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한주민의 상속회복청구권 행사와 제척기간

        정다영(Jeong, Da-young) 한국법학원 2017 저스티스 Vol.- No.160

        「남북 주민 사이의 가족관계와 상속 등에 관한 특례법」은 북한주민의 상속회복청구에 관한 특례 규정을 두고 있으나, 제척기간에 대하여는 아무런 정함이 없다. 친생자관계존재확인이나 인지청구의 경우와 상속회복청구의 경우를 구분하여, 전자와 달리 후자에서는 제척기간에 관해 별도의 규정을 두지 않은 것은 입법적인 선택이라 할 것인바, 이 경우 일반법인 민법 제999조 제2항에 따른 제척기간이 적용된다. 그러므로 현행법의 해석으로는 북한주민이었던 사람이 탈북하여 한국으로 입국한 후 상속회복 소송을 제기한 시점이 상속권이 침해된 날, 즉 실질적으로는 피상속인이 사망한 날부터 10년이 경과하였다면 제척기간 도과를 이유로 본안판단에 들어가지 않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는 피상속인의 사망일과 북한주민의 한국으로의 입국일이라는, 개인이 좌우하기 어려운 사정에 따라 상속회복청구의 소의 적법 여부가 결정되는 것인바, 구체적 타당성이 있다고 보기 어렵다. 「남북 주민 사이의 가족관계와 상속 등에 관한 특례법」이 북한주민의 권리를 보호하는 한편, 그 권리 행사로 인하여 남한주민 등에게 발생할 수 있는 법률관계의 불안정을 최소화함으로써, 남·북한주민 사이의 이해관계를 합리적으로 조정하고자 제정된 것인만큼, 제척기간의 규정에 있어서도 이해관계자 내지 사회질서에서의 이익을 형량하여야 한다. 북한주민의 상속권을 전면적으로 인정한다면, 공동상속인 중 1인이라도 북한주민인 경우, 남한주민으로서는 상속 개시 당시 공동상속인인 북한주민이 현재 생존하고 있는지 여부에 따라 분할받는 재산의 범위가 달라지게 되는데, 현실적으로 북한주민의 생존 여부를 확정하기 어려운 상태에서 장기간 법률관계가 불안정한 상태에 놓이게 된다. 따라서 북한주민의 상속권을 인정하되 그 범위를 적절하게 설정하는 등의 방법으로 조화롭게 해결할 필요가 있다. 북한주민으로서는 상속회복청구보다 먼저 혹은 동시에 신분관계에 대한 판결을 받고 가족관계의 존부 내지 형성자체에 대한 법률관계가 확정되어야 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상속회복청구 제척기간의 특례는 친생자관계존재확인이나 인지청구의 소에 규정된 제척기간 특례보다 상당한 기간을 허여함이 타당하다. 이 글에서는 상속회복청구의 소는 민법 제999조 제2항에도 불구하고 분단의 종료, 자유로운 왕래, 그 밖의 사유로 인하여 소의 제기에 장애사유가 없어진 날부터 4년 내에 제기할 수 있도록 규정할 것을 제안하였다. 다만, 민법 제999조 제2항의 기간 내에 소를 제기한 경우와 해당 기간을 경과하여 소를 제기한 경우를 구별하여, 전자에 대하여는 상속회복청구권의 범위에 제한을 두지 아니하고, 후자에 대하여는 민법 제1112조의 유류분의 범위에서 상속회복청구를 인정하는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법률관계 및 거래의 안정 또한 도모하고자 하였다. The territory of the Republic of Korea shall consist of the Korean peninsula and its adjacent islands, and the residents in North Korea are also the people of the Republic of Korea.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Family Relationships, Inheritance, etc. between Residents in South and North Korea provides special cases concerning claims for recovery of inheritance by a North Korean (including a former North Korean). A North Korean who was unable to inherit from a South Korean inheritee, due to separation of family members caused by the Korean War, or his/her legal representative may file a claim for recovery of inheritance under Article 11(1) of the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Family Relationships, Inheritance, etc. Between Residents in South and North Korea. As long as the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Family Relationships, Inheritance, etc. Between Residents in South and North Korea does not prescribe for an exclusion period about the recovery of inheritance, the exclusion period provided in the Civil Act applies to the North Korean. Then, the claim for recovery of inheritance under Article 999(2) of the Civil Act governs this kinds of cases, and the North Korean actually has no chance to be protected by the exclusion period. Thus, the arguments in this study focus on setting out my thoughts on the amendments of Article 11 of the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Family Relationships, Inheritance, etc. Between Residents in South and North Korea. According to the articles 8(2) and 9(2) of the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Family Relationships, Inheritance, etc. Between Residents in South and North Korea, a claim regarding legal relationship among members of separated family may be filed within two years from the date on which bars to filing the claim are removed by the termination of division, free communication, or any other cause. However, it is not appropriate for the North Korean to file a claim for recovery of inheritance within same exclusion period of affiliation or confirmation as to whether a relationship with a legitimate child exists. Before a claim for recovery of inheritance, he/she should have enough time to confirm family relationship. And it is important to consider both exercising his or her rights of the North Korean and pursuing stability of the South Korean. Therefore, it is reasonable to provide that the claim for recovery of inheritance of the North Korean may be filed within four years from the date on which bars to filing the claim are removed by the termination of division, free communication, or any other cause, notwithstanding Article 999(2) of the Civil Act. Also it is desirable that his/her share of the inheritance would be decreased to the scope of Article 1112 of the Civil Act in this case.

