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프랑스의 문화예술협동조합 연구

        노시훈(NOH, Shihun) 프랑스학회 2015 프랑스학연구 Vol.72 No.-

        Après l’application de la Loi fondamentale de la coopérative en 2012, les coopératives sont en augmentation rapide dans les domaines de l'art et de la culture en Corée. Cette étude vise à présenter les points à prendre en considération dans l'établissement et la gestion de la coopérative artistique et culturelle, en analysant ses types développés en France, où la coopérative est activée et en examinant ses cas de succès. En France, les coopératives sont classées selon le type d’associés en cinq groupes, à savoir les coopératives d'entreprises, les coopératives d'utilisateurs, les coopératives bancaires, les sociétés coopératives et participatives et les coopératives multisociétariales. Il y a des coopératives artistiques et culturelles dans le groupe de coopératives d'entreprises (les coopérative d’artisans et les coopérative de commerçants) et celui de coopératives d'utilisateurs (les coopérative de consommateurs), mais il n'y a pas de coopérative de ce secteur dans celui de coopératives bancaires. La plupart des coopératives artistiques et culturelles sont distribués dans le groupe de sociétés coopératives participatives (SCOP : société coopérative de production, 75) et celui de coopératives multisociétariales (SCIC : société coopérative d'intérêt collectif, 25). Cette distribution est différente de celle de la Corée en deux points. Tout d'abord, en France, le plus grand nombre de coopératives artistiques et culturelles sont incluses dans le groupe de coopératives de travailleurs (SCOP) qui les comprend le moins en Corée. Deuxièmement, dans ce pays-là, un certain nombre de coopératives artistiques et culturelles sont incluses dans le groupe de coopératives sociales (SCIC), qui ne les comprend point dans ce pays-ci. Dans le groupe SCOP, la plupart des coopératives artistiques et culturelles sont concentrées dans le domaine de spectacle vivant. Ce fait montre que les coopératives sont choisies comme auto-assistance efforts dans le domaine où la maintenance est difficile en raison de la défaillance du marché et beaucoup de ressources humaines sont nécessaires. Les cas de réussite de l'Orchestre Colonne, du Théâtre du Soleil et de la Cité Création (peinture murale) prouvent que la coopérative est efficace dans la création d'emplois et leur maintien. Bien que chacun d'eux a commencé à partir des fins différentes, toutes des coopératives artistiques et culturelles incluses dans le groupe SCIC promeuvent l'intérêt public en rendant les gens les bénéficiaires de leurs activités. Les cas de réussite de Rhizobiome, Ludomonde, Akwaba-Ka-Théâtre, Collectif CHAP’, Cristal Production, Jeux de vilains, Pile ou Versa, Maison de la Danse et Okhra dans divers domaines nous font savoir que les coopératives artistiques et culturelles correspondent avec les activités d'intérêt public. Les modèles de réussite des deux types de coopératives montrent également que les activités telles que la création d'emplois et leur maintien, la promotion de l'intérêt public sont compatibles avec la création de profit.

      • KCI등재

        La problématique du sens dans la synchronie opérative

        CHOI Yong-Ho(최용호) 프랑스학회 2006 프랑스학연구 Vol.36 No.-

          본 논문의 목적은 앙드레 자콥Andr? Jacob(1967, 1990)의 언어철학 사상 속에 등장하는 공시태 개념, 보다 더 정확하게 표현하자면 조작적 공시태 개념이 함축하고 있는 의미의 문제를 밝혀내는 데 있다. 앙드레 자콥에게 시간의 문제는 소쉬르의 이분법, 즉 랑그와 파롤의 문제를 해결하는 중요한, 인식론적이고 방법론적인 도구로 작용한다. 인식론적이란 ‘언어의 인류학’을 확립하는 근본개념이요 방법론적이란 잠재태에서 현실태로의 이행을 실현하는 도구적 개념이란 의미에서이다. 그가 천착한 랑그와 파롤의 문제란, 랑그에서 파롤로 이행하는 문제이다. 바로 여기에 시간의 중요한 역할이 드러난다. 그는 ‘조작적 시간’이란 기욤의 개념을 빌려와 이러한 이행이 가져오는 긴장을, 보편성과 특수성 간의 변증법을 기술한다. 그의 이론 체계는 크게 ‘개념적 의미론’과 ‘구조적 체계론’으로 구성되어 있다. 역시 기욤의 용어를 빌어 표현하자면 전자가 특수화를 구현한다면 후자는 이를 바탕으로 다시 보편화를 이룩한다. 우리는 이러한 이중의 운동 과정 속에서 개념적 혹은 인지적 의미론으로는 채워질 수 없는 텍스트적 차원의 의미 문제가 발생함을 지적하였다. 랑그가 파롤로 실현되는 장소는 구체적인 상황이며 맥락이다. 이러한 상황과 맥락은 단지 랑그적 차원의 의미를 선택하거나 통제하는 보조적인 수단만이 아니라 담화 전체의 의미를 구성하는, 구성적 차원이기 때문에 자콥의 언어 모델은 비단 ‘개념적 의미론’뿐만 아니라 ‘텍스트 의미론’을 수용해야 보다 포괄적인 모델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Relatifs sans ante´ce´dent et interrogatifs : la forme QUI QUI를 중심으로

