept, “order contract,” which has different contents and effects from planned contract and general contract, should be stipulated in the legal system. 이 글은 북한 경제체제의 변화가 민사법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최근 법률문헌의 분석을 통하여 그 동향을 고찰하였다. 북한 경제는 전통적인 계획경제체제에서 벗어나고 있고 이러한 변화는 민사법제에도 영향을 미쳐서 민법전이나 종래 문헌에서 찾아볼 수 없던 ‘물적 재산권’, ‘주문계약’ 등 새로운 개념이 최근 문헌에 등장하고 있다. 하지만 북한 문헌들은 새로운 개념들이 사회주의의 과도적 특성에서 비롯된 것으로서 자본주의사회 제도와 차이가 있음을 주장한다. 생산수단의 사회주의적 소유를 바탕으로 한 ‘물적 재산권’은 사적 소유를 전제로 한 ‘물권’과 다르고, 주문계약 역시 계획적 계약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면서 여전히 ‘계획경제 체제’의 틀 안에서 이러한 변화를 설명한다. 이에 비하여 남한 학자들은 이러한 현상을 경제체제의 변화로 평가하고, 변화된 경제체제를 ‘시장형경제’, ‘계획경제와 시장경제의 공존’ 등으로 설명한다. 북한 학자들의 주장처럼 ‘계획경제’의 틀을 유지하더라도 이러한 변화된 내용은 종래의 제도와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부인할 수 없고, 이러한 변화에 따른 법제 정비가 필요하다. 따라서 ‘물적 재산권’의 종류와 그 내용을 민법에 규정하고, 물적 재산권에 대한 공시제도를 부동산관리법에 보충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계획적 계약이나 일반계약과 그 내용이나 효력에서 차이가 있는 새로운 유형인 ‘주문계약’을 법에 규정하여야 한다.

      • 경제체제변환 전ㆍ후의 사회주의 기업운영에 대한 경제체제적 분석

        조규진 한국질서경제학회 1997 질서경제저널 Vol.1 No.1

        Companies in most ex-socialist countries changed their business administration styles according to the transformation of economic systems of their countries, i.e. to capitalistic market economy in case of Russia and former East Germany, to socialistic market economy in case of China, both from the socialistically planned economy. The exception is North Korea whose economy is still socialistically planned. This paper analyzes the changes of business administration of the ex-socialistic companies before and after the transformation of economic systems of their countries, i.e. Russia, former East Germany and China. In case of North Korean companies, their peculiarities are discussed in terms of the business style before the transformation.

      • KCI등재

        체제전환국가들의 기업사유화 및 제품가격변환 과정에 대한 서술적 비교연구

        조규진(Gyue jin Joe) 한국경영사학회 2009 經營史學 Vol. No.

        In the early 1990s countries under the socialistically planned economy privatized the nation-owned companies and accepted the market economy in various ways. Russia changed the socialistically planned economy to the capitalistic market system, and China to the socialistic market system. The Eastern Germany was unified to the Western Germany under the capitalistic market system. This paper studied the various processes of the transitions of the economic systems focussing on the company privatization policies and product pricing polices in these transition countries. In order to analyze these transition processes in the company privatiztion and in the product pricing this paper studied the theory of the socialistically planned economy. And on the ground of these privatization policies and product pricing polices this paper proposed the entry strategies of the capitalistic companies into these transition countries respectively. 1990년대 초 과거 사회주의적 계획경제체제의 국가들은 3가지의 상이한 방식으로 경제체제를 전환하면서 기업의 사유화와 시장경제로의 제품가격정책을 실시하였다. 본 논문의 목적은 기업의 사유화와 제품가격 변환이라는 관점에서 이들 국가의 체제 전환 과정을 보고자 한다. 또한 사회주의적 계획경제체제의 이론을 기반으로 한 상태에서 러시아, 중국 및 동독에서 일어나는 각 과정의 특징을 역사적인 분석 방법을 통하여 비교연구 하였다. 러시아는 자본주의적 시장경제로의 급진적 체제 전환을 하여 완전한 사유화를 실시하는 동시에 완전한 시장경제의 가격정책을 실시하였다. 중국은 사회주의적 시장경제체제로 전환하여 기업에 대한 제한적 개인 소유를 인정한 상태에서 점진적 시장경제의 가격정책을 도입하였다. 동독의 경우는 자본주의 서독에 흡수 통일되어 서독 정부의 재정적 후원으로 큰 혼란 없이 자본주의적 시장경제체제로 전환하였다. 본 연구는 러시아, 중국 및 동독의 체제 전환에서 기업의 사유화와 제품가격 변환이 상기한 체제전환 과정에 영향을 받는다는 결과를 보여 주었다. 또한 이러한 기업과 제품의 관점에서 본 체제 전환의 역사적 분석은 이들 국가에 진출하는 자본주의기업에게도 많은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 KCI등재