      • KCI등재

        여성 알코올의존자의 중독과 회복과정에서의 가족관계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강선경 ( Kang Sun Kyung ),이중교 ( Lee Joonggyo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21 한국가족복지학 Vol.68 No.4

        본 연구는 여성 알코올의존자들의 관계 체험을 살펴보고자 현상학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성인이 된 후 알코올의존으로 병원 치료를 받은 경험이 있으며, 연구 시점 당시 2년 이상 단주 중에 있는 35세부터 65세 사이의 10명 여성들이다. 지오르기(Giorgi)의 현상학 연구방법으로 접근하여 분석한 결과 ‘가족병과의 만남’, ‘가족의 힘’이라는 본질적 구조를 통해 6개의 드러난 구조, 26개의 의미단위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나타난 여성 알코올의존자에게 관계의 의미란 ‘가족에 따른 음주와 회복’으로 음주를 하게 된 배경이나 회복의 공통점이자 차이점 모두 가족관계였다. 즉, 본인이 선택할 수 없었던 가족으로 인하여 가족병과 만났지만 본인이 선택하였던 가족을 통하여 회복을 결심한 것이다. 그 가족과의 관계 안에서 여성 알코올의존자들은 과거의 기억은 아픔인 동시에 새로운 변화를 해야만 하며, 그 변화를 통해 새로운 힘을 얻게 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여성 알코올의존자를 위한 우리 사회의 가족치료에 대한 실천적 논의와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덧붙였다. This study used a phenomenology research metho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experience of female alcohol dependents.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10 women aged 35 to 65 were selected who had been stopped drinking for more than two years. As a result of approaching and analyzing Giorg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six exposed structures and 26 semantic definitions were derived through the intrinsic structures of ‘meeting with family diseases’ and ‘power of family’. Through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mean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female alcohol dependents is “drinking and recovery according to the family,” which is in common with the background of drinking and recovery, and the difference is family relationships. They met with a family disease because they could not choose, but decided to recover through the family their chose.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family, female alcohol dependents have to make new changes and gain new power to remember the past.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practical discussions on family treatment in our society for female alcohol dependent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added.

