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rivate-Sector Networks, Democracy, and Interstate Relations: A Case Study of South Korea and Taiwan

        ( Uk Heo,Hayam Kim )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2012 ASIAN PERSPECTIVE Vol.36 No.1

        Since South Korea and Taiwan established diplomatic ties in August 1948, the relationship between Seoul and Taipei has gradually expanded through public channels and private-sector networks. However, South Korea`s normalization of relations with China in 1992 led Taiwan to sever its formal ties with South Korea. Nevertheless, Seoul and Taipei expanded their economic and cultural privatesector exchanges. What made this possible? We argue that the private-sector networks developed through economic and cultural exchanges enhanced national interests, which explains why the two governments facilitated expansion of their informal ties. Although the importance of personal networks has been studied in the context of intergovernmental organization memberships, there is a void in the literature on how private-sector networks may affect foreign relations. Thus,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effects of private-sector networks on interstate relationships.

      • KCI등재

        국제개발협력 분야 민간기업참여 확대를 위한 정책수단 연구

        김은주,이도석 한국정책과학학회 2022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26 No.1

        In the field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rivate sector engagement(PS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has been increasingly emphasized. Therefore, this study tries to explore policy measures to expand the role of private sector. Firstly, it examines the theoretical discussions, including the definition of the concept of private sector engagement in development cooperation. It also examines policy tools to expand the participation of private enterprises. Based on the theory of policy tools-NATO typology, this study analyzes the cases of Germany, the Netherlands, Australia,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Kingdom, which have already established and implemented policies for private enterprises. It found that donor countries actively utilizes indirect and flexible policy tools such as networks, partnerships, and information provision. Lastly it suggests implications for the policy tools to actively engage private enterprises in Korea in the future. 최근 국제개발협력에서는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민간부문 참여(Private Sector Engagement, 이하 PSE)의 필요성이 점차 강조되면서 민간부문과 정부 및 시민사회의 역할과 어떻게 조화를 이루어야 하는지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개발협력에서 민간기업의 참여를 어떻게 바라볼 것이며, 이를 활성화하기 위한 제도나 정책수단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을 실시한 연구는 없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개발협력에서 민간기업의 참여에 대한 개념정의와 이들의 역할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확대하기 위한 정책적 수단에 대해 논의하였다. 특히 민간부문참여를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독일, 네덜란드, 미국, 영국, 호주 등 5개 국가에 대한 사례조사를 통해서 정책수단을 분석하였다. Hood(1986)의 정책수단 분류에 근거하여 정보제공/매개(Nodality), 재정(Treasure), 권위(Authority), 조직(Organization)으로 분석틀을 설정하고, 주요국들이 도입하고 있는 정책수단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에서 민간부문참여(PSE) 확대를 위한 권위형, 재정형, 조직형, 정보제공 정책수단을 제언하였다. 또한 개발협력에서 민간부문의 참여를 강조하면서 동시에 기업이 상업적 이익 뿐만 아니라 글로벌 공공재를 공급하는 주체로 거듭나도록 하기 위해 추가적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