        중국 사회주의시장경제체제에 관한 연구

        김정식(Jeong-Sik KIM),유관림(Guan-Lim LIU) 조선대학교 지식경영연구원 2012 기업과 혁신연구 Vol.5 No.1

        1949년 건국당시부터 신중국은 끊임없는 경제체제변혁을 모색하고 마침내 경제체제를 중국사회주의 시장경제체제로 귀결시켜왔다. 그 결과 국민총생산액 규모로 세계 제2위의 경제대국이 되었다. 따라서 본고는 중국경제의 변화와 성장의 역동성을 중국 사회주의 시장경제체제의 관점에서 고찰 하였다. 1949년 신중국의 건국이후 신민주주의 경제 단계(1949~1952), 전통적 중앙계획경제체제 단계(1949~1978)를 거쳐 1978년 개혁개방 이후 전개되어온 중국 사회주의 시장경제 체제(1978~현제)의 개혁의 과정과 성과 분석을 위해 실사구시(實事求是)적 연구방법에 의한 경제사 연구를 진행하였다. The new China has been seeking incessant system revolutions since 1949 when China was established and finally made its economic structures into free-market systems. As a result, China ranked number 2 in GNP (gross national product) and became a global economic power. Therefore this paper studied the changes of chinese economy and dynamism of the growth from chinese socialistic free-market system point of view. After 1949 when China was establish, china went through the new Democracy economy step(1949~1952), the traditional centrally planned economy system step(1953~1978) and the chinese socialistic free-market system step which has been developed after 1978 when is the year of China’s reform and opening up. This paper progressed an economic history study by methods of research based on facts to examine processes of revolutions and to analyze its outcomes.

      • KCI등재

        과거 사회주의 국가의 제품가격 책정에 대한 국가기금의 영향

        조규진(Gyue Jin Joe) 한국경영사학회 2008 經營史學 Vol.46 No.-

        과거 사회주의국가의 국가기금은 모든 사회주의기업의 전년도 잉여에 대한 국가적 총합이다. 국가기금에 의해 운영되는 노동가치의 사회주의적 계획경제체제는 기업이 자신의 잉여를 독립적으로 적립하여 운영하는 자본주의적 시장경제체제와 다르다. 본 연구의 주제는 과거 사회주의국가에서 국가기금이 기업의 제품가격 책정에 있어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국가기금으로 제품가격을 책정했던 근거를 밝히고 국가기금과 제품가격의 관계를 분석하는 이론적 연구방식을 택하였다. 그러한 국가기금에 의한 제품가격은 P〓C+V+G로 표시되는데(C:재료비와 감가상각비의 합, V:임금, G:기업의 목표이윤), 여기서 기업의 목표이윤이 G = RfㆍF 이므로 과거 사회주의국가에서는 국가기금이 기업의 제품가격책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Rf:기금이윤율, F:국가기금). 이와 함께 국가기금의 공시가격제도와 보조금제도로 인한 기업의 생산성 저하를 분석함으로써, 본 연구는 국가기금이 간접적으로 제품가격책정에 영향을 주었다는 점도 밝혔다. 자본주의적 시장경제체제나 사회주의적 시장경제체제로 전환한 러시아나 중국과 같은 과거 사회주의국가시장에 대하여 가격책정의 역사적ㆍ이론적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과거 사회주의국가에 진출하려는 자본주의기업에게 많은 공헌을 할 것이다. The national fund of the ex-socialistic nations, which all companies transferred their yearly yields, controlled the socialistically planned economy system. It is very different from the cases of the companies of capitalistic market economy system, which collect their yields in their own accounts. Therefore the national fund of the ex-socialistic nations could quantify the actual product price, although the original product price of the ex-socialistic nations was valuated by the labor times and qualities. The ex-socialistic product price was directly influenced by the national fund, especially by the fund yield rate. It is the reason that the actual product price of the ex-socialistic nations was mathematical sum of the cost and object yields, that is, P=C+V+G (P: product price, C:costs excluding wages, V:wages, G:object yield). Here, object yield(G) was calculated by the fund yield rate(Rf) and the national fund(F), that is, G= RfㆍF. In addition to this direct influence of the national fund, the national fund influenced indirectly the product price of the ex-socialistic nations through the notification price and the national subsidiary. The notification price influenced the product price indirectly because the nation-widely same price was notified to one product regardless of different producing companies. And the national subsidiary influenced the product price indirectly because the national fund calculated the product price excluding the national subsidiary to people and companies.