      • KCI등재

        아버지와의 진정한 만남에 관한 존재론적 탐구 - 가족관계 회복의 여정 -

        홍정민(Hong, Jung-min),최선남(Choi, Sun-Nam) 한국미술치료학회 2020 美術治療硏究 Vol.27 No.2

        본 연구는 나의 삶 속에서 존재의 의미를 발견하고 내 삶의 곳곳에 연결되어 있는 아버지의 삶을 주체적으로 만나게 되는 여정을 탐구한 것이다. 이 탐구는 나와 아버지가 만남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무엇을 경험하는지, 삶의 주체로서의 나와 아버지의 만남이 주는 의미와 가족 간의 상담이 우리의 삶에 가지는 의미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탐구는 2016년 9월부터 2017년 4월까지 이어졌고 6월까지 추가자료 수집을 하였다. 자전적 탐구와 함께 아버지가 존재하는 삶의 현장으로 들어가, 밭에서 함께 일하기도 하고 종교생활에 동행하며 일상을 관찰하고, 심층면담과 인공물 수집에 주력하여 탐구하고, 대화적 관계맺음과 미술작업을 통해 다면적인 관찰과 소통을 시도했다. 면담내용을 녹취하고, 탐구노트를 통해 면담과 관찰에서 나타나는 현상들을 기록하고, 가족들의 SNS상의 진술도 참고하였다. 나와 아버지의 만남의 여정은 ‘대화적 관계맺음으로 가족의 본래성을 회복’하고 ‘근본적 치유의 힘으로 존재의 집에 안착’하고 ‘미디어로 시․공을 초월한 가족공유의 호흡’을 누리게 되는 성과를 얻었다. 나와 아버지는 만남의 여정에서 봄을 여는 열쇠를 얻게 되었고 나의 원가족은 따스한 빛으로 가득한 봄의 문을 열었다. This study explored my journey to discover the significance of life and to subjectively encounter my father’s life, which was part of my life. This inquiry endeavored to explore the experience and significance of subjectively encountering my father and family counselling on a daily basis. The inquiry was performed from September 2016 to April 2017 with additional two months spend collecting additional data. Along with the autobiographical study, I first explored the place where my father dwelled, and then worked with him on his farm, joined his religious activities, observed his daily life, deeply interviewed and collected his artworks, observed his life from many perspectives and talked about building a communicative relationship and creating artworks. Interviews were recorded, phenomenon from interviews and observations in the inquiry note were written down, and a statement about my family on SNS was referred. The encountering journey with my father resulted in “the recovery of family’s nature through building interactive relationship,” “arrival at an ontological place by fundamental healing power,” and “breathing of family sharing beyond time and space by social media.” I found the key to celebrating the springtime of life s journey, and my family could open the door to a spring filled with warm sunlight.

      • KCI등재

        북한 주민의 상속회복청구권과 제척기간 - 대법원 2016. 10. 19. 선고 2014다46648 전원합의체 판결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