        민간투자법제에 있어서의 국가와 민간의 역할 분담 확립에 관한 연구

        황지혜(Hwang, Ji-Hye) 한국토지공법학회 2020 土地公法硏究 Vol.89 No.-

        현대의 공적 임무 수행은, 과거와 달리, 공공과 민간의 협력을 요구하고 있다. 이와 같이 공적 임무 수행의 형식이 변화하면서, 최근에는 공공과 민간 사이의 더욱 밀접한 관계를 추구하는 네트워크 이론(Network Theory)이 논의되고 있다. 특히 사화(Privatisierung)에 의한 공공 서비스 제공과 관련하여, 민간과의 협력으로 공적 임무를 수행할 때에 국가가 임무 수행의 최종적인 책임을 진다는 보장국가론(Gewährleistungsstaat Theorie)도 논의되고 있다. 이와 같은 네트워크 이론과 보장국가론의 관점에서 고찰하는 것이 요구되는 공공 서비스 제공 형태로는, 민간 자본을 유치하여 사회기반시설을 정비하는 민간투자(Private Finance Initiative, PFI)가 있다. 한국에서 재정 악화를 해결하기 위해 민간투자가 확대되고 있어, 네트워크 이론과 보장국가론의 관점에서 고찰할 필요성이 크다. 이와 같은 동기에서, 본 논문은, 네트워크 이론과 보장국가론의 관점에서 민간투자제도의 개선 방안을 논하고자 한다. 민간투자 관련법제를 개선하여 활용하는 방법과, 새로운 민간투자 관련법제를 도입하여 활용하는 방법으로 나누어 논하고자 한다. 민간투자 관련법제를 개선하여 활용하는 방법의 구체적인 실현 수단으로는, ① 명확한 책임 분담 확립, ② 주무관청의 실시협약 변경 요구권, ③ 공익을 위한 처분이 있으며, 보다 적절한 제도 개선을 위해 일본 법제도와 비교한다. 새로운 민간투자 관련법제를 도입하는 방안으로는, 국가와 민간사업자에게 관리자라는 지위를 부여하여 역할 분담을 시도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즉, 국가는 공공관리자라는 지위를, 민간사업자에게는 시설관리자라는 지위를 부여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관리자의 지위를 부여하여, 국가에게는 사업 지원 및 감독이라는 역할을 명시하고, 민간사업자는 사업수행이라는 역할을 명시하여 책임 분담을 확립하는 것이 목적이다. To perform government s public service in contemporary age, government s(public sector) cooperation with private sector is demanded. Following changes of forms and ways in performing public service, Network Theory(which means more closer relationship between public sector and private sector) has been discussed recently. When public service is provided through privatized ways( privatization , Privatisierung ), Guarantee State Theory(Gewährleistungsstaat Theorie) that the state has responsibility to guarantee good quality of public service has been discussed recently in the academic society. From the new perspective provided by Network Theory & Guarantee State Theory, PFI is most needed to induce private capital & to arrange Social Overhead Capital(SOC). In Korea, PFI is expending because of government s financial limitation. Network Theory and Guarantee State Theory’s view is helpful in this situation. For this reason, the writer suggests how to improve PFI system based upon the Network Theory and Guarantee State Theory’s view. To improve PFI system, following two ways can be considered. First, to arrange PFI system which has been already available at the present. Second, to introduce new system of PFI. To arrange PFI system which has been already available, following three ways can be considered: ① clear division of responsibility between public sector and private sector, ② public sector s(states) right to demand to revise PFI contract, ③ state s right of termination of PFI contract for public interest. To introduce new system of PFI, two ways are reviewed. To give private sector the role of facility manager and to give administrative agency the role of public manager . The former has the effect of strengthening responsibility for private sector, while the latter has the effect of supervising PFI effectively.

      • Network Governance of Private Sector Development Policy Implementation in Singapore

        Charles Conteh 서울대학교행정대학원 2009 Asi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Vol.17 No.1

        The discussion examines private sector development policy implementation in Singapore,examining the new role of the government’s economic development agencies from the pointof changing relationships among public and non-state actors in the policy arena. Singapore’s model of private sector development consists of an exclusive network ofpartnerships among economic development agencies and between these agencies andprivate sector actors, such as business and organized labour, as integral policy stakeholders. As Singapore has moved within the past 15 years towards its articulated goal of becoming aknowledge-based economy and an industrial hub in the Asia Pacific region, the country’smodel of network governance is undergoing a gradual reconfiguration to include a greaterrole for local enterprises in the policy process. The changing institutional mechanics ofnetwork governance surrounding the new model of private sector development inSingapore are examined, along with the highlights of some implications surroundingthis shift.

