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일 놀이와 글쓰기로 가꾸는 책읽기

        전정일 ( Jeon Jeong-il ) 한국독서아카고라학회 2020 독서아카고라연구 Vol.2 No.-

        일놀이와 글쓰기로 가꾸는 책읽기는 독서와 독서교육, 독서지도를 풍요롭게 하는 실천이다. 영상매체와 스마트폰이 정보를 검색하고 취합하는 도구가 되며 과거의 책이 지닌 기능은 빠르게 대체되고 있다. 굳이 책을 보지 않아도 사는데 지장 없는 디지털 사회로 바뀌고 있다. 초등과정에서 자유롭게 통합교과를 구성하는 대안교육 현장이라는 특성을 살려 독서를 모든 교과와 연결하고 있으며, 마음을 살찌우는 독서로 몸과 마음이 건강한 사람으로 키워가는 교육을 실천하며, 입시와 경쟁의 교육체제에서 벗어나 독서의 즐거움에 주목하고, 일놀이 교육과 글쓰기 교육으로 아이들 삶을 가꾸는 교과통합으로서 독서를 교육과정의 바탕으로 삼는 작은학교의 일놀이와 독서교육을 살펴보았다. 가장 좋은 독서 교육은 독서 환경을 구축하고, 어른이 모범을 보일 때 가능하다. 작은 학교의 독서 교육이 지닌 한계는 있지만 어린이 마음을 살찌우는 독서교육을 위해 애써 온 어린이도서연구회의 교육 실천을 학교의 중요한 교육과정으로 삼고, 모든 교과의 바탕으로 책읽기를 배치한 교육 현장의 보기라는데 뜻이 있겠다. Reading education, cultivated through work and writing, is a practice that enriches reading, reading education, and reading instruction. Video media and smartphones become tools for searching and collecting information, and the functions of old books are rapidly being replaced. It is changing into a digital society where people can live without having to read books. I looked at work and reading education in small schools that take reading as the basis of the curriculum as a curriculum integration that makes children’s lives through work and writing education. By taking advantage of the characteristics of an alternative education field that freely composes an integrated curriculum in the elementary school, Malgeunsam School connects reading with all subjects, and practices education that nurtures people with healthy body and mind through reading that strengthens the strength of the mind. It pays attention to the joy of reading outside the educational system of entrance examinations and competition. The best reading education is possible when a reading environment is established and an adult sets an example. Although there are limitations of reading education in small schools, it is an example of an educational field in which the children’s book research group, which has been striving for reading education to enrich children’s hearts, is an important educational curriculum of the school, and reading is arranged based on all subjects. It has a meaning.

