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불교사회운동으로서 깨달음의 사회화 운동

        조기룡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22 佛敎學報 Vol.- No.99

        In 1995, Taegong Wolju (太空 月珠, 1935-2021), executive director of the Reform Order, declared a socialization movement of enlightenment. It played a role in changing the paradigm of the Buddhist social movement from the old social movement to the new social movement. Due to the socialization movement of enlightenment, the Buddhist social movement changed from an old Buddhist social movement centered on confrontation between classes and between ideologies to a new social movement where citizens were the center to work on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issues. Taegong Wolju declares that the socialization movement of enlightenment is a civil society movement, not a self-purification movement or ideological movement that defends the interests or positions of certain classes. The self-purification movement refers to the Buddhist purification movement, and the ideological movement refers to the Minjung (民衆) Buddhist movement. He clearly declared that the socialization movement of enlightenment was a new Buddhist social movement(Buddhist civil society movement) that was different from the old(Buddhist purification movement, Minjung Buddhist movement). The socialization movement of enlightenment can be confirmed as a new Buddhist social movement from the changes that followed this movement. The socialization movement of enlightenment implemented by Taegong Wolju himself includes the Korean Buddhist Foundation for Social Welfare, the Buddhist Human Rights Committee and the House of Sharing, the exchange with the Joseon (朝鮮) Buddhist Federation, and the Global Community Association. These social movements are clearly post-class and post-ideological the new Buddhist social movements. Since then, the socialization movement of enlightenment has become a catalyst to revitalize the Buddhist civil society movement as a new social movement in various areas such as Buddhist social welfare, human rights, inter-Korean exchanges, and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1995년, 개혁종단의 태공 송월주 총무원장은 깨달음의 사회화 운동을 선언한다. 깨달음의 사회화 운동은 불교사회운동의 패러다임을 구사회운동에서 신사회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깨달음의 사회화 운동으로 인하여 불교사회운동이 계급과 이데올로기가 충돌했던 구사회운동에서 시민들이 중심이 되어 정치, 경제, 사회적 문제에 대한 활동을 하는 신사회운동으로 바뀌게 된 것이다. 깨달음의 사회화운동 이전의 불교사회운동은 우리사회의 다른 사회운동과 마찬가지로 민중운동과 민주화운동이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 그러나 문민정부의 출범과 더불어 민주화운동의 지향점은 사라지고 ‘민중’이라는 개념 대신 ‘시민’이라는 의식이 대두되었다. 이러한 사회운동의 변화는 한국불교에도 반영되는데 그 전환점에 깨달음의 사회화 운동이 자리하고 있다. 문민정부의 탄생으로 인해 사회운동이 퇴조하고 민중불교운동도 서서히 약화되었다. 이에 불교사회운동의 주체 세력들은 개혁불사로 불리는 불교종단 내적 문제 해결에 집중했다. 그리고 개혁종단의 총무원장인 태공월주 대종사가 깨달음의 사회화 운동을 선언함으로써 불교사회운동은 신사회운동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하게 되었던 것이다. 태공월주 대종사는 깨달음의 사회화 운동이 특정 계급 및 계층의 이익이나 입장을 옹호하는 자기정화운동이나 이데올로기운동이 아닌 시민사회운동임을 선언하고 있다. 자기정화운동은 비구승이 대처승을 대상으로 한 불교정화운동을, 이데올로기운동은 계층 간 대립적 성격을 가졌던 민중불교운동을 지칭한다. 깨달음의 사회화 운동이 구불교사회운동인 불교정화운동․민중불교운동과는 다른 신불교사회운동인 불교시민사회운동임을 명백히 하고 있는 것이다. 깨달음의 사회화 운동이 신불교사회운동임은 깨달음의 사회화 운동 이후 불교사회운동의 변화에서 확인할 수 있다. 태공월주 대종사가 직접 행한 깨달음의 사회화 운동은 사회복지 분야의 조계종 사회복지재단, 인권 분야의 불교인권위원회와 나눔의 집, 남북교류 분야의 조불련과의 교류, 국제개발협력 분야의 지구촌공생회를 들 수 있다. 이 사회운동들은 분명 탈계급적․탈이념적인 신불교사회운동이다. 이후 깨달음의 사회화 운동은 불교사회복지, 인권, 남북교류, 국제개발협력 등의 제반 영역에서 신사회운동으로서 불교시민사회운동을 활성화하는 촉매가 되었다.

