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토니 모리슨 소설에 구현된 몸의 정치학

        조비결 대한영어영문학회 2018 영어영문학연구 Vol.44 No.3

        This essay explores how body politics embody in Toni Morrison’s novels, The Bluest Eye, Beloved, and Home. Morrison delineates black people as the victim of racial ideology or white supremacy. She postulates that blacks are the victim of body politics by white people in American history as a means to their political and ideological end. As Morrison puts it, blacks are people marked because of their skin color in America, I try to elucidate her novels in terms of body politics. There is negative body politics victimized by white supremacy through her works. In her first novel, The Bluest Eye, she portrays black body as a victim of racial prejudice by white people. She also depicts body politics of black people by whites’ slavocracy in Beloved, her representative novel. In her recent novel, Home can be also read the text of black body politics of war and eugenics under the white supremacy. At the same time, she suggests solutions of positive body politics including communal ethics and blacks’ responsibility and identity. Describing herself as an egalitarian, Morrison provides insight into an egalitarian hybrid society based on tolerance by embodying negative body politics by white people and positive body politics by black people.

      • KCI등재

        ‘위험한 무슬림 남성’과 ‘특별기여자’: 전 지구적 인도주의 담론과 포스트 9·11체제의 공모

        전의령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22 아시아리뷰 Vol.12 No.1

        This article aims at understanding the striking difference visible in the ways in which the Yemeni asylum seekers who entered South Korea in 2018 and the Afghans who were rescued by Operation Miracle in 2021, were each received in the country. Under which global political context and as what kind of “racialized and gendered bodies” did 500 Yemeni asylum seekers enter the country? Also, what is the global and South Korean context in which the 378 Afghans were defined as “special contributors” and what is the structure of hospitality that welcomed them as such? This article will discuss the way in which the “real refugee” and/or “refugee-ness” have been defined by global humanitarian politics since the mid to late 20th century and discuss how both Yemeni asylum seekers and Afghan special contributors exceed the “refugee-ness.” They are marked as “dangerous Muslim men” and “de-Muslimizing subjects of development” and thus exceed the refugee-ness. This reveals not only that humanitarian politics that regulate who the real refugee is, creates a politics of recognition among those who are not citizens, but also that it operates on top of the racial and sexual politics of empire and capital that have been reconfigured after 9/11. In this context, the difference between the event of 2018 and that of 2021 not only exists only on the surface but indeed veils the way in which South Korea becomes involved in the complicit workings between global humanitarian politics and the post-9/11 regime of racial and sexual politics. This article examines that the ways the coming of the above two groups were received in South Korea ultimately reproduce the post-9/11 politics of empire and capital. 이 글은 2018년에 벌어진 예멘 난민 반대 논란과 2021년의 미라클 작전 및 아프간 특별기여자 담론 사이에 보이는 간극을 이해해 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2018년 500여 명의 예멘 난민 신청자들은 어떤 전 지구적 맥락 속에서 어떻게 ‘인종화·젠더화된 몸’으로 입국하게 된 걸까? 동시에, 2021년 한국에 입국한 378인의 아프간인들이 ‘특별기여자’로 정의되는전 지구적이면서도 한국적인 맥락은 무엇이며, 그 속에서 우리는 그들을 어떤 존재로 ‘환대’하였는가? 이 글은 20세기 중후반 이후 성장해 온 전 지구적 인도주의 정치에서 ‘진짜 난민’과 ‘난민다움’이 상상되어 온 방식을 살펴본 다음, 2018년의예멘 난민 신청자들과 2021년의 아프간 현지 협력자와 그 가족이 ‘난민다움’의 상을 서로 어떻게 초과하는지 논한다. 전자와 후자가 각각 ‘위험한 무슬림 남성’과 ‘탈무슬림화하는 발전의 주체’로 표지되면서 전형적 난민상을 빗겨 가는 상황은‘난민다움’을 규제하는 인도주의 정치가 구체적으로 9·11 이후 재편된 제국과 자본의 인종·성정치 위에서 작동하는 것임을 보여 준다. 그 속에서 2018년과 2021년의 간극은 표면적으로만 존재하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사실상 전 지구적 인도주의 담론과 국제 정치 및 발전의 기획 속에서 한국이 어떻게 연루되어 있는지를 비가시화한다. 이 글은 한국에서 두 집단의 입국이 의미화된 방식이 궁극적으로 제국과 자본을 어떻게 재생산하는지 살펴본다.

