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년여성의 성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김미옥(Kim, Mi-Ok)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5 No.1

        본 연구는 중년 여성의 성기능, 성 의사소통 및 성만족 정도를 파악하고 성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 악함으로써 중년 여성의 성건강 증진을 위한 중재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으며, 2012년 10월부터 2013년 1월에 걸쳐 국내 4개 도시에 거주하는 40세~60세의 중년여성 126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성기능, 성 의사소통 및 교육 수준이 중년 여성의 성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나 성기능 정도와 성 의사소 통 정도가 높은 경우와 높은 교육 수준을 가진 경우에 성만족 정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 대상자의 73%가 성기능 장애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중년 여성이 발달적, 상황적 변화에 더불어 사회경 제적 변화로 인해 성건강을 위협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중년 여성의 성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개인의 인식이 부족 함과 더불어 사회적 차원의 자원이 충분하지 않은 상황에서 의료인은 여성 성기능 장애에 대한 문제의 심각성과 적 극적인 해결방안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성 관련 문제 해결 역량을 높이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Sexual satisfaction depends a lot of various factors. The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middle-aged women's sexual function, sexual communication, and sexual satisfaction and to determine factors influencing sexual satisfaction. As a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data was collected during Oct. in 2012 to Jan. in 2013 from 126 middle-aged women in Korea. Sexual function, sexual communication, and sexual satisfaction were averaged 25.02 (range of score 2~36), 3.12 (out of 5), and 2.36 (out of 4), respectively. Sexual satisfaction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exual function and sexual communication. Sexual function, sexual communication, and last formal education were influencing factors on sexual satisfaction. Sexual satisfaction of middle-aged women was considered their physical and psychological aspects. Nurses should become aware of the wider consideration that need to be made in relation to the general and sexual quality of life when caring for middle-aged women.

      • KCI등재

        대학생의 성 행동에 관한 연구 : 부모와의 의사소통 특성과 대학생의 성태도 및 성에 관한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focused on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with parents and university students' sexual attitude and communication

        박지현,김태현 한국가족관계학회 2005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1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sexual behavior among university students. To do that, this research was focused on the communication between parent and university student, university student couple's sexual communication, and sexual attitude of university student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1) In actual state of sexual behavior, there are many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2) There are various results that depend on sociodemographic variables. Therefore, for an in-depth study on sexual attitude or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it is necessary to see them from different perspectives. 3) Several sociodemographic variables and couple sexual communication was significantly effected on sexual behavior among the subjects. I suggest that couple sexual communication would be deal with more significantly in the future study to make youth have correct sexual behavior through correct sexual communication.

      • KCI등재

        대학생의 성평등의식, 자아존중감, 성 의사소통이 성적 자율성에 미치는 영향

        문지현(Moon, Ji-Hyun),최소은(Choi, So-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4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적 자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광주광역시와 전남 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238명을 대상으로 2019년 11월 1일부터 12월 28일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지 또는 온라인 설문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및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성평등의식의 점수는 3.44점, 자아존중감은 3.58점, 성 의사소통은 3.03점, 성적 자율성은 4.12점 이었다. 성적 자율성은 성평등의식, 자아존중감, 성 의사소통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성적 자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성평등의식(β=.31), 자아존중감(β=.20)과 성 의사소통(β=.11)이 유의하게 영향을 주었으며, 총 설명력은 18%이었다(F=13.25, p<.001). 따라서 성 행동을 시작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성교육 프로그램을 계획할 때는 성행동의 단순한 억제 방법 보다는 성평등의식, 자아존중감 및 성 의사소통을 고취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sexual autonomy of college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elf-written questionnaire or an online questionnaire for 238 students enrolled in universities in Gwangju and Jeonnam from November 1 to December 28, 2019.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ubjects gender egalitarianism score was 3.44 points, self-esteem 3.58 points, sexual communication 3.03 points, and sexual autonomy 4.12 points. Sexual autonomy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gender egalitarianism, self-esteem and sexual communication. The significant variables influencing the sexual autonomy were gender egalitarianism (β=.31), self-esteem (β=.20) and sexual communication (β=.11). These factors explain 18% of college students’ sexual autonomy. Therefore, when planning a sexual education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who initiate sexual behavior, it is necessary to consider various methods to inspire gender egalitarianism, self-esteem, and sexual communication rather than simple suppression of sexual behavior.