      • KCI등재

        ‘사회운동적 노동조합주의’로 본 포용성 전략으로서의 지역 내 노동운동과 사회운동 간의 전략적 통섭

        양준호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22 산업혁신연구 Vol.38 No.4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what ‘social movement unionism’ is and under what conditions such a labor movement can be materialized. The concept called 'social movement unionism' can be defined as a kind of counter-proposition to the 'new social movement theory' discussed in the 1970s and 1980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New Social Movement', the labor movement, which has played a central role in the 'old social movement' - at least in the advanced countries after World War II - was incorporated into the industrial relations system and political system and internalized the system. As a result, it not only weakened its presence as a social movement subject, but also failed to exert its function. On the other hand, since the late 1960s, the 'New Social Movement', which aims to solve various social problems such as environment, gender, ethnic minority, and community, was activated based on the support of the new middle class, and became the center of the social movement. came to play a role. ‘Social movement trade unionism’ refers to the ‘resocial movement’ of trade unions as resistance to the flow of such a ‘new social movement’. In other words, since the union has faced the limit of the scope of its activities centered on the economic sphere so far, it can be translated into a movement to expand its scope of activity to the social sphere in order to revitalize its own organization. 본 고는 ‘사회운동적 노동조합주의’란 무엇인지, 또 어떠한 조건 하에서 이와 같은 노동운동이 구체화될 수 있는지를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회운동적 노동조합주의’로 불리는 개념은 1970년~80년대에 논의되었던 ‘신사회운동론’에 대한 일종의 반명제로 규정할 수 있다. ‘신사회운동론’의 입장에 의하면, ‘낡은 사회운동’에 있어서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해온 노동운동은―적어도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선진제국에 있어서는―노사관계 제도 및 정치체제 안으로 편입되어 체제내화됨으로써 사회운동 주체로서의 존재감도 약했을 뿐만 아니라 그 기능도 발휘하지 못했다. 반면에 1960년대 후반 이후, 환경, 젠더, 소수민족, 커뮤니티 등과 같은 다양한 사회문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신사회운동’이 새로운 중간계급(new middle class)을 지지 기반으로 하여 활성화되면서 사회운동의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기에 이르렀다. ‘사회운동적 노동조합주의’는 이와 같은 ‘신사회운동’의 흐름에 대한 저항으로서 오히려 노동조합의 ‘재사회운동화’를 의미한다. 즉 노동조합은 지금까지의 경제적 영역을 중심으로 하는 활동 범위의 한계에 직면했기 때문에, 스스로의 조직을 재활성화하기 위해 사회적 영역으로까지 그 활동 범위를 확대하고자 하는 운동으로 환언될 수 있다.

      • KCI등재

        이탈리아의 사회센터운동

        윤수종 ( Soo Jong Yoon ) 부산외국어대학교 지중해연구소 2008 지중해지역연구 Vol.10 No.2

        This article aims to describe the Social Center(``centri sociali``) Movement in Italy and tries to find its meanings. In the 68 revolution of Italy, student movement went hand in hand with worker`s movement, and social movement continued all through the 1970s. In the course of such stream, ``Reclaim the city`` slogan had emerged, and then the social center movement had begun. Radical youth occupied vacant buildings and sites, transformed them into their own free spaces. These social centers had survived during 1980s by making concerts and struggling against the eviction of police. Since the second half of 1980s, social center movement has been activated against the privatization and reduction of public space. New occupation wave reactivated the social center movement which made more positive activities than before. Social centers did not only make cultural events but also perform political campaigns, diverse social services. And social centers self-produce and have a principle of self management. They tried to orient toward spaces and management independent from capitalist market and state. Also they have created another market relation and tried to cooperate closely with local society. Recently the issues of the legalization of occupied site and the intervention in local politics has been disputed within and among social centers. Still, social centers deployed various activities at the margin between legality and illegality. Moreover, members of social centers go beyond regional scene, involve in the movement at the national and global scene. Social centers made organizations such as ``Tute Bianche`` and ``Ya Basta association``, exhibited new form of demonstration, and involved in global solidarity and alternative(anti)- globalization movement. Social center movement in Italy reveals the process by which minor movements have been transformed into global movements. Social centers construct free spaces by creating deterritorialized zones within a country, perform diverse social services at a local, national, and global level. Moreover, social centers creates other communes by experimenting new form of cooperation and lifestyle. This current is the way to weaken the state power by creating various alternative micro-communes free from state.