        성위석 민사법의 이론과 실무학회 2017 民事法理論과 實務 Vol.21 No.1

        Article 999 of Civil Act stipulates claims for Recovery of inheritance including a short exclusion period. With respect to this, Article 11(1) of ‘Act on the Special Cases concerning Family Relationships, Inheritance, etc. between Residents in South and North Korea’, the special regulation of the Act does not stipulate any legislative meaning of exclusion period of claims for recovery of inheritance. Recently North Korean heir issued a lawsuit for inheritance recovery against South Korean heir in this situation of the existing law. The core issue of the case is whether Article 999(2) in Act can be applied to this problem. With respect to this issue, the three opinions have been emerged as a controversy: Firstly, the positive opinion that this case is applied to 999(2) in the Act according to the doctrines and the judicial precedents, secondly, the opinion that it is applied analogically to interpretation of similar regulation, lastly, the negative opinion that it is not applied to. The plaintiff’s assertion was rejected in the appellate judgment and a majority of Supreme Court judgement according to the first opinion, but the dissenting opinions of Supreme Court judged the case according to the second. The first trial accepted plaintiff’s assertion according to the last opinion. Consequently, the insistence of North Korean heir was not accepted. The writer thinks that the last among the above three opinions is reasonable and the judgement of the first trial is more reasonable than that of appellate court and of Supreme Court in the view point of legal principles. The writer suggests two ways to complement the relevant existing law by legislative change. One is the way to abolish a claim for the inheritance recovery and to amend the special regulation, and the other is the way to amend the special regulation with maintaining a claim for inheritance recovery. The first is ideal in the point of legal principles, but it is hard to proceed the way as it needs much time and discussions. The second is suitable that the exclusion period of the right will be prolonged. Subsequently, the writer expresses an opinion on the follow-up research task. The writer emphasizes that protection of North Korean heir’s profit is worthy of note in the light of specificity of the division of Korea into north and south and the spirit of constitution toward peaceful unification, and that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protection of vested rights and transaction safety of the resident in South Korea. 민법 제999조는 상속회복청구권에 대하여 규정하면서, 단기의 제척기간을 규정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그에 대한 특례규정인 ‘남북 주민 사이의 가족관계와 상속 등에 관한 특례법’ 제11조 제1항은 상속회복청구권의 제척기간에 대하여 아무런 취지도 규정하고 있지 않다. 현행법의 이러한 상황에서, 최근 북한 주민 상속인이 남한 주민 상속인을 상대로 하여 상속회복청구소송을 제기하였다. 대상 사안의 핵심적 쟁점은 대상 사안에 대하여 민법 제999조 제2항이 적용된다고 보아야 할 것인지 여부에 있다. 이 쟁점에 대하여, 학설⋅판례 상으로 민법 제999조 제2항의 적용을 긍정하는 견해⋅유사 취지의 규정이 유추적용되어야 한다는 견해⋅민법 제999조 제2항의 적용을 부정하는 견해가 중요 견해로 부각되어 왔다. 대상 판결의 다수의견과 항소심은 첫 번째 견해의 입장에서 판단하여 원고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고, 대상 판결의 반대의견은 두 번째 견해의 입장에서 판단하였다. 제1심은 세 번째 견해의 입장에서 판단하여 원고의 주장을 받아들였다. 결과적으로 원고 즉 북한 주민 상속인의 주장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필자는 위 세 견해 가운데 세 번째 견해가 타당하다고 보았으며, 대상 판결과 항소심의 판단 보다 오히려 제1심의 판단이 법리적으로 타당하다고 보았다. 다음으로 필자는 관련 현행법을 입법적으로 보완하는 방향에 대하여 두 가지 방안 즉 상속회복청구권제도를 폐지하면서 특례법을 개정⋅보완하는 방안과 상속회복청구권의 존치를 전제로 하면서 특례법을 개정⋅보완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법리적으로 볼 때 첫 번째 방안이 이상적이지만, 이를 추진하는 데에는 많은 논의와 시간이 필요할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두 번째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어서는 상속회복청구권의 제척기간을 연장하는 조항을 신설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보고 있다. 이어서 필자는 후속 연구과제에 대하여 약간의 견해를 피력하고 있다. 필자는 대상 사안에 있어서는 남북 분단의 특수성과 평화통일을 지향하는 헌법정신 등에 비추어, 북한 주민 상속인의 이익 보호에 특히 주목해야 하며 아울러 남한 주민의 기득권 보호 및 거래 안전을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누차 강조하고 있다.

      • KCI등재후보

        북한주민의 상속회복청구권 행사와 제척기간 再論

        정구태(Ku Tae Chung) 북한법연구회 2018 북한법연구 Vol.18 No.-

        The arguments in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atus equivalent to a foreigner must be accepted on the residents of North Korea according to the theory on the special relationship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n case a resident of North Korea has filed a lawsuit to a court of South Korea, the jurisdiction of trial is accepted on the court of South Korea if the concerned party or the case that has become subject of dispute has actual relationship with South Korea. As the nationality should not be a connecting factor according to the theory on the special relationship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the governing law is the place of habitual residence law as the law of area having the closest relationship. Second, the exclusion period of the right of claim for recovery of inheritance by residents of North Korea shall be three years from ‘the time when the breach on the right of inheritance is known’ on the premise that residents of North Korea can exercise the right actually by the analogical application of Civil Act Article 166 and the former part of the second clause of Article 999, and the stipulation for the exclusion period of ‘10 years from the time when the right of inheritance is known’ shall not be applied. Third, Even though there should be provided a special stipulation for the exclusion period of the right of claim for recovery of inheritance, it can be justified as an untrue retroactive law. Therefore, the special stipulation for the exclusive period should be established as soon as possible.

      • KCI등재후보

        북한주민의 상속회복청구권 행사와 제척기간 再論 - 대법원 2016. 10. 19. 선고 2014다46648 전원합의체 판결에 대한 비판적 연구 -