      • KCI등재

        김유정의 문학작품과 독서토론 교육의 의의

        최선영,차봉준 한국교양교육학회 2016 교양교육연구 Vol.10 No.1

        본고는 김유정의 소설을 문학 독서 교육의 텍스트로 설정하여, 대학에 독서 토론 수업의 사례를 분석하고 이의 교육적 의의를 밝히고자 한다. 많은 대학에서 기초 교양 교육의 일환으로 독서 교육을 강조하고, 인문학적 통찰력과 인간 사회에 대한 성찰을 표현할 줄 아는 지적인 인간으로의 육성을 교육하고 있다. 이는 독서를 통해 그와 관련한 전공자를 육성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건강한 사회를 유지할 수 있는 기본적인 정신자세와 행동원칙을 기르도록 도와주기 위함이다. 독서 교육으로써 문학 교육이야말로 다양한 가치 체계의 수용과 독자 중심의 공론장을 형성하기에 최적의 조건을 가진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수업에서 진행된 강의자료 및 수업 운용 경험의 질적인 분석이 연구의 방법론으로 제시되었다. 2장은 대학의 교양교육에서 독서토론 수업의 교육적 의미를 고찰하고 수업의 한 방식을 제시하였다. 종합대학의 중요한 목적은 다양한 지식 체계의 균형 있는 교육을 위해서 교양 교육을 실시하는 것이다. 때문에 교양 교육의 역할은 학생들이 균형 있고 열린 사고를 위해서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도록 돕는 것이고 할 수 있다. 그 일환으로 여러 사람과의 토론을 통해서 차이를 인정하고 발전적 사고의 단초를 획득하는 방식이 있다. 이로써 교육은 학생에게 일방적으로 가르치는 방식이 아니라, 무엇이든 스스로 할 수 있는 능력을 훈련시키는 방편으로써 발표와 토론식으로 변화해온 것이다. 관건은 무엇을 얼마나 읽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읽느냐이다. 학생들이 이러한 교육방식을 완전히 체화하면 수업이 끝난 후에 각자의 책을 읽을 때에도 주체적이고 독립적인 자신만의 독서법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3장은 김유정 소설을 통한 독서토론 수업 사례를 살펴보고 문학을 재료로 삼은 토론 수업의 가능성을 탐구하였다. 본고는 「봄·봄」과 「만무방」의 사례를 중점적으로 다루면서짧고 단순한 이야기 속에서 장서 갈등은 물론이거니와 남녀 간의 미묘한 심리 차이부터 현대 사회에서 행해지는 이른바 노동력 착취구조의 양상도 고찰할 수 있었다. 소설을 장르론적 관점에서 그것이 탄생된 사회, 역사적 조건을 고려하는 이른바, 소설 사회학 방법적 해석을 포함하는 것이다. 그 과정에서 개인적 노력으로 가난 극복이 불가능했던 일제 강점기라는 특수 상항에 대한 이해와 열린 결말이 암시하는 바에 대한 의문이 지속적으로 제기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토론 수업을 통해서 학생들은 자발적으로 작품의 수용에 초점을 맞추고 문학과 사회에 대한 나름대로의 안목을 갖는다. 대학의 교양과목에서 이러한 토론 수업을 진행하는 것이 문학을 특정 학과의 전유물로 한정짓는 것이 아닌, 다양한 전공의 학생들 누구나가 쉽게 접근 가능한 놀이로써 한 사회를 진단할 공통된 하나의 비평적 준거로 여길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 이렇게 학생들이 소설의 내적인 구조와 외적 구조 사이의 연관성을 고려하며 작품의 수용 측면에 초점을 맞추는 해석적 방법을 통할 때, 비로소 시대를 초월한 문학의 보편성을 획득할 수 있는 것이다. 본고는 이러한 토론 수업을 통해서 학생들이 문학 작품이 창작될 당대는 물론이거니와 현재의 사회적 문제에도 관심을 가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reading discussion with a case analysis of reading discussion class in university that used Kim Yujeong's novels as the text for literature reading education. Many universities emphasize reading education as part of their basic general education with the aim to foster intellectual human beings who can express their humanistic insight and their reflections on human society. Their intent of reading education is not to train students as specialists related to reading but to help them cultivate fundamental mental attitude and behavioral principles to maintain a health society. As means of reading education, literature education has the best conditions to form a reader-oriented public sphere and accommodate a variety of value systems. Accordingly, qualitative analysis of lecture materials presented in class and class management experience is presented as the methodology of the present study. Chapter 2 examined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reading discussion classes for general education in universities. An important goal of a collegiate university is implementing general education to provide a balanced education covering a wide variety of knowledge systems. It can be stated that the role of general education is to help students gather various opinions to practice balanced and open thinking. One way of implementing this is by conducting discussions involving many people through which students acknowledge differences and acquire the clue to constructive thinking. Education, therefore, have changed from teacher-initiated unilateral instruction to student-oriented presentation and discussion as a way to promote students’ ability to solve any problem independently. The key to reading discussion, then, is not on what or how much to read, but on ‘how’ to read. When a student masters this method of education, he/she will be able to maintain a unique method of reading that is autonomous and independent. Chapter 3 examined the case of reading discussion class covering novels by Kim Yujeong and discussed the possibilities of discussion classes using literatures as teaching materials. Focusing on the case of reading discussion class using Bom Bom (Spring Spring) and Manmubang (The Rascals), this study examines how these short and simple stories induced discussions about conflicts between the old and the young, subtle psychological differences between man and woman, and the structure of labor exploitation within society. From the viewpoint of genre theory, the discussions demonstrated that these novels (or short stories) embody the sociological method of interpretation which considers the social and historical context from which the novels were written. Analyzing how these literatures are interpreted through discussions, the study confirmed that students were able to understand the special circumstances of Japanese occupation when a person's effort to overcome poverty was futile and that further questions can be raised about the implications of the open ending of the stories. In conclusion, through these discussion lessons students can spontaneously focus on their reception of the literary works and develop their own way of discerning literary works and society. Implementing these discussion classes as part of the general education in universities is important because students will view literature not as exclusive property limited to specific departments but as a common critical criteria to assess a society as well as plays(games) easily accessible to various students across majors. It is important because students grasp the meaning of the universality of literature only when they apply the analytic methods of focusing on the receptive aspects of the work while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k’s inner and external structure. This study confirmed that students engaged in these discussion-based literary criticism not only approach the literary ...