      • KCI등재

        CONTEMPORARY SOCIAL MOVEMENTS IN LATIN AMERICA AND ITS POLITICAL SOCIOLOGY

        Sang-Sub Ha 한국라틴아메리카학회 2007 라틴아메리카연구 Vol.20 No.2

        This study examines the multiple collective identity of contemporary social movements and its mobilising structures in contemporary Latin American societies post-1980. This study debates ‘who they are’ in the contexts of many arguments about the concept of collective identity based on the US and European social movement studies. Compared to the advanced countries, for Latin American social movement, it is not easy to demarcate the correct line between old and new forms of collective identity in the formation of social movement. Thus, beyond these complicated debates, this article scrutinizes more structural factors for confirming the existing multiple collective identity within social movements under the questions of: ‘why they mobilise’, such as social exclusion based on the socio-economic structure (poverty, unemployment, growing informal sectors, lack of an adequate social safety system); ‘how and what for’ the activities have organised themselves into multiple identity of collective actions. Central issues here are: (ⅰ) historically, review the development of ‘old’ and ‘new’ forms of social movement involved with traditional labour-rural movements and new social movements in Latin American societies; (ⅱ) discovering the existing ‘multiple collective identity’ under conditions of changed moblising structures (socio-economic, socio-political and sociocultural dimensions) post-1980; (ⅲ) identifying their social demands (bread and butter, urban services, other resources), and finally ⅳ) asking contemporary meanings of democracy (establishing citizenship rights) and social change with them. Given multiple actors in the transformed mobilising structures, the contemporary social movements demonstrate a potential for creating more vibrant democratic societies and activities of this kind must surely be part of any attempt at democratic ‘deepening’.

      • KCI등재

        ‘깨달음의 사회화 운동’과 한국 불교사회운동의 패러다임 전환

        박수호(Park Su Ho) 동양사회사상학회 2015 사회사상과 문화 Vol.18 No.2

        이 논문은 불교사회운동사에서 기념비적 이정표를 제시하고 있는 ‘깨달음의 사회화 운동’의 불교사회운동사적 의미를 검토하고 있다. 불교적 가치에 공감하는 사람들이 불교적 방법에 의해 불교적 가치를 실현하려는 조직화된 집합행동이 불교사회운동이고, 이것은 곧 불교 신행활동 그 자체를 의미한다. 불교사회운동의 구체적인 내용은 특정 시기의 사회 현실에 따라 달라진다. 각 시기의 정치적․경제적․사회적 맥락속에서 제기되는 주요 모순과 시대적 과제에 따라서 불교사회운동의 목표와 수단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이 논문에서는 개항기부터 현재까지의 불교사회운동사를 불교혁신운동기, 불교정화운동기, 민중불교운동기, 참여불교운동 및 작복불교운동기 등 네 시기로 나누어 개략적인 특징을 검토하였고, 이를 통해 1980년대까지와 1990년대 이후의 불교사회운동이 목표나 방법론, 활동영역, 사상적 근거에서 많은 차이를 드러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차이의 계기는 1994년 종단개혁에 성공한 개혁종단이 범종단적 차원에서 추진한 ‘깨달음의 사회화’ 운동으로 볼 수 있다. 깨달음의 사회화 운동은 석가모니의 삶과 연기법에 근거한 불이적 관계, 보살행등의 사상적 근거를 가지고 있고, 제창자 월주스님의 좌우명이라고 할 수 있는 원효의 ‘귀일심원 요익중생’의 사상을 현대 사회에 맞게 구체화 시킨 불교사회운동이다. 이 운동은 사회불평등, 환경, 통일, 비인간화 등 다양한 사회문제의 해결을 위해 불교가 주도적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종교 본연의 기능을 회복하고, 불교의 내적 역량강화와 개혁을 이루어 냄으로써 불교 발전의 동력을 확보하고자 했다. 한편, 깨달음의 사회화 운동은 다양한 구체적 활동영역을 가진 불교사회운동을 아우르는 총체적 개념이며, 이를 계기로 불교사회운동이 새롭게 정의되고 있다는 점에서 불교사회운동을 인식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연기법에 근거한 불교적 관점을 통해 사회운동의 대상을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 있고, 수행과 실천의 일치라는 가장 불교적인 방법을 사회운동의 새로운 방법론으로 제공하고 있다. 아울러 깨달음의 사회화 운동을 통해 불교와 사회의 질적 도약을 이뤄내는 새로운 비전을 제시한다. 바로 이러한 점들이 깨달음의 사회화 운동을 불교사회운동의 하나의 유형이 아니라 불교사회운동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This paper attempts a critical reflection on the meaning of ‘Social Expansion of the Enlightenment’ movement in history of Buddhist social movements. Buddhist social movement is a collective action of people sympathetic to Buddhism, Buddhist values to realize the value of using a Buddhist way. This means the Buddhist itself. The ideological basis of Buddhist social movement is Buddha s life and the spirit of Mahayana Buddhism. Specific details of the Buddhist social movement will depend on the social reality of a particular time. This paper reviews the history of Buddhist social movement were divided into four era: Innovation Movement of Buddhism era, Purification Movement of Buddhism era, People s Buddhism Movement era, Engaged Buddhism Movement and Fortunemaking Buddhism Movement era. As a result, since 1990s, it was confirmed that has changed the goal, methodology, activities area, the ideological basis of the Buddhist social movement. Instruments of this change is a ‘Social Expansion of the Enlightenment’ movement, published in 1995. This movement play a leading role in solving various social problems, restore the original religious function, strengthen the internal competence to achieve a reform of Buddhism and sought to obtain the power of the Buddhism development. The ‘Social Expansion of the Enlightenment’ movement is a holistic concept of Buddhist social movement that encompasses a variety of activities, and a new paradigm of Buddhist social movements to re-define the Buddhist social movements. The ‘Social Expansion of the Enlightenment’ movement as a new paradigm presents a Buddhist perspective look at the subject of social movements, and has provided a way that is consistent with the Buddhist practice and perform with the new methodology of Buddhist social movements. In addition, it presents a new vision to achieve a qualitative leap in the Buddhism and society through ‘Social Expansion of the Enlightenment’ movement.