        정구태 법무부 2017 統一과 法律 Vol.- No.29

        The arguments in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atus equivalent to a foreigner must be accepted on the residents of North Korea according to the theory on the special relationship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n case a resident of North Korea has filed a lawsuit to a court of South Korea, the jurisdiction of trial is accepted on the court of South Korea if the concerned party or the case that has become subject of dispute has actual relationship with South Korea. As the nationality should not be a connecting factor according to the theory on the special relationship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the governing law is the place of habitual residence law as the law of area having the closest relationship. Second, the exclusion period of the right of claim for recovery of inheritance by residents of North Korea shall be three years from ‘the time when the breach on the right of inheritance is known’ on the premise that residents of North Korea can exercise the right actually by the analogical application of Civil Act Article 166 and the former part of the second clause of Article 999, and the stipulation for the exclusion period of ‘10 years from the time when the right of inheritance is known’ shall not be applied. Third, Even though there should be provided a special stipulation for the exclusion period of the right of claim for recovery of inheritance, it can be justified as an untrue retroactive law. Therefore, the special stipulation for the exclusive period should be established as soon as possible. 이 글의 논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북한 특수관계론에 따라 북한주민은 외국인에 준하는 지위를 가지고 있으므로 북한주민이 남한 법원에 상속회복청구의 소를 제기한 경우 준국제사법적 관점에서 준국제재판관할과 준거법을 결정하여야 한다. 대상판결이 이러한 검토 없이 대상사안을 단순한 국내 사안으로 취급한 것은 국제사법적 思考가 결여된 것으로서 타당하지 않다. 둘째, 남북가족특례법 제11조 제1항에는 상속회복청구권의 제척기간에 관한 명시적 흠결이 있으므로 ‘유추’에 의하여 그 흠결을 보충하여야 하는바, 민법 제166조 및 민법 제999조 제2항 전단을 유추적용하여 북한주민의 상속회복청구권은 ‘북한주민이 실제로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것’을 전제로 ‘상속권 침해 사실을 안 때’로부터 3년의 제척기간에 걸리고, ‘상속권 침해시부터 10년’의 제척기간 규정은 적용되지 않는다고 보아야 한다. 이와 달리 대상판결이 민법 제999조 제2항의 제척기간 규정을 그대로 적용함으로써 북한주민의 상속회복청구권이 상속권 침해시부터 10년의 제척기간 경과로 소멸하였다고 판단한 데에는 동의하기 어렵다. 대상판결의 반대의견이 이 글의 해석론과 같이 민법 제999조 제2항 전단 유추적용설을 취한 것은 매우 타당하지만 제척기간의 기산점을 ‘입국한 때’로 본 것은 그다지 설득력이 없다. 셋째, 남북가족특례법에 상속회복청구권의 제척기간에 관한 특례 규정을 두더라도 부진정소급입법으로서 정당화될 수 있는바, 입법론으로서는 남북가족특례법 제11조 제2항에 “제1항의 소(訴)는 「민법」 제999조에도 불구하고 분단의 종료, 자유로운 왕래, 그 밖의 사유로 인하여 소의 제기에 장애사유가 없어지고 북한주민 또는 그 법정대리인이 상속권 침해를 안 날부터 3년 내에 제기할 수 있다”는 규정을 조속히 신설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남한 내 북한주민 관련 가족법적 실무상 쟁점