      • KCI등재

        대학 교양교육으로서의 독서교육

        이국환 동남어문학회 2014 동남어문논집 Vol.1 No.37

        대학 교육이 엘리트 중심에서 대중 중심으로 변모하면서 교양교육의 중요성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교양교육으로서의 독서교육은 지식기반사회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면서도 전인교육이란 교양교육의 목표에 도달할 수 있는 핵심적인 교육이기에 국내 주요 대학은 권장도서 추천과 해제집 발간, 독서프로그램 개발, 고전 및 명저 읽기를 강화한 독서교육 교과목 개설 등의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 연구는 교양교육으로서의 독서교육을 활발하게 실행하고 있는 국내외 대학의 사례를 통해 독서교육의 방향을 검토 연구하여 몇 가지 제안을 하였다. 먼저 다양한 주제별 독서교육 과목을 개설하여 학생들의 선택권을 보장하고 통합독서교육의 원리에 따라 읽기, 쓰기, 듣기, 말하기를 통합한 세미나 수업을 위해 소수 정원으로 운영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신입생들이 대학에 입학하기 전 우선적으로 독서교육을 실행하여 고등교육에 진입하는 학생들의 적응력을 높이고 동기를 부여하여 평생독서의 습관을 기르는 출발점으로 삼아야 함을 강조했다. 더불어 국내 주요 대학이 독서교육을 필수 과목으로 지정하고 있지만 아직은 그 수가 적다는 점에서 글쓰기와 연계하여 독서 관련 과목을 필수화할 것을 제안했으며, 대학 특성화에 기반을 둔 독서교육을 위해 대학 고유의 추천도서 선정이 중요하며, 독서교육이 교과목 개설만으로 한계가 있기에 독서문화 진작을 위한 다양한 독서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함을 강조하면서 ‘한 책 읽기’ 독서프로그램을 모델로 제안했다. 대학의 독서교육은 자기 주도적이고 능동적인 독자를 길러내는 교육이어야 한다. 대학교육을 끝으로 대부분의 학생은 제도 교육을 벗어나 스스로 학습하는 평생교육의 단계로 나아간다. 따라서 이 연구는 생애를 통틀어 자발적 평생교육의 근간이 독서이기에, 지식기반사회에서 독서교육이야말로 대학이 가장 역량을 쏟아야 할 교양교육임을 강조하였다. University education has now turned into an elite education in public education. General Education is necessary for our society to educate the general capability, convergence to pursue education and character education should pursue. Reading education is an important education in order to reach the goal of general education and all-round education and to respond actively to knowledge-based society. Recently, the major universities of the country has been the importance of reading education, published explanation book It is recommended books recommended by it, developed a program of reading, to read a great book and classic book. In this paper, we have some suggestions to study the direction of reading education through the case of the University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are actively reading education as a general education. we proposed that opened a reading education courses by subject to give a choice to students to run a class with a small number of people. We suggest reading, writing,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utilizing the integrated reading education. Students must be a compulsory subject of the reading education courses in response to reading education to pre-university. University of properties to recommend the book containing a variety of reading programs for developing the students' interest should be induced. That way, ‘one book’ reading programs offered. University of Reading education should cultivate self-directed readers and active reader. Reading is the foundation of life-long learning and a knowledge-based society in General Education at the University of reading education should be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 KCI등재