        JEON, Kyung-Jun 한국불어불문학회 2003 불어불문학연구 Vol.0 No.53

        전통문법에서는 이들 도입요소들에 대해 관계절의 경우는 '관계대명사 (pronom relatif)'라 부르고 의문절의 경우는 '의문대명사(pronom interrogative)'라고 구분하여 부른다. 예를 들면, Grevisse (1980)는 "관계대명사는 자신이 대신하는 명사 혹은 대명사에 종속절을 결부시키고 관계짓는데 사용되어, 그 명사나 대명사를 설명하거나 한정하며, 의문대명사는 자신이 표현하거나 상기시키는 혹은 그것에 대한 생각을 예고하는 사람이나 사물에 대해 질문하는데 사용된다"고 정의하고 있다. 관계사와 의문사에 대한 다소 의미적인 이러한 구분은 당연히 자료체의 동일한 형태인QUI에도 적용되는데, 유일한 차이는 자료체의 관계사 QUI는 관계짓거나 결부시킬 명사나 대명사가 없는, 다시 말해 선행사가 없는 관계사라는 점이다. 보다 최근에 생성문법 (la grammaire ge´ne´rative)에서는 이러한 요소를 'qu-단에 (mot qu-)'라는 용어로 부르는데, 이는 관계대명사나 의문대명사가 일반적으로 'qu-'로 시작하는 단어들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qu-단어'라는 이러한 지칭은 단순한 명칭의 변경만이 아니다. 이와 같은 공통된 명칭의 부여는 관계대명사와 의문대명사 사이의 형태적 유사성 및 동사적 유사성을 내포한다. 실제로 전통문법에서 관계사와 의문사는 형태적으로 동일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관계사와 의문사의 문장 내에서의 위치를 보면 이들은 항상 문두에 위치하는데, 담당하고 있는 통사적 기능이 정상적으로는 문두에 올 수 없는 경우에도 의문사와 관계사는 항상 문두에 위치한다. 이와 같은 점은 또한 관계사와 위문사가 자신이 속해 있는 정 속에서 명사구들이 담당하고 있는 기능을 맡고 있다는 것을 내포한다. 그리고 관계절과 간접의문(les propositions interrogatives indirectes)에서 관계사와 의문사는 종속사 (subordonmant)라는 동일한 역할을 담당한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관찰에 의거하여 상시의 자료체에 대해 다음과 같은 질문을 제기해 볼 수 있다 " 상기 자료체에서 선행사 없는 관계대명사 QUI와 의문대명사 QUI사이의 유사점은 보다 구체적으로 무엇인가? 이들 사이에 (통사적, 의미적 등의) 차이점이 있는가? 그리고 관계사 QUI와 의문사 QUI는 어떻게 구문하는가? 마지막 두 질문은 'qu-단어' 각 QUI이고 선행사가 없는 경우 관계절과 의문절을 어떻게 구분하는가 라는 하나의 질문으로 모아질 수 있다. 본고에서는 먼저 선행사 없는 관계사 QUI와 의문사 QUI의 유사성을 살펴보았다. 이들 두 요소가 문두에 위치하여 이끌고 있는 절의 내부에서는 이 두 요소 사이에 차이점은 없고 유사성만 있다는 것을 살펴보았다. 이화 같은 점은 관계사와 의문사 사이의 전통적 구분이 실제로는 이들 요소의 교유한 성질인 범주적인 특성이나 어휘적인 특성에서 기인하는 것이 아님을 보여준다. 따라서 이들 두 요소를 전통문법에서처럼 서로 다른 요소로 구분하기 보다는 동일한 하나의 범주로 통합하여 다루는 것이 더 좋다는 것을 보여주며, 이는 또한 과학적 학문의 목표 가운데 하나인 일반성(ge´ne´ralite´)을 획득할 수 있게 해준다. 이처럼 본 논문에서는 선행사 없는 관계사 QUI와 의문사 QUI의 구분은 이들 요소의 고유한 성질에 기인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통사적 환경, 다시 말해 서로 다른 분포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화 같은 분포적 차이가 동일한 요소 QUI에 서로 다른 해석을 부여하여 관계사나 의문사로 해석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선행사 없는 관계대명사 QUI와 의문사 QUI를 구분하기 위해서는 QUI자신의 분포가 아니라 이들 요소가 속해 있는 절 전체의 분포를 고려하여야 한다. 선행사 없는 관계절과 의문절 사이의 구분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사항에 따라 이루어진다. 즉, 독립절에 관련하여 나타나는 분호적 차이와 주어 및 전치사 보어라는 통사적 기능을 담당할 수 있는 가능성의 차이, 그리고 종속절의 경우 상위절 동사의 통사적 결합 가능성의 차이가 그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관계절과 의문절을 보어로 하는 상위절 동사가 명사구 보어 및 보어절의 두 가지 구성을 모두 허용할 때는 의문절과 관계절 두 가지 해석이 모두 가능하여 중의성이 나타난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계약의 하자에 관한 최근 대법원판결의 동향