      • KCI등재

        페미니즘 정치학, 역사적 시간, 그리고 인종적 차이

        김보명(Kim, Bo-Myung) 한국여성학회 2016 한국여성학 Vol.32 No.4

        이 논문의 목적은 페미니즘 정치학과 역사적 시간성 그리고 인종적 차이 간의 관계에 대한 비판적 논의를 배경으로 하여 미국 제2물결 페미니즘에서 형성된 여성의 "진보" 및 "해방"의 정치학을 현재적으로 재독해하는데 있다. 먼저 그 첫 번째 장에서는 페미니즘 정치학과 서구근대의 역사적 시간성에 관한 이론적 논의를 줄리아 크리스테바와 가야트리 스피박을 통해 전개한다. 크리스테바의 성적 차이의 정치학은 서구 근대의 역사적 시간성에 대항하는 급진적 이질성을 담지하지만 중국여성이라는 비서구 주체와의 대면에서는 인종주의적 한계를 노출하게 된다. 이러한 사례는 서구 제2물결 페미니즘 정치학이 인종정치학과 맺는 어렵과 복잡한 관계를 보여준다. 첫 번째 장에서는 논의를 기반으로 하여 두 번째 장에서는 미국 제2물결 페미니즘 정치학에서 나타나는 인종정치학의 위상을 각각 자유주의 페미니즘, 급진주의 페미니즘, 그리고 문화주의 페미니즘의 대표적인 텍스트들인 베티 프리단의 『여성의 신비』, 슐라미스 파이어스톤의 『성의 변증법』, 그리고 문화주의 페미니스트 선언문 "제4세계선언"을 통해 탐색한다. 이상의 이론적 작업과 페미니즘의 고전 다시 읽기를 통해 연구자는 페미니즘 정치학이 역사적 시간성과 맺는 관계를 탐색하는 한편, 이를 인종정치학적 입장에서 비판적으로 문제화한다. 궁극적으로 연구자는 이 논문을 통하여 페미니즘 정치학의 시간성이 젠더정치학에 의해 완전히 소진될 수 없으며, 인종정치학과 계급정치학 등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구성된다는 점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The essay brings critical attention to the difficult relations among feminist politics, historical time, and racial differences. As I examine the case of Julia Kristeva and her theory of sexual difference through and with the help of postcolonial feminist scholar Gayatri Spivak, I came to argue that U.S. Second Wave feminist politics of women"s liberation and progress encounters their epistemic limits when they are applied to non-western subject such as the Chinese women. Building upon this critical reading of Kristeva"s radical feminist politics, I carry out a critical reading of those classic U.S. Second Wave feminist writings such as The Feminine Mystique by Betty Friedan, The Dialectic of Sex by Shulamith Firestone and "The Fourth World Manifesto" written by a local cultural feminist group that critically responded to the call for the Indo-Chinese Women"s Conference of 1971. Each text, I show, constructs and utilizes narratives of women"s progress and liberation as they explain the cause of women"s oppression and the paths to alternative futures. In so doing, they also make critical intervention with the discourse of western modernity and its linear and totalistic temporality. And yet, liberal feminism, radical feminism, and cultural feminism from U.S. Second Wave Feminism all fall short of the intersectional politics which argues for mutually constitutive and simultaneous constitution for racial politics and gender politics. Liberal feminist adoption of race-sex analogy renders race and gender in alternate and exchangeable terms and in so doing suppresses the qualitative differences between race and gender. Radical feminism treats racism and colonialism as an extension of sexism. Cultural feminism moves to claim that women are colonized by male culture. Radical feminism and cultural feminism, accordingly, renders, national and cultural differences irrelevant to feminist politics. In conclusion, I suggest that intersectional politics helps us to critically deconstruct the temporal politics of U.S. Second Wave Feminist narratives of women"s liberation and progress, as it problematizes the linear unity of "women" and "feminist history."

      • KCI등재

        Intervention of the Third Party Racial Group in American Politics: Is a Friend of Friend a Friend? Is a Friend of Enemy an Enemy?