        김영기 사법발전재단 2015 사법 Vol.1 No.31

        Issues on Family Law Related Claimsof North Korean Residents and Refugees in South Korean Court Kim, Young-gi Recently, there has been a dramatical increase in the Family Law-related claims of North Korean residents and refugees such as action for divorce, nullity suit, claim for annulment of bigamy, confirmation of existence of biological parental relation, and recovery of inheritance. These type of cases (hereinafter “the aforementioned cases”) should be treated in accordance with the theory on the special inter-Korean relations, which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both Koreas do not acknowledge each other as nations, and at that one party's domestic law cannot be directly applied to inter-Korean relations. It also assumes that the two Koreas act as different players of international laws with different national identities. Thus, we should handle the aforementioned cases similarly to suits with foreign elements because both Koreas have established their respective family relationship order under their respective exclusive legal systems. Under the current Private International Law of South Korea, South Korean courts have the jurisdiction over the aforementioned cases, and the governing law shall be determined by inferring from the private international law of South Korea. Therefore, North Korean laws may be applied to South Koreans or have effectiveness in Seoul unless those provisions are against public order and good morals. In the aforementioned cases, the judge might want to decide on whether the attorney of North Korean residents or refugees has the legitimate right of legal representation by examining the genuineness of the identification card of DPRK, a warrant of attorney, and the video tapes which contain the process of granting the agency authority. The court is able to send the lawsuit documents to North Korean residents according to the process of overseas service by public notice. Under the Act on the Protection and Settlement Support of Residents Escaping from North, North Korean refugees are able to easily register their entry and recover South Korean citizenship with the help of the Minister of Unification. In addition, the Act clarifies international and territorial jurisdiction, and the means of delivering documents in the action for divorce under a given condition. In other actions for divorce and nullity suits which are not defined in the Act, we can deal with the cases by referring from those clauses. On February 10, 2012, the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Family Relationships, Inheritance, etc. Between Residents in South and North Korea was enacted. Under the Act, claims for annulment of bigamy on the second marriages established before the Ceasefire Agreement in 1953 are not permitted. In other cases for annulment of bigamy, the second marriage could be granted an annulment according to Article 816 of the Civil Act of South Korea. The Act has also special provisions on the exclusion period of paternity suit. However, it does not have those special clauses on the exclusion period of claim for recovery of inheritance, which leads to numerous disputes. In order to reasonably resolve the aforementioned cases under the current Constitutional Law and the special inter-Korean relations, the exclusion period of the claim by North Korean residents and refugees should be established as three years from the time when the infringement on the right of inheritance is known to the plaintiff on the premise that he was actually able to exercise the right through the analogical application of Article 166 of the Civil Act and the former part of the second clause of Article 999, and the stipulation for the exclusion period of ‘10 years from the time when the usurpation is taken place’ shall not be applied. 2013. 12.까지 약 26,122명의 북한주민이 남한에 입국하였고, 이로 인해 북한이탈주민의 이혼, 혼인무효확인, 중혼취소, 친생자관계존재확인, 인지, 상속회복청구, 상속재산반환청구 등의 가족법적 문제들이 많이 제기되고 있다. 이와 같이 남한 내에서 문제 되는 북한주민 관련 가족법적 문제는 남북한 특수관계론을 바탕으로 한 이중지위설과 규범영역설에 따라 남한과 북한이 불통일법 국가에 유사한 지위에서 각자의 가족법적 질서를 형성하였다고 보아 섭외적 요소가 있는 사건으로 다루어야 한다. 이에 따라 국제사법 규정을 검토해 보면 위와 같은 북한주민 관련 가족법적 문제의 재판관할권은 남한 법원에 있으나, 준거법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효력을 가졌던 저촉규범인 (의용)법례, 구 섭외사법, 국제사법의 각 규정에 따라 검토되어야 하고, 때로는 우리의 공서양속 규정에 반하지 아니하는 한 북한의 가족법 관련 규정이 준거법이 될 여지도 있다. 북한주민이 당사자가 된 사건에서 소송대리권의 입증은 공민증, 위임장과 같은 서류 및 그것이 작성되는 과정을 촬영한 동영상 등에 대한 증거조사를 통해 심리하여야 할 것이고, 북한 지역에 대한 송달은 외국에서 하는 송달에 준하여 하면 될 것이다. 북한이탈주민이 남한에 들어와 처음 겪게 되는 가족법적 문제인 가족관계 등록창설과 관련해서는 관련 규정이 여러 차례 변경되었는데, 현재는 통일부장관이 직권으로 서울가정법원에 신청서를 작성하여 제출하도록 함으로써 그 절차가 간결하고 명확해졌다. 북한 배우자와의 이혼소송과 관련해서는 북한이탈주민법 제19조의2가 호적예규 제644호 적용 이후에 취적한 북한이탈주민에 대하여는 재판관할권, 토지관할, 송달의 문제를 명확히 규정하였는데, 이는 규범영역설에 따른 국제사법 유추적용설을 입법화한 것이다. 위 규정의 적용 대상이 아닌 북한이탈주민이 이혼소송을 하거나 혼인무효확인 소송을 하는 경우에도 이와 유사한 절차에 따라 소송 및 재판진행이 가능하다. 2012. 2. 10. 제정된 남북가족특례법은 정전협정 체결 전에 혼인한 후 중혼을 한 사람에 대해서는 취소소송을 불허하는 특례를 두었는데, 그 이후에 혼인한 후 남한에서 한 중혼의 경우에는 남한의 민법이 준거법이 되어 취소사유가 된다. 남북가족특례법은 북한주민이 남한 내에 있는 혈육을 찾기 위해 남한 법원에 제기할 수 있는 친생자관계존재확인의 소와 인지청구의 소에 관해서 제척기간의 예외를 두었는데, 상속회복청구소송에 관해서는 예외규정을 두지 않아 논란이 되고 있다. 이에 관하여는 북한주민이 권리를 행사할 수 없었던 기간 동안에는 제척기간이 진행하지 아니하고, 그러한 권리를 행사할 수 있을 것을 전제로 상속권 침해를 안 날로부터 3년의 제척기간에 걸린다고 보는 것이 가장 합헌적이고 규범 조화적인 해석이라 할 것이다.