        박수곤(Soo-Gon PARK) 한국비교사법학회 2014 비교사법 Vol.21 No.1

        법률행위가 유효하기 위해서는 그 목적이 강행법규에 반하지 않고, 선량한 풍속 기타 사회질서에 반하지 않아야 한다. 본고에서는 법률행위의 유효요건으로서의 이러한 적법성 요건과 사회적 타당성 요건의 충족여부의 판단과 관련하여, 비교적 최근의 주목할 만한 대법원판결들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우선, 강행법규의 하나인 수산업법의 관련 규정에 위반한 어업권의 임대차가 불법원인급여에 해당하여 부당이득반환의 대상이 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 대법원 2010.12.9. 선고 2010다57626,57633 판결에서는 기존의 판례의 태도와 마찬가지로 강행법규라는 개념 자체뿐만 아니라 강행법규 위반에 해당하는지의 여부에 대한 판단기준을 명확하게 제시하지 못하고 있으며, 또한 강행법규 위반으로 인한 후속적 처리와 관련하여서도 강행법규를 통하여 달성하고자 하였던 제도적 취지를 살리는 방향으로의 해결책을 모색할 수는 없었는지에 대한 의문을 남긴다. 다음으로, 부동산 이중매매의 반사회성을 판단하고 있는 대법원 2009.9.10. 선고 2009다23283 판결에서는 기존의 관련 판례들에서의 다소 모호한 반사회성 판단기준으로 인한 문제점을 파악하여 반사회성의 판단기준을 보다 명확히 하는 한편, 반사회적 이중매매의 성립가능성을 제한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는 평가할 만하나, 기존의 판례들을 대상으로 하여 제기되어 온 비판요소를 극복하지는 못하였다는 점에서는 여전히 아쉬움이 남는다. 끝으로, 소위 ‘알박기’ 또는 ‘버티기’와 같은 폭리행위에 대해 무효행위의 전환법리를 적용하여 계약의 효력을 유지시킨 대법원 2010.7.15. 선고 2009다50308 판결은 대법원이 무효ㆍ취소와 관련한 사안들에서 일부무효ㆍ일부취소의 법리를 적용하는 과정에서 제기되었던 기존의 학설상 문제제기를 극복하고자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평가할 만하나, 당사자의 가정적 의사를 추단하는 기준에 대한 정당화근거가 견고하지 않다는 평가 또한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Nous avons examiné ci-dessus les conditions pour la validité d’un acte juridique, notamment la légalité de l’acte juridique et sa conformité aux bonnes moeurs, et cela à travers les arrêts relativement récents de la Cour suprême coréenne. Quant à la condition de légalité, on peut constater que selon la Cour suprême, n'est pas évidente la notion même de la loi impérative ainsi que le critère permettant de vérifier la satisfaction de cette condition. Il y a en plus des questions à poser sur les mesures pour traiter la suite de la violation de la loi impérative : on peut d'abord douter que, dans un arrêt concernant le bail de droit de pêche, il n'y ait pas d'autre solution en mettant l'accent sur le but de la loi concernée. Ensuite, le critère d'évaluation n'était pas, dans cette affaire, objectif dans la fixation de l'étendue de l'enrichissement sans cause. Dans l'affaire concernant l'immeuble doublement vendu, la réponse de la Cour suprême est louable dans la mesure où elle a indiqué un critère concret autre que celui précédent pour que ce genre de vente soit considéré comme un acte de l'anti-bonnes moeurs. En effet, on aura plus de difficultés, selon ce nouveau critère, dans la constatation de telle vente comme un acte antisocial, puisque l'on devra faire la preuve de la faute de l'acheteur pouvant empêcher la dévolution de la propriété de l'immeuble à celui-ci. Enfin, dans l'affaire relative à la lésion, la solution de la Cour suprême est appréciable du fait qu'elle a tenté de découvrir la volonté éventuelle des parties contractuelles sur le fondament de la règle de la transformation de l'acte nul. Car, dans les arrêts précédents, la Cour suprême ne s'est basé que sur la règle de l'annulation partielle de l'acte nul à propos de laquelle les auteurs ont soulevé des points problématiques.