        ( Kieun Sung ) 서울대학교 미국학연구소 2016 미국학 Vol.39 No.1

        After dramatic increasing of Latino population, politicians and researchers have great interest in the inter-minority relation as well as the relation between white and minority in American Politics. Prior studies mainly concentrate on the dyadic foundation for addressing the relation. This study focuses more on the intervention of the third party racial group for exploring the racial attitude toward each other. I apply the conventional wisdom which is a friend of fried is a friend and a friend of enemy is an enemy for analyzing the Latino’s attitude toward white, and the white’s attitude toward Latino with consideration of one’s attitude toward black. For testing this hypothesis, I employ the American Mosaic Project Survey data and conduct the ordered-logistic regression model. Empirical evidence displays that in white case, we can apply the conventional wisdom, but not in Latino case.

      • KCI등재

        인종 정체성과 정당단합투표: 미국 민주당 의원들의 의회 투표 변화

        이종곤 서울대학교 미국학연구소 2022 미국학 Vol.45 No.1

        Since the 2000s, the proportion of racial minorities in the U.S. Congress has grown rapidly and has begun to reach the “critical mass” that allows them to express independent opinions. In addition, President Barack Obama’s election and BLM movements triggered the “black” identity politics. Consequently, the Democratic Party has begun to face internal confrontation by racial minority groups with which it has coalesced: the larger the size of minority members in the House (especially African-Americans), the more they have been prone to vote against the party’s mainstream opinions. Furthermore, the racial confrontation has undermined the cooperation of female lawmakers; African-American female lawmakers have shown more similar voting behavior to African-American male lawmakers, and white female lawmakers have shown more similar voting behavior to white male lawmakers. However, such divisions within the Democratic Party were limited to the House of Representatives where racial minorities have grown significantly. In the Senate, the confrontation was not remarkable.

      • KCI등재

        포스트트루스 시대의 혐오정치: 워드 켄덜의 『오늘을 견뎌라』를 중심으로

        박인찬 ( Inchan Pak ) 한국현대영미소설학회 2021 현대영미소설 Vol.28 No.3

        This paper aims to discus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henomenon of post-truth and the politics of emotion and thereby examine Ward Kendall’s SF Hold Back This Day. According to the Oxford Dictionaries that named it 2016’s word of the year, post-truth is defined as “relating to or denoting circumstances in which objective fact are less influential in shaping public opinion than appeals to emotion and personal belief.” It is true that a post-truth era has arrived, when emotion has more weight than evidence, and alternative facts replace actual facts. This paper focuses on the fact that the politics of post-truth necessarily relies on the politics of emotion. Post-truth amounts to a form of political domination for which its practitioners exploit people’s particular emotions and psychological bias and compel them to believe in something whether there is evidence or not. Disgust is a major emotion that this study pays more attention to. It refers to a group of interrelated aversive emotions, that is, what this paper calls a triad complex of disgust, hatred, and fear. As well known, the era of Donald Trump revealed how intimately the politics of post-truth got hand in hand with the politics of disgust. Hold Back This Day, one of white supremacist favorites that Trump and his closest far-right allies have been indulged in, shows an interesting example of how the politics of post-truth and emotion can effectively contribute to propagating a dystopian future of white extinction that appeals to both the hatred of non-white people and the revival of white nation. By analyzing Kendall’s narrative, this paper hopes to draw more attention to the problems of post-truth and its politics.