      • KCI등재

        온라인 사회운동의 출현에 따른 사회운동학습 담론의 확장 가능성

        허준(Heo, Joon) 한국평생교육학회 2012 평생교육학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온라인 사회운동 출현에 따른 사회운동학습 담론의 확장 가능성의 문제를 이론적으로 탐색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첫째 사회운동에서 이루어지는 학습의 문제를 다룬 기존의 사회운동학습 담론을 분석하였다. 둘째 온라인 사회운동의 특성을 검토하고 사회운동학습 담론의 관점에서 온라인 사회운동에서 이루어지는 학습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셋째로 온라인 사회운동의 맥락을 고려해서 기존 사회운동학습 담론의 확장가능성과 이를 위한 이론적과제들을 제시하였다. 온라인 사회운동의 장은 일반적 사회운동이 갖는 학습의 장으로서의 기본적 특성을 가지고 있으면서 동시에 디지털 혁명에 의해 주어지는 존재 조건으로서 기술, 언어, 가상 등의 영향을 받고 있었다. 이는 사회운동학습이 일어나는 물리적 조건으로서 매체환경의 변화, 사회운동 학습주체로서의 자기 정체성의 변화, 그리고 사회운동학습의 원천으로서 실천 경험의 변화를 의미하는 것이었다. 연구자는 이 변화를 포괄하기 위한 사회운동학습의 이론적 과제로 매체 환경에 대한 비판적 접근, 온라인 정체성 고려, 운동 담론에 대한 자기 성찰적 학습의 문제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to discuss possibilities of social movement learning discourses extension movement learning discourses considering online social movements. For this purpose, first I analysed social movement discourses which covered learning problems in the context of social movement. Second I analysed characteristics of online movements and learning problems in the theoretical frame of social movement learning. And third I suggested some theoretical challenges of social movement learning discourses to include online social movements. I could conclude that partially online social movements shared same characteristics with off-line social movement as the site of leaning, but were under influences of technologies, language and virtuality as existential conditions given by the digital revolution at the same time. This meant that there were changes of media environment as the physical conditions of learning, identities as learning subjects and practical experiences as learning sources in social movement. Considering these changes, I presented three theoretical challenges of social movement discourses as follows: 1) critical approaches to online media, 2) problems of identities, 3) reflexive learning about movement discourses.