      • KCI등재

        The Relationships among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Sexuality of the Korean Married Women

        이혜진,채규만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010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Vol.19 No.-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s among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nd sexuality of Korean married women. Four hundred nineteen Korean married women were recruited from the Metropolitan areas of Seoul and Kyung-Ki Province. Sexual attitudes Scale, Index of Sexual Satisfaction Scale, Marital Intimacy Scale, and Female Sexuality scale were administered to them. The results indicated sexual that subjects with a higher degree of education and no menopause have more open sexual attitudes. Subjects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were more sexually open than subjects in their forties and fifties. Subjects in their thirties were able to express sexual communication better than subjects in their fifties. Sexual communication was the most powerful predictor for women’s sexuality. Sexual communication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sexual desire, sexual excitement, orgasm, and sexual pain, but marital intimacy had the most influence on general sexual satisfaction. The limitation for this study was discussed.

      • KCI등재

        청소년의 성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음란물 접촉,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공격성을 중심으로

        이진석,김재엽,황선익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8 청소년복지연구 Vol.2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ath between pornography contact,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aggression as main factors affecting adolescents' sexual violence. The participants were 1,601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do.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analysis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primary variables. The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to verif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main variable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9.5% of participants reported that they had offended sexual violence and 70.7% had contacted pornography. Second, the path between major variables was significant except for the parent-child communication on sexual violence. Third, in terms of the problem that committing sexual violence is mediated by aggression, pornography contact was more closely related to committing sexual violence than parent-child communication.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social welfare intervention to prevent youth from committing sexual violence, to block pornography contact, and to encourage parent-child positive communication in order to alleviate aggression. 본 연구는 청소년의 성폭력 가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서 음란물 접촉,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그리고 공격성의 경로를 분석 및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는 서울 및 수도권지역 중․고등학교 9개의 중․고등학생 1,601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주요 변인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를 진행하였으며, 주요 변인들의 인과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였다. 분석된 결과는, 첫째, 조사대상자 중 9.5%가 성폭력 가해행동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으며, 음란물을 접촉한 빈도는 조사대상자의 70.7%가 경험하였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경로계수는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이 성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의 경로를 제외하고 모두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셋째, 공격성을 매개로한 성폭력 가해의 문제는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이 낮은 정도보다 음란물 접촉이 높은 정도가 성폭력 가해행동에 높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성폭력 가해행동을 방지하고자 음란물 접촉을 차단하고 부모-자녀간 긍정적 의사소통을 권장하여 공격성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사회복지적 개입방안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남녀 대학생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및 자아존중감과 성적 자기주장과의 관계: 성별의 차이

        김보미 ( Bo Mi Kim ),박정숙 ( Jung Suk Park ) 여성건강간호학회 2015 여성건강간호학회지 Vol.21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relationships among parent-child communication, selfesteem and sexual assertiveness for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Methods: This descriptive study used a comparative survey design that utilized self-report questionnaires. A total of 470 participants were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B metropolitan city. Results: The degree of open communication use was higher for female students in comparison to male student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dysfunctional communication for both the father-child communication.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males and females for the mother-child communication either. The degree of self-esteem was higher for male students in comparison to the female students. The degree of sexual assertiveness was higher for female students in comparison to the male students. The grade, religion, major, allowance source, marital status of parents, and relationship experience with opposite sex were influencing factors for the male students’ sexual assertiveness whereas the individual’s major and physical contact were influencing factors for the female students. Conclusion: Self-esteem and mother-child open communication were influencing factors of sexual assertiveness. Thus, the nursing intervention based on the influencing factors is needed in order for male and female students to express sexual assertiveness.

      • 기혼여성의 성 만족 및 일반적 의사소통과 성 관련의사소통이 결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고정애;박경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03 심리치료: 다학제적 접근 Vol.3 No.2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correlation among sexual satisfaction, communication, and sex connected conununÍcation that influence on satisfaction about marriage life of married women and search the highest variance that can forecast well marriage satisfaction. The statistical data for this research is collected from questionnaire filled out by 340 married women. First, this report investigates how married woman’s marriage satisfaction relate to sexual satisfaction, conununication and sex connection conununication. Secondly, this report analyses the difference of marriage satisfaction according to level of married women’s sexual satisfaction, conununication, and sex connected communication. Thirdly, this research analyzes the best variance to explain marriage satisfaction. As a result, this research shows that sexual satisfaction, conununication, and sex connection conununication are correlated significantly. First of a11, K-MSI express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in conversation-problem solving skill and sex satisfaction, sex connection communication and also negative correlation significantly with negative conversation-problem solving type. Next, when three variances is compared with 25 percent of high level and 25 percent low level, they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rriage satisfaction and three variances. Finally, the best variance to explain marriage satisfaction is conununication, especially conversation problem solving skill. The degree to forecast marriage satisfaction is 31 percent. In conclusion, in order to marriage satisfaction, it is important for married women to talk about sexual satisfaction in order to their marriage satisfaction.