      • KCI등재

        연구논문 : 미국 대법관의 정치성향과 그에 따른 헌법적 결정 -그 결정이 미국 사회에 미친 영향을 포함하여-

        서영제 ( Young Je Seo ),육소영 ( So Young Yook ) 국제헌법학회,한국학회 2011 世界憲法硏究 Vol.17 No.2

        1988년 설치된 우리나라의 헌법재판소는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중대한 정치적 의미를 가진많은 판결을 통하여 국민적 관심을 불러일으키면서 헌법재판소 재판관의 정치적 성향에 대한 관심도 증가시켰다. 미국은 우리와 달리 특별법원을 두지 않고 연방대법원에서 헌법재판을 담당해 왔으며 국가조직, 인종문제 등 다양한 미국 내 헌법적 문제를 조정하고 해결책을 제시하는 오랜전통을 가지고 있다. 미국 연방대법관은 그 임명단계에서부터 정치적 성향과 정치적 충성심이 중요한 고려요소가 되며 대법관을 임명하는 과정 자체가 사법부와 입법부 사이의 정치적 조화를 찾아가는 과정으로 볼수 있다. 통계를 살펴보면 역대 대법관들의 상당수가 선거를 통해 선출되는 판사나 상·하원의원, 주지사 등의 경험을 가지고 있으며, 종신제 임기 및 대법관이 판결문에 반대의견을 표명할 수 있는 제도 등으로 인하여 정치적, 사회적으로 논쟁이 많은 사건을 처리함에 있어 정치적 성향을 가지게 될 가능성이 높다. 이런 이유로 미국 연방대법원의 헌법판결은 정치적 요소를 가지고 있는 사건이 많았는데 특히인종분리주의에 관한 Brown v. Board of Education 판결과 낙태문제에 관한 Roe v Wade 판결을 통하여 사회변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연방대법원은 Brown 사건에서는 인종분리주의에 관한정치적이고 정책적인 선택에 있어 Warren 대법원장의 노력으로 만장일치 판결을 내림으로써 인종분리주의에 의한 사회분열을 막을 수 있었던 반면 Roe 사건에서는 만장일치로 판결을 이끌어낼 수 없었기 때문에 이후에 낙태문제를 둘러싼 계속적 국론분열을 가져왔다. 이처럼 대법관들의 정치적 신념이 그 임명에 중요한 기준으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대법관들의 상당수가 정치적 경험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은 연방대법원 판결을 단순히 법률 해석의 결과가 아니라 정치적 타협과 중재의 결과로 만들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긍정적으로 이를 평가하면 헌법판결의 경우에 단순한 법 해석을 넘어 그 판결이 미치게 될 정치적, 사회적 영향력을 고려하여 의견조율을 통하여 만장일치로 판결을 내림으로써 사회적 안정을 가져올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법은 (특히 헌법은) 정치와 분리될 수 없으며 법이 없는 정치란 존재할 수 없고 정치 없는 법이란 상상할 수 없다. 다만 법과 정치가 어떻게 서로 견제 과정을 통하여 적절한 균형을 찾아갈 수 있는지가 문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민주주의 국가에서 결국 법과 정치의 조화는 주권을 가진 국민의 행복추구에 초점이 맞추어져야 하며 그런 의미에서 현실정치에 전혀 무관심하거나 현실정치에 너무 민감하여 법원리와 법원칙을 도외시하는 대법관이나 헌법재판관 모두 지양되어야 할 것이다. In the U.S., in appointing a federal Supreme Court Justice, there have been conflicts between the Congress and the executive body. One of reasons for such conflicts may be political influence held by the Justice. In addition, because all of the federal Justices have lifetime tenure and a constitutional guarantee that their salary shall not be diminished during their continuance in office, their political philosophy and belief heavily affect U.S. politics. Therefore, the political philosophy and belief of Justice candidates` are very important factors to be considered. Moreover, a few Justices have had political experiences and that causes Supreme Court decision to be not only the outcome of legal interpretation but also the outcome of political negotiation. For example, Chief Justice Warren in Brown v. Board of Education drew an unanimous decision regarding a politically conflicting issue and cut controversies afterward. In contrast, several controversial issues were decided by majority and continue to be the center of arguments. None of our supreme court judges and constitutional court judges has political experience. However, law(especially constitutional law) is related to politics in all democratic countries; politics cannot exist without law and law without politics cannot be imagined. The problem is to seek a balancing point between law and politics. In my opinion, the harmony between law and politics can be found in seeking people`s happiness. In that sense, two types of supreme court judges and constitutional judges must not be appointed. One type is a judge who is disinterested in politics and insists his legal theory and philosophy. Another is a judge who is too sensitive to politics and disregards a legal principle.