      • KCI등재

        사회운동의 공간성: 사회운동연구에 있어서 지리학적 기여에 대한 탐색

        정현주(Hyunjoo Jung) 대한지리학회 2006 대한지리학회지 Vol.41 No.4

        본 논문은 현대 사회운동 연구의 대표적인 접근법인 자원동원이론, 프레임이론, 신사회운동이론을 비판적인 관점에서 비교ㆍ고찰하며 이들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사회운동의 공간성에 대한 고찰을 통해 제시하고 있다. 현대 사회운동 연구의 주류 패러다임을 형성해 온 자원동원이론과 프레임 이론은 최근 논쟁정치 연구로 통합되고 있는데 이들은 사회운동의 동원과 전략, 정치적 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사회운동의 원리와 일반적인 법칙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사회운동의 전략적인 측면에 치우쳐 사회운동의 동인을 분석할 수 있는 틀을 개발하지 못하였고 이는 사회운동의 과정과 맥락에 대한 인식부족을 가져왔다. 신사회운동이론은 새로운 사회운동의 발발을 거시적이고 구조적 관점에서 설명하고 있으나 추상적이고 대상지역이 한정되어 있다는 한계를 노정해 왔다. 사회운동의 공간성에 대한 연구는 사회운동의 지역적 차이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도모하며 사회운동을 촉발시킨 갈등구조가 형성되고 집단행동이 조직되는 국지적 맥락에 대한 풍부한 통찰력을 제공해 준다. 또한 공간의 물리적 구조와 상징성은 운동의 규모와 방법을 제한하며 사회운동에 의해 활용되기도 하는 전략적 매개체이다. 사회운동의 공간성은 사회운동의 다양성과 역동성을 설명해주는 유용한 개념이 될 수 있다. The paper critically examines resource mobilization theories, frame theory, and new social movement theories, and proposes studies on the spatiality of the social movements as one potential to mitigate the limitation in these theories. The resource mobilization theories and the frame theory, the strategy-oriented approaches, lack contextual understandings of the origin of social movements. While new social movement theories provide macroscale analysis and the structural explanations of the origins of social movements, they have covered limited geographical areas. The spatiality of social movements promotes deep understandings of local differences, and contexts in and through which grievances are constructed and collective actions are organized. Physical structures and symbolic representations of places are often created and utilized as social movement strategies. The spatiality of social movements can be a useful conceptual tool to explain the diversity and the dynamics of social movements.