        조선시대 사가독서(賜暇讀書)와 ‘평생독서교육’ 연구

        이국환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0 石堂論叢 Vol.0 No.47

        Education ideal of Sagadogseo(賜暇讀書) in Chosun Dynasty is linked with idea of lifelong education today. Sagadogseo (賜暇讀書) drawing that King Sejong makes was not tied down on fixed frame of course of study. Education operation process intended self-oriented learning that base on ‘Spontaneity․joyful studying’. However, Sagadogseo (賜暇讀書) was no public of lifelong education that do by idal that is supplied everybody equally by difference of environment age. All life of individual, because escape frame of existing school education in four corners of life and emphasize ‘Spontaneity’ and ‘Joyful studying’, reading education that can approach everybody comfortably and impartially must consist all life. Public library, school library, corporation act leading role for this, and reading session of cyber space must become subject of reading education with voluntary reading part of other college's lifelong education circle, various culture centers, civic society. All life reading education can foster communication ability through reading, and secure competitive power of knowledge that knowledge based society requires escaping in private reading when consist of form of reading part with social constructivism. And operation principle of reading part ‘Spontaneity’ and ‘Joyful studying’ ideal of lifelong education respect and must keep ‘Practice’ and ‘Openness’. Also, all life reading education must take charge function that can cure injury between reading club constituent each other not that is limited in sacred ground of culture and knowledge. Reading coach, reading specialist, teacher-librarian of present reading education are taking charge. Is guiding reading to all children or take charge reading education in school. Expectation level about reading education by adults' attainments in scholarship level is high. Therefore, in lifelong education period, lead reading part and reading educationist to conduce need to be trained. General observation of graduate course that train lifelong education reading specialist to take charge reading education is expected to examine. Realistic discussion is thought to become another practical groping that can overcome humanistic crisis when consider the recent situation that request of lifelong education increases rapidly in reply. 조선시대의 사가독서(賜暇讀書)는 그 교육적 의의에 있어 오늘날 평생교육의 이상과 맞닿아 있다. 세종대에 시작된 사가독서 제도는 교육과정의 고정된 틀에 매이지 않았고 운영 과정도 ‘자발성․즐거운 학습’을 바탕으로 한 자기주도학습(self-oriented learning)을 지향하였다. 하지만 사가독서는 시대 환경의 차이로 누구에게나 동등하게 공급되는 것을 이상으로 하는 평생교육의 공공성은 확보할 수 없었다. 이제 주5일 근무시대를 맞아 현대인은 독서에 필요한 3L(Literacy, Leisure, Libraries)의 환경을 갖추었고, 이를 활용해 평생교육 차원에서 독서할 수 있다. 정보사회를 이끌어가는 사람은 기존 지식과 정보를 많이 가진 사람이 아니라, 새로운 정보나 지식을 창출할 수 있는 사람이며, 정보사회의 경쟁력을 갖추는 가장 큰 기반은 바로 전통적인 독서력에 있다. 이제 기존 학교교육의 틀을 벗어나 ‘자발성’과 ‘즐거운 학습’에 중점을 두어, 누구나 편안하고도 평등하게 접근할 수 있는 평생독서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공공도서관, 학교도서관, 기업이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그 밖의 대학 평생교육원, 각종 문화센터, 시민사회의 자발적인 독서동아리와 사이버공간의 독서 모임도 독서교육의 주체가 되어야 한다. 평생독서교육은 사회구성주의 교육 이론을 바탕으로 독서동아리의 형태로 이루어질 때, 개인적 독서에서 벗어나 독서를 통해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고, 지식기반사회가 요구하는 지적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독서동아리의 운영 원리는 ‘자발성’과 ‘즐거운 학습’이란 평생교육의 이상을 존중하고 ‘실천성’과 ‘개방성’을 지켜나가야 한다.

      • KCI등재후보

        한국어 읽기에서의 문법 교육

        김재욱 ( Jae Wook Kim ) 한국문법교육학회 2010 문법 교육 Vol.12 No.-

        While the objectiv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cused on accuracy of reading and writing, in recent years the objectiv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re to improve communication competence. Because of this change, the role of grammar education became weak in Korean language classroom than ever before. Reading education also pursue the original objective of reading, that is comprehension ability, grammar education in reading is underestimated. But in the actual classroom, Korean language learners do read for grammar as well as master vocabularies and grammars through reading. This paper explores how reading and grammar education can collaborate each other with criticizing the grammar education for accurate language use separates from reading education for comprehension. For this, I put the importance of grammar education and reading in order and I analysed the concept of grammar education in reading and the way how the grammatical contents are connected with a course of study. And I suggested interactional and integrated approach of reading education and grammar education.