      • KCI등재

        취업경로가 장애인 임금근로자 고용의 질에 미치는 영향

        김범규,김언아,김용탁,남용현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5 장애와 고용 Vol.25 No.3

        본 연구는 장애인 임금근로자의 취업경로가 고용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자료는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에서 매년 조사하는 제6차 장애인고용패널조사 원자료를 활용하였다. 고용의 질을 나타내는 지표로는 경제학적 접근법, 사회학적 접근법, 심리학적 접근법으로 크게 3가지 분류한 뒤 경제학적 접근법으로는 임금 및 복리후생, 사회학적 접근법으로는 사업체 규모, 종사상 지위, 작업환경, 심리학적 접근법으로는 직무만족도와 배려 등 총 7개 지표로 고용의 질 지표를 구성하여 취업경로가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취업경로는 공공기관을 통한 취업, 민간기관을 통한 취업, 사회연결망을 통한 취업, 직접 취업 등 4가지로 경로로 나누어 사회연결망을 통한 취업을 기준변수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공공기관을 통한 취업이 사회연결망을 통해 취업한 경우보다 복리후생, 사업체 규모, 작업환경, 직무만족도 등에서 더 고용의 질이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민간기관을 통한 취업도 사회연결망을 통해 취업한 경우보다 임금, 복리후생, 사업체 규모 등에서 고용의 질이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 요인으로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노동부 등 공공기관이 약 25년간 꾸준히 장애인 고용 정책과 장애인 고용환경개선 사업을 펼쳐왔던 점을 제시하였다. 반면 종사상 지위, 배려의 경우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는데 이는 아직까지 비정규직 비율이 59.1%로 높고, 장애인 고용을 위해 직무 및 근로시간 조정 배려를 한 사업체가 7.3%에 불과한 점 등이 고려되었다. 취업경로에 따라 장애인 고용의 질에 미치는 영향이 사회연결망 경로보다 공식경로, 그 중에서도 공공기관을 통한 경로가 더욱 효과적이었음에도 장애인들의 사회연결망 경로를 통하여 취업하는 비중이 68.2%로 높다는 점을 들어, 공단 등 공공기관에서 장애인 고용의 질을 높이기 위해 지금보다 더 많은 장애인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며 이를 위해 지금보다 더 인력을 확충하여 폭넓은 취업알선 등 직업재활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test the influence of employment pathway on vocational quality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t examined a secondary dataset, the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PSED), conducted by the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KEAD). The quality of employment was categorized through economical approach (salary and vocational well-being), social approach (the size of sector, job level, and work environment), and psychological approach (job satisfaction, and job consideration). The trajectory of getting employment was categorized public sector pathway, private sector pathway, social-networking related pathway, and directive employment pathway namely. The reference pathway was social-networking related pathway. The analysis indicated that the employment pathway through public sector was likely to have greater quality of employment (i.e., vocational well-being, the size of sector, work environment, and job satisfaction) compared with social-networking related pathway. The employment pathway through private sector, compared with social-networking related pathway, was also more likely to have greater employment quality (i.e., salary, vocational well-being, and the size of sector). The authors also discuss the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for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 KCI등재
      • 지역사회복지기관의 재가복지서비스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 양천구를 중심으로

        남궁금순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10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5 No.-

        본 연구는 서울시 양천구의 사회복지기관을 이용하는 수요자중심의 서비스 질에 대한 만족도를 SERVQUL측정지표(유형성․신뢰성․대응성․보증성․공감성)의 다섯 가지 변수로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이용자중심의 재가복지만족도는 다소 부족한 변인과 양호한 변인이 50:50으로 도출되었다. 이는 사회복지기관의 사업수행경험을 통한 효율적인 사업수행과 구조화된 재가복지서비스를 통한 이용자들의 의식이 향상되었다고 함의한다. 하지만 다양한 사업성과 목표달성가능성을 통하여 복지수요자들의 질적인 서비스향상을 제공하기 위하여 사회복지기관의 역할을 더욱 충실히 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researched satisfaction regarding the service quality provided to users utilizing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in Yangcheon-gu, Seoul, using 5 variables of SERVQAL measuring index(corporality, reliability, responsiveness, assurance, sympathy). As the result of analyzing user oriented satisfaction for community welfare service, the same figure(50 ; 50) was derived between a slight insufficient variable and a good variable. This implied that user’s awareness was improved based on the effective task implementation through the experience of task performance in the social welfare organization and the structured community welfare service. However, the social welfare organization had to perform their role more faithfully to provide improved service quality to welfare users through various feasibilities and possibility of achieving go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