      • KCI등재

        천도교의 새로운 사회운동 방향성과 과제

        박세준 동학학회 2019 동학학보 Vol.0 No.5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the direction and challenge of the new social movement of Cheondoism. To achieve this goal, researcher looked at the definition of social movements and the direction of social movements that fit into the 21st century. The new social movement direction that Cheondoism should move forward is the "new social movement". The content of this paper is the direction of the new social movement that Cheondoism should move forward. When unification movement and democratization movement is called the "old social movement," the new social movement focuses on peace, environment, human rights, labor and etc. In particular, movements that are materialized in each sphere of motion, not such as the peace movement, environmental movement, human rights movement and labor movement should be implemented. For example, a unification movement is movement towards peace, conflict management and the government's economic activity. A environmental movement are climate change, fine dust and dust storm response, conservation. A civil rights movement are feminism, LGBT,refugees, animal welfare. And a labour movement is “gabeul(갑을)” in relationships, an emotional labor, student housing problem. It should also actively deal with various issues and timely topics. It's better just not only about Korea's special issues, but also about issues that can achieve universality at a global level. It should also represent the position of the relative weak or the socially disadvantaged on the side of all alienated persons, not the movement in a particular field. Futhermore also the animal and nature as well. The result of this paper is the challenge of a new social movement that Cheondoism should move on. Although Cheondoism's new direction of social movement is a new social movement, the current situation of Cheondoism lacks members to go in this direction. It is not simply a small number of people in the church. There are fewer professionals to plan and position new movements, and fewer ordinary teachers to participate in the movement. Educational institutions should be established to foster and re-educate professionals and ordinary teachers. Money is needed to establish and operate educational institutions as well as to launch a new social movement. Under the current funding situation of Cheondoism, it is difficult to even start all of this. For educational institutions, professionals and activist funds, the role and nature of the organization must be revamped. The reshuffle requires the constitution amendment of cheondoism as well as the articles of association of the Cheondoism Foundation. 이 논문의 목적은 천도교의 새로운 사회운동의 방향성과 과제를 찾는 것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회운동의 정의와 21세기에 맞는 사회운동의 방향성을 알아봤다. 천도교가 나아가야할 새로운 사회운동 방향은“신 사회운동”이다. 이 논문의 내용은 천도교가 나아가야할 새로운 사회운동의 방향성이다. 기존의 통일과 민주화 운동을 “구 사회운동”이라 했을 때, 신 사회운동은 이와다른 평화, 환경, 인권, 노동에 초점을 맞춘다. 특히 평화운동, 환경운동, 인권운동, 노동운동과 같이 추상성이 높은 운동이 아닌 각 운동영역에서 구체화된운동을 시행해야 한다. 예컨대 평화운동은 통일운동, 갈등관리, 정부경제 운동으로, 환경운동은 기후변화, 황사/미세먼지대응, 환경보전, 인권운동은 성소주자, 페미니즘, 난민, 동물복지로, 노동운동은 갑을관계, 감정노동, 일자리문제, 학생주거문제로 구체성을 높인 주제로 향해야 할 것이다. 또 다양한 이슈와 시의적절한 주제에 적극 대처해야 한다. 단순히 한국의 특수한 사항만을 염두에 둘 것이 아니라 전세계 차원에서 보편성을 획득할 수 있는 운동이면 더욱 좋다. 또한 특정분야의 운동이아니라 모든 소외받고 있는 이들의 편에서 상대성 약자 또는 사회 약자의 입장을 대변하며 동물과 자연까지 아울러야 한다. 이 논문의 결과는 천도교가 나아가야 할 새로운 사회운동의 과제다. 천도교의 새로운 사회운동 방향이 신 사회운동이지만 현재 천도교 상황에서는 이방향으로 가는 데 있어 사람이 부족하다. 단순히 교인의 수가 적다는 차원이아니다. 새로운 운동을 기획하고 지위할 전문성직자가 적고, 운동을 참여하는 일반교인이 적다. 전문성직자와 일반교인의 양성과 재교육을 위해 교육기관을 설립해야 한다. 교육기관 설립과 운영은 물론 새로운 사회운동을 하기위해서는 자금이 필요하다. 천도교의 현재 자금 사정으로는 이 모든 것을 시작도 하기 어렵다. 교육기관, 전문성직자, 운동자금을 위해서는 조직의 역할과 성격을 개편해야 한다. 이 개편을 위해서는 천도교유지재단의 정관 뿐만아니라 교헌까지 개정이 필요하다.

      • KCI등재

        형평운동의 역사적 가치와 교육적 의의

        강성진(Sungjin Kang),구경남(Kyeongnam K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1

        목적 본 연구는 형평운동의 연구 동향 및 그 성격을 바탕으로 역사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분석하여 형평운동의 역사적 가치와 교육적 의미를 재고하는 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형평운동의 연구 동향을 추적하여 형평운동의 성격을 두 가지로 범주화하였다. 주된 연구 흐름은 민족해방운동의 성격을 강조하여 민족을 중심에 둔 경우이고, 다른 흐름은 차별 타파 운동에 주목하여 시민적 가치를 중요하게 다룬 경우다. 민족적 가치와 시민적 가치를 기준으로 역사 교육과정(7차, 2009 개정, 2015 개정) 및 교과서(2015 개정 고등학교 한국사) 서술을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 검토한 결과 먼저 역사 교육과정(7차 ‘한국 근⋅현대사’, 2009, 2015 개정 ‘한국사’)에서 형평운동은 민족해방운동의 성격을 강조하여 민족적 가치를 우선하였다. 다만 단원 편제와 성취기준에서 형평운동을 점차 사회운동 차원에서 접근하는 변화가 나타났다. 다음으로 역사 교과서(2015 고등학교 한국사) 서술은 형평운동과 일제의 대립 구도를 중심으로 한 민족해방운동 관점이 지배적이었으나, 형평운동을 사회운동으로 접근하여 시민적 가치에 주목한 서술이 등장했다. 결론 형평운동의 역사적 가치를 재고함으로써 시민교육으로서 형평운동의 교육적 의미를 제고한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reconsider the historical value and educational significance of social equality movement by analyzing the history curriculum and textbooks based on the research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equality movement. Methods To this end, the research trend of the social equality movement was follow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equality movement were categorized into two categories. The main research flow is the case of emphasizing the nature of the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and focusing on the nation, and the other trend is the case of focusing on the movement to overcome discrimination in the social equality movement and treating civic values as important. The descriptions of the history curriculum (7th, 2009 revision, 2015 revision) and textbooks (2015 revision high school Korean history) were analyzed based on national values and civic values. Results As a result of the review in this study, first, in the history curriculum (7th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2009, 2015 Revised Korean History), the social equality movement emphasi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giving priority to national values. However, there was a change that gradually approached the social equality movement in terms of social movement in terms of unit organization and achievement technology. Next, in the history textbook (2015 High School Korean History), the view of the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centered on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social equality movement and the Japanese Empire was dominant, but a narrative focused on civic values by approaching the social equality movement as a social movement appeared. Conclusions By reconsidering the historical value of the social equality movement,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e social equality movement as a citizenship education is improved.