      • KCI등재

        대학 교양교육으로서의 고전읽기와 독서교육

        이국환(Lee, Kook-Hwan) 동남어문학회 2017 동남어문논집 Vol.1 No.43

        기존 교양과목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각 대학이 개설한 독서 중심의토론과 글쓰기 교육은 대부분 고전읽기에 집중하고 있다. 인문학 열풍과 고전읽기에 대한 대중의 관심, 정부의 재정 지원과 지원 받으려는 대학의 발 빠른대처가 2011년 이후 고전읽기 강좌의 급증을 초래했고, 고전읽기의 취지와 당위성에도 실제 대학 교양교육 현장에서 이를 실행하는 교수자와 학생들은 쉽 게 적응하지 못하고 있다. 독서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은 평생 독서자가 되게 하는 데 있다. 대학에서의 교육은 사회인이 되기 전, 마지막 제도교육이다. 대학에서 교양으로서의 독서교육이 정착하려면 교육목표를 분명히 해야 하며, 추천도서도 학생들의 흥미와 수준에 맞는 쉽고도 가치 있는 책을 폭넓게 선정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독서 자체가 다양한 학문 분야를 다루기에 특정 전공을넘어 다양한 영역의 독서력과 토론 진행 능력, 글쓰기 및 글쓰기 평가 능력까지 갖춘 융합형 전문가를 양성해야 한다. 또한 독서토론의 정체성을 분명히 하려는 구체적인 노력이 필요하며, 평가문제로 독서교육의 본질이 훼손되지 않도록 과정중심의 평가를 정교하게 해야 한다. 끝으로, 교양교육 기구와 도서관의 협업을 통해 비교과 독서프로그램을 활성화하여 교양교과로 독서에 익숙해진 학생들이 독서를 습관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general education, most universities have focused on reading and writing education, mostly in classics reading. The popularity of the humanities, the public s interest in classics reading, the government s financial support and rapid response from universities seeking support have led to a surge in classics reading lectures since 2011. The purpose and the necessity of classics reading is not easily adapted by teachers and students who practice it in the field of actual general education. The ultimate goal of reading education is to be a lifelong reader. Education at university is the last institutional education before becoming a social worker. In order to set up reading education as a general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clarify educational goals. Also, it is necessary to make a recommendation book to select a wide range of easy and valuable books that meet the interests and level of students. Reading covers a wide range of disciplin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convergent specialists with ability of reading ability, discussion progress, writing and writing evaluation in various areas beyond specific major. It is also necessary to make specific efforts to clarify the identity of the reading discussion, and to elaborate the process-based evaluation so that the essence of reading education is not damaged by the evaluation problem. Finally, liberal education institutions and libraries should cooperate to revitalize reading programs and help students become familiar with reading as a general education subject

      • KCI등재후보

        정부 정책을 통해 본 독서 교육의 진단과 방향

        송승훈(Song, Seung-hun)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0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4 No.1