      • KCI등재후보

        기독교 중년부부의 의사소통유형이 부부갈등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과 성적친밀감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정순례 ( Soon Rye Jung ) 한국복음주의상담학회 2014 복음과 상담 Vol.2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교 중년부부의 역기능적인 의사소통유형 수준에 따라서 부부갈등에 미치는 영향력과 자아탄력성, 성적친밀감에 대한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실시되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기독교 중년부부의 의사소통유형에 따른 부부갈등, 자아탄력성, 성적친밀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고, 의사소통유형에 따른 부부갈등에서 자아탄력성과 성적친밀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기독교 중년부부 대상 690명이 조사 실시되었고,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SEM)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검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독교 중년부부의 의사소통유형이 부부갈등, 자아탄력성, 성적친밀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낮은 자아탄력성과 낮은 성적친밀감은 부부갈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독교 중년부부의 의사소통유형과 부부갈등과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성적친밀감은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그러나 회유형 의사소통유형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기독교 중년부부의 부부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함으로써 부부갈등의 예방과 그에 따른 문제점들을 해소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and verify the effect of mid-life Christian couples’ counter-functional communication styles on the marital conflict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egoresilience and the sexual intimacy. First, the research analyzes the relevance of communication’s subordinate variation factor to marital conflicts, ego-resilience, and sexual intimacy of mid-life Christian couples and its effect. Second, it analyzes if ego-resilience and sexual intimacy have mediating effects upon communication styles and marital conflicts.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are mid-life Christian couples. The number of data collected was 690 in total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Test result in this research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verified that direct influence of communication style, ego-resilience, and sexual intimacy on marital conflicts of mid-life Christian couples exists. Second, mediating effects of ego-resilience and sexual intimacy upon the relationship of mid-life Christian couples’ communication styles and marital conflicts are verified. But appeasement type, one of communication styles, has little influence on marital conflicts and egoresilience. Also, appeasement type does not have meaningful influence on mediating effect.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ill help solving the marital conflicts through investigating the factors which influence on mid-life Christian couples’marital conflicts.

      • KCI등재

        통신매체이용음란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조현욱 ( Cho Hyun-wook )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一鑑法學 Vol.0 No.38