      • KCI등재

        성공적인 사회운동과 리더십: 필리핀 가와드 칼링가 사례를 중심으로

        이광동 동양사회사상학회 2019 사회사상과 문화 Vol.2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implications for the role, contribution of successful social movement, social enterprise and leader.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he activities of a social movement organization in the Philippine, Gawad Kalinga, the social enterprise "Enchanted farm" and the leader Antonio T. Meloto. The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qualitative methods using literature review, interviews through visited Philippine, and homepage. This research is the first study of social movement and social enterprise through the case of the Philippines, unlike most Korea social studies are based on developed countries. In contrast to the existing NGO-oriented social movement, which has been limited the sustainability and stability of the social movement by the financial problems, “Enchented farm” as a platform by Gawad Kalinga has adopted the social enterprise realized the social economy of profit- Regional development movements. This suggests the possibility and direction of a new social movement, and it is necessary to share the experiences and contents. The factors that can be used as a global model for the social movement in overcoming poverty and regional development of Gawad Kalinga are First, approached social movements from the collective level. Secondly, affirmed and trusted situations and objects in terms of strengths. Third, made possible the poor to change consciousness through education and become the subject of social movement. Fourth, promoted self-social movement. Finally, formed leadership with multidimensional harmony and various internal-external conditions. 이 연구는 필리핀의 사회운동조직 가와드 칼링가와 사회적기업 ‘마법에 빠진 농장’, 그리고 리더 안토니오 멜로토를 대상으로 사회운동과 사회적기업의 바람직한 모델을 탐색해 보고, 이를 통해서 한국농촌의 사회적 경제의 안정화와 확대를 위한 함의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는 문헌조사, 현장방문을 통한 관찰, 관련 영상과 홈페이지 자료 등을 활용하였다. 사회운동, 사회적 경제, 그리고 사회적기업에 관한 한국의 대부분의연구가 선진국 사례를 중심으로 논의된 것과 달리 이 연구는 필리핀의사회운동과 사회적기업에 관한 첫 연구라는 의의가 있다. 기존 NGO 중심의 사회운동이 재정적인 문제로 운동의 지속성과 안정성에 한계를 드러낸 것과 달리 가와드 칼링가는 사회적기업 ‘마법에 빠진 농장’을 플랫폼으로, 공익을 위한 이윤창출의 사회적 경제 구현과 빈곤극복의 지역개발운동을 함께 전개하고 있다. 이는 새로운 사회운동의 가능성과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으로서 그 경험과 내용을 공유할 필요가 있다. 가와드 칼링가의 빈곤극복 및 지역개발의 사회운동이 글로벌 모델로활용될 수 있는 요인으로는 첫째, 사회운동을 총체적 차원에서 접근하였으며, 둘째, 강점관점 차원에서 상황과 대상을 긍정하고 신뢰하였으며, 셋째, 빈민이 교육을 통하여 의식을 전환하고 사회운동의 주체가 될 수있도록 하였으며, 넷째, 전통을 존중하고 이를 반영하여 자존적 사회운동을 추진하였으며, 마지막으로 리더의 리더십이 여러 내외적 조건들과다차원적으로 조화를 이루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