        교육과학기술부는 2009년에 독서교육 정책을 발표했다. 앞으로 정부의독서교육 정책이 어떤 방향으로 나아갈지에 대한 내용은 네 가지다. 초등학교에서는 첫째, 독서에 흥미 붙이기를 목표로 삼고 중등학교는 교과시간에 독서를 하는 일을 목표로 잡았다. 둘째, 교사의 독서교육 역량을 높이려고 연수를 개선하겠다고 한다. 셋째, 교사와 학생과 학부모의 독서동아리를 지원해서 독서교육 주체를 양성하겠다고 한다. 넷째, 학교도서관을 지역에 개방하겠다고 한다.글쓴이는 초등학교와 중등학교의 독서교육 목표가 적절하다고 본다. 그러나 중고등학교 수업에서 책읽기가 이루어지려면 교사별 평가권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연수체제를 개선하는 안은 그 방향이 옳지만 선언에 그치지 않기 위해 예산이 마련되고 추진 일정이 구체적으로 나와야 한다고지적한다. 독서교육 주체를 만들기 위한 독서동아리 지원에 대해서는 이견이 없이 좋다고 평가한다. 학교도서관을 지역에 개방하는 문제는 운영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리라고 본다.글쓴이는 정부 정책의 네 가지 방향에 대해 전반적으로 동의한다. 그러나 정책이 선언에 그치지 않고 현실에서 성과를 내기 위해 세 가지 제언 을 한다. 첫째. 교사 개인별 평가권의 보장으로 의욕 있는 교사가 마음껏가르칠 수 있게 해서 교단에 활력을 불어넣어야 한다. 둘째. 독서교육 전담 장학사 제도를 마련해서 교육청의 전문성을 높이고, 교사자문단 구성해서 현장지원을 받는 방식이 필요하다. 셋째, 독서에 대해 전문성이 있는 시민단체가 공동으로 정책을 마련해서 사회적 여론을 만들어가며 정부에 정책을 제안하는 일이 필요하다. In 2009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nnounced plans for school reading education and school libraries. The government's reading education plans consisted of the following 4 issues. First, to make elementary students more attracted to reading and to incorporate reading class into the middle / high school timetable. Second, it addressed the development of training programs for teachers to improve teachers' reading education performance. Third, it addressed the need to support book clubs amongst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in order to nurture reading education. Forth, it planned to open school libraries to the public. I think the plans for reading education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are reasonable. However, I think that full authority should be given to each teacher so that the can evaluate all the students whom they teach according to their own principals. The government's plan to offer various in-service programs for teachers is reasonable but concrete schedules should be made first to fulfil these proposals. I positively agree with support for the book clubs without any objection. I see the result of opening the school libraries to the public would differ from school to school according to how it operates. I generally agree with the 4 dimensions of the government's plans. What is more, I would like to give the following three suggestions for better achievements. Firstly, teachers have to be given the right to assess his/her students based on his/her own criteria. This would allow avid reading teachers devoted to his/her own plans of reading class without being confined by other teachers and school regulations. Secondly, we need to train school vice-commissioners to oversee the implementation of reading education and to widen the educational office's expertise in this area. It is also paramount that teachers have access to practical help from an advisory body. Thirdly, civil organizations should collaborate on sharing their ideas on reading education policy, making policy and contributing suggestions to the education ministry.

      • KCI등재

        도덕교육에서 메타-독서교육 정초를 위한 시론

        장승희 ( Seung Hee Jang ) 한국윤리학회 2013 倫理硏究 Vol.9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earching for the possibility of meta-reading education basing the concept ‘meta-reading’ in the moral education. Firstly, I make inquiries about the state of affairs and the problem of the present school reading education. Secondly, I study the necessity of ‘meta-reading’ which is the philosophical understanding of ‘what is reading?’ to solve that problem. Thirdly, I study direction and points to be considered of the meta-reading education from the moral education point of view. Meta-reading is the philosophical understanding of the true nature of the reading. That is privately encounter between myself and the book before an act of reading. Reading itself implies ontological or axiological meaning the viewpoint of intrinsic self realization as a human being. The most recent, the percentage of students who read is increasing. On the other hand, the percentage of adults is decreasing. Moreover the university students are disposed not to do read. The low percentage caused by systematic reading education in the secondary school paradoxically. The reading of the secondary school place stress on the means more than the purpose. To do true reading, meta-reading education should to come into force, the moral subject cannot help playing main role because of value-oriented character of the meta-reading education.