      • KCI등재

        관계성 위기 시대의 기독교교육

        서혜란(Hyeran Seo)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8 기독교교육정보 Vol.0 No.58

        과학기술, 지식정보화, 세계화는 인류의 삶을 풍요롭게 하는 긍정적 측면이 존재하는 반면 기독교적 가치에 도전하는 위험 사회를 형성하고 있다. 본 논문은 현대 사회가 초래하고 있는 반기독교적 사회 풍조에 있어서 ‘관계성’에 주목하였다. 삼위일체 하나님 이해에 근거하여 기독교는 궁극적으로 관계성의 종교임을 주지할 때, 오늘날 삶의 여러 측면에서 나타나고 있는 관계성의 위기는 기독교교육함에 있어서 논의되어야 할 시대적 과제로 보았다. 더불어 오늘날 관계성을 상실한 위험사회의 모습을 진단하고 개선을 위한 기독교교육적 방향을 제시함에 있어서 ‘가정’에 주목하였다. ‘가정’은 작은 사회이자 작은 교회로써 현대 사회의 모습을 고찰하고 기독교교육적 논의에 있어서 중심이 되는 장이다. 가정의 성서적 본질과 현대 가족이 직면하고 있는 변화 및 위기들을 살펴봄으로써 오늘날 기독교교육이 나아가야할 방향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오늘날 시대사회적 이데올로기는 반기독교적 세계관을 확대시키며 점차 기독교교육하기 힘겨운 사회를 형성하고 있다. 신앙과 삶이 단절되었고, 가족 관계를 비롯한 다양한 측면에서의 관계성이 깨어졌으며, 피상적인 관계가 만연해 있다. 진정한 관계성의 결여는 기독교 신앙관에 접근하는 사고의 틀 자체를 뒤바꾸어 놓는 결과로 치닫고 있다. 오늘날 사회 변화에 직면하여 기독교교육이 수행해야할 과제로써 본 논문은 시대사회적 변화에 대한 기독교적 통찰력 형성, 관계성에 대한 기독교적 가치의 회복, 피상적인 관계에 노출된 현대인의 내면을 다룰 수 있는 교육의 영성 회복에 대해 살펴보았다. Science and technology, knowledge information, and globalization forms dangerous society challenging Christian values. For the Christian educational discussion of the risk factors that threaten the Christian faith, this paper focuses on ‘relationship" in the anti-Christian trend brought about by contemporary society. On the basis of the understanding of the Trinity God, Christianity is ultimately relational religion, and relationship crisis that is prevalent in modern society is an important issue to be carefully discussed in Christian education. Contemporary ideology expands the anti-Christian worldview and gradually forms a difficult society to educate Christianity. Faith and life have been cut off, relationships in various aspects including family relations have been broken, and superficial relationships are widespread. The lack of a true relationship results in the rearrangement of the thinking frame of the Christian faith. As a task to be undertaken by Christian education in the face of today`s social change, this paper emphasizes the necessity of the formation of Christian insight for social change, restoration of Christian value for relationship, and spirituality of education that can deal with the inside of contemporary people.