        현대사회에서 전화, 우편, 컴퓨터 등 각종 통신매체는 의사소통의 중요한 수단으로 기능하고 있다. 대표적인 통신매체인 휴대폰을 포함한 이동통신가입자 수는 2016년 기준 총 61,221,580명으로 국내 총인구 50,924,172명 대비 1천만 명 이상 더 많다. 전 국민이 모바일 메신저 사용자라고 보아도 무방한 현재 상황을 볼 때, 말로 하는 대화보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나 메신저 등의 통신수단을 통해 더 많이 소통하는 사회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매체를 통한 음란행위가 날로 증가하는 현실에 대처하기 위해 제정된 조문이 바로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제13조에 규정된 ‘통신매체를 이용한 음란행위’이다. 통신매체이용음란죄 접수·처리건수가 매년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행위자가 음란쪽지를 피해자에게 직접 도달하게 한 경우는 구성요건에 해당하지 않아 처벌불가로 처리되는 문제점이 최근판례를 통해 그대로 드러난 바 있다. 현행 통신매체이용음란죄를 검토한 결과, 처벌의 필요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구성요건 미비로 인해 현실에서 발생하는 사례를 모두 본죄에 포섭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해 보았다. 첫째, 현행 통신매체이용음란죄를 개정하는 방안 둘째, 성폭력처벌법 제13조와 정보통신망법 제74조 제1항 제2호 그리고 형법 제243조를 모두 포섭하는 구성요건과 법정형을 형법에 규정하는 방안 셋째, 비통신매체이용음란행위를 경범죄 처벌법 제3조 제1항 제19호나 제41호에 새롭게 신설하여 제재하는 방안이 그것이다. 필자는 개정안 중 성폭력처벌법 제13조, 정보통신망법 제74조 제1항 제2호 그리고 형법 제243조를 모두 포섭하는 구성요건과 법정형을 형법에 규정하는 방안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성범죄처벌대책은 형사입법정책적 문제이므로 어느 방안을 택하여도 완전한 만족이란 존재할 수 없을 것이다. 통신매체이용음란죄에 대한 선행연구가 거의 전무한 상태에서 이를 본격적으로 분석한 본 논문과 정확한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앞으로 본죄구성요건과 법정형의 합리적인 정비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해 본다. The problem of obscene acts by using means of communication is first of all its configuration requirement. If you commit direct obscene acts without using the communication means, can not be punished for obscene acts by using means of communication. So it is necessary to revise the configuration requirements of Article 13(obscene acts by using means of communication) of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THE PUNISHMENT, ETC. OF SEXUAL CRIMES. The following three solutions are suggested in this article. First, It is an amendment of Article 13 of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THE PUNISHMENT, ETC. OF SEXUAL CRIMES. Second, I think that it is most desirable to prescribe the configuration requirement and punishment of Article 13 of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THE PUNISHMENT, ETC. OF SEXUAL CRIMES, Article 74 Paragraph 1 No. 2 of ACT ON PROMO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 UTILIZATION AND INFORMATION PROTECTION, ETC. and Article 243 of CRIMINAL ACT in the Criminal code. Third, In order to limit the scope of obscene acts by using means of communication to a certain extent, it is thinkable to prescribe the obscene acts without using the communication means in Article 3 Paragraph 1 No. 19(Creation of Insecurity) or No. 41(Consistent Harassment) of PUNISHMENT OF MINOR OFFENSES ACT. However, The sanctions about sex crimes are a matter of criminal legislative policy, there is no perfect satisfaction regardless of which method is adopted. Based on this article and the precise fact-finding survey, it is expected that the configuration requirement and punishment will be improved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온라인 상호작용과 성(性) 정체성

        이미정 한국정보사회진흥원 2003 정보화정책 Vol.10 No.3

        인터넷의 확산으로 성별이나 인종과 같은 사회적 차이가 의사교류 과정에서 미치는 영향이 감소될것이라는 희망이 제기되었다. 이들은 컴퓨터라는 매체를 통화여 전달된 메시지는 탈맥락화되어 발신자의 성별, 연령, 인종 등 신체적 특성을 알 수 없다고 주장한다. 이것과 상반된 입장을 가진 사람들은 온라인 상화작용과 같이 통신대역폭이 협소한 경우 사회적 차이는 무시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더 강화된다고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성폭력이라는 유형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성별과 관련된 사회적 특성이 중화되는지 혹은 강화되는지 살펴보려고 했다. 온라인 상호작용의 한 유형인 사이버성폭력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성별 정체성의 의미와 역할을 검토하려고 하여싿. 본 연구를 위한 자료는 사이버성폭력 피해경험이 있는 여성과 가해경험이 있는 남성을 대상으로 수집하였다. 여성과 남성을 대상으로 전체 4개의 집단을 구성하여 초점집단면접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을 통해서 내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이버공간에서의 남녀간의 의사교류에 대한 낙관적 전망에도 불구하고 여성들은 사이버 공간에서 여성이라는 정체성으로 인해 표현이나 행동에 있어서 큰 제약을 받았다. 자료 중에는 성별전환에 대한 사례가 등장하는데 이것은 온라인 상호작용에서 성별의 중요성이 중화되는 것을 보여주기보다는 강화되는 것을 보여 주고 있었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온라인 상호작용에서 성정체성은 약회되기보다는 오히려 강회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Along with the raoid expansion of the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influence of gender, race in online communication will decrease. Some argue that computer-mediated messages are separated from the playsicnl identity of the writer such as gender and race. But others suggest that social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s be strengthened rather than weakened in online ci,,unication. In this paper, I tried to examine whether gender identity in online communication is important or not. Online sexual harassment is used as a type of online communication. Women and men with the experience of online sexual harassment are asked to participated in focus group interviews. The interview materials were used as data. The results if the study are as follows. Despite the optimism of gender-neutral online cimmunication, gender plays an important role. Buth men and express in online communication. Even the case of a woman with a transsexual experience indicates that the role of gender is strengtened. In conclus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role of gender identity oin online commucication is import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