      • KCI등재

        Severe combined immunodeficiency pig as an emerging animal model for human diseases and regenerative medicines

        ( Muhammad Arsalan Iqbal ),( Kwonho Hong ),( Jin Hoi Kim ),( Youngsok Choi ) 생화학분자생물학회(구 한국생화학분자생물학회) 2019 BMB Reports Vol.52 No.11

        Severe combined immunodeficiency (SCID) is a group of inherited disorders characterized by compromised T lymphocyte differentiation related to abnormal development of other lymphocytes [i.e., B and/or natural killer (NK) cells], leading to death early in life unless treated immediately with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 Functional NK cells may impact engraftment success of life-saving procedures such as bone marrow transplantation in human SCID patients. Therefore, in animal models, a T cell-/B cell-/NK cell+ environment provides a valuable tool for understanding the function of the innate immune system and for developing targeted NK therapies against human immune diseases. In this review, we focus on underlying mechanisms of human SCID, recent progress in the development of SCID animal models, and utilization of SCID pig model in biomedical sciences. Numerous physiologies in pig are comparable to those in human such as immune system, X-linked heritability, typical T-B+NK- cellular phenotype, and anatomy. Due to analogous features of pig to those of human, studies have found that immunodeficient pig is the most appropriate model for human SCID. [BMB Reports 2019; 52(11): 625-634]

      • KCI등재후보

        전립선수술에 대한 예방적 항생제요법

        정승일 대한요로생식기감염학회 2014 Urogenital Tract Infection Vol.9 No.1

        Antimicrobial prophylaxis is the periprocedural systemic administration of an antimicrobial agent intended to reduce the risk of postprocedural local and systemic infection. However, the use of antibiotics in urologic surgery has been controversial for decades. Significant progress in prostate surgery was made during the previous decade, however, controversy over antibiotic prophylaxis for prostatic surgery remains. In the context of surgical field classification, transurethral resection of the prostate and radical prostatectomy can be categorized according to a clean-contaminated operation. Therefore, in this regard, administration of prophylactic antibiotics is appropriate for prevention of postoperative infectious complications. Unfortunately, however, studies of the prophylactic effect of antimicrobial therapy with prostatic surgery have been limited. There is currently a lack of information on the risk factors for infectious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prostate surgery in Korea. In addition, the Korean National Health Insurance System recently recommended the use of current guidelines for surgical site infection focusing on gastrointestinal surgery, not urinary tract infection in patients undergoing prostate surgery without any Korean evidence. Because many urological procedures are associated with urine exposure and endourological procedures, these guidelines cannot be adapted to urologic prostatic surgery. In open or laparoscopic prostatic surgery (radical prostatectomy or prostatectomy), the urinary tract is opened during the procedure; thus, postoperative bacteriuria is probably the main source of postoperative infectious complications.