      • KCI등재

        고전읽기를 통한 의사소통교육 방안

        황성근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17 사고와표현 Vol.10 No.3

        Although the method of reading of classical texts is approach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purpose of reading, it is also a method to use other medium if it is aimed at practical and inquiring reading of classical texts. The reading of classical texts is more faithful than focusing on reading itself, and it can be said that combining communication education to improve the utilization of contents can bring educational effect and lead to multipurpose education. The effect of communication education through reading of classical texts is firstly possible to communicate with the media. In reading of classical texts, the content of classics is used as the content of writing and speaking, and its contents are used in a cyclical and cross-over manner. Speaking, readings, topics, and discussions also apply to reading of classical texts. This section makes it possible not only to cross-approach the type of writing and speaking, but also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content. It is effective. Another is the phased connection of writing and speaking. In reading of classical texts, writing and speaking are approached sequentially and step by step, and the two areas are cross-linked to each other. In the first reading, deep reading from the initial light reading is approached, and it is directed toward deep reading. Sure, it is an integrated approach of writing and speaking. In reading of classical text, not only is writing and speaking stepped together, but also an integrated approach of both areas is possible. In reading of classical texts, it is desirable that communication education is done by application learning rather than basic learning. It is not only the educational effect of combining practical knowledge based on basic understanding and knowledge of communication education, but also contributing to more realistic reading of classical reading. In classical reading, communicative education should be a device for classical reading more faithfully and perfection. In the process, classical reading and communicative education should be systematically organized so that the two axes bring synergistic educational effect Needs to be. Key Words: reading of classical text communication education classical Reading education of classical Reading classical reading and communicating education 고전읽기의 방법은 읽기의 목적에 따라 다르게 접근되지만 고전의 실질적이고 탐구적인 읽기를 지향한다면 의사소통 교육과 접목되는 것이 교육적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 고전읽기를 통한 의사소통교육의 효과는 우선 매체 중심의 의사소통 이 가능하다. 고전읽기에서는 고전의 내용이 글쓰기와 말하기의 실전 내용으로 사 용되고, 그 내용이 순환적이고 교차적으로 활용된다. 고전읽기에서 쓰는 독서 소 감문과 주제 요약문, 주제 토의문, 토론 결과문은 고전 읽기의 내용이 서로 연관 돼 수용되고 활용된다. 말하기 또한 읽기 발표나 주제 토의, 토론에서도 고전의 읽기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러한 부분은 글쓰기와 말하기의 방식을 교차적 으로 접근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내용의 질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물론 고 전읽기에서 쓰기와 말하기가 단계적으로 연계될 뿐만 아니라 두 영역의 통합적인 접근도 가능하다. 고전읽기에서 쓰기와 말하기는 서로 연결돼 진행되며, 글쓰기 를 통한 말하기와 말하기를 통한 글쓰기가 연계적으로 이뤄진다고 할 수 있다. 고전읽기에서 의사소통교육은 기초학습보다 응용학습으로 행해지는 것이 고전읽 기를 더욱 실전적으로 수행하는데 더 큰 기여를 할 수 있다. 고전읽기에서 의사 소통 교육은 고전읽기를 더 충실하고 완벽하게 위한 장치적인 구실을 해야 하고, 그 과정에서 고전읽기와 의사소통교육이란 두 축이 상승적인 교육적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도록 교과를 체계적으로 구성할 필요가 있다. 주제어: 고전읽기 고전읽기 교육 고전 독서 의사소통교육 고전읽기와 의사소통교육

      • 대학 교양/기초 교육으로서의 독서교육 방향 탐색

        김성연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2016 한어문교육 Vol.38 No.-

        In the current university education that only emphasizes practicality and job conformance, cultivating interdisciplinary knowledge through reading education can be a god way to satisfy the original goal of university education. Universities are already inducing students to read books through various reading encouragement programs and managing or developing subjects related to reading education in general education level. This study aimed to review how they are managed, what kind of problems they have, and search for ways of reading education in university. First of all,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reading programs of universities and their problems. After reviewing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the common reading programs of universities such as ‘presenting recommended books’, ‘reading certificate system’, and ‘provision of mileage’, it suggested the necessity of staged reading programs with the level of composition nearing that of subjects such as freshmen reading programs of American universities. Then, it presented the necessity of reading education linked with subjects and examined the current status and ways to develop that. It analyzed the status of introducing and developing the subject of reading education at the general education level in universities in 2000, and explored ways of effective reading education by connecting systematic reading and discussion-linked reading. This study focused on how to realize reading education that aims to cultivate interdisciplinary knowledge than on functional and practical reading. In the reality of Korea where ‘Liberal Arts’ and ‘Discipline’ are divided, reading education is expected to serve the important role of closing the gap between the tw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