      • KCI등재

        북한주민의 상속회복청구

        박근웅 가천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가천법학 Vol.12 No.1

        Residents who remain in North Korea and escape from North Korea are subject to our law and enjoy the Property Rights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Right of Inheritance to the Residents of North Korea. In the inheritance issue of the North Korean, the law should maintain humanitarianism and treat North and South Koreans equally. Also, we should take into Consideration the need for Social Integration and Overcoming Conflict. These aspect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Issue of the Period of Exercise of the Claim for Inheritance in Article 11 of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Family Relationship, Inheritance, etc. between Residents in South and North Korea’. Although it is worth considering the expected Benefits of South Korean heirs and the Safety of Transactions, the Necessity of Restoring the Inheritance of the North Korean people, who are the true owners, should be prioritized. The Property Rights of the North Korean should not be sacrificed because they did not exercise their Rights without Possibility of Realizing their Rights. In addition, Article 11 of the above Special Act already provides special Remedies to protect the Interests of South Korean heirs and the safety of transactions. For this reason, I disagree with the majority opinion of the Supreme Court. 북한에 잔류한 주민, 북한이탈주민 모두 우리 법의 적용을 받는 수범자로서 우리 헌법상 재산권의 주체이다. 현실적인 분단의 상황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지만 북한 주민에 대하여 상속권을 인정하고 그 권리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우리 법의 기본적 방침이 되어야 함은 분명하다. 북한주민의 상속문제는 남북 간의 잠정적 특수관계를 인정하면서도 인도주의를 견지해야 하고, 남북체제를 서로 존중하는 기초 위에 남북주민을 평등하게 대우함을 원칙으로 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북한주민에 대한 우리 입법의 태도는 사회통합과 갈등의 극복이라는 당면한 문제를 고려한 것이어야 한다. 남북 주민 사이의 가족관계와 상속 등에 관한 특례법 제11조에서의 상속회복청구권의 행사기간 문제에 있어서도 이러한 가치들이 반영되어야 한다. 남한 상속인의 기대이익이나 거래안전도 중요하겠으나 그보다 앞서 진정한 권리자인 북한주민의 상속회복의 필요성이 우선적으로 감안되어야 한다. 권리를 실현할 수 있는 현실적 가능성이 없는 분단의 상황에서 권리의 불행사만을 이유로 분명한 근거 없이 북한주민의 상속회복청구를 금지해서는 안 된다. 이미 남북 주민 사이의 가족관계와 상속 등에 관한 특례법 제11조는 남한 상속인들의 이해 또는 거래안전을 보호하기 위해 가액반환청구의 방법이나 기여분의 고려 등을 특별히 규정하고 있다. 이에 더 나아가서 상속권을 침해한 자에게 적극적 권리까지 부여할 이유는 크지 않아 보인다. 대법원 전원합의체판결의 다수의견보다는 반대의견의 타당성이 높아 보이는 이유이다. 다만 이에 대해서는 여러 문헌이 주장하는 것처럼 입법을 통한 조정이 시급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남북 주민 사이의 상속에 관한 문제 -남북 주민 사이의 가족관계와 상속 등에 관한 특례법을 중심으로-

        박철완 ( Park Chul Wan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3

        현재 남한과 북한은 두 차례의 남북정상회담과 북미정상회담을 거치면서 상호긴장관계에서 평화모드로 바뀌어 가고 있지만, 아직까지도 예측불가능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 변수는 많다. 남북정상회담에서 주요 의제 중의 하나가 남북이산가족의 상봉문제였고, 또한 최근 북한 이탈주민의 국내유입이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추세는 남북 이산가족 사이, 이산가족과 그들 상속인 사이, 탈북주민과 잔류자 등과의 사이에서 가족관계 및 상속 등의 분쟁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2012년 「남북 주민 사이의 가족관계와 상속 등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동법은 남북의 특수상황을 고려하여 상속과 관련한 통일적 판단기준을 제시하고 있지만, 그 개념이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정의되어 있지 않고, 그 기준이나 법적 제도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논문은 통일적 판단기준에 대한 구체적 해석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Currently, South and North Korea are shifting from mutual tension to peace mode after two rounds of inter-Korean summit and North Korea-United States summit, but there are still a lot of variables that could lead to unpredictable situations. One of the main agenda of the inter-Korean summit was the reunion of the separated families, and these days it is tend to increase rapidly the inflow of North Korean defectors into Korea. This trend is contributing to increased the family ties and inheritance disputes between separated families, separated families and their heirs, as well as between North Korean defectors and the remaining people. To resolve this issue,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Family Relationship, Inheritance, Etc. Between Residents In South And North Korea” was enacted and enforced in 2012. The same law, however, provides a unified standard of judgment concerning inheritance in consideration of the special situation between the two Koreas, there is some problem -the concept is not clearly defined and the criteria or legal system is not clearly defined. This paper intends to provide specific analytical criteria for the unified judgment criter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