      • KCI등재

        미국 대법관의 정치성향과 그에 따른 헌법적 결정

        서영제(Seo, Young Je),육소영(Yook, Soyoung) 세계헌법학회 한국학회 2011 世界憲法硏究 Vol.17 No.2

        1988년 설치된 우리나라의 헌법재판소는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중대한 정치적 의미를 가진 많은 판결을 통하여 국민적 관심을 불러일으키면서 헌법재판소 재판관의 정치적 성향에 대한 관심도 증가시켰다. 미국은 우리와 달리 특별법원을 두지 않고 연방대법원에서 헌법재판을 담당해왔으며 국가조직, 인종문제 등 다양한 미국 내 헌법적 문제를 조정하고 해결책을 제시하는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다. 미국 연방대법관은 그 임명단계에서부터 정치적 성향과 정치적 충성심이 중요한 고려요소가 되며 대법관을 임명하는 과정 자체가 사법부와 입법부 사이의 정치적 조화를 찾아가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 통계를 살펴보면 역대 대법관들의 상당수가 선거를 통해 선출되는 판사나 상ㆍ하원의원, 주지사 등의 경험을 가지고 있으며, 종신제 임기 및 대법관이 판결문에 반대의견을 표명할 수 있는 제도 등으로 인하여 정치적, 사회적으로 논쟁이 많은 사건을 처리함에 있어 정치적 성향을 가지게 될 가능성이 높다. 이런 이유로 미국 연방대법원의 헌법판결은 정치적 요소를 가지고 있는 사건이 많았는데 특히 인종분리주의에 관한 Brown v. Board of Education 판결과 낙태문제에 관한 Roe v Wade 판결을 통하여 사회변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연방대법원은 Brown 사건에서는 인종분리주의에 관한 정치적이고 정책적인 선택에 있어 Warren 대법원장의 노력으로 만장일치 판결을 내림으로써 인종 분리주의에 의한 사회분열을 막을 수 있었던 반면 Roe 사건에서는 만장일치로 판결을 이끌어낼 수 없었기 때문에 이후에 낙태문제를 둘러싼 계속적 국론분열을 가져왔다. 이처럼 대법관들의 정치적 신념이 그 임명에 중요한 기준으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대법관들의 상당수가 정치적 경험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은 연방대법원 판결을 단순히 법률 해석의 결과가 아니라 정치적 타협과 중재의 결과로 만들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긍정적으로 이를 평가하면 헌법판결의 경우에 단순한 법 해석을 넘어 그 판결이 미치게 될 정치적, 사회적 영향력을 고려하여 의견조율을 통하여 만장일치로 판결을 내림으로써 사회적 안정을 가져올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법은 (특히 헌법은) 정치와 분리될 수 없으며 법이 없는 정치란 존재할 수 없고 정치 없는 법이란 상상할 수 없다. 다만 법과 정치가 어떻게 서로 견제 과정을 통하여 적절한 균형을 찾아갈 수 있는지가 문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민주주의 국가에서 결국 법과 정치의 조화는 주권을 가진 국민의 행복추구에 초점이 맞추어져야 하며 그런 의미에서 현실정치에 전혀 무관심하거나 현실정치에 너무 민감하여 법원리와 법원칙을 도외시하는 대법관이나 헌법재판관 모두 지양되어야 할 것이다. In the U.S., in appointing a federal Supreme Court Justice, there have been conflicts between the Congress and the executive body. One of reasons for such conflicts may be political influence held by the Justice. In addition, because all of the federal Justices have lifetime tenure and a constitutional guarantee that their salary shall not be diminished during their continuance in office, their political philosophy and belief heavily affect U.S. politics. Therefore, the political philosophy and belief of Justice candidates’ are very important factors to be considered. Moreover, a few Justices have had political experiences and that causes Supreme Court decision to be not only the outcome of legal interpretation but also the outcome of political negotiation. For example, Chief Justice Warren in Brown v. Board of Education drew an unanimous decision regarding a politically conflicting issue and cut controversies afterward. In contrast, several controversial issues were decided by majority and continue to be the center of arguments. None of our supreme court judges and constitutional court judges has political experience. However, law(especially constitutional law) is related to politics in all democratic countries; politics cannot exist without law and law without politics cannot be imagined. The problem is to seek a balancing point between law and politics. In my opinion, the harmony between law and politics can be found in seeking people’s happiness. In that sense, two types of supreme court judges and constitutional judges must not be appointed. One type is a judge who is disinterested in politics and insists his legal theory and philosophy. Another is a judge who is too sensitive to politics and disregards a legal principle.