      • KCI등재후보

        Satisfaction with the Effect of Local Dynamical Micro-massage Therapy on the Pain and Discomfort after Breast Reconstruction Surgery

        Kwang Hyeon Ahn,Sun Jae Lee,Eun Soo Park,Yu Gil Park 대한의학레이저학회 2020 MEDICAL LASERS Vol.9 No.1

        Background and ObjectivesBreast reconstruction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loss of the body image of patients after mastectomy surgery, and also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social and sexual life of breast cancer patients. However, in surprising and unfortunate number of patients, acute postoperative pain persists beyond the normal course of postsurgical recovery. We set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ocal dynamical micro-massage (LDM) treatment for achieving pain relief and reducing other postoperative complications. Materials and MethodsWe performed a retrospective analysis on 58 patients who underwent LDM treatment for postoperative pain management at Soonchunhyang University Bucheon Hospital between February 2017 and June 2019. Those patients who complained of persistent postoperative pain, which was uncontrollable with medication, were treated with LDM. The degree of pain and discomfort with contracture were recorded using numerical rating scale (NRS) scoring system with numbers from 0 to 10 (‘none' to 'worst'). ResultsThe median NRS score of pain was reduced by 62.3% from the start to the end of LDM treatment (p<0.001). Further, the NRS score of discomfort with contracture was reduced 66.0% (p<0.001). There was no complication related to the LDM treatment. ConclusionDual-frequency ultrasound LDM can be an effective therapeutic option for persisting pain after breast reconstruction surgery. It was also effective in improvement of discomfort with contracture and erythema of the surgical wound.

      • KCI등재후보

        대학 글쓰기 수정 교육에 관한 수업 모형 연구

        주민재 ( Min Jae Joo ) 한국작문학회 2008 작문연구 Vol.0 No.6

        본고는 대학생 60명을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으로 나누어 개인별 수정과 협력 수정의 2단계로 구성된 수업 모형을 토대로 실험하였다. 수정본의 모든 수정 양상들을 범주화하기 위해 Kay Butler-Nalin의 범주화 방식을 변용하여 표면(Surface:어휘), 하위 수준(구(句), 절) 상위 수준(문장)으로 범주를 설정했다. 3개의 범주에 따라 수정 양상을 분석하여 총 8개의 수정 방법을 설정, 평가하였다. 개인별 수정에 관한 실험 결과는 ``상`` 수준에 있는 학생들이 ``중``이나 ``하`` 수준의 학생들에 비해 텍스트 전체의 의미를 변화시키는 ``첨가``나``삭제``의 방법을 많이 사용하는 반면, ``중``이나 ``하``의 학생들은 ``유지``,``분리``, ``접합``과 같은 의미를 변화시키지 않고 기존 문장을 고르게 활용하는 방법을 상대적으로 많이 사용했다. 이러한 결과는 수정자가 기존텍스트에 대한 분석을 얼마나 잘 하는가, 그리고 문장들의 결함을 인식하고 해결하는 수준이 어느 정도인가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협력 수정에 관한 실험의 경우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 모두에서 ``첨가``, ``대체``, ``삭제``를 사용한 횟수가 비교적 고른 결과가 나왔는데 이를 통해 수준이 상이한 학습자들로 구성된 모둠에서 이루어지는 협력 수정이 구성원들에게 매우 긍정적인 교육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결론이 가능하다. 즉 협력 수정을 함으로써 모둠 내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의 학습자들은 보다 높은 수준의 과제 수행을 경험하고 이것이 반복될 경우 자신의 수정 능력을 높이게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예상할 수 있다. 본고의 실험 결과는 대학생들에게 어떻게 수정에 관해 교육할 것인지 그리고 그에 따른 수업 모형을 어떻게 설계할 것인지에 대해 어느 정도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고 본다. 또한 보다 효율적인 수정 교육을 위해서는 학습자들에게 텍스트에 대한 이해도와 분석 능력을 향상시키고 이를 수정에 적용할 수 있는 실제적 방법을 고려해야 한다. This paper analyze about the aspect of college students` revision upon the experiment design of individual revision course and collaborative revision. This experiment result show matters to be attended to teaching revision and what are important things about planning for teaching revision. Revision capacity of college student have high possibility originated in the difference of comprehension and analysing capacity about text based on analysing about different appearances of students classified according to writing capacity-upper, medium, low stage. Revision through colla- borative learning is useful method for elevation of revision capacity based on result of the experiment. It can be have substantial effect on teaching revision through complex course of individual learning and collaborative learning along with it must be have regard for elevation plan for capacity of comprehension and analysing tex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