      • KCI등재후보

        체제전환국가들의 기업사유화 및 제품가격변환 과정에 대한 서술적 비교연구 -러시아,중국,동독을 중심으로

        조규진 ( Gyue Jin Joe ) 韓國經營史學會 2009 經營史學 Vol.49 No.-

        1990년대 초 과거 사회주의적 계획경제체제의 국가들은 3가지의 상이한 방식으로 경제체제를 전환하면서 기업의 사유화와 시장경제로의 제품가격정책을 실시하였다. 본 논문의 목적은 기업의 사유화와 제품가격 변환이라는 관점에서 이들 국가의 체제 전환 과정을 보고자 한다. 또한 사회주의적 계획경제체제의 이론을 기반으로 한 상태에서 러시아, 중국 및 동독에서 일어나는 각 과정의 특징을 역사적인 분석 방법을 통하여 비교연구 하였다. 러시아는 자본주의적 시장경제로의 급진적 체제 전환을 하여 완전한 사유화를 실시하는 동시에 완전한 시장경제의 가격정책을 실시하였다. 중국은 사회주의적 시장경제체제로 전환하여 기업에 대한 제한적 개인 소유를 인정한 상태에서 점진적 시장경제의 가격 정책을 도입하였다. 동독의 경우는 자본주의 서독에 흡수 통일되어 서독 정부의 재정적 후원으로 큰 혼란 없이 자본주의적 시장경제체제로 전환하였다. 본 연구는 러시아, 중국 및 동독의 체제 전환에서 기업의 사유화와 제품가격 변환이 상기한 체제전환 과정에 영향을 받는다는 결과를 보여 주었다. 또한 이러한 기업과 제품의 관점에서 본 체제 전환의 역사적 분석은 이들 국가에 진출하는 자본주의기업에게도 많은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In the early 1990s countries under the socialistically planned economy privatized the nation-owned companies and accepted the market economy in various ways. Russia changed the socialistically planned economy to the capitalistic market system, and China to the socialistic market system. The Eastern Germany was unified to the Western Germany under the capitalistic market system. This paper studied the various processes of the transitions of the economic systems focussing on the company privatization policies and product pricing polices in these transition countries. In order to analyze these transition processes in the company privatiztion and in the product pricing this paper studied the theory of the socialistically planned economy. And on the ground of these privatization policies and product pricing polices this paper proposed the entry strategies of the capitalistic companies into these transition countries respectively.

      • KCI등재

        러ㆍ중 기업개혁제도의 경영사적 의미분석

        Jo Kyu Jin(曺圭珍) 한국경영사학회 1998 經營史學 Vol.17 No.-

        This paper analysed the processes of Russian and of Chinese business reforms in historical aspects. Under the socialistically planned economy the process and the contents of the Chinese business reforms closely followed those of Russia in spite of political confrontations, It is because the essence of business reforms of the two countries is to recover the business inefficiencies of socialistically planned economy respectively. Similarities in the reforms of the countries are distinctive in the following aspects: goal of the central plan has changed from production quantity to sales quantity, then to total sales amount and finally to profits in both countries. Also the “aerated profit is retained by each company unit, not by the national fund. The similarities are found also in relation to economic system, i.e. these reforms took place without changing the fundamental structure of state-owned companies and of business control under central plan. However, the business reform of both nations took different route since the recent transformation of economic system. China unlike Russia did not fully privatize businesses even though it has adopted market economic system.

      • KCI등재후보

        北韓과 中國의 不動産制度에 관한 比較考察

        조성국(Cho Sung Gook) 북한법연구회 2004 북한법연구 Vol.7 No.-

        북한의 부동산제도 특히 토지제도는 社會主義的 土地制度에 입각하고 있다. 근래에 토지이용권의 인정에 의하여 약간의 변화가 일어나고는 있지만 근본적으로는 종전처럼 사회주의적 토지소유제도를 운용하고 있으며, 토지에 대한 매매,담보> 상속이 허용되지 않고 있다. 중국의 부동산제도는 토지개혁에 의하여 토지가 중농에게 집중되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農業의 集團化가 추진되었다. 그러나 集團耕作 방식은 농민들의 農業生章에 대한 적극성을 상실하여 農業經濟가 피폐하게 되는 원인이 되어 1985년에 人民公司가 해체되고 가정별 都給經營이 전면적으로 실시되었으며, 농촌경제의 급격한 변화는 중국의 改革 • 開放을 가속화시킨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던 것으로 평가된다. The real estate system of North Korea, especially the land system is based on the socialistic land system. Recently it is chaining a bit on the land system because it is permitted the use right of land by the North Authority. But fundamentally it is still used socialistic land system as in the past, it can’t permit about buying and selling, mortgage, inheritance of land in the North Korea. In the land system of China, the land is concentrated to the middle- class farmer by the land reformation. So in other to solve this problem, it goes ahead with the collectivization of agriculture. But the method of collective cultivation is caused to exhaust agriculture economy because of wanting by the fanners agriculture production. Therefore People s Corporation was dissolved in 1985 and man^ement of contract for work in each family is enforced generally. The sudden change in rural economy is evaluated decisive opportunity that accelerates reformation and opening in Chin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