      • KCI등재

        온정주의 이주노동자 정책의 형성과 변화 - 한국의 다문화 정책을 위한 시론적 분석 -

        심보선 ( Bo Seon Shim ) 한국사회역사학회 2007 담론 201 Vol.10 No.2

        본 논문은 1990년대 이후 현재에 이르는 이주노동자 정책을 살펴보면서 정책 형성과 변화의 인과적 기제를 밝히고자 한다. 본 논문은 한국의 이주노동자 정책을 "이주노동자를 합리적인 계약이나 정치적 인정의 평등적 관계 대신에 보호의 대상으로 취급하며 문제를 해결하려는" ``온정주의적(paternalist) 정책``으로 정의한다. 본 논문은 정책 영역(policy domain)과 정책 패러다임(policy paradigm)에 의해 정책이 형성된다는 이론적 견지에서 온정주의적 이주노동자 정책의 형성과 변화를 검토한다. 특히 본 논문은 인정의 정치(politics of recognition)에 기반 한 다문화 정책이 국가와 사회집단 간의 인종·종족 동학을 통해 도출되는 인종·종족 기획이라고 보고 이를 정책 형성의 이론과 결합시켜 한국의 온정주의적 이주노동자자 정책의 기제를 분석한다. 1990년대 이주노동자 정책의 개선 과정에서 이주노동자 운동의 조직화가 이루어졌고 이들 중 일부는 인권과 노동권을 넘어서 소수자 집단으로서의 고유한 정체성과 권리를 요구하는 인정의 정치를 표방하였다. 그러나 2003년 이후 정부가 본격적인 이주노동자 정책을 실행해갈 때 이주노동자의 자결조직이 표방한 인정의 정치는 정책 영역과 정책 패러다임에서 배제됐다. 정부는 이전까지의 정책 영역에서 안정적 관계를 구축한 지원 단체들과의 협력을 통해 ``관용``의 패러다임에 기반한 교육, 선교, 가족, 공동체 지원 중심의 복지정책을 추진하였고, 이는 결과적으로 온정주의적 이주노동자 정책의 형성으로 귀결하였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ausal mechanism of policy formation in the case of immigrant policy, especially, migrant worker`s policy in Korea since 1990s. This paper defines the migrant worker policy as ``paternalist``, that is, a policy that treats migrant workers as the object of caring that evades relationship based on rational contract or political equality. In order to analyze the formation of the paternalist migrant worker policy, this paper utilizes the theory of policy formation that employs the policy domain and the policy paradigm as main causal factors. Especially, this paper sees that the multiculturalist policy based on "the politics of recognition" is produced through racial/ethnic dynamics taking place i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state and the racial/ethnic groups. By combining this perspective with the analysis of migrant worker policy formation in Korea, this paper concludes that the paternalist policy is made possible through the closed partnership between the state and the service organizations and the employment of "tolerance" paradigm as a policy guideline which emphasizes service programs such as language education, family, missionary work, and community support. This policy orientation excludes from the policy domain the migrant workers` groups and their logic of politics of recognition which emphasizes their collective identity and social rights as a minority group.

      • KCI등재

        Intervention of the Third Party Racial Group in American Politics: Is a Friend of Friend a Friend? Is a Friend of Enemy an Enemy?

        성기은 서울대학교 미국학연구소 2016 미국학 Vol.39 No.1

        After dramatic increasing of Latino population, politicians and researchers have great interest in the inter-minority relation as well as the relation between white and minority in American Politics. Prior studies mainly concentrate on the dyadic foundation for addressing the relation. This study focuses more on the intervention of the third party racial group for exploring the racial attitude toward each other. I apply the conventional wisdom which is a friend of fried is a friend and a friend of enemy is an enemy for analyzing the Latino’s attitude toward white, and the white’s attitude toward Latino with consideration of one’s attitude toward black. For testing this hypothesis, I employ the American Mosaic Project Survey data and conduct the ordered-logistic regression model. Empirical evidence displays that in white case, we can apply the conventional wisdom, but not